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04B1 -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04B1
KR102039804B1 KR1020170180495A KR20170180495A KR102039804B1 KR 102039804 B1 KR102039804 B1 KR 102039804B1 KR 1020170180495 A KR1020170180495 A KR 1020170180495A KR 20170180495 A KR20170180495 A KR 20170180495A KR 102039804 B1 KR102039804 B1 KR 10203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eed
germination
sea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809A (ko
Inventor
구자근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장)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17018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a six-membered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캡슐과, 상기 캡슐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잘피종자와, 상기 잘피종자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의 수용공간에 상기 잘피종자와 함께 구비되는 비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와; 그 이식 기구를 이용해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는 잘피종자를 캡슐에 넣은 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다에 투하시 해저면에 정착하는 경우 용해되어 비료 등과 함께 잘피종자의 생육을 촉진시키므로 연안 바다숲 조성시 조립이 완성된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나 조립구에 잘피를 고정하거나 해초를 배치한 후 투하지역 또는 목적지에 운반 및 해저면에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잘피 이식을 위한 비용 부담도 대폭 줄일 수 있고 잘피종자의 발아율도 높아 연안 바다숲을 조성에 유리하다.

Description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 A Capsule typed graft apparatus of Seagrass seed and build up method of forest of sea bottom using the apparatus }
본 발명은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잘피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을 조성시 별도의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나 해초 이식용 조립구가 필요없이 바다에 직접 투하하면 자유낙하하여 해저면에 고정되며 발아 이식 과정에서의 해양의 2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캡슐형 잘피종자의 발아시 생육을 촉진시키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활용하여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피는 해조류와 달리 뿌리를 가지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대표적인 바다식물인 해초로 거머리말 이라고도 부르며 지역에 따라 진질, 질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잘피는 우리나라는 총 8종이 서식하며 우리나라 서해안의 백령도에서 태안반도, 변산반도, 남해안의 완도, 광양만 남해도, 진해만, 부산 가덕도, 제주도, 동해안의 경북 울주군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전해역의 니질 또는 사니질로 조성된 얕은 내만의 파도가 심하지 않은 곳에서 큰 무리를 이루어 서식한다.
잘피는 겨울에 자라기 시작하여 4∼6월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다년생 해산 현화식물(꽃이 피는 식물)로 키는 180∼220cm, 옆신(잎) 넓이는 1cm내외로, 줄기에는 당분이 많아 과거에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식물체 자체는 염분이 없어 퇴비로도 이용되었으며 듀공 등 해산 포유류나 새의 먹이가 되기도 합니다.
아울러 잘피는 높은 생산력을 바탕으로 연안 및 하구생태계에서 경제적 가치를 지닌 많은 해양 동물들에게 먹이, 서식처와 산란장 등을 제공해줌으로써 연안의 수산생산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지상부 조직을 통해 해수내의 영양염을 흡수 제거하고, 지하부 조직은 저질을 안정화시켜 수질향상 및 연안환경 정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잘피연구의 시작은 전 세계적으로 불과 몇 십년 밖에 안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상에서 일정크기 이상 자라난 잘피를 해저에 용이하게 이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잘피 이식용 장치가 등록특허 제10-0953803호(참고문헌 1)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4호(참고문헌 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잘피 이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빈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구조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잘피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공간이 형성되는 이식망체와, 상기 프레임구조체를 해저면에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잘피 이식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의 수용공간은 수평방향으로 구획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이식망체를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분할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참고문헌 2는 해초 이식용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가로봉이 형성되어 해초가 배치되는 가로분체와; 상기 가로봉에 일정 간격으로 해초를 배치한 후 상기 가로봉과 교차되어 상기 해초가 고정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세로봉이 형성되는 세로분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관통 삽입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초 이식용 조립구가 제안된다.
그런데 참고문헌 1의 잘피 이식용 구조물 및 참고문헌 2의 해초 이식용 조립구는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커서 조립이 완성된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나 조립구에 잘피를 고정하거나 해초를 배치한 후 투하지역 또는 목적지에 운반한 후 해저면 등에 옮겨놓거나 고정핀을 이용하여 해저면에 고정해야 함에 따라 그 취급에 어려움이 많다.
아울러 이러한 잘피 이식용 구조물 및 참고문헌 2의 해초 이식용 조립구는 부식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해 해초 이식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고 해양의 2차 오염의 우려도 있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0953803호 참고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44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잘피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을 조성시 별도의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나 해초 이식용 조립구가 필요없이 바다에 직접 투하하면 자유낙하하여 해저면에 고정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활용하여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해양의 2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캡슐형 잘피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비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활용하여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캡슐과, 상기 캡슐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잘피종자와, 상기 잘피종자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의 수용공간에 상기 잘피종자와 함께 구비되는 비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캡슐은 단면이 유(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돔(dome) 형상의 마감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의 하단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캡을 상기 본체에 지지시 마감캡의 가압돌기가 본체의 상단 외주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여 상기 마감캡을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캡슐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은 그 재질이 젤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잘피종자는 온도처리 및 호르몬처리를 포함한 전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캡슐의 수용공간에 넣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처리는 잘피로부터 수거한 잘피종자를 자외선 살균 처리 30mJ/cm2 의 농도 이상으로 1분간 처리하여 주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저장하거나 또는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시에는 트랜스퍼(transfer)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울러, 상기 지베렐린 처리는 2L 이상의 물에 지베렐린 150ppm을 희석시킨 상태에서 300-400개의 잘피종자를 1 ~ 3시간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잘피종자는 잘피를 채취하여 종자를 수거한 후 자외선 살균을 통해 종자소독을 수행한 후 상기 온도 처리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에는 해저면에 착지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캡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해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구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캡슐에 스프링 형태로 감기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캡슐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연안에서 채취한 잘피에서 잘피종자를 수거하는 제1단계; 상기 잘피종자를 월동타파에 필요한 온도 처리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잘피종자를 질소 35.16 중량%, 인산 29.5.5 중량%, 가리 21 중량%, 붕소 0.2 중량%, 망간 0.07 중량%, 아연 0.07 중량% 및 칼슘 14 중량%로 이루어지는 비료와 함께 캡슐 내부에 넣어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에 마감구를 고정하여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제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현장방류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잘피종자를 자외선 살균 처리 30mJ/cm2 의 농도 이상으로 1분간 처리하여 주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단계 이후 제2단계 이전에 수거된 잘피종자를 자외선 살균을 통해 종자소독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는 잘피종자를 캡슐에 넣은 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다에 투하시 해저면에 정착하는 경우 용해되어 비료 등과 함께 잘피종자의 생육을 촉진시키므로 연안 바다숲 조성시 조립이 완성된 잘피 이식용 구조물이나 조립구에 잘피를 고정하거나 해초를 배치한 후 투하지역 또는 목적지에 운반 및 해저면에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잘피 이식을 위한 비용 부담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는 캡슐과 비료는 잘피종자의 생육에 도움을 주고 이식기구의 부식 등으로 인한 해양의 2차 오염의 우려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잘피종자의 온도 처리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하여 발아율을 높여 줌으로서 연안 바다숲 조성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투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활용하여 잘피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는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데 유용하다.
잘피는 수중에서 일생을 보내므로 육상식물과는 달리 암모니아, 인산, 질산 등과 같은 무기 염류를 뿌리뿐만 아니라 잎 조직으로도 흡수할 수 있다. 잘피의 잎 조직에 의하여 해수로부터 흡수되는 질소의 양이 뿌리조직에 의하여 토양으로부터 흡수되는 양과 비슷하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잘피는 하구로부터 유입된 과다한 양의 무기염류들을 빠른 속도로 흡수해 제거할 수 있다. 무기염류의 흡수제거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유해한 조류의 이상 번식을 막을 수 있어 하구나 연안생태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영양화나 적조현상과 같은 환경재해를 줄 일 수 있다. 많은 종류의 중금속들도 해수로부터 흡수되어 잘피의 잎조직에 축척된다. 따라서 잘피는 연안의 수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잘피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바다의 보고(寶庫)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피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많은 어족자원들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해준다. 잘피 서식지는 많은 동물들의 산란장소 및 치어들의 피난처로 사용되어지고, 잘피 숲(seagrass beds)은 가장 생산성이 높은 지역 중의 하나인데 잘피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은 많은 동물들의 직접적인 먹이원이나 미생물에 의해 해양 및 연안생태계의 먹이그물로 편입된다. 그리고 잘피의 지상부 조직은 많은 착생조류 및 착생돌물들의 붙어사는 장소를 제공해주는데 이들 착생 동식물들은 경제성을 지닌 많은 어류들의 좋은 먹이이다. 그러므로 잘피 서식지는 연안의 수산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잘피로 연안 바다숲을 용이하게 조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는 본체(110) 내부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캡슐(100)과,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구비되는 잘피종자(200)와, 상기 잘피종자(200)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상기 잘피종자(200)와 함께 구비되는 비료(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바다에 투하시 해저면에 착지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100)에 받침구(400)가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캡슐(100)은 내부에 잘피종자(200)와 비료(300)를 넣기 위한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단면이 유(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돔(dome) 형상의 마감캡(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감캡(120)의 하단 내주면이 상기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마감캡(120)의 하단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가압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캡(120)을 상기 본체(110)에 지지시 마감캡(120)의 가압돌기(122)가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잘피종자(200)와 비료(300)를 넣은 후 상기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에 접착제(130)를 도포 또는 코팅한 후 마감캡(120)을 끼우면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을 마감캡(120)의 가압돌기(122)가 가압하며 지지된 상태에서 접착제(130)가 경화되어 본체(110)와 마감캡(12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용공간(112)에 채워진 잘피종자(200)와 비료(300)가 캡슐(100)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슐(100)은 환경오염이 없고 바닷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며 잘피종자(200)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식물성 또는 동물성 재질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슐(100)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재질로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캡슐(100)의 재질로서 친환경적이고 물에 잘 녹으며 특히 물에 녹는 점이 2시간 내외로서 잘피종자(200)를 바닷물에 투하 후 해저면에 고정할 때 2시간 전후가 가장 적당하고 이에 젤라틴을 주요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캡슐(100)은 젤라틴을 주재료로 사용시 착색제로서 극미량의 이산화 티타늄을 함우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일 예로 본체(110)의 경우 내경이 10 ~ 15mm, 길이는 20 ~ 30mm이며, 마감캡(120)은 내경이 10 ~ 15mm, 길이는 10 ~ 20mm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캡슐(100)의 사이즈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잘피종자(200)는 잘피를 채취하여 종자를 수거한 후, 온도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잘피종자(200)는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1개를 기본적으로 넣을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2 ~ 7개의 복수를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잘피종자(200)는 발아는 수온,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온도처리 및 호르몬처리 등의 전처리를 수행한 후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넣어 줌으로서, 추후 잘피종자(200)가 100%에 근접하도록 발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처리는 우선 수거한 잘피종자(200)를 자외선 살균 처리 30mJ/cm2 의 농도 이상으로 1분간 처리하여 주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한다.
이때, 잘피종자(200)는 잘피를 채취하여 종자를 수거한 후 먼지를 털 듯이 씻고, 자외선이 조사된 물에 잘피종자를 담궈놓은 상태에서 자외선 살균을 통해 종자소독을 수행한 후, 온도 처리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저장하거나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시에는 트랜스퍼(transfer) 처리를 한다. 상기 트랜스퍼 처리는 잘피종자(200)를 처리시 수온 4℃ 및 20℃의 여과해수에 침지하는 경우 여과 해수를 2일에 한번씩 새로 갈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트랜스퍼를 하지 않으면 잘피 종자가 많이 상하게 되어 발아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지베렐린(gibberellin)은 벼의 키다리병균에 의해 생산된 고등식물의 식물생장조절제이다. 지베렐린의 작용은, 우선 신장촉진작용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종자발아촉진작용, 개화촉진작용, 착과(着果)의 증가작용, 열매의 생장촉진작용 등이 있다. 근래에는 벼의 키다리병균 이외에도 많은 식물에 이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현재 14종에 이르며, 유리(遊雖) 또는 결합형으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지베렐린(gibberellin) 처리를 잘피종자(200)에 함으로써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지베렐린(gibberellin) 처리는 예를 들어 2L 이상의 물에 지베렐린 150ppm을 희석시킨 상태에서 300-400개의 잘피종자(200)를 1 ~ 3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동안 침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잘피종자(200)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수온 4℃에 45±15일 동안 저장시 발아율이 10 ~ 30% 향상되고, 지베렐린 처리시 발아율이 60 ~ 70% 향상된다. 특히 트랜스퍼와 자외선 살균을 추가하는 경우 잘피종자의 발아율이 10 ~ 15% 추가로 상승한다.
또한 상기 비료(300)는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상기 잘피종자(200)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잘피종자(200)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질소, 인 등의 비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료는 예를 들어 질소 35.16 중량%, 인산 29.5.5 중량%, 가리 21 중량%, 붕소 0.2 중량%, 망간 0.07 중량%, 아연 0.07 중량% 및 칼슘 14 중량%로 구성되는 합성비료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바다에 투하시 해저면에 착지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100)에 받침구(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받침구(4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캡슐(100)에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해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받침구(400)는 금속선재를 캡슐(100)에 전체적으로 스프링 형태로 감기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의 양단에 캡슐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다. 캡슐(100) 내부에 잘피종자를 넣은 생태로 투하하는 목적은 발아 처리된 잘피종자(200)가 바다 해저면(3)에서 굴러 다니며 유실되지 않고 정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캡슐(100)만으로는 해저면에 정착이 잘 안되므로 지지부(420)는 5 ~ 10cm 정도길이로 형성함으로서 지지부(420)가 해저면에 꽂혀 정착시켜 줌으로서 캡슐(100)이 녹으면 잘피종자(200)가 해저면 바닥에 파묻혀 모종으로 자라게 된다.
이와 같은 받침구(400)는 캡슐(100)의 유실 방지는 물론 어선(2)에서 투하시 신속한 자유낙하를 유도하는 무게추의 기능도 수행하여 바다숲 조성 지역을 벗어난 지역에 정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그 형상이나 체결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연안의 잘피 서식지에서 잘피를 채취하고(S1), 채취한 잘피에서 잘피에서 잘피종자(200)를 수거하며(S2), 수거된 잘피종자(200)는 월동타파에 필요한 온도 처리(S3) 및 호르몬 처리(S4)를 수행한 다음 캡슐화(S5)하여 현장방류(S6)를 진행하여 잘피를 정착시켜 연안 바다숲을 형성한다.
상기 단계(S2)를 통해 수거된 잘피종자(200)는, 온도 처리(S3) 전에 먼지를 털 듯이 씻고 자외선 살균을 통해 종자소독을 수행한 후 온도 처리(S3) 및 호르몬 처리(S4)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처리(S3)는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호르몬 처리(S4)는 상기 온도 처리(S3)된 잘피종자(200)는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1 ~ 3시간 침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슐화(S5) 과정은 온도 처리(S3) 및 호르몬 처리(S4)를 수행한 잘피종자(200)를 캡슐(100)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알갱이 형태의 비료(300)와 함께 넣고 마감캡(120)으로 마감한 후 금속선재를 캡슐(100)에 전체적으로 스프링 형태로 감거나 이미 형성된 고정부(410)에 캡슐(100)을 끼워 받침구(400)를 고정함으로서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완성한다.
그리고 어선(2)을 이용해 바다숲 조성 지역에 이동하여 상기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투하(또는 투척)함으로서 신속한 자유낙하를 유도하여 바다숲 조성 지역의 해저면(3)에 정착시킨다. 이후 2시간 이후에는 캡슐(100)은 2시간 내 녹으면서 잘피종자(200)가 해저면(3)에 정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 이후 잘피종자(200)가 발아되고, 모종(210)으로 성장하게 됨으로서 잘피군락지 즉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게 된다.
연안 바다숲을 조성하는 잘피는 수중에서 일생을 보내므로 육상식물과는 달리 암모니아, 인산, 질산 등과 같은 무기 염류를 뿌리뿐만 아니라 잎 조직으로도 흡수할 수 있다. 잘피의 잎 조직에 의하여 해수로부터 흡수되는 질소의 양이 뿌리조직에 의하여 토양으로부터 흡수되는 양과 비슷하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따라서 잘피는 하구로부터 유입된 과다한 양의 무기염류들을 빠른 속도로 흡수해 제거할 수 있다.
잘피의 무기염류 흡수제거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유해한 조류의 이상 번식을 막을 수 있어 하구나 연안 생태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영양화나 적조현상과 같은 환경재해를 줄일 수 있으며, 많은 종류의 중금속들도 해수로부터 흡수되어 잘피의 잎조직에 축척된다. 따라서 잘피는 연안의 수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잘피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많은 어족자원들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해준다. 잘피 서식지는 많은 동물들의 산란장소 및 치어들의 피난처로 사용되고, 잘피 숲(seagrass beds)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은 많은 동물들의 직접적인 먹이원이나 미생물에 의해 해양 및 연안 생태계의 먹이그물로 편입되어지고, 잘피의 지상부 조직은 많은 착생조류 및 착생동물들이 붙어사는 장소를 제공해주는데 이들 착생 동식물들은 경제성을 지닌 많은 어류들의 좋은 먹이가 되므로, 잘피 서식지는 연안의 수산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2: 어선
3: 해저면 100: 캡슐
110: 본체 112: 수용공간
120: 마감캡 122: 가압돌기
130: 접착제 200: 잘피종자
300: 비료 400: 받침구
410: 고정부 420: 지지부

Claims (17)

  1.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캡슐(100)과,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구비되는 잘피종자(200)와, 상기 잘피종자(200)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상기 잘피종자(200)와 함께 구비되는 비료(300)로 이루어진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에 있어서,
    상기 잘피종자(200)는 잘피로부터 수거하여 자외선으로 살균 소독하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한 후 상기 캡슐(100)의 수용공간(112)에 넣어 주되,
    상기 잘피종자(200)는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시 여과 해수를 2일에 한번씩 새로 갈아주는 트랜스퍼(transfer) 처리를 하며,
    상기 지베렐린(gibberellin) 처리는 2L 이상의 물에 지베렐린 150ppm을 희석시킨 상태에서 300-400개의 잘피종자(200)를 2시간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0)은 단면이 유(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돔(dome) 형상의 마감캡(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120)의 하단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가압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캡(120)을 상기 본체(110)에 지지시 마감캡(120)의 가압돌기(122)가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단 외주면에 접착제(130)를 도포 또는 코팅하여 상기 마감캡(120)을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0)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0)은 그 재질이 젤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00)에는 해저면에 착지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구(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4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캡슐(100)에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해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400)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캡슐(100)에 스프링 형태로 감기는 고정부(410)와, 상기 고정부(410)의 양단에 캡슐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10. 연안에서 채취한 잘피에서 잘피종자(200)를 수거하는 제1단계;
    상기 잘피종자(200)를 월동타파에 필요한 온도 처리 및 호르몬 처리를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잘피종자(200)를 비료(300)와 함께 캡슐(100) 내부에 넣어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100)에 마감구(400)를 고정하여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제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1)를 현장방류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잘피종자(200)를 잘피로부터 수거하여 자외선으로 살균 소독하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하는 단계이며,
    상기 잘피종자(200)는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시 여과 해수를 2일에 한번씩 새로 갈아주는 트랜스퍼(transfer) 처리를 하며,
    상기 지베렐린(gibberellin) 처리는 2L 이상의 물에 지베렐린 150ppm을 희석시킨 상태에서 300-400개의 잘피종자(200)를 2시간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잘피종자(200)를 자외선 살균 처리하고 월동타파를 위해 수온 4℃의 여과 해수에 45±15일 동안 침지한 후, 수온 20±5℃의 여과 해수에서 30±7일 동안 침지한 다음 지베렐린이 첨가된 물속에 2시간 침지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300)는 질소 35.16 중량%, 인산 29.5.5 중량%, 가리 21 중량%, 붕소 0.2 중량%, 망간 0.07 중량%, 아연 0.07 중량% 및 칼슘 14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80495A 2017-12-27 2017-12-27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KR10203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95A KR102039804B1 (ko) 2017-12-27 2017-12-27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95A KR102039804B1 (ko) 2017-12-27 2017-12-27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09A KR20190078809A (ko) 2019-07-05
KR102039804B1 true KR102039804B1 (ko) 2019-11-01

Family

ID=6722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495A KR102039804B1 (ko) 2017-12-27 2017-12-27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987B1 (ko) *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을 위한 혼합벌크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82B1 (ko) 2022-08-31 2023-10-19 최지섭 친환경 팜사를 이용한 잘피 이식 방법
KR102591681B1 (ko) 2022-08-31 2023-10-19 최지섭 친환경 골판지를 이용한 잘피 이식컵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 방법
KR20240041499A (ko) 2022-09-23 2024-04-01 최지섭 친환경 팜사를 이용한 잘피 씨앗 이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914B1 (ko) * 2016-06-20 2016-09-09 이신원 탄소튜브를 이용한 잘피 이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44Y1 (ko) 2009-07-03 2010-02-03 구자근 해초 이식용 조립구
KR100953803B1 (ko) 2009-11-17 2010-04-21 박관순 잘피 이식용 구조물
KR101234012B1 (ko) * 2010-11-30 2013-02-1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합 종자 칩
KR101740112B1 (ko) * 2015-02-26 2017-05-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씨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914B1 (ko) * 2016-06-20 2016-09-09 이신원 탄소튜브를 이용한 잘피 이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987B1 (ko) *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을 위한 혼합벌크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09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804B1 (ko) 캡슐형 잘피종자 발아 이식기구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바다숲 조성방법
CN104206144B (zh) 一种红树植物银叶树种苗繁育栽培的方法
CN104285747B (zh) 一种红树植物海漆种苗繁育栽培的方法
CN104430079A (zh) 蔬菜、水稻、花卉种植与网箱套养结合的装置和方法
CN110089337A (zh) 一种乡土红树植物榄李种子的收集及育苗方法
CN110304730A (zh) 一种复合水生态修复方法
CN106305276A (zh) 一种青钱柳根扦插繁殖方法
KR0137877B1 (ko) 양액재배에 의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CN107996242A (zh) 一种辣木容器育苗方法
JP5935210B2 (ja) 放射性物質を活用した農作物の育成方法及び農作物の育成装置
CN110915512A (zh) 一种丝栗栲高效抑菌控根的育苗方法
CN108990675A (zh) 一种桐花树扦插繁育的方法
CN102640629A (zh) 菊叶薯蓣扦插繁殖方法
KR20120086018A (ko) 잘피 종묘 판을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CN104838761A (zh) 一种高成活率的番茄育种方法
CN112042477A (zh) 一种巨菌草幼苗培育方法
JP3495976B2 (ja)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カイワレ大根の栽培方法
JP2008125422A (ja) 海苔の単細胞化方法及び養殖方法
CN106212180A (zh) 濒危植物大果青冈的人工育苗方法
JPH0851811A (ja) 植物の栽培方法
KR20130106974A (ko) 생분해성 용기를 이용한 잘피 서식지의 복원방법
JP7343872B2 (ja) 果樹の栽培方法
KR101235682B1 (ko) 잘피 군락지와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해저 면에 잘피를 이식하는 방법
Nair et al. Plantation technology for selected indigenous trees in the Indian peninsula
CN106508362A (zh) 一种提高南酸枣播种萌发率和移苗保存率的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