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98B1 -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98B1
KR102040498B1 KR1020190013578A KR20190013578A KR102040498B1 KR 102040498 B1 KR102040498 B1 KR 102040498B1 KR 1020190013578 A KR1020190013578 A KR 1020190013578A KR 20190013578 A KR20190013578 A KR 20190013578A KR 102040498 B1 KR102040498 B1 KR 10204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ity
bus bar
busbar
bird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1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되어 전력을 분배하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상호 접속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형성되고, 모선고정볼트(53)가 삽입되며, 모선웰드너트(51)의 중심과 모선체결공(52)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는 모선결속구멍(44);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자선웰드너트(61)의 중심과 자선체결공(62)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며, 자선고정볼트(63)가 삽입되고, 모선결속구멍(44)과 엇갈리게 교차하는 자선결속구멍(42)을 포함하고, 모선새들(50)의 양단이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자선새들(60)의 양단이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Switchboard Busbars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되어 전력을 분배하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상호 접속하는데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에 시공되는 배전반에는 주차단기와 다수의 보조차단기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옥내의 각 개소로 배분하여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간에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전반에 구비된 주차단기와 다수의 보조차단기들은 부스바(bus-bar)에 의해 크로스 형태로 접속되어 있으며, 통상 3상전원인 경우 4개의 모선부스바에 다수의 자선부스바를 십자형태로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고, 각각의 자선부스바에는 보조차단기가 접속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부스바 접속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선부스바(12)의 접속부위에 아래쪽을 향해 절곡된 사다리꼴 모양의 절곡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자선부스바(12)에 형성된 절곡부(13)와 모선부스바(10)에는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공(1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모선부스바(10)와 자선부스바(12)를 연결하기 위해 체결공(11)(14)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모선부스바(10)와 자선부스바(12)를 십자모양으로 겹친 상태에서 자선부스바(12)의 상측에서 체결공(11)(14)으로 볼트(16)를 삽입한 후 모선부스바(10)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볼트(16)의 끝에 너트(18)를 체결해서 모선부스바(10)와 자선부스바(12)를 상호 접속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자선부스바(12)에 절곡부(13)를 둔 이유는 자선부스바(12)가 다른 모선부스바(10)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절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자선부스바(12)에 절곡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장비를 이용해서 자선부스바(12)의 접속부위를 일일이 절곡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서 공사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은 볼트(16)를 조이는 동안 너트(18)가 헛돌지 못하도록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너트(18)를 고정해야 되는데, 좁은 공간으로 스패너를 넣어서 너트(18)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는 것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은 모선부스바(10)와 자선부스바(12)에 체결공(11)(14)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부스바(10)와 자선부스바(12)의 강성이 크게 떨어져 쉽게 휘거나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07102호(공고일 2006.08.0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08891호(공고일 2006.08.0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39742호(공고일 2013.03.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는,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모선부스바; 모선부스바의 상부에서 엇갈리게 교차하고, 상면은 볼록하고 저면은 오목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자선부스바; 모선부스바의 오목한 상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하향돌출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자선부스바의 오목한 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상향돌출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통전블록; 모선부스바의 볼록한 저면에 밀착되는 모선새들; 모선새들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모선웰드너트; 모선새들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모선체결공; 모선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모선웰드너트에 결합되는 모선고정볼트; 자선부스바의 볼록한 상면에 밀착되는 자선새들; 자선새들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자선웰드너트; 자선새들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자선체결공; 자선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자선웰드너트에 결합되는 자선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있어서,
자선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의 전후면에 형성되고, 모선고정볼트가 삽입되며, 모선웰드너트의 중심과 모선체결공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는 모선결속구멍; 모선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자선웰드너트의 중심과 자선체결공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며, 자선고정볼트가 삽입되고, 모선결속구멍과 엇갈리게 교차하는 자선결속구멍을 포함하고,
모선새들의 양단이 통전블록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자선새들의 양단이 통전블록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모선새들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모선보강리브; 자선새들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자선보강리브를 포함하고,
모선부스바의 외주면 중앙에서 모선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모선위치결정홈; 모선새들의 내주면 중앙에서 모선위치결정홈을 향해 돌출되는 모선반원비드; 자선부스바의 외주면 중앙에서 자선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선위치결정홈; 자선새들의 내주면 중앙에서 자선위치결정홈을 향해 돌출되는 자선반원비드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의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휨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전블록(40)에 형성된 반달형 하향돌출부(41)를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선부스바(30)의 위치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전블록(40)에 형성된 반달형 상향돌출부(43)를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부스바(20)의 간격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선새들(50)을 모선부스바(20)에 밀착시킬 때 모선반원비드(55)가 모선위치결정홈(21)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새들(50)이 모선부스바(20)의 둘레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선체결공(52)과 모선웰드너트(51)의 중심을 모선결속구멍(44)에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선새들(60)을 자선부스바(30)에 밀착시킬 때 자선반원비드(65)가 자선위치결정홈(31)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자선새들(60)이 자선부스바(30)의 둘레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선체결공(62)과 자선웰드너트(61)의 중심을 자선결속구멍(42)에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부스바 접속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선부스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선부스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모선부스바(20); 모선부스바(20)의 상부에서 엇갈리게 교차하고, 상면은 볼록하고 저면은 오목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자선부스바(30); 모선부스바(20)의 오목한 상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하향돌출부(41)가 하부에 형성되고, 자선부스바(30)의 오목한 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상향돌출부(43)가 상부에 형성되는 통전블록(40)을 포함한다.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플랫바 형태의 동바를 반원형으로 절곡해서 구성하거나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는 동일한 크기와 단면 모양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하 대칭으로 반전시켜서 위치시킨 다음 통전블록(40)을 사이에 두고 십자형으로 엇갈리게 교차시켜서 설치한다.
통전블록(40)은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한 도체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동을 단조해서 성형하거나 주조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모선결속구멍(44); 모선부스바(20)의 볼록한 저면에 밀착되고, 양단이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모선새들(50); 모선새들(5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모선결속구멍(44)과 중심이 일치되는 모선웰드너트(51); 모선결속구멍(44)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모선새들(5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모선체결공(52); 모선체결공(52)과 모선결속구멍(44)을 통해 삽입되어 모선웰드너트(51)에 결합되는 모선고정볼트(53)를 포함한다.
모선새들(50)은,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U자형으로 절곡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모선웰드너트(51)를 모선새들(50)에 용접해서 조립시 편리함을 부여하는 동시에 모선웰드너트(51)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선새들(50)의 내주면 내경을 모선부스바(20)의 외주면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성형해서 모선고정볼트(53)에 의해 모선새들(50)의 양단을 좁혀서 모선새들(50)과 모선부스바(20)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모선결속구멍(44)과 엇갈리게 교차하는 자선결속구멍(42); 자선부스바(30)의 볼록한 상면에 밀착되고, 양단이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자선새들(60); 자선새들(6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자선결속구멍(42)과 중심이 일치되는 자선웰드너트(61); 자선결속구멍(42)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자선새들(6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자선체결공(62); 자선체결공(62)과 자선결속구멍(42)을 통해 삽입되어 자선웰드너트(61)에 결합되는 자선고정볼트(63)를 포함한다.
자선새들(60)은,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U자형으로 절곡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자선웰드너트(61)를 자선새들(60)에 용접해서 조립시 편리함을 부여하는 동시에 자선웰드너트(61)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자선새들(60)의 내주면 내경을 자선부스바(30)의 외주면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성형해서 자선고정볼트(63)에 의해 자선새들(60)의 양단을 좁혀서 자선새들(60)과 자선부스바(30)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선새들(50)과 자선새들(60)은 예를 들면 동일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선새들(50)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모선보강리브(54); 모선부스바(20)의 외주면 중앙에서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모선위치결정홈(21); 모선새들(50)의 내주면 중앙에서 모선위치결정홈(21)을 향해 돌출되는 모선반원비드(55)를 포함한다.
모선반원비드(55)가 모선위치결정홈(21)에 끼워졌을 때 모선새들(50)에 설치된 모선웰드너트(51)의 중심과 모선새들(50)에 형성된 모선체결공(52)의 중심이 모선결속구멍(44)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성해서 조립작업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모선반원비드(55)는 모선새들(50)이 모선부스바(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자선새들(60)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자선보강리브(64); 자선부스바(30)의 외주면 중앙에서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선위치결정홈(31); 자선새들(60)의 내주면 중앙에서 자선위치결정홈(31)을 향해 돌출되는 자선반원비드(65)를 포함한다.
자선반원비드(65)가 자선위치결정홈(31)에 끼워졌을 때 자선새들(60)에 설치된 자선웰드너트(61)의 중심과 자선새들(60)에 형성된 자선체결공(62)의 중심이 자선결속구멍(42)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성해서 조립작업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선반원비드(65)는 자선새들(60)이 자선부스바(3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부스바(20)의 단부에 접합되는 접합부(72)를 접속단자(70)의 일측 단부에 형성하고, 접속단자(70)와 접합부(72)의 사이에 모선부스바(20)의 단부에 걸리는 반원플랜지(71)를 형성할 수 있다.
모선부스바(20)와 접합부(72)는 예컨대 초음파용접, 브레이징용접, 납땜, 아크용접,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단자(70)와 접합부(72) 및 반원플랜지(71)는 자선부스바(3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블록(40)을 모선부스바(20)의 상부에 올리면, 통전블록(40)에 형성된 반달형 하향돌출부(41)가 모선부스바(20)의 오목한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 모선새들(50)에 형성된 모선반원비드(55)를 모선부스바(20)에 형성된 모선위치결정홈(21)에 끼워서 걸고 모선새들(50)을 모선부스바(20)의 저면에 밀착시키면, 모선새들(50)에 형성된 모선체결공(52)의 중심과 모선새들(50)에 설치된 모선웰드너트(51)의 중심이 모선결속구멍(44)의 중심에 일치된다.
이후 모선고정볼트(53)를 모선체결공(52)과 모선결속구멍(44)으로 삽입한 다음 모선웰드너트(51)에 결합해서 타이트 하게 조이면, 모선새들(50)에 의해 모선부스바(20)가 통전블록(40)에 형성된 반달형 하향돌출부(41)에 밀착된다.
그 다음 자선부스바(30)의 오목한 저면을 통전블록(40)의 반달형 상향돌출부(43)에 밀착시키면,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가 통전블록(40)을 사이에 두고 십자형으로 엇갈리게 교차된다.
이 상태에서 자선새들(60)에 형성된 자선반원비드(65)를 자선부스바(30)에 형성된 자선위치결정홈(31)에 끼워서 걸고 자선새들(60)을 자선부스바(30)의 저면에 밀착시키면, 자선새들(60)에 형성된 자선체결공(62)의 중심과 자선새들(60)에 설치된 자선웰드너트(61)의 중심이 자선결속구멍(42)의 중심에 일치된다.
이후 자선고정볼트(63)를 자선체결공(62)과 자선결속구멍(42)으로 삽입한 다음 자선웰드너트(61)에 결합해서 타이트 하게 조이면, 자선새들(60)에 의해 자선부스바(30)가 통전블록(40)에 형성된 반달형 상향돌출부(43)에 밀착된다.
한편, 모선부스바(20)로 공급되는 전류는 통전블록(40)을 통해 자선부스바(30)로 흐르게 되며, 모선부스바(20)와 자선부스바(30)의 양단에 설치되는 접속단자(70)를 통해 차단기(도시생략)와 접속될 수 있다.
20 : 모선부스바 21 : 모선위치결정홈
30 : 자선부스바 31 : 자선위치결정홈
40 : 통전블록 41 : 반달형 하향돌출부
42 : 자선결속구멍 43 : 반달형 상향돌출부
44 : 모선결속구멍 50 : 모선새들
51 : 모선웰드너트 52 : 모선체결공
53 : 모선고정볼트 54 : 모선보강리브
55 : 모선반원비드 60 : 자선새들
61 : 자선웰드너트 62 : 자선체결공
63 : 자선고정볼트 64 : 자선보강리브
65 : 자선반원비드 70 : 접속단자
71 : 반원플랜지 72 : 접합부

Claims (2)

  1. 상면은 오목하고 저면은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모선부스바(20);
    상기 모선부스바(20)의 상부에서 엇갈리게 교차하고, 상면은 볼록하고 저면은 오목한 반원형 단면을 갖는 자선부스바(30);
    상기 모선부스바(20)의 오목한 상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하향돌출부(41)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자선부스바(30)의 오목한 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반달형 상향돌출부(43)가 상부에 형성되는 통전블록(40);
    상기 모선부스바(20)의 볼록한 저면에 밀착되는 모선새들(50);
    상기 모선새들(5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모선웰드너트(51);
    상기 모선새들(5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모선체결공(52);
    상기 모선체결공(5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모선웰드너트(51)에 결합되는 모선고정볼트(53);
    상기 자선부스바(30)의 볼록한 상면에 밀착되는 자선새들(60);
    상기 자선새들(6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자선웰드너트(61);
    상기 자선새들(6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자선체결공(62);
    상기 자선체결공(6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자선웰드너트(61)에 결합되는 자선고정볼트(63);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선고정볼트(53)가 삽입되며, 상기 모선웰드너트(51)의 중심과 상기 모선체결공(52)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는 모선결속구멍(44);
    상기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선웰드너트(61)의 중심과 상기 자선체결공(62)의 중심에 모두 일치되며, 상기 자선고정볼트(63)가 삽입되고, 상기 모선결속구멍(44)과 엇갈리게 교차하는 자선결속구멍(42); 을 포함하고,
    상기 모선새들(50)의 양단이 상기 통전블록(4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자선새들(60)의 양단이 상기 통전블록(40)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선새들(50)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모선보강리브(54);
    상기 자선새들(60)의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자선보강리브(64);
    를 포함하고,

    상기 모선부스바(20)의 외주면 중앙에서 상기 모선부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모선위치결정홈(21);
    상기 모선새들(50)의 내주면 중앙에서 상기 모선위치결정홈(21)을 향해 돌출되는 모선반원비드(55);
    상기 자선부스바(30)의 외주면 중앙에서 상기 자선부스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선위치결정홈(31);
    상기 자선새들(60)의 내주면 중앙에서 상기 자선위치결정홈(31)을 향해 돌출되는 자선반원비드(6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1020190013578A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10204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78A KR102040498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78A KR102040498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498B1 true KR102040498B1 (ko) 2019-11-05

Family

ID=6857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78A KR102040498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025B1 (ko) *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버스바 접속장치
KR102233549B1 (ko) * 2020-08-06 2021-03-30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전력 분배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33Y1 (ko) * 2004-03-31 2004-07-06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부스바 부싱
KR100607102B1 (ko) 2006-05-10 2006-08-01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고정장치
KR100608891B1 (ko) 2006-05-24 2006-08-08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분,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연결장치
KR20060123870A (ko) * 2005-05-30 2006-12-05 박관우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20070038076A (ko) * 2007-03-20 2007-04-09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KR20080093711A (ko) * 2007-04-18 2008-10-22 고광수 부스바 연결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스바의 연결구조
KR20120023275A (ko) * 2010-09-01 2012-03-13 (주) 이엘텍 분전반의 부스바 구조
KR101239742B1 (ko)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1896426B1 (ko) * 2018-03-30 2018-09-07 (주)케이아이씨 건축물 배전반용 부스바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33Y1 (ko) * 2004-03-31 2004-07-06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부스바 부싱
KR20060123870A (ko) * 2005-05-30 2006-12-05 박관우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0607102B1 (ko) 2006-05-10 2006-08-01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고정장치
KR100608891B1 (ko) 2006-05-24 2006-08-08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분,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연결장치
KR20070038076A (ko) * 2007-03-20 2007-04-09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KR20080093711A (ko) * 2007-04-18 2008-10-22 고광수 부스바 연결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스바의 연결구조
KR20120023275A (ko) * 2010-09-01 2012-03-13 (주) 이엘텍 분전반의 부스바 구조
KR101239742B1 (ko)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1896426B1 (ko) * 2018-03-30 2018-09-07 (주)케이아이씨 건축물 배전반용 부스바 결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025B1 (ko) *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버스바 접속장치
KR102233549B1 (ko) * 2020-08-06 2021-03-30 주식회사 건일 배전용 전력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96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JP3212318U (ja) 接続部材、接続アセンブリ、バッテリモジュール支持アセンブリ、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102040498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US6616465B1 (en) Bus bar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US4181396A (en) Aluminum-copper electrical joint
JP4428406B2 (ja) Uターンバスバー
JP3225871U (ja) 引出端子
US4288656A (en) Bolted/welded joint for switchboard run-in connector
JPH08250165A (ja) アース構造
JP3400876B2 (ja)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S6023893Y2 (ja) ブスバ−の端末接続装置
US4195198A (en) Busway ground bus joint
JP4392923B2 (ja) バスダクト接続部
JP3628134B2 (ja) バスダクト設置構造
JP4259907B2 (ja) バスダクト分岐構造
JPH0455423Y2 (ko)
JP2003259540A (ja) ジャンパ線接続金具及びジャンパ線接続方法
KR102233549B1 (ko) 배전용 전력 분배장치
JP4088511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JPH076626Y2 (ja) 母線接続部
JPH11126637A (ja) 電気接続箱内の分岐接続構造
JPS6013188Y2 (ja) 可撓導体
JPH09148183A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
JPH0323788Y2 (ko)
JP2024042935A (ja) 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