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591B1 -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 Google Patents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591B1
KR102039591B1 KR1020170180088A KR20170180088A KR102039591B1 KR 102039591 B1 KR102039591 B1 KR 102039591B1 KR 1020170180088 A KR1020170180088 A KR 1020170180088A KR 20170180088 A KR20170180088 A KR 20170180088A KR 102039591 B1 KR102039591 B1 KR 10203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block
dock
airbags
block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257A (ko
Inventor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5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63B273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은, 선박블록을 도크에 안착시키는 (a)단계; 상기 선박블록에 복수의 에어백을 설치하는 (b)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을 모두 팽창시키는 (c)단계; 상기 선박블록이 부상하도록 상기 도크에 물을 주입하는 (d)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 각각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선박블록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e)단계; 및 상기 도크에서 물을 배출하고, 상기 선박블록을 상기 도크에 안착시키는 단계(f)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Method of turnover for ship block}
본 발명은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운항하는 대형선박 또는 해저면의 탐사 등을 위해 건조되는 해상구조물 등은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선박블록으로 분할되어 제작된 후, 제작된 선박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블록으로 분할되어 제작되는 경우, 각종 설비나 배관, 부품 등 의장품들을 설치하는 작업이 좀 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을 정규상태에서 비정규상태로 또는 비정규상태에서 정규 상태로 뒤집는 턴오버(Turnover) 작업을 통해 선박블록을 적절히 정렬하고, 정렬된 상태의 선박블록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종래, 선박블록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고, 턴오버 작업은 와이어를 통해 선박블록과 연결된 크레인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 경우, 턴오버 작업시 선박블록에 설치된 의장품들과 와이어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의장품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이 예상되는 의장품의 턴오버 전 선행 설치가 제한되고, 턴오버 중 예상치 못한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이미 설치된 의장품을 선박블록으로부터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턴오버 과정에 의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블록을 도크에 안착시키는 (a)단계; 상기 선박블록에 복수의 에어백을 설치하는 (b)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을 모두 팽창시키는 (c)단계; 상기 선박블록이 부상하도록 상기 도크에 물을 주입하는 (d)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 각각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선박블록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e)단계; 및 상기 도크에서 물을 배출하고, 상기 선박블록을 상기 도크에 안착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상기 선박블록의 외측면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도크에는 상기 선박블록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위로 물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a)단계 및 상기 (d)단계 사이에, 상기 선박블록에는 의장품이 선행 설치되고, 상기 선행 설치된 의장품 중 적어도 일부를 수밀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에어백 각각이 수축 또는 팽창하여 제공하는 부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선박블록을 턴오버시킴으로써, 턴오버 과정에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될 필요가 없어, 의장품이 선행 설치된 상태에서 선박블록을 용이하게 턴오버시킬 수 있고, 턴오버 과정에 의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9에서는 지지부재(도 2의 5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은 작업자가 선박블록에 진입하여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선박블록은 턴오버시키거나 작업이 완료된 선박블록이 다른 선박블록과 조립 가능하게 정렬되도록 선박블록을 턴오버시킬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블록(10)을 도크(1)에 안착시킨다(S110).
이때, 도크(1)에는 물이 주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블록(10)은 대형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조립되기 위한 구조물로서, 중량이 무거우며 크기가 큰 중량물일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에는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각종 설비나 배관, 부품 등의 의장품(15)이 선행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선행 설치된 의장품(15)과 함께 턴오버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블록(10)은 도 2에서 볼 때 의장품(15)이 설치된 제1측면이 도크(1)의 개방된 상측면을 향하고, 제1측면의 반대측인 제2측면이 도크(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은 지지부재(50)에 지지되어 도크(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50)는 선박블록(10)과 도크(1) 사이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50)는 도 2와 같이 선박블록(10)의 제2측면과 도크(1)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50)는 선박블록(10)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박블록(10)에 선행 설치된 의장품 중 적어도 일부가 수밀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에 설치된 의장품은 후술하는 물이 주입된 도크(1)에서 선박블록(10)이 회전하는 단계에서, 물이 유입되어 녹이 발생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장품에 대한 수밀처리는 공지의 수밀처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의장품에 대한 수밀처리는 선박블록을 도크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후술하는 도크에 물을 주입하는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선박블록(10)에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을 설치한다(S120).
이때,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은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에 대해 부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실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팽창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에 대해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각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내부에서 공기가 유출될 때 수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에 대해 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도 3과 같이 선박블록(10)의 외측면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은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선박블록(10)에 대한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도 2와 같이 6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의 제1측면에는 2개의 에어백(101, 102)이, 선박블록(10)의 제2측면에는 2개의 에어백(104, 105)이, 도크(1)의 우측벽을 마주보는 선박블록(10)의 제3측면 및 도크(1)의 좌측벽을 마주보는 선박블록(10)의 제4측면에 각각 1개의 에어백(103, 106)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의 에어백의 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박블록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에어백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로 구비되는 에어컴프레서 또는 에어탱크와 같은 공기공급수단과 공기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공급부는 하나가 제공되고, 복수의 에어백 각각은 하나의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는, 공기공급부는 복수의 에어백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복수의 에어백 각각은 대응하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을 모두 팽창시킨다(S130).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박블록(10)이 부상하도록 도크(1)에 물을 주입한다(S140).
이때, 선박블록(10)은 팽창된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이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부상할 수 있다.
모두 팽창된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에 최대의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도크(1)에 주입되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신속하며 용이하게 부상할 수 있다.
또한, 선박블록(10)의 외측면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팽창된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은 선박블록(10)에 대해 균등하게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안정된 자세로 부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크(1)에는 선박블록(10)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위로 물이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크(1)에 주입된 물의 수면으로 부상한 선박블록(10)은 후술하는 상하반전되도록 회전하는 단계에서, 도크(1)의 바닥면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박블록(10)은 상하반전되도록 회전하는 과정에 도크(1)의 측벽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선박블록(10)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시킨다(S150).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이 수축하거나 팽창할 때 발생하는 부력의 차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박블록(10)은 팽창한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중 적어도 하나가 수축할 때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후,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은 선박블록(10)의 회전상태가 유지되도록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은 선박블록(10)이 회전하는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차례로 수축하거나 수축 후 재팽창할 수 있다. 선박블록(10)은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이 차례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과정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상하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방법은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이 제공하는 부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박블록(10)을 반전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방법은 선박블록(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하는 크레인이 필요없고, 선박블록(10)에 크레인과 연결되는 와이어의 설치가 필요없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에 선행 설치된 의장품(15)은 선박블록(10)의 턴오버 과정에 와이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블록(10)은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측면과 제2측면이 상하반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중 도면부호 101은 제1에어백(101), 도면부호 102는 제2에어백(102), 도면부호 103은 제3에어백(103), 도면부호 104는 제4에어백(104), 도면부호 105는 제5에어백(105), 도면부호 106은 제6에어백(106)이라 하고, 선박블록(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1에어백(101) 및 제2에어백(102)은 팽창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3에어백(103), 제4에어백(104) 및 제5에어백(105)은 수축하고, 제6에어백(106)은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도 6에서 볼 때, 제3측면 측이 제4측면 측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은 부력의 차이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박블록(10)은 제3측면 측이 자중에 의해 도크(1)의 바닥면을 향해 가라앉으며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에어백(101) 및 제2에어백(102)은 수축하고, 제3에어백(103)은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축하였던 제4에어백(104) 및 제5에어백(105)은 다시 팽창하고, 제6에어백(106)은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6개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은 도 7에서 볼 때 선박블록(10)이 회전하는 시계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차례로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은 부력의 차이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에어백(101) 및 제2에어백(102)은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축하였던 제3에어백(103)은 다시 팽창하고, 제4에어백(104), 제5에어백(105) 및 제6에어백(106)은 팽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은 부력의 차이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반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블록(10)은 제1측면이 도크(1)의 바닥면을 향하고, 제2측면이 도크(1)의 개방된 상측면을 향하도록 상하반전될 수 있다.
이때, 상하반전된 선박블록(10)은 팽창한 에어백(103, 104, 105, 106)의 부력에 의해 부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크(1)에서 물을 배출하고, 선박블록(10)을 도크(1)에 안착시킨다(S160).
이 경우, 상하반전된 선박블록(10)은 도 9와 같이 도크(1)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도크(1)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예컨대, 선박블록은 도 9와 같이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중 제1에어백(101) 및 제2에어백(102)이 수축한 상태에서, 제3에어백(103), 제4에어백(104), 제5에어백(105) 및 제6에어백(106)이 팽창한 상태에서 하강할 수 있다.
또는, 선박블록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에어백이 모두 팽창한 상태에서 하강할 수 있다.
도크(1)에서 물이 배출된 후, 상하반전된 선박블록(10)은 도 10과 같이 도크(1)에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블록(10)은 도 10에서 볼 때 의장품(15)이 설치된 제1측면이 도크(1)의 바닥면을 향하고, 제2측면이 도크(1)의 개방된 상측면을 향하도록 상하반전된 상태에서 도크(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선박블록(10)은 지지부재(50)에 지지되어 도크(1)에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50)는 도 10과 같이 선박블록(10)의 제1측면과 도크(1)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50)는 의장품(15)이 도크(1)의 바닥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에어백은 선박블록에서 제거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방법은, 복수의 에어백(101, 102, 103, 104, 105, 106) 각각이 수축 또는 팽창하여 제공하는 부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선박블록(10)을 턴오버시킴으로써, 턴오버 과정에 선박블록(10)이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될 필요가 없어, 의장품(15)이 선행 설치된 상태에서 선박블록(10)을 용이하게 턴오버시킬 수 있고, 턴오버 과정에 의장품(1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방법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박블록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도크에서 수행되므로, 도크의 크기 또는 선박블록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도크에 복수의 선박블록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방법은 복수의 선박블록을 동시에 턴오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도크
10: 선박블록
15: 의장품
50: 지지부재
101, 102, 103, 104, 105, 106: 에어백

Claims (4)

  1. 선박블록을 도크에 안착시키는 (a)단계;
    상기 선박블록에 복수의 에어백을 설치하는 (b)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을 모두 팽창시키는 (c)단계;
    상기 선박블록이 부상하도록 상기 도크에 물을 주입하는 (d)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백 각각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선박블록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시키는 (e)단계; 및
    상기 도크에서 물을 배출하고, 상기 선박블록을 상기 도크에 안착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에어백은 상기 선박블록의 외측면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도크에는 상기 선박블록이 상하반전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위로 물이 주입되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 사이에, 또는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 사이에, 또는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 사이에,
    상기 선박블록에는 의장품이 선행 설치되고,
    상기 선행 설치된 의장품 중 적어도 일부를 수밀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KR1020170180088A 2017-12-26 2017-12-26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KR10203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88A KR102039591B1 (ko) 2017-12-26 2017-12-26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88A KR102039591B1 (ko) 2017-12-26 2017-12-26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57A KR20190078257A (ko) 2019-07-04
KR102039591B1 true KR102039591B1 (ko) 2019-11-01

Family

ID=6725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88A KR102039591B1 (ko) 2017-12-26 2017-12-26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5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3510A1 (en) 2002-10-22 2004-04-28 ABC Arkenbouw B.V. Method for turning over a concrete bod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ncrete vessel hull
JP2011219095A (ja) 2005-06-27 2011-11-04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船舶の付加浮力進水工法及びその装置
US20120312215A1 (en) 2009-08-14 2012-12-13 Lyons Tim Buoyancy system
KR101235248B1 (ko)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1313250B1 (ko) 2010-12-17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설비의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3510A1 (en) 2002-10-22 2004-04-28 ABC Arkenbouw B.V. Method for turning over a concrete bod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ncrete vessel hull
JP2011219095A (ja) 2005-06-27 2011-11-04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船舶の付加浮力進水工法及びその装置
US20120312215A1 (en) 2009-08-14 2012-12-13 Lyons Tim Buoyancy system
KR101313250B1 (ko) 2010-12-17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설비의 건조방법
KR101235248B1 (ko)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57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699B2 (ja) 船舶の付加浮力進水工法及びその装置
KR20160098015A (ko)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
KR102039591B1 (ko) 선박블록의 턴오버방법
KR20130072801A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101078434B1 (ko) 부양식 도크를 이용한 2척 선박 건조 방법
KR20110130018A (ko) 선박 건조방법
JP4983367B2 (ja) 空気式防舷材の係留方法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50049808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KR102620637B1 (ko) 부력 보강용 에어백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JP2017520454A (ja) 接合式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および拡張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
KR20090009601U (ko) 플로팅 도크에서 선체의 이동 방지를 위한 스토퍼 장치
RU2124455C1 (ru) Плавуча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KR20090010610A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KR102539656B1 (ko) 블럭 조인트 해상 작업 공법
KR101140399B1 (ko) 확장형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20170112423A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102442556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연료 로딩방법 및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연료 공급방법
KR20170124714A (ko) 플로팅 도크에서의 선박 또는 해양 부유체 건조 공법
JP5153076B2 (ja) 船舶の付加浮力進水工法
SU1154143A1 (ru) Способ постановки плавучего средства в д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101623393B1 (ko) 선박의 건조 및 진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