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923B1 -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923B1
KR101222923B1 KR20110043918A KR20110043918A KR101222923B1 KR 101222923 B1 KR101222923 B1 KR 101222923B1 KR 20110043918 A KR20110043918 A KR 20110043918A KR 20110043918 A KR20110043918 A KR 20110043918A KR 101222923 B1 KR101222923 B1 KR 10122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hot water
col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4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259A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주식회사 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주식회사 아산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11004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의 생성 시 폐수의 열을 회수하여 용수를 예열함으로써 온수 생성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이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순차적 냉매 순환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히트펌프;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경유하는 제1순환배관을 갖는 저수조; 상기 히트펌프의 응축기를 경유하는 제2순환배관을 갖는 온수탱크; 폐수유통관 및 이에 연결된 제1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열회수유닛;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고, 용수(用水)공급관을 갖는 급수펌프; 상기 용수공급관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 상기 용수공급관과 상기 온수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를 경유하는 온수생성관; 및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는 온수배출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히트펌프와 폐열회수유닛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히트펌프의 열교환 효율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열회수유닛의 청소 및 보수 시에도 히트펌프를 가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SUPPLY SYSTEM FOR COLD AND HOT WATER US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의 생성 시 폐수의 열을 회수하여 용수를 예열함으로써 온수 생성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이 관한 것이다.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21320호(2004년 02월 23일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폐열회수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및 액분리기를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에는 폐열공급원에 연결된 폐열수공급관과 폐열수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각각에는 물을 공급하는 배관과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배관이 연결된 폐열식 히트펌프시스템에 있어서,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밸브, 상기 실외기, 상기 액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고,
냉방 운전시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상기 팽창밸브, 상기 증발기, 상기 액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열회수 운전시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밸브, 상기 증발기, 상기 액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도록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증발기,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액분리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가 난방, 냉방, 열회수 운전시에 따른 각각의 순환사이클에 따라 순환하도록 상기 냉매관에 관설된 다수 개의 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여 비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열회수 운전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증발기의 관로에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이 극히 저하되거나 증발기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증발기와 상기 폐열수공급관 및 폐열수배출관의 청소 및 보수 시 히트펌프의 운전을 중단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히트펌프의 각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냉매관 및 이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 제어를 통하여 상기 냉매관을 개폐함에 따라 난방, 냉방 및 열회수를 위한 각 운전모드에 맞추어 냉매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난방 운전 시 응축기에서 팽창밸브까지의 냉매 경로와, 냉방 운전 시 열교환기에서 팽창밸브까지의 냉매 경로가 겹치게 됨으로써 난방 및 냉방 운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냉수 및 온수를 함께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순차적 냉매 순환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히트펌프;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경유하는 제1순환배관을 갖는 저수조;
상기 히트펌프의 응축기를 경유하는 제2순환배관을 갖는 온수탱크;
폐수유통관 및 이에 연결된 제1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열회수유닛;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고, 용수(用水)공급관을 갖는 급수펌프;
상기 용수공급관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
상기 용수공급관과 상기 온수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를 경유하는 온수생성관; 및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는 온수배출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상기 제1순환배관에 분기 연결되는 제3순환배관,
상기 제3순환배관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1 및 제3 순환배관에 개재(介在)되는 제1밸브,
상기 용수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를 경유하는 냉수생성관,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관 및 상기 냉수생성관에 개재되는 제2밸브,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용수가 고온수(高溫水)일 경우,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3순환배관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냉수생성관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열회수유닛은 서브유통관, 그리고 이에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 및 제3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냉수생성관은 상기 제3 및 제2 열교환기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용수가 저온수(低溫水)일 경우,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3순환배관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냉수생성관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며,
상기 제3밸브는 상기 서브유통관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유통관은 상기 폐수유통관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에 분기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유닛은 상기 폐수유통관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 및 상기 폐수유통관의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중계유통관, 그리고 상기 중계유통관에 연결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4밸브는 상기 제1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히트펌프와 폐열회수유닛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히트펌프의 열교환 효율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열회수유닛의 청소 및 보수 시에도 히트펌프를 가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조에 저장된 용수의 온도에 따라 용수 및 폐수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냉수 및 온수를 더욱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의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의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크게 히트펌프(10), 저수조(20), 온수탱크(30), 폐열회수유닛(40), 급수펌프(50), 냉수배출관(60), 온수생성관(70) 및 온수배출관(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히트펌프(10)는
압축기(11), 응축기(12), 팽창밸브(13) 및 증발기(14)가 냉매관로(15)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냉매가 상기 압축기(11), 응축기(12), 팽창밸브(13) 및 증발기(14)를 순차적 순환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저수조(20)는
용수(用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를 경유하는 제1순환배관(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순환배관(21)을 따라 순환하게 되는 용수는 상기 증발기(14) 내의 저온저압 냉매액과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상기 온수탱크(30)는
상기 폐열회수유닛(40)에 의해 생성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히트펌프(10)의 응축기(12)를 경유하는 제2순환배관(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순환배관을 따라 순환하게 되는 온수는 상기 응축기(12) 내의 고온고압 냉매가스와 열교환되어 더욱 가열된다.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은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수유통관(41), 그리고
상기 폐수유통관(41)에 연결된 제1열교환기(E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폐수유통관(41)은 상기 제1열교환기(E1)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41a)과, 상기 제1열교환기(E1)를 통과한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4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폐수는 공중목욕탕 등에서 사용 후 방류된 물로써 통상 30℃이상의 온수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급라인(41a)에는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4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펌프(50)는
상기 저수조(20)에 연결되어 상기 냉수배출관(60) 및 상기 온수생성관(70)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냉수배출관(60) 및 상기 온수생성관(70)에 연결되는 용수공급관(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수배출관(60)은
상기 급수펌프(50)의 용수공급관(51)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온수생성관(70)은
상기 급수펌프(50)의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온수탱크(30)를 연결하되,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의 제1열교환기(E1)를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관(51)을 통해 상기 온수생성관(70)으로 유입된 용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E1) 내의 폐수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상기 온수탱크(30)로 공급된다.
상기 온수배출관(80)은
상기 온수탱크(70)에 연결되어, 이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냉온수 공급시스템에 의한 냉수 및 온수의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온수의 공급 시,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온수생성관(70)을 거치면서 상기 제1열교환기(E1)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온수탱크(30)에 저장되고, 이에 저장된 온수는 상기 히트펌프(10)의 응축기(12)에 의해 더욱 가열된 후 상기 온수배출관(80)으로 배출되며,
냉수의 공급 시,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냉각된 후 상기 용수공급관(51)을 거쳐 상기 냉수배출관(6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탱크(30)에 저장된 온수를 더욱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온수탱크(30)에는 보일러(B)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냉온수 공급시스템에 의하면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히트펌프(10)와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히트펌프(10)의 열교환 효율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열회수유닛(40)의 청소 및 보수 시에도 히트펌프(10)를 가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15℃ 내지 25℃ 정도의 상온수(常溫水)일 경우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25℃이상의 고온수(高溫水) 또는 15℃이하의 저온수(低溫水)일 경우에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공급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고온수일 경우 냉수 및 온수의 각 공급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상기 제1순환배관(21)에 분기 연결되는 제3순환배관(22),
상기 제3순환배관(22)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E2),
상기 제1 및 제3 순환배관(21, 22)에 개재(介在)되는 제1밸브(V1),
상기 용수공급관(51)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배출관(6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E2)를 경유하는 냉수생성관(90),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관(60) 및 상기 냉수생성관(90)에 개재되는 제2밸브(V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저수조(20)에 제1온도센서(T1)를 설치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T1)와 상기 제1 및 제2 밸브(V1, V2)를 연결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온도센서(T1)에 의해 측정된 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밸브(V1, V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V1, V2)는 삼방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고온수일 경우,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1 및 제3 순환배관(21, 22) 측의 경로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에 의해 냉각된 용수가 상기 제3순환배관(22)을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E2)로 공급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냉수배출관(60)의 일측을 차단하고, 상기 냉수생성관(90) 측의 경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냉수생성관(90)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E2)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제3순환배관(22)을 통해 상기 제2열교환기(E1)로 공급된 저온의 용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상기 냉수배출관(6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고온수는
온수의 공급 시, 상온수와 같은 경로를 따라 배출되며,
냉수의 공급 시, 상기 용수공급관(51)을 지나 상기 냉수생성관(90)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E2)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냉수배출관(6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저온수일 경우 냉수 및 온수의 각 공급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공급시스템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이 서브유통관(43), 그리고 이에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E3) 및 제3밸브(V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수생성관(90)이 상기 제3 및 제2 열교환기(E3, E2)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저온수일 경우,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1 및 제3 순환배관(21, 22) 측의 경로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에 의해 냉각된 용수가 상기 제3순환배관(22)을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E2)로 공급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냉수배출관(60)의 일측을 차단하고, 상기 냉수생성관(90) 측의 경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냉수생성관(90)으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제3 및 제2 열교환기(E3, E2)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냉수배출관(6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서브유통관(43) 측의 경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3열교환기(E3)로 폐수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저온수는
온수의 공급 시, 상온수 및 고온수와 같은 경로를 따라 배출되며,
냉수의 공급 시, 상기 용수공급관(51)을 지나 상기 냉수생성관(90)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3열교환기(E3)에 의해 가열된 후 다시 상기 제2열교환기(E2)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냉수배출관(6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3순환배관(22)으로 유입된 저온의 용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E2)를 통과함에 따라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온수는 다시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로 공급되어 냉매의 증발을 위한 열(熱)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저온수일 경우, 상기 증발기(14)의 냉매 증발을 위한 열원으로 상기 제3열교환기(E3)를 통하여 폐수에서 회수한 열이 이용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서브유통관(43)은 상기 폐수유통관(41)의 배출라인(41b)에 분기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은 상기 폐수유통관(41)의 공급라인(41a) 및 상기 배출라인(41b)을 연결하는 중계유통관(44), 그리고 상기 중계유통관(44)에 연결되는 제4밸브(V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상기 제4밸브(V4)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3 열교환기(E1, E3)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결국 상기 제3열교환기(E3)로 유입되는 폐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순환배관(21)에 상기 제4밸브(V4)와 연결되는 제2온도센서(T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증발기(14)로 유입되는 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3열교환기(E3)로 유입되는 폐수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히트펌프
11 ; 압축기 12 ; 응축기
13 ; 팽창밸브 14 ; 증발기
20 ; 저수조
21 ; 제1순환배관 22 ; 제3순환배관
30 ; 온수탱크
31 ; 제2순환배관
40 ; 폐열회수유닛
41 ; 폐수유통관
41a ; 공급라인 41b ; 배출라인
42 ; 필터
43 ; 서브유통관
44 ; 중계유통관
50 ; 급수펌프
51 ; 용수공급관
60 ; 냉수배출관
70 ; 온수생성관
80 ; 온수배출관
90 ; 냉수생성관
E1~E3 ; 제1 내지 제3 열교환기
V1~V4 ; 제1 내지 제4 밸브

Claims (4)

  1. 압축기(11), 응축기(12), 팽창밸브(13) 및 증발기(14)가 순차적 냉매 순환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히트펌프(10);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를 경유하는 제1순환배관(21)을 갖는 저수조(20);
    상기 히트펌프(10)의 응축기(12)를 경유하는 제2순환배관(31)을 갖는 온수탱크(30);
    폐수유통관(41) 및 이에 연결된 제1열교환기(E1)를 포함하는 폐열회수유닛(40);
    상기 저수조(20)에 연결되고, 용수공급관(51)을 갖는 급수펌프(50);
    상기 용수공급관(51)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60);
    상기 용수공급관(51)과 상기 온수탱크(30)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E1)를 경유하는 온수생성관(70); 및
    상기 온수탱크(30)에 연결되는 온수배출관(8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10)의 증발기(14)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상기 제1순환배관(21)에 분기 연결되는 제3순환배관(22),
    상기 제3순환배관(22)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E2),
    상기 제1 및 제3 순환배관(21, 22)에 개재(介在)되는 제1밸브(V1),
    상기 용수공급관(51)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배출관(6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E2)를 경유하는 냉수생성관(90),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관(60) 및 상기 냉수생성관(90)에 개재되는 제2밸브(V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用水)가 고온수(高溫水)일 경우,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3순환배관(22)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냉수생성관(90)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은 서브유통관(43), 그리고 이에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E3) 및 제3밸브(V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냉수생성관(90)은 상기 제3 및 제2 열교환기(E3, E2)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용수가 저온수(低溫水)일 경우,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3순환배관(22)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냉수생성관(90)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며,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서브유통관(43) 측의 경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통관(43)은 상기 폐수유통관(41)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E1)를 통과한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41b)에 분기 연결되고,
    상기 폐열회수유닛(40)은 상기 폐수유통관(41)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E1)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41a) 및 상기 폐수유통관(41)의 배출라인(41b)을 연결하는 중계유통관(44), 그리고 상기 중계유통관(44)에 연결되는 제4밸브(V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4밸브(V4)는 상기 제1순환배관(21)을 통해 상기 증발기(14)로 유입되는 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열교환기(E1, E3)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KR20110043918A 2011-05-11 2011-05-11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KR10122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3918A KR101222923B1 (ko) 2011-05-11 2011-05-11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3918A KR101222923B1 (ko) 2011-05-11 2011-05-11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59A KR20120126259A (ko) 2012-11-21
KR101222923B1 true KR101222923B1 (ko) 2013-01-17

Family

ID=4751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43918A KR101222923B1 (ko) 2011-05-11 2011-05-11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379A (zh) * 2016-11-12 2017-01-04 方浩丞 一种冷媒循环式热水器
KR102253466B1 (ko) * 2020-11-06 2021-05-20 배석환 건물용 열 회수 열 교환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367A (ko) * 2007-01-04 2007-07-31 박상술 목욕탕용 열교환 장치
KR20100009958A (ko) * 2008-07-21 2010-01-29 윤덕민 온수 및 냉난방 공급시스템
KR20100005734U (ko) * 2008-11-27 2010-06-07 유경윤 히트펌프 축열 시스템
JP7113466B2 (ja) 2012-07-24 2022-08-05 日産化学株式会社 培地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細胞又は組織の培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367A (ko) * 2007-01-04 2007-07-31 박상술 목욕탕용 열교환 장치
KR20100009958A (ko) * 2008-07-21 2010-01-29 윤덕민 온수 및 냉난방 공급시스템
KR20100005734U (ko) * 2008-11-27 2010-06-07 유경윤 히트펌프 축열 시스템
JP7113466B2 (ja) 2012-07-24 2022-08-05 日産化学株式会社 培地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細胞又は組織の培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59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2546B2 (ja) 熱源水配管、地中熱利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一次側熱交換器内部の洗浄方法および熱交換方法
CN102809185A (zh) 热泵式热水供暖装置
CN101634499B (zh) 热水及冷暖房供给系统
KR101222923B1 (ko) 폐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시스템
KR20130102088A (ko)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CN102297505A (zh) 热水供给器及热水供给系统
JP2009281654A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空調システム
KR101777055B1 (ko)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보일러
JP4437987B2 (ja) 熱湯循環システム
KR101325897B1 (ko) 하수폐열 회수장치
JP2017096570A (ja) 給水加温システム
JP2007263419A (ja) 生産排水からの排熱回収システム
KR20080046334A (ko) 축열식 냉난방 장치
JP4095738B2 (ja) 原子力発電設備
KR100738337B1 (ko) 히트펌프 시스템용 수축열 탱크의 미생물 제거장치
JP2011145010A (ja) 貯湯式給湯機
KR20070119993A (ko) 해수 및 기능성 물용 히트펌프 온수가열시스템
JP5842597B2 (ja) 貯湯式給湯機
CN113685880A (zh) 一种供热及储能系统
JP2017096569A (ja) 給水加温システム
JP5752455B2 (ja) 温排水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
JP5216500B2 (ja) 貯湯式給湯器
KR101094172B1 (ko) 폐수열 회수 증발기 및 그를 구비한 히트 펌프
JP2021032517A (ja) 給湯システム
JP2017145965A (ja) 給水加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