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734B1 -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734B1
KR102039734B1 KR1020190052826A KR20190052826A KR102039734B1 KR 102039734 B1 KR102039734 B1 KR 102039734B1 KR 1020190052826 A KR1020190052826 A KR 1020190052826A KR 20190052826 A KR20190052826 A KR 20190052826A KR 102039734 B1 KR102039734 B1 KR 10203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signal controller
traffic signal
modula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상
엄세용
김동준
Original Assignee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통신호제어기 내부 등기구동장치(LSU) 신호 라인 체결 방식을 기존 2단 터미널 블록 대신 터미널 모듈형태로 대체하고, LSU 신호라인을 스크류 체결 방식에서 커넥터 방식으로 전환하여 바리스타 또한 터미널 모듈 내 탑재(실장)하여 기존 PG 단자를 이용한 별도의 후가공 및 체결 작업 생략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Traffic signal controller comprising a modular terminal block and the modular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통신호제어기 내부 등기구동장치(LSU) 신호 라인 체결 방식을 기존 2단 터미널 블록 대신 터미널 모듈형태로 대체하고, LSU 신호라인을 스크류 체결 방식에서 커넥터 방식으로 전환하여 바리스타 또한 터미널 모듈 내 탑재(실장)함으로써, 기존 PG 단자를 이용한 별도의 후가공 및 체결 작업을 생략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교차로 및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검지기 자료 수집과 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장치로 교통신호제어기가 있다.
교통신호제어기는 교차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국내의 경우, 경찰청 표준규격서(2017.08.25)을 준용한 제품에 한하여 설치/운영되고 있다.
또한, 일부 비표준 제품이 운영되는 사례는 있으나, 극히 일부이고, 경찰청 표준에 명시된 교통신호제어기는 일반형, 소형, 슬림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교통신호제어기 내 여러 기능 모듈 중 등기구동장치(LSU: Load Switch Unit)는 차량 신호등(Green/Yellow/Red) 및 보행 신호등기(Green/Red)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특히, 표준규격서 상에서는 신호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로, 등기구동장치가 정의되어 있다.
도 1a는 등기구동장치와 신호등을 연결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10)이다.
도면부호 1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신호제어기 내 하단부에 위치한 터미널 블록(단자대)은 등기구동장치(LSU)의 신호제어 라인과 현장의 신호등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동장치의 신호라인과 신호등 전원선은 1:1로 매칭되어 있다.
표준신호제어기 내 등기구동장치는 총 16개가 설치되며, 제어라인은 등기구동장치 당 6개씩 총 96개가 존재한다.
한편, 터미널 블록의 일측에는 신호등에서 역으로 인입되는 이상전원에 대한 등기구동장치 보호를 위하여 제어라인 별로 공통접지에 연결되는 바리스타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도 1b는 현행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존 대부분의 교통신호제어기의 터미널 블록은 2단의 상하 일체형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터미널 블록 상단에는 LSU에서 나오는 신호라인과 바리스타를 각각 인입하고, 하단에는 신호등에서 나오는 신호라인을 체결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어라인 및 바리스타를 터미널 블록에 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PG 단자를 이용한 후가공 작업이 필요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적 부담이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교통신호제어기 제작 시 96개의 LSU 신호라인 및 바리스타를 각각 후가공 및 체결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비용과 시간이 현저히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터미널 블록에 LSU 신호라인과 바리스타를 체결하는 방식이 스크류(나사)에 의한 방식임에 따라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1c는 기존 터미널 블록을 체결하는 방식 및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존 터미널 블록의 경우, 배선된 라인의 명칭을 터미널 블록 표시지(명판)에 인쇄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표시지는 터미널 블록에서 쉽게 분리가 되는 것으로 인위적이거나 또는 작업 중 분실될 경우 현장에서 유지보수를 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바리스타의 경우 부품 리드선에 PG 단자를 체결하여 터미널 블록과 접지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임에 따라, 리드선이 단락 되거나, PG 단자가 빠질 경우 현장에서 대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또한, LSU에서 나오는 제어라인의 수량(총 96개)이 많아 터미널 블록(단자대) 체결 시 오결선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9067호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한국등록특허 제10-1831799호 "모듈화된 기능 블록 기반의 교통신호제어기"
본 발명은 LSU 신호라인과 바리스타를 PG 단자를 이용하여 2단 단자대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제를 크게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LSU 신호라인은 단일 커넥터를 적용하여 착탈하는데 개별 체결이 불필요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리스타를 터미널 모듈 내 실장하여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 없고, 리드선 단락, 부품 파손 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총 96개의 LSU 신호라인을 16개의 커넥터로 변환함으로써, LSU 신호라인에 대한 오결선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 단위로 교체 지원함으로써 LSU 신호라인 및 바리스타 문제 시 손쉬운 교체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라인 명칭을 체결용 브라켓에 직접 인쇄함에 따라 외관상 시인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터미널 블록에서 발생하는 표시지 분실, 파손 등의 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통신호제어기 조립 시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결선 최소화를 통한 신호제어기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는 복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은, 전면부 및 후면부에 위치하면서 교통 신호 제어기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홀, 상기 전면부에 위치하고, 모듈 형태로 실장 되면서 신호등과의 통신 신호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 상기 후면부에 위치하고, 등기구동장치(Load Switch Unit)와의 체결을 위한 LSU 연결 커넥터, 및 등기구동장치 보호를 위하여 제어라인 별로 공통접지에 결속되면서, 상기 모듈 내 실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리스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에 대한 전면부는, 신호등 전원선에 연결되는 1열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1열 단자대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체결용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에 대한 후면부는, 상기 1열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B 기판, 상기 PCB 기판 상에서 등기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 상기 연결 커넥터의 일측에서 실장되는 형태로 제어라인 별로 결속되는 바리스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에 착탈되는 모듈형 터미널 블록은 신호등 전원선에 연결되는 단자대, 내부신호선이 상기 단자대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등기구동장치의 복수의 접속핀에 결합되는 연결 커넥터, 등기구동장치(Load Switch Unit) 보호를 위하여 제어라인 별로 공통접지에 결속되면서, 상기 모듈 내 실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리스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대는 LSU 라인 명칭이 실크 인쇄되는 체결용 브라켓에 체결되되, 상기 실크 인쇄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LSU 신호라인과 바리스타를 PG 단자를 이용하여 2단 단자대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LSU 신호라인은 단일 커넥터를 적용하여 착탈하는데 개별 체결 불필요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리스타를 터미널 모듈 내 실장하여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 없고, 리드선 단락, 부품 파손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총 96개의 LSU 신호라인을 16개의 커넥터로 변환함으로써, LSU 신호라인에 대한 오결선 문제 개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단위로 교체 지원함으로써 LSU 신호라인 및 바리스타 문제 시 손쉬운 교체 용이성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라인 명칭을 체결용 브라켓에 직접 인쇄함에 따라 외관상 시인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터미널 블록에서 발생하는 표시지 분실, 파손 등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통신호제어기 조립 시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결선 최소화를 통한 신호제어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등기구동장치와 신호등을 연결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현행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기존 터미널 블록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모듈형 터미널의 전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모듈형 터미널의 후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터미널 모듈과 교통신호제어기가 고정용 홀을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터미널 모듈과 교통신호제어기가 고정용 홀을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측면도를 통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SU 라인 명칭을 교통신호제어기 체결용 브라켓에 실크 인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모듈 적용한 방식을 기존과 대비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a는 모듈형 터미널의 전면부(21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터미널은 기존 교통신호제어기 제작 시 터미널 블록 제작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한다.
이를 위해, 교통신호제어기의 내부 등기구동장치(LSU)의 신호 라인 체결 방식을 기존 2단 터미널 블록 대신 터미널 모듈형태로 대체하고, 신호라인을 스크류 체결 방식에서 커넥터 방식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터미널의 전면부(211)는 고정용 홀(212, hole)과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용 홀(212)은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 등을 체결해서 교통신호제어기 내부의 하우징에 모듈형 터미널을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213)는 모듈형 터미널 전면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신호등에서 나오는 전원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213)는 1단의 구조로 모듈 내 실장될 수 있다.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213)는 하나의 1열 단자대를 통해 하나의 신호등의 전원선과 연결될 수 있다.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213)의 1열 단자대는 나사를 통해 신호등의 전원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1열 단자대는 후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모듈형 터미널의 전면부(211)에 대향하는 위치의 후면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b는 모듈형 터미널의 후면부(22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모듈형 터미널의 후면부(221)는 모듈 내 실장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바리스타(222), LSU 연결 커넥터(224)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부와 마찬가지로, 후면부(220) 역시 고정용 홀(223)을 포함한다. 고정용 홀(223)은 전면부의 고정용 홀과 나사가 관통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홀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터미널 모듈과 교통신호제어기가 고정용 홀을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례로, 교통신호제어기의 체결용 브라켓에는 수평의 직렬 구조로 모듈형 터미널 블록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30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신호제어기는 체결용 브라켓에 각 모듈형 터미널 별로 체결을 위한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모듈형 터미널 블록 장치들과 등기구동장치는 커넥터로 체결되며, 모듈형 터미널 블록 장치의 각각과 등기구동장치는 1:1 매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모듈형 터미널 #1 블록 장치(320)를 대표로 설명하면, 각 위치의 양측에는 고정형 홀이 위치하여, 모듈형 터미널 #1 블록 장치(320)가 교통신호제어기의 체결용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모듈형 터미널 블록장치들 역시 각각의 위치에서 교통신호제어기의 체결용 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터미널 모듈과 교통신호제어기가 고정용 홀을 통해 체결용 브라켓에 체결되는 구조를 측면도를 통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체결용 브라켓에(410)은 교통신호제어기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일정 공간이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런 일정 공간에는 모듈형 터미널 블록(400) 장치가 배치되며 각각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 장치는 신호등 전원선에 연결되는 단자대(450), PCB 기판(420) 상에 배치된 연결 커넥터(430), 및 바리스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등 전원선이 단자대(450)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연결 커넥터(430)는 등기구동장치의 복수의 접속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리스타(440)는 등기구동장치(Load Switch Unit) 보호를 위하여 제어라인 별로 공통접지에 결속되면서, 모듈 내 실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LSU 라인 명칭을 교통신호제어기 체결용 브라켓에 실크 인쇄한 실시예(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5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터미널 블록 내 표시지에 인쇄되는 LSU 라인 명칭을 교통신호제어기 체결용 브라켓에 실크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표시지 분실, 파손으로 인한 문제는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모듈형 터미널 블록 장치들은 예를 들어, 모듈형 터미널 #1 블록 장치(520)는 도면부호 510의 하단에서와 같이 모듈 형태로 체결용 브라켓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통신호제어기 내 터미널 블록(단자)을 모듈화하여 적용 시 기존에 제기됐던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이용하면, LSU 신호라인과 바리스타를 PG 단자를 이용하여 2단 단자대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SU 신호라인은 단일 커넥터을 적용하여 착탈하는데 개별 체결 불필요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바리스타를 이용함으로써 터미널 모듈 내 실장하여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 없고, 리드선 단락, 부품 파손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6은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모듈 적용한 방식을 기존과 대비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611은 기존 교통신호제어기 2단 터미널 블록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612는 기존 교통신호제어기 2단 터미널 블록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면부호 621은 신규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모듈 적용한 방식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622는 신규 교통신호제어기 터미널 모듈 적용한 방식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존 교통신호제어기 제작 시 터미널 블록 제작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통신호제어기 내부 등기구동장치(LSU) 신호 라인 체결 방식을 기존 2단 터미널 블록 대신 터미널 모듈형태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LSU 신호라인을 스크류 체결 방식에서 커넥터 방식으로 전환하고, 바리스타 또한 터미널 모듈 내 탑재(실장)하여 기존 PG 단자를 이용한 별도의 후가공 및 체결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바리스타 부품 파손, 단락될 가능성 줄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총 96개의 LSU 신호라인을 16개의 커넥터로 변환함으로써, LSU 신호라인에 대한 오결선 문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모듈 단위로 교체 지원함으로써 LSU 신호라인 및 바리스타 문제 시 손쉬운 교체 용이성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라인 명칭을 체결용 브라켓에 직접 인쇄함에 따라 외관상 시인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 터미널 블록에서 발생하는 표시지 분실, 파손 등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교통신호제어기 조립 시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결선 최소화를 통한 신호제어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교통 신호 제어기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은,
    전면부 및 후면부에 위치하면서 교통 신호 제어기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홀;
    상기 전면부에 위치하고, 모듈 형태로 실장 되면서 신호등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등 체결용 단자대;
    상기 후면부에 위치하고, 등기구동장치(Load Switch Unit)와의 체결을 위한 LSU 연결 커넥터; 및
    등기구동장치 보호를 위하여 제어라인 별로 공통접지에 결속되면서, 상기 모듈 내 실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리스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에 대한 전면부는, 신호등 전원선에 연결되는 1열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1열 단자대는 교통 신호 제어기의 체결용 브라켓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형 터미널 블록에 대한 후면부는, 상기 1열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PCB 기판과, 상기 PCB 기판 상에서 등기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와 상기 연결 커넥터의 일측에서 실장되는 형태로 제어라인 별로 결속되는 바리스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대는 LSU 라인 명칭이 실크 인쇄되는 체결용 브라켓에 체결되되, 상기 실크 인쇄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2826A 2019-05-07 2019-05-07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KR10203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26A KR102039734B1 (ko) 2019-05-07 2019-05-07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26A KR102039734B1 (ko) 2019-05-07 2019-05-07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734B1 true KR102039734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26A KR102039734B1 (ko) 2019-05-07 2019-05-07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1713A (zh) * 2019-12-26 2020-05-01 江苏航天大为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负载均衡的区域交通控制方法和装置
CN112002137A (zh) * 2020-08-18 2020-11-27 浙江浙大中控信息技术有限公司 大型枢纽场站出租车的管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3341A (ja) * 1993-11-29 199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
KR20010022510A (ko) * 1998-06-05 2001-03-1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보호 계전기용 터미널 블록
KR100799067B1 (ko) 2007-09-19 2008-01-29 유병무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KR101277321B1 (ko) * 2012-02-07 2013-06-20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통신용 서지보호기
KR101477641B1 (ko) * 2014-11-07 2014-12-30 주식회사 피엔디 교통 신호 제어기
KR101831799B1 (ko) 2014-10-16 2018-04-04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모듈화된 기능 블록 기반의 교통신호제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3341A (ja) * 1993-11-29 199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
KR20010022510A (ko) * 1998-06-05 2001-03-1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보호 계전기용 터미널 블록
KR100799067B1 (ko) 2007-09-19 2008-01-29 유병무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KR101277321B1 (ko) * 2012-02-07 2013-06-20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통신용 서지보호기
KR101831799B1 (ko) 2014-10-16 2018-04-04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모듈화된 기능 블록 기반의 교통신호제어기
KR101477641B1 (ko) * 2014-11-07 2014-12-30 주식회사 피엔디 교통 신호 제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1713A (zh) * 2019-12-26 2020-05-01 江苏航天大为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负载均衡的区域交通控制方法和装置
CN112002137A (zh) * 2020-08-18 2020-11-27 浙江浙大中控信息技术有限公司 大型枢纽场站出租车的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815B2 (en) Aquarium light strip
KR102039734B1 (ko) 모듈형 터미널 블록 및 상기 모듈형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US8167465B2 (en) LED illumination module
US20090275216A1 (en) Patch Field Documentation and Revision Systems
US20150083564A1 (en) Arrangement of pushbutton switches with a programmable display
US11580828B2 (en) Modular indicator
CN102077013A (zh) 光源装置和照明装置
US6342766B1 (en) Power module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CN1133068C (zh) 车辆用仪表装置
KR20170123813A (ko) 조명 레일 시스템
JP2004081404A (ja) 遊技機
JP2796059B2 (ja) 弾球遊技機の遊技部品装着装置
KR20080105894A (ko) 차량용 엘이디 전광판의 지지프레임
CN105911968A (zh) 一种模拟量输入型安全栅、隔离器底板
KR100781903B1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0209925B1 (ko) 전광판의 led 판넬 구조
USRE34135E (en) Light matrix display system
DE102012215880A1 (de) Testplatte
JP2004063237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器具
US5641226A (en) Signal light column
KR200358353Y1 (ko) 엘이디(led) 타입 신호등
CN101953042A (zh) 控制中心
US7272014B2 (en) Portable led unit interface and power supply
JPH09281910A (ja) 集合表示灯
JPH0695598A (ja) Led表示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