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38B1 -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38B1
KR102039938B1 KR1020190081386A KR20190081386A KR102039938B1 KR 102039938 B1 KR102039938 B1 KR 102039938B1 KR 1020190081386 A KR1020190081386 A KR 1020190081386A KR 20190081386 A KR20190081386 A KR 20190081386A KR 102039938 B1 KR102039938 B1 KR 10203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leaning
unit
circulation pump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수
Original Assignee
(주)제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제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8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2Fluid-propelled scrapers, bullets, or like soli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의 복수기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기의 냉각튜브 세정을 위한 세정볼을 수용하는 볼 수집부; 복수기의 냉각수 배출부와 볼 수집부를 연결하며, 냉각수 배출부로 이송되는 세정볼을 볼 수집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세정볼이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볼 수집부와 순환펌프를 연결하며, 세정볼의 선별과 카운트를 위한 볼선별 카운트부; 복수기의 세정운전과 세정볼의 선별운전 및 세정볼의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볼 수집부와 순환펌프와 볼선별 카운트부와 순환펌프의 볼토출라인에 구비되는 삼방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세정운전과 선별운전 및 카운트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운전 컨트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기의 냉각튜브의 세정작업을 진행할 때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회수운전을 연속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과 및 운전효율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운전을 통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AUTOMATIC OPERATION SYSTEM FOR CONDENSER TUBE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기의 냉각튜브 세정을 복수기의 세정과 세정볼 보충 및 회수를 연속되게 진행하여 세정효과는 물론 운전효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Thermoelectric Power Plant)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킨 열을 이용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고, 이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화력 발전소의 발전설비 순환계통은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압/고온의 증기가 공급배관을 통하여 증기터빈으로 공급되어 증기터빈을 회전시킨 후 연결배관을 통하여 복수기로 배출된다.
복수기에서는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고압/고온의 증기를 해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냉각수로 사용된 해수를 배수로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복수기 내에서 냉각된 증기는 체적이 감소하게 되며 이때 응축되지 않은 증기는 대기로 방출되고, 응축된 응축수는 다시 급수펌프를 통하여 보일러로 재공급된 후 보일러에서 재가열되어 증기터빈으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발전설비에 설치된 복수기(Condenser)는 증기터빈의 구동시 발생되는 폐증기가 유입되어 차가운 냉각수관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상호 열교환을 통하여 증기를 물로 환원시켜 다시 보일러에 공급하므로, 발전설비의 전기출력과 열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비이다.
또한, 복수기는 폐증기와 해수와의 열교환을 위하여 폐증기가 유입되는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는 냉각수관이 터빈의 발전용량에 따라 수백에서 수천개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기는 해수가 흐르는 냉각수관 내벽의 세정을 위하여 세정볼이 내부에 투입되고, 투입된 세정볼이 냉각수관을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세정볼은 적당한 유연성, 탄력성, 내마모성을 가지기 위해 주로 천연 고무 또는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등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세정볼은 냉각수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냉각수의 흐름에 따라 냉각수관을 순환하면서 냉각수관 내벽의 스케일을 제거하며, 스켈링을 하는 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고, 마모가 발생한 세정볼은 특정 주기로 교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복수기의 냉각수관 세정 장치는, 냉각수관의 세정작업, 세정볼의 보충작업, 세정볼의 카운트작업을 각각 개별적으로 각각 끊어서 진행하여야 하므로, 복수의의 세정을 위한 작업효율 및 운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9774호(공개일:2015.05.08)에는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회수장치"가 개시되고, 공개특허 제10-2017-0066016호(공개일:2017.06.14)에는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기의 냉각튜브 의 세정작업을 진행할 때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자동 투입 및 함수운전을 연속되게 진행하여 작업효과 및 운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면서 자동화된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은, 발전 플랜트의 복수기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기의 냉각튜브 세정을 위한 세정볼을 수용하는 볼 수집부와, 상기 복수기의 냉각수 배출부와 상기 볼 수집부를 연결하며, 상기 냉각수 배출부로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을 상기 볼 수집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이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세정볼의 선별과 카운트를 위한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복수기의 세정운전과 상기 세정볼의 선별운전 및 상기 세정볼의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순환펌프의 볼토출라인에 구비되는 삼방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세정운전과 상기 선별운전 및 상기 카운트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운전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은, 상기 세정볼 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볼 수집부에 연결되며,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에서 선별되는 불량볼을 수집하면서 상기 불량볼의 이송을 위한 유체의 흐름을 상기 볼 수집부로 유지시키는 불량볼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은, 보충을 위한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충 세정볼을 상기 함수 장치부로 공급한 후 상기 볼 수집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와 연결되는 볼보충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서 상기 순환펌프로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상기 서지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선별운전시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볼토출라인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이송을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보충 세정볼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볼보충 공급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카운트운전시 상기 냉각튜브를 순환하여 회수되는 상기 세정볼이 상기 서지탱크에 모두 회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서지탱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세정운전과 상기 선별운전 및 상기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순환펌프의 볼토출라인에 구비되는 삼방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카운트운전 후 상기 세정볼의 회수를 위한 세정볼 회수운전을 진행하고, 상기 선별운전과 상기 카운트운전을 다시 진행한 후, 상기 볼보충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보충 세정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보충 공급부는, 상기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공압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상기 보충 세정볼을 이송하는 볼공급부재와,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볼공급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충 세정볼에 물을 함수시켜 상기 볼 수집부로 공급하는 볼함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공급부재는, 내부에 상기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하부에 상기 보충 세정볼이 한 개씩 삽입되어 안착되는 볼안착 배출구가 형성되는 볼저장 탱크와, 상기 볼저장 탱크의 상기 볼안착 배출구에 위치하는 상기 보충 세정볼을 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볼함수부재로 이송하는 볼이송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복수기의 냉각튜브 의 세정작업을 진행할 때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회수운전을 연속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과 및 운전효율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운전을 통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이 적용된 복수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선별 카운트부와 불량볼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보충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선별 카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보충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이 적용된 복수기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선별 카운트부와 불량볼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보충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선별 카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보충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는 세정볼(10)을 이용하여 복수기(20)의 냉각튜브(21) 내벽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기(20)의 냉각수 유입부(23)와 냉각수 배출부(25)를 연결하며, 세정볼(10)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냉각튜브(21)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복수기(20)의 냉각수 배출부(25)에는 세정볼(10)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로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린부재(27)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는 볼 수집부(110)와, 볼선별 카운트부(120)와, 불량볼 수집부(130)와, 볼보충 공급부(140)와, 순환펌프(150)와, 서지탱크(160)와, 운전 컨트롤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는 복수기(20)의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볼보충 공급운전을 연속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볼 수집부(110), 볼선별 카운트부(120), 불량볼 수집부(130), 볼보충 공급부(140), 순환펌프(150) 및 서지탱크(160)가 운전 컨트롤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볼 수집부(110)는 복수기(20)의 냉각수 유입부(23)와 연결되며, 운전 컨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순환펌프(150)에 의해 순환하는 세정볼(10)을 이송 또는 수집하게 된다. 이러한 볼 수집부(110)는 세정볼(10)의 수용을 위한 볼수집탱크(111)와, 볼수집탱크(111)의 세정볼(10)을 냉각수 유입부(23)로 투입하기 위한 볼인입라인(113)을 구비한다. 이때, 볼인입라인(113)은 개폐를 위한 밸브를 구비하며, 운전 컨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볼수집탱크(111)는 볼선별 카운트부(120), 볼량볼 수집부(110), 볼보충 공급부(140) 및 순환펌프(150)와 각각 연결되며, 하단부에 볼인입라인(113)이 형성된다. 또한, 볼수집탱크(111)는 볼선별 카운트부(120), 볼보충 공급부(140) 및 순환펌프(150)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세정볼(10)이 내부로 유입되어 수집 또는 순환하게 되며, 볼량볼 수집부(110)로부터는 세정볼(10)의 공급 없이 유체만이 이송되어 유입된다.
볼선별 카운트부(120)는 볼카운트부재(121)와 불량볼 선별부재(123)를 포함하며, 볼카운트부재(121)와 불량볼 선별부재(123)가 일렬로 배치되어 볼카운트부재(121)를 통과한 세정볼(10)이 불량볼 선별부재(123)로 이송된다. 이러한, 볼선별 카운트부(120)는 운전 컨트롤부(170)에 의해 제어되며, 세정볼(10)의 이송은 순환펌프(150)의 작동에 의해 순환되는 유체의 이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볼카운트부재(121)는 세정볼(10)을 유입하는 유입구가 순환펌프(150)에 연결되고, 세정볼(10)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불량볼 선별부재(123)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볼카운트부재(121)는 세정볼(10)의 영상을 촬영하여 세정볼(10)을 감지하여 카운트하거나,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세정볼(10)을 감지하여 카운트하게 된다.
불량볼 선별부재(123)는 세정볼(10)의 유입구가 볼카운트부재(121)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정상이 세정볼(10)을 볼 수집부(110)로 가이드하고, 마모가 발생하여 특정직경 미만으로 마모된 불량볼을 볼 수집부(110)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불량볼 선별부재(123)는 볼수집탱크(111)와 연결되는 정상볼 배출부와, 불량볼 수집부(130)와 연결되는 볼량볼 배출부를 각각 구비한다.
불량볼 수집부(130)는 불량볼 선별부재(123)의 불량볼 배출부와 연결되는 불량볼 이송라인(131)과, 불량볼이 저장되는 불량볼 수집탱크(133)를 포함하며, 불량볼 수집탱크(133)의 내부에 불량볼을 포집하기 위한 스크린망(133a)이 구비된다. 이러한 불량볼 수집부(130)는 불량볼의 이송을 위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이 볼 수집부(110)까지 유지되도록 불량볼 수집탱크(133)와 볼수집탱크(111)가 연결된다.
이처럼 불량볼 수집부(130)는 불량볼을 이송시키는 유체가 불량볼 수집탱크(133)를 경유하여 볼수집탱크(111)로 순환하면서 볼수집탱크(111)로 유입되는 불량볼이 스크린망(133a)에 걸리면서 불량볼 수집탱크(133)에 포집된다.
순환펌프(150)는, 복수기(20)의 냉각수 배출부(25)를 통해 서지탱크(160)로 유입되는 세정볼(10)을 볼수집탱크(111)와 볼선별 카운트부(120)로 강제 순환시킨다. 이러한 순환펌프(150)는 볼흡입라인(151)이 서지탱크(160)와 연결되고, 볼토출라인(153)이 볼수집탱크(111) 및 볼카운트부재(121)에 연결된다.
또한, 순환펌프(150)는 볼토출라인(153)이 분기되어 볼수집탱크(111) 및 볼카운트부재(121)에 연결되며, 볼토출라인(153)에서 토출되는 세정볼(10)을 볼수집탱크(111) 또는 볼카운트부재(121)에 선택적으로 이송하도록 삼방밸브(155)를 구비한다. 삼방밸브(155)는 볼토출라인(153)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순환펌프(150)는 운전 컨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삼방밸브(155)가 개폐되면서 세정볼(10)의 이송방향이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의 세정운전 및 회수운전시 세정볼(10)이 볼수집탱크(111)로 이송되도록 삼방밸브(155)가 제어되고, 선별운전 및 카운트운전시 세정볼(10)이 볼카운트부재(121)로 이송되도록 삼방밸브(155)가 제어된다.
서지탱크(160)는 순환펌프(150)의 볼흡입라인(151)과 복수기(20)의 냉각수 배출부(25)를 연결하며, 운전 컨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냉각수 배출부(25)에서 순환펌프(150)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을 선택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볼보충 공급부(140)는, 세정볼(10)의 선별운전을 통해 불량볼이 선별되면 불량볼이 선별되 수량만큼 새로운 세정볼(10)을 볼 수집부(11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볼보충 공급부(140)는 보충을 위한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운전 컨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보충을 위한 세정볼(10)을 볼수집탱크(111)로 공급하도록 볼수집탱크(111)와 연결된다.
또한, 볼보충 공급부(140)는, 볼공급부재(141)와 볼함수부재(143)로 이루어지며, 보충을 위한 세정볼(10)을 함수시켜 볼수집탱크(111)로 공급하게 된다.
볼공급부재(141)는, 내부에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공압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보충 세정볼을 볼함수부재(143)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하여 볼공급부재(141)는, 보충 세정볼(10)을 한 개씩 배출하기 위한 볼저장 탱크(141a)와, 개별적으로 배출되는 보출 세정볼(10)을 볼함수부재(143)로 이송하는 볼이송 액추에이터(141b)를 포함한다.
볼저장 탱크(141a)는 내부에 저장되는 보충 세정볼(1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한 개씩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볼안착 배출구(141c)를 구비하며, 볼안착 배출구(141c)가 볼함수부재(143)와 연결된다. 또한 볼저장 탱크(141a)는 볼안착 배출구(141c)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보충 세정볼(10)이 볼안착 배출구(141c)에 한 개씩 삽입된다.
그리고 볼안착 배출구(141c)에 삽입되는 보충 세정볼은 볼이송 액추에이터(141b)에서 발생하는 공압을 통해 볼함수부재(143)로 이송된다. 볼이송 액추에이터(141b)는 볼안착 배출구(141c)와 연결되며, 볼안착 배출구(141c)의 내부로 공압을 발생하여 볼안착 배출구(141c)에 위치하는 보충 세정볼을 이송시킨다.
볼함수부재(143)는 볼공급부재(141)에서 이송되는 보충 세정볼을 물에 함수시켜 볼수집탱크(111)로 공급한다. 이러한 볼함수부재(143)는 볼수집탱크(111)의 상단에 구비되어 볼 수집부(110)와 볼공급부재(141)를 연결하며, 보충 세정볼의 함수를 위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물속에서 보충 세정볼을 압축 및 이완시키면서 함수시킨다. 그리고 볼함수부재(143)에서 함수가 완료된 보충 세정볼은 자중에 의해 볼수집 탱크(111)로 낙하하게 된다.
운전 컨트롤부(170)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의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볼보충 공급운전 및 회수운전을 위하여 볼 수집부(110)와 볼선별 카운트부(120)와 불량볼 수집부(130)와 볼보충 공급부(140)와 순환펌프(150)와 서지탱크(160)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운전 컨트롤부(170)는, 복수기(20)의 세정운전시에 삼방밸브(155)를 제어하여 순환펌프(150)에 의한 유체이송을 볼수집탱크(111)로 유도하며, 복수기(20)의 선별운전시 삼방밸브(155)를 제어하여 순환펌프(150)의 볼토출라인(153)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이송을 볼카운트부재(121)로 유도하게 된다. 이때, 선별을 위해 볼선별 카운트부(120)로 이송되는 세정볼(10)은 볼카운트부재(121)에서 카운팅되면서 불량볼 선별부재(123)로 이송된다.
또한 운전 컨트롤부(170)는, 볼보충 공급운전시 순환펌프(15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보충 세정볼의 공급을 위하여 볼보충 공급부(14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세정을 위한 세정볼(10)의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세정효과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운전 컨트롤부(170)는, 선별운전이 완료되면 선별을 통해 불량볼 수집부(130)로 배출된 불량볼의 수량만큼 보충 세정볼을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를 제어하여 별도의 카운트운전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카운트운전은 냉각튜브(21)를 순환하는 세정볼(10)을 서지탱크(160)에서 모두 회수하여 저장한 후,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 컨트롤부(170)는, 세정운전과 선별운전 및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볼 수집부(110)와 순환펌프(150)와 볼선별 카운트부(12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카운트운전 후 세정볼의 회수를 위한 세정볼 회수운전을 진행하고, 선별운전과 카운트운전을 다시 진행한 후, 볼보충 공급부(140)를 제어하여 보충 세정볼을 볼 수집부(11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100)는 복수기의 냉각튜브(21)의 세정작업을 진행할 때 세정운전, 선별운전, 카운트운전, 회수운전을 연속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과 및 운전효율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10 : 세정볼
20 : 복수기 21 : 냉각튜브
110 : 볼 수집부 111 : 볼수집탱크
113 : 볼인입라인 120 : 볼선별 카운트부
121 : 볼카운트부재 123 : 볼량볼 선별부재
130 : 볼량볼 이송라인 133 : 불량볼 수집탱크
140 : 볼보충 공급부 141 : 볼공급부제
143 : 볼함수부재 150 : 순환펌프
160 : 서지탱크 170 : 운전 컨트롤부

Claims (7)

  1. 발전 플랜트의 복수기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기의 냉각튜브 세정을 위한 세정볼을 수용하는 볼 수집부; 상기 복수기의 냉각수 배출부와 상기 볼 수집부를 연결하며, 상기 냉각수 배출부로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을 상기 볼 수집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이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세정볼의 선별과 카운트를 위한 볼선별 카운트부; 상기 복수기의 세정운전과 상기 세정볼의 선별운전 및 상기 세정볼의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순환펌프의 볼토출라인에 구비되는 삼방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세정운전과 상기 선별운전 및 상기 카운트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운전 컨트롤부; 및 보충을 위한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충 세정볼을 상기 볼 수집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와 연결되는 볼보충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보충 세정볼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볼보충 공급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세정운전과 상기 선별운전 및 상기 카운트운전을 위하여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순환펌프의 볼토출라인에 구비되는 삼방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카운트운전 후 상기 세정볼의 회수를 위한 세정볼 회수운전을 진행하고, 상기 선별운전과 상기 카운트운전을 다시 진행한 후, 상기 볼보충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보충 세정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와 상기 볼 수집부에 연결되며,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에서 선별되는 불량볼을 수집하면서 상기 불량볼의 이송을 위한 유체의 흐름을 상기 볼 수집부로 유지시키는 불량볼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선별운전시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볼토출라인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이송을 상기 볼선별 카운트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서 상기 순환펌프로 이송되는 상기 세정볼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서지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전 컨트롤부는, 상기 카운트운전시 상기 냉각튜브를 순환하여 회수되는 상기 세정볼이 상기 서지탱크에 모두 회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서지탱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보충 공급부는, 상기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공압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상기 보충 세정볼을 이송하는 볼공급부재; 및
    상기 볼 수집부와 상기 볼공급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볼 수집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충 세정볼에 물을 함수시켜 상기 볼 수집부로 공급하는 볼함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공급부재는, 내부에 상기 보충 세정볼이 저장되며, 하부에 상기 보충 세정볼이 한 개씩 삽입되어 안착되는 볼안착 배출구가 형성되는 볼저장 탱크; 및
    상기 볼저장 탱크의 상기 볼안착 배출구에 위치하는 상기 보충 세정볼을 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볼함수부재로 이송하는 볼이송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KR1020190081386A 2019-07-05 2019-07-05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KR10203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386A KR102039938B1 (ko) 2019-07-05 2019-07-05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386A KR102039938B1 (ko) 2019-07-05 2019-07-05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38B1 true KR102039938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386A KR102039938B1 (ko) 2019-07-05 2019-07-05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4202A (zh) * 2021-11-11 2022-02-11 深圳市诚至臻科技有限公司 胶球清洗系统及换热器
KR20220088537A (ko) 2020-12-18 2022-06-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정시스템의 볼 순환 배관용 세척부재
KR102416990B1 (ko) 2022-01-24 2022-07-06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순환펌프
CN115823568A (zh) * 2023-02-10 2023-03-21 威海市泓阳检测工程有限公司 一种锅炉外壁清理机器
KR102631828B1 (ko) 2023-06-12 2024-02-01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원통형 볼을 구비하는 순환 방향전환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774A (ko) * 2013-10-31 2015-05-08 조창제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회수장치
KR20170066016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101885912B1 (ko) * 2018-02-12 2018-08-07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 플랜트용 세정볼 함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774A (ko) * 2013-10-31 2015-05-08 조창제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회수장치
KR20170066016A (ko) * 2015-12-04 2017-06-14 (주)제스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마모볼 선별장치
KR101885912B1 (ko) * 2018-02-12 2018-08-07 (주)제스엔지니어링 발전 플랜트용 세정볼 함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537A (ko) 2020-12-18 2022-06-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정시스템의 볼 순환 배관용 세척부재
KR102487485B1 (ko) * 2020-12-18 2023-01-11 한전 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정시스템의 볼 순환 배관용 세척부재
CN114034202A (zh) * 2021-11-11 2022-02-11 深圳市诚至臻科技有限公司 胶球清洗系统及换热器
KR102416990B1 (ko) 2022-01-24 2022-07-06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순환펌프
CN115823568A (zh) * 2023-02-10 2023-03-21 威海市泓阳检测工程有限公司 一种锅炉外壁清理机器
KR102631828B1 (ko) 2023-06-12 2024-02-01 주식회사 일렉트리코 원통형 볼을 구비하는 순환 방향전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38B1 (ko) 복수기 튜브 내 세정볼 운용 자동시스템
CN102297412B (zh) 蒸汽供给系统
CN106592179B (zh) 一种具有蒸汽功能的干衣机及蒸汽控制方法
KR101876129B1 (ko) 필터 자동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자동 세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초임계 유체 발전 시스템
KR101885912B1 (ko) 발전 플랜트용 세정볼 함수장치
KR101811275B1 (ko) 발전 플랜트용 복수기의 세정볼 자동공급장치
KR101109103B1 (ko) 열교환기 세정장치
CN104315919B (zh) 换热器在线清洗装置
KR102040721B1 (ko) 발전 플랜트 복수기용 세정볼 공급장치
KR100878049B1 (ko) 개선된 청소 시스템
CN204227989U (zh) 换热器在线清洗装置
CN110762511A (zh) 一种中压除氧器乏汽热能回收系统
KR100472308B1 (ko) 이젝트를 이용한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CN110762510A (zh) 一种蒸汽余热利用系统
CN216539871U (zh) 一种箍耳清洗装置
KR100607685B1 (ko) 펌프이용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CN113333382A (zh) 一种箍耳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3550102A (zh) 一种袜子定型机及其控制方法
KR102607368B1 (ko) 복수기 세정장치용 스폰지볼 콜렉터
JP2003139490A (ja) 復水器細管洗浄装置に用いられるボール選別投入器
KR100303690B1 (ko) 탄성공을순환시켜튜브를세척하는세척장치
CN206709391U (zh) 一种地下水源热泵式防冻装置
KR101222923B1 (ko)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JP7039781B2 (ja) 給水系統のクリーンアップ装置及び方法
KR102631828B1 (ko) 원통형 볼을 구비하는 순환 방향전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