KR20120087336A -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 Google Patents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336A
KR20120087336A KR1020110005842A KR20110005842A KR20120087336A KR 20120087336 A KR20120087336 A KR 20120087336A KR 1020110005842 A KR1020110005842 A KR 1020110005842A KR 20110005842 A KR20110005842 A KR 20110005842A KR 20120087336 A KR20120087336 A KR 2012008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mobile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884B1 (ko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1000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기 구입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의 판매를 중개해 줌으로써, 불측의 사유로 실물 티켓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 티켓 소지자의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바일 티켓 구매자가 정상적으로 모바일 티켓을 사용한 경우에만 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입금해 줌으로써 거래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METHOD AND SERVER OF MEDIATING TICKET TRANSACTION}
본 발명은 기 구입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의 판매를 중개해 주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등을 관람하고자 할 때, 공연 티켓 등을 미리 발급받아 소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공연 당일에 티켓 소지자에게 사정이 생겨 티켓 소지자가 공연 등을 참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티켓 소지자는 기 발급받은 공연 티켓의 환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환불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티켓을 환불받을 수 있는 환불처가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티켓 소지자는 자신이 소지한 티켓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타인이 먼 곳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티켓 소지자는 타인을 직접 만나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티켓을 건네주어야 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타인의 경우에도, 티켓을 양수하기 위해, 먼 곳까지 이동을 해야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기 발급받은 공연 티켓 등에 대한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개인 간에 티켓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거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구매자는 티켓의 구매 대금을 판매자에게 선입금 해 주었는데, 판매자(티켓 소지자)는 티켓을 양도하기로 한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우편 등으로 티켓을 보내주기로 약속한 후에, 티켓을 보내주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기 발급받은 실물 티켓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 구입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의 판매를 중개해 줌으로써, 불측의 사유로 실물 티켓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 티켓 소지자의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바일 티켓 구매자가 정상적으로 모바일 티켓을 사용한 경우에만 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입금해 줌으로써 거래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에 근거하여 생성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수신부가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하는 정산부;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신부, 상기 전송부, 상기 정산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기 발급받은 실물 티켓을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하여 거래함으로써, 티켓 구매자와 판매자가 대면하지 않더라도 티켓을 쉽게 양수하거나 양도할 수 있어, 티켓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티켓 구매자(제2회원)가 정상적으로 모바일 티켓을 사용한 경우에만 판매자(제1회원)에게 판매 대금을 입금해 줌으로써 거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티켓"이란 공연, 영화, 스포츠 경기 등을 관람할 수 있는 입장권, 예매권 등을 의미한다. 상기 티켓은 사용 기간이 설정된 상품권, 사용 기간이 설정된 할인 쿠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티켓 거래 중개 시스템은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 제2회원의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원이란 티켓 소지자로서, 자신이 소지한 티켓을 타인에게 양도하길 원하는 판매자를 의미한다. 제2회원이란 상기 제1회원으로부터 모바일 티켓을 구매하기를 원하는 구매자 또는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 접속하여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는 실물티켓을 변환한 모바일 티켓을 관리하는 모바일 티켓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물티켓이란 형체가 존재하는 티켓으로서, 오프라인상에서 일반적으로 발급받아 소지할 수 있는 입장권, 예매권 등을 의미한다. 한편, 모바일 티켓이란 출력된 형태의 티켓이 아니라 이동 단말기나 온라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티켓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티켓 관리 모듈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티켓 관리 모듈은 상기 실물티켓을 인식하여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모바일 티켓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대한 판매 및 구매를 중개해 주기 위한 서버이다. 즉,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으로부터 판매 대금을 입금받아 상기 제1회원에게 전달해 줄 수도 있다. 다만, 제2회원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제2회원이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정상 사용한 경우에만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해 주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는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 티켓을 구매하고,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 외에 고정 단말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는 컴퓨터(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회원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회원은 이동 단말기 상의 모바일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수신부(210), 전송부(220), 정산부(230), 데이터베이스(240), 제어부(250), 인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제1회원이 기 구입한 실물 티켓에 근거하여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가 생성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에는 모바일 티켓 자체(모바일 티켓 이미지, 바코드 등)뿐 아니라, 모바일 티켓의 사용 기간, 모바일 티켓의 좌석 위치, 모바일 티켓의 판매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모바일 티켓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부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처 서버로부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티켓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었다는 확인 메시지로서, 상기 제2회원이 정상적으로 모바일 티켓을 양수했다는 확인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이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 한해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모바일 티켓 정보가 수신되자마자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경우 사용기간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원이 긴급하게 판매하는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1회원이 모바일 티켓을 등록하자마자 실시간으로 상기 제2회원에게 모바일 티켓 정보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송부(220)는 푸쉬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모바일 티켓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상기 푸쉬 기술(push technology)이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에서 클라이언트 측 사용자의 검색 조작에 의하지 않고 서버가 자동으로 서버상에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로 배포(전송)하게 하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단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해 놓으면 사용하지 않는 도중에도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호스트로부터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기술적인 특성상 이것을 웹캐스팅(Webcast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상기 모바일 티켓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 줌으로써,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상기 모바일 티켓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기 설정해 놓은 경우,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회원이 단말기(300)를 통해서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를 완료한 경우,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해 줄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바일 티켓은 출력된 형태가 아니므로 여러 단말기로 양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모바일 티켓과 함께 구매 인증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효한 구매 인증 정보를 갖는 모바일 티켓에 대해서만 사용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구매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회원이 소지한 실물티켓이 양도되었으므로 더 이상 실물티켓은 사용될 수 없음을 제1회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제2회원으로부터 입금받은 판매 대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제2회원의 모바일 티켓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산부(2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를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의 은행 계좌로 입금 처리해 줄 수도 있으며, 판매 대금에 해당하는 포인트로 적립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제1회원의 신용카드 결제 금액에서 마이너스 청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 또는 티켓 사용처 서버로부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회원에게 상기 판매대금에 대한 환불 처리를 해 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2회원의 귀책 사유 없이 상기 티켓을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 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회원이 모바일 티켓을 구매해 놓고, 자신의 개인적 사정에 의해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제2회원에게 환불처리를 해 줄 수 없다. 하지만,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실수로 여러 단말기에 상기 모바일 티켓을 발급해 준 경우, 한 명의 회원만이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매 회원에게는 환불 처리를 해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 또는 티켓 사용처 서버로부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정산부(230)는 상기 제1회원에게 판매 대금을 정산해 주지 않게 된다. 이는 제1회원과 제2회원 간의 거래 안전을 위함이다.
다만, 제2회원의 귀책사유로 인해 상기 모바일 티켓이 사용되지 못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1회원에게 판매 대금을 정산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제1회원에 대한 정보 및 제2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이 기 설정한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티켓에 관한 인증 요청을 상기 실물 티켓 발급 서버에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모바일 티켓이 위조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구매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구매 인증 정보란 정상적으로 모바일 티켓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졌음을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매 인증 정보의 일례로 일련 번호나 문자, 바코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티켓은 온라인 상으로 쉽게 타인에게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실물티켓에 대응하는 여러 개의 모바일 티켓이 존재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정상 결제가 이루어진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구매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제2회원이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절차는 모바일 티켓 사용처에서 행해질 수도 있고,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매 인증 정보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모바일 티켓과는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부(210), 상기 전송부(220), 상기 정산부(230), 상기 데이터베이스(240), 상기 인증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기 설정한 경우,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와 상기 제2회원의 관심 분야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실물티켓의 사용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물티켓이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되어 제2회원에게 판매가 된 경우, 제1회원이 실물티켓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자기가 사용하는 것은 부적법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티켓은 출력된 인쇄물이 아니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모바일 티켓이 이중으로 양도된 경우, 하나의 특정 모바일 티켓만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원이 소지하고 있던 영화표를 모바일 영화 티켓으로 변환하여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판매 등록을 해 두었는데, 이를 확인한 A 회원과 B회원이 모두 상기 모바일 영화 티켓을 구입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아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A회원 및 B회원 중 구매 시간에 따라, 먼저 구매한 A회원의 모바일 영화 티켓만을 활성화시키고, B회원의 모바일 영화 티켓은 사용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의 각 구성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모바일 티켓의 판매를 중개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티켓 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상기 제1회원이 자신이 소지한 실물티켓 자체를 제2회원과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만나거나 우편 등으로 배송해 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실물티켓을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하는 경우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게 거래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회원 및 제2회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회원이 오페라 공연 티켓을 미리 구입하여 소지하고 있었는데, 오페라 공연 당일에 출장이 생겨서 오페라 공연을 관람하지 못하게 됐다고 가정하자. 상기 제1회원은 오페라 공연 전날 출장 사실을 알게 되어, 급하게 오페라 공연 티켓을 타인에게 양도하고자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원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오페라 공연 티켓을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원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오페라 공연 모바일 티켓 정보를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 전송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오페라 공연 티켓 이미지 등과 함께 오페라 공연 일시, 오페라 공연장 위치, 좌석 정보, 판매 가격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가격은 상기 실물티켓의 가격보다 저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페라 공연 티켓을 제1회원이 15만 원에 구입했더라도, 상기 오페라 공연 모바일 티켓의 가격은 10만 원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1회원이 급하게 매도를 원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원은 좌석이나 시간을 임의대로 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회원은 저렴하게 티켓을 구입함으로써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원도 환불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보다는 높은 가격으로 모바일 티켓의 판매 가격을 책정할 수 있어 경제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은 상기 실물티켓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도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바코드의 일례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가 있다. 상기 바코드에는 티켓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2차원 바코드란 조그만 사각형 안 가로와 세로 (x, y) 양방향으로 점자, 또는 모자이크식 코드로 표현한 평면 바코드를 의미한다. 2차원 바코드는 기존 1차원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고밀도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또한, 2차원 바코드는 어느 방향으로 스캐너를 들이대도 인식되고, 정보가 훼손되어도 상당 부분 복구가 가능하며, 데이터베이스 없이도 그 자체로 해당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2차원 바코드에는 문자, 숫자 등 텍스트는 물론, 그래픽, 사진, 음성, 지문, 서명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바코드를 읽기만 하면 그 내용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특히, 2차원 바코드는 암호화가 가능해 멤버십 카드 등 각종 인증 시스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액정에 전달되어 티켓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회원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실물티켓의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모바일 티켓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상기 제1회원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오페라 공연 모바일 티켓의 판매를 등록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오페라 공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주는 것이다.
이 경우, 푸쉬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티켓 정보가 수신되는 즉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기 티켓은 공연일시가 정해진 공연 티켓이거나 사용 기간이 정해진 상품권, 쿠폰 등일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거래가 중개 되어야 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올해 크리스마스에 사용 가능한 상품권인 경우, 크리스마스가 지나기 전에 판매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12월 23일에 제1회원이 상기 상품권에 대한 판매를 등록하더라도 등록 즉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티켓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주어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기 설정해 둔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관심 분야와 관련된 모바일 티켓 정보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스포츠 경기로 설정해 놓은 경우,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티켓이 야구 경기 관람권인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야구 경기 관람권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원은 자신이 관심을 갖는 분야의 티켓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할 수 있다[S330].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구매 인증 정보를 함께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회원이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모바일 티켓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를 통하지 않고 임의로 타인에게 양도하여 상기 제2회원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구매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쳐 유효하게 상기 모바일 티켓을 구입한 상기 제2회원에게만 상기 모바일 티켓의 사용권한을 인정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100)로 구매 완료 메시지를 전송해 줄 수 있다[S340]. 이는 제2회원이 티켓 구매를 완료하였으므로, 더 이상 실물티켓은 이용할 수 없음을 제1회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대한 제2회원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1회원이 소지하고 있는 실물티켓에 대한 사용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에서 직접 실물티켓의 사용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으나,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상기 실물티켓을 발행한 서버에 비활성화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사용이 비활성화된다는 것은 더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며, 상기 모바일 티켓이 이중으로 복수의 제2회원에게 양도되는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하나의 모바일 티켓만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티켓이 공연 티켓인 경우, 동일한 좌석에 두 명 이상이 앉을 수는 없다. 따라서, A회원, B회원, C회원이 동일한 모바일 티켓을 구매하였더라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하나의 모바일 티켓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모바일 티켓은 비활성화시켜 공연 당일 상황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A 회원의 구매 시점이 가장 빠른 경우, A회원의 모바일 티켓만을 활성화시키고, B 회원, C회원의 모바일 티켓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50]. 이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1회원에게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정산 처리해 줄 수 있다[S360].
만일, 상기 모바일 티켓이 상기 제2회원의 귀책 사유 없이 불사용 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2회원에게 상기 판매 대금을 환불 처리해 줄 수 있게 된다[S370].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티켓의 이중 양도 또는 상기 제1회원의 실물티켓 사용 등으로 인해 상기 제2회원이 상기 모바일 티켓을 사용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회원은 자신이 입금한 금액을 그대로 반환받을 수 있으므로 거래 안전이 도모된다.
한편, 위에서는 상기 제1회원이 기 발급받은 티켓이 실물티켓인 경우에 대한 일실시예를 살펴보았으나, 실물티켓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회원이 기 발급받은 티켓이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예매권인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원은 온라인 티켓 또는 모바일 티켓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를 통해서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원이 기 발급받은 티켓이 예매권인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가 예매권을 모바일 티켓으로 변환하여 제2회원에게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2회원이 구매를 완료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200)는 상기 제1회원이 소지하고 있는 온라인 티켓, 모바일 티켓, 예매권의 사용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
200: 티켓 거래 중개 서버
300: 제2회원의 단말기
210: 수신부
220: 전송부
230: 정산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제어부

Claims (16)

  1.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에 대응하는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티켓은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기 설정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와 상기 제2회원의 관심 분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와 상기 제2회원의 관심 분야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푸쉬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티켓 등록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제2회원의 귀책 사유 없이 상기 모바일 티켓이 불사용 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2회원에게 환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티켓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사용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모바일 티켓이 이중 양도된 경우,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하나의 특정 모바일 티켓만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티켓 거래 중개 서버가 구매 인증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방법.
  9.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에 근거하여 생성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티켓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수신부가 상기 모바일 티켓에 관한 정상 사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1회원에게 정산 처리하는 정산부;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신부, 상기 전송부, 상기 정산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티켓은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 구입된 실물 티켓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원이 관심 분야를 기 설정한 경우, 상기 제1회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티켓 정보와 상기 제2회원의 관심 분야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와 상기 제2회원의 관심 분야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가 상기 모바일 티켓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푸쉬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티켓 등록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부는
    상기 제2회원의 귀책 사유 없이 상기 모바일 티켓이 불사용 된 경우, 상기 모바일 티켓의 판매 대금을 상기 제2회원에게 환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티켓은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모바일 티켓의 구매가 완료된 경우, 사용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티켓이 이중 양도된 경우, 하나의 특정 모바일 티켓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구매 인증 정보를 상기 제2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거래 중개 서버.
KR1020110005842A 2011-01-20 2011-01-20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KR10119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42A KR101198884B1 (ko) 2011-01-20 2011-01-20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42A KR101198884B1 (ko) 2011-01-20 2011-01-20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36A true KR20120087336A (ko) 2012-08-07
KR101198884B1 KR101198884B1 (ko) 2012-11-07

Family

ID=4687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42A KR101198884B1 (ko) 2011-01-20 2011-01-20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09A (ko) * 2014-06-13 2015-12-24 김건무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40892B1 (ko) * 2018-12-03 2019-11-06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67082A (ko) * 2019-10-29 2020-06-11 주식회사 티킷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40918A (ko) * 2020-05-14 2021-11-23 서다혜 선택적 양도가 가능한 모바일 티켓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6395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카카오 액세스 카드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881B1 (ko) 2021-12-01 2023-09-06 한지승 고객과 매칭되는 문화예술 관람 티켓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048B2 (ja) * 2003-09-26 2011-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管理・流通システム及び電子チケット流通サー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09A (ko) * 2014-06-13 2015-12-24 김건무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40892B1 (ko) * 2018-12-03 2019-11-06 주식회사 알제이코리아엔터테인먼트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116887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티킷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67082A (ko) * 2019-10-29 2020-06-11 주식회사 티킷 다단계식 유가증권 관리 방법, 관리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40918A (ko) * 2020-05-14 2021-11-23 서다혜 선택적 양도가 가능한 모바일 티켓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6395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카카오 액세스 카드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884B1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631B2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US2003022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purchasing and redemption
KR101198884B1 (ko)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US20130041776A1 (en) Cash pay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4115172A (zh) 网络可访问销售点设备实例
CN110084580A (zh) 移动电话支付处理方法和系统
JP2011186660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決済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00072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23013A (ja) 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二次元バーコードおよび電子クーポン発行管理方法
CN101194280A (zh) 利用卡结算终端的结算系统
JP2009053837A (ja) レジシステムおよび会員登録サーバ
JP2013020599A (ja) 電子チケットの販売、利用及び入場管理の方法
US1123848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best price guarantee
JP2021196844A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US2015014931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er With Information At A Point Of Sale (POS)
US20190057368A1 (en) Electronically warehousing items of stored value
WO2023286773A1 (ja) 印刷によって製造される商品の製造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3129285A (ja) 特典付与システム、特典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164628A (zh) 拒绝对信息宣传重复奖励的方法及其用于监视购买方关系的系统
KR20090053876A (ko) 통신망(인터넷, 와이브로, 등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망)에서, 일회성 식별 번호 또는 신용카드를 도구로 하여, 사용 가능한 모든 할인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구조와 그 방법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CN104205145A (zh) 用于促销项目分发和兑现跟踪的系统和方法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2074443B1 (ko) 주거래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JP2009098768A (ja) 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