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533B1 - 전성기 - Google Patents

전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533B1
KR102039533B1 KR1020157020519A KR20157020519A KR102039533B1 KR 102039533 B1 KR102039533 B1 KR 102039533B1 KR 1020157020519 A KR1020157020519 A KR 1020157020519A KR 20157020519 A KR20157020519 A KR 20157020519A KR 102039533 B1 KR102039533 B1 KR 10203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ember
membrane
holding
holding member
pr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343A (ko
Inventor
료 간노
쇼코 마쓰다
Original Assignee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3/00Cones, diaphragms, or the like, for emitting or receiving sound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며,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에서 명료하게 청취하게 할 수 있는 전성기를 제공한다. 장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성기 유닛에 있어서, 이 전성기 유닛의 전성기 본체는, 음성을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전파 가능한 막 부재와, 막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막 부재는 열수축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된 상태에서, 막 부재가 가열되어 수축되는 것에 의해, 막 부재의 거의 전체면에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 부재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성기{VOICE TRANSMITTER}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각종 물질이나 상태로부터 장착자의 호흡을 확보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방호(防護) 마스크나 방호복(防護服)에 사용되는 전성기[전성기(傳聲器); voice transmitt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물질이나 상태 중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호흡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호 마스크나 방호복이 존재한다. 이들 방호 마스크나 방호복은, 그 방호 마스크나 방호복을 장착한 장착자(이하 단지 「장착자」라고 함,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같음)의 입가나 얼굴 전체를 덮은 상태로 되므로, 장착자가 발화(發話)한 음성이 외부로 전파(傳播)되기 어려워져,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인이 명료하게 청취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방호 마스크나 방호복에,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로 명료하게 전파시키기 위한 전성기를 설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의 전성기는, 장착자의 입가 등을 덮은 상태에서, 음성을 외부로 전파시키기 위해, 전성막(傳聲膜)을 사용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2―219185호 공보
전성기에 있어서, 충분한 전성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성막을, 소정의 긴장(緊張)이 주어진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 문헌 1의 전성기에 있어서는, 커버에 내측 환형(環形) 리브(rib)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우징(housing)에 볼록형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 간에 전성막을 끼워넣음으로써, 이 전성막에 소정의 긴장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이 긴장이 주어진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도가 높은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며,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에서 명료하게 청취하게 할 수 있는 전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음성을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전파 가능한 막 부재와, 상기 막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한, 장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성기로서, 상기 막 부재는 열수축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막 부재가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막 부재가 가열되어 수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막 부재의 거의 전체면에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지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기 막 부재로 막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막 부재의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막 부재에 주어지는 긴장의 크기가 소정값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성기는, 막 부재는 열수축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된 상태에서, 막 부재가 가열되어 수축되어, 막 부재의 거의 전체면에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 부재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된 상태로 막 부재를 가열하면 막 부재가 수축된다. 그러므로, 유지 부재에 복잡한 형상이나 구성을 고안하거나, 유지 부재를 구성하는 부품끼리를 강한 힘을 가하여 끼워맞추거나 하지 않아도, 막 부재가, 거의 전역(全域)에 유지 부재에 의한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 부재에 유지되어, 막 부재가 주름지거나 또는 늘어지는 것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며,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에서 명료하게 청취하게 할 수 있는 전성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유지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 부재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막 부재를 가열하여 수축시킴으로써, 막 부재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막 부재에 대한 긴장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막 부재의 주름지거나 늘어짐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지하여,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에서 한층 명료하게 청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막 부재에 주어지는 긴장의 크기를, 상기 막 부재의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정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이 막 부재를 투과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성기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에서의 전성기 본체의 구성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에서의 전성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을 방호 마스크에 사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을 방호복에 사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의 제1 변형예를 구성하는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의 제2 변형예를 구성하는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전성기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전성기 본체 구성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b는 상기 실시형태 3의 전성기 유닛에서의 전성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전성기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전성기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성기 유닛을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다.
먼저, 구성을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이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10)은, 도 3에 나타낸 방호 마스크(110)나, 도 4에 나타낸 방호복(120)에 설치되어, 방호 마스크(110)나 방호복(120)을 장착한 장착자(100)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이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10)은, 전성기 본체(11)와, 커버 부재(14)와, 탑재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 1의 전성기 본체(11)는, 막 부재(12)와, 유지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막 부재(12)는, 열수축성의 재질,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막 부재(12)는, 이들 재질에 의해, 막 두께 필름형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음성을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전파 가능하다. 막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0.01∼0.2㎜ 정도의 막 두께로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막 부재(12)의 막 두께는 약 0.05㎜로 형성되어 있다. 단, 막 부재(12)는, 열수축성의 성질을 가지고, 또한 한쪽[즉 전성기 유닛(10)의 내측]으로부터 장착자(100)의 발화한 음성을, 다른 쪽[즉 전성기 유닛(10)의 외측]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되고, 또한 어떠한 막 두께라도 된다.
막 부재(12)는, 전체 형상이 유지 부재(1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막 부재(12)의 형상은, 유지 부재(13)의 외측 에지 형상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해도 되지만, 유지 부재(13)와 마찬가지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지 부재(13)는, 강성(剛性)이 높은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13)는,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유지 부재(13)는,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성기 본체(11)는, 커버 부재(14)와 탑재부(15) 사이에 협지된다.
커버 부재(14)는, 강성이 높은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의 부재 본체부(1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6)의 내경(內徑)은, 전성기 본체(11)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내측에 전성기 본체(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의 일단측에는, 방호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호 부재(17)는, 복수의 봉형 부재(17a)가 병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봉형 부재(17a)의 사이에는 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호 부재(17)의 구성에 의해, 음성의 양호한 전달과 외부로부터의 비래물(飛來物) 등에 의한 전성기 본체(11)의 손상 방지를 도모한다. 그리고, 방호 부재(17)는, 음성의 양호한 전달과 전성기 본체(11)의 손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예를 들면, 복수의 판형체를 경사지게 병설시킨 것이나,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나, 다수의 작은 구멍부가 형성된 것 등)이라도 된다.
부재 본체부(16)의 하단부에는, 걸림부(19)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19)의 선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클로우부(claw portion)가 형성되고, 이 클로우부는 후술하는 탑재부(15)에 걸린다.
탑재부(15)는,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에서의, 사용 시에 장착자(100)의 입가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부분의 표면측에 설치된다. 탑재부(15)는, 강성이 높은 수지 등에 의해,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탑재부(15)의 외경(外徑)은, 전성기 본체(11)의 외경과 대략 일치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재부(15)는,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에 접합되어 있거나,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해도 되고,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또한, 전성기 유닛(10)의 전체가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에 접합되어 있거나, 방호 마스크(110) 또는 방호복(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즉, 전성기 유닛(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방호 마스크(110)나 방호복(1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방호 마스크(110)는, 예를 들면, 방독 마스크나, 방진 마스크, 에어 라인 마스크, 공기 호흡기 등으로서, 먼지나, 석면(asbestos) 등의 미세한 유독 물질, 및 유독 가스, 유해한 에어로졸이나 미생물, 독소 등으로 오염된 공기로부터 작업자의 호흡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호 마스크(110)의 마스크 본체부(111)에 있어서, 장착자(100)가 장착했을 때, 장착자(100)의 입가에 대응하는 부분에, 이 실시형태의 전성기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111)에는, 먼지나 독물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호 마스크(110)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방호 마스크(110)의 면체(面體) 등은, 도 3에 나타낸 반면형(半面型) 이외의 구성, 예를 들면, 전면형(全面型)이나 페이스 실드라도 된다. 또한, 방호 마스크(110)의 흡기 기구(機構)는, 도 3에 나타낸 여과식 이외에, 예를 들면, 자급식(自給式) 호흡기 등을 구비한 이른바 급기식(給氣式)이라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방호복(120)은, 예를 들면, 화학 방호복, 비래물용 방호복, 낙하용 방호복, 전기 작업용 방호복, 방사선용 방호복, 내화용 방호복, 말벌 구제용 방호복, 방폭(防爆) 방호복 등이다. 도 4에 있어서는, 장착자(100)의 두부(頭部)로부터 어깨에 걸쳐 덮는 후드형의 방호복(120)을 나타낸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형식의 방호복이라도 된다.
방호복(120)의 방호복 본체부(121)는, 먼지나 독물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의 생지(生地; sheet)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방호복 본체부(121)에서, 장착자(100)가 장착했을 때 장착자(100)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명한 윈도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방호복(120)에는, 중앙 개구부(123)가 형성되고, 이 중앙 개구부(123)에 탑재부(15)가 설치되는 동시에, 전성기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개구부(123)의 양 측부에는, 측방 개구부(124)가 개구 형성되고, 이 측방 개구부(124)에는 필터 부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전성기 유닛(10) 및 필터 부재(112)는, 장착자(100)가 방호복 본체부(121)의 내부에서 장착하고 있는 마스크(125)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방호복(120)을 장착한 장착자(100)의 호흡의 확보와, 발화한 음성의 외부로의 전파를 도모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방호복 본체부(121)에서, 장착자(100)가 장착했을 때 장착자(100)의 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방호복(120)의 장착자(100)에 외부의 음을 용이하게 청취하기 위한 청취 유닛(1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청취 유닛(126)은, 전성기 유닛(10)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형성하여, 방호복(120)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방호복(120)은, 기본적으로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장착자(100)의 두부로부터 어깨에 걸쳐 덮는 구성 대신에, 장착자(100)의 전신을 덮는 슈트형이라도 된다. 또한, 방호복(120)에서, 장착자(100)의 안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되고, 장착자(100)의[마스크(125)를 장착한 상태의] 얼굴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방호복(120) 내부에 청정화된 공기를 송기(送氣)하는 송기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장착자(100)가 방호복(120) 중에서 마스크(125)를 장착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전성기 본체(11)의 제조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13)의 한쪽 면에 막 부재(12)를 탑재한다. 이 때, 유지 부재(13)의 한쪽 면의 전역을 막 부재(12)로 덮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막 부재(12)의 주위 에지 측을, 유지 부재(13)의 주위 에지부(13a)를 거쳐 다른 방면 측으로 권취한다. 즉, 막 부재(12)의 둘레 부분은, 유지 부재(13)의,도 2a 중의 하면 측으로 돌아들어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막 부재(12)를 가열하면, 막 부재(12)가 열에 의해 수축된다. 이 때, 이 막 부재(12)의 주위 에지부[즉, 유지 부재(13)의 하면 측으로 돌아들어간 부분]도 수축하여, 유지 부재(13)를 내측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막 부재(12)는, 긴장을 유지한 상태로, 유지 부재(13)를 덮도록 하여, 이 유지 부재(13)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긴장에 의해, 막 부재(12) 중, 유지 부재(13)의 상면측에 배치된 부분은,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의 단계에 의해, 전성기 본체(11)가 완성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전성기 유닛(10)의 사용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방호 마스크(110)에 있어서 이 전성기 유닛(10)을 사용하는 경우, 장착자(100)는,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성기 본체(11)를 커버 부재(14)의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이 커버 부재(14)를 방호 마스크(110)의 탑재부(15)에 탑재하여, 걸림부(19)의 클로우 부분(claw portion)을 탑재부(15)에 걸리게 하여, 전성기 본체(11)를 커버 부재(14)와 탑재부(15)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한다. 이로써, 전성기 유닛(10)을 방호 마스크(110)에 장착시킨다.
장착자(100)는, 전성기 유닛(10)을 장착한 방호 마스크(110)를 입가 부분에 설치하고, 끈 부분을 귀에 걸쳐 방호 마스크(110)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 장착자(100)는 방호 마스크(1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호복(120)에 있어서 이 전성기 유닛(10)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방호복(120)의 탑재부(15)에 전성기 본체(11)를 수용한 커버 부재(14)를 탑재하여, 전성기 유닛(10)을 방호복(120)에 장착한 상태로 한 후, 장착자(100)가 방호복(120)을 장착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 1의 전성기 유닛(10)의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바꾸면서, 복수 종류의 유지 부재(13)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들 유지 부재(13)에 대하여, 음성의 저주파 영역(여기서는 700 헤르츠로 하였음)과 고주파 영역(여기서는 3200 헤르츠로 하였음)에 대하여, 음성의 투과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여기서는, 막 부재(12)로서, 두께 15㎛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막 부재(12) 중, 음성의 투과에 기여하는 영역은, 직경 36 밀리미터의 원형 영역으로 하였다. 또한, 이 측정은, 측정기로서 리온 주식회사 제조의 정밀 소음계(騷音計) NL―52를 사용하고, 70[dB]의 음성을, 1미터 이격된 위치에서 2분간 계측함으로써, 행하였다.
도 11은, 측정 결과의 일부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온도가 140℃에서 가열 시간이 30초의 경우, 막 부재(12)에 가해지는 긴장(즉, 도 11의 막압)은 18.5[g/㎠]이며,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성의 투과율은 59.9[dBA]였다. 그리고, 700[Hz]의 음성의 투과율이 37.5[dBA]인데 대하여, 3200[Hz]의 음성의 투과율은 5.6[dBA]였다.
한편, 가열 온도가 160℃에서 가열 시간이 60초의 경우, 막 부재(12)에 가해지는 긴장은 28.3[g/㎠]이며,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성의 투과율은 57.7[dBA]였다. 그리고, 700[Hz]의 음성의 투과율이 14.8[dBA]인데 대하여, 3200[Hz]의 음성의 투과율은 18.8[dBA]였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온도나 가열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막 부재(12)의 긴장의 값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긴장이 작은 경우에는 음성의 저주파수 영역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한편, 이 긴장이 큰 경우에는 음성의 고주파수 영역의 투과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음성이 낮은 장착자는 막 부재(12)의 긴장이 작은 전성기 유닛(10)을 사용하는 쪽이 음성을 외부로 전반(傳搬)하기 쉽고, 또한 음성이 높은 장착자는 막 부재(12)의 긴장이 큰 전성기 유닛(10)을 사용하는 쪽이 음성을 외부로 양호하게 전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에서는,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막 부재(12)의 긴장의 값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음질에 맞추어(예를 들면, 성별이나 연대 등에 맞추어) 막 부재(12)의 긴장의 값을 조정하여, 음성을 외부로 양호하게 전반할 수 있는 전성기 유닛(10)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 중 한쪽만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도, 막 부재(12)의 긴장의 값을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막 부재(12)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11)의 막 부재(12)는 열수축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막 부재(12)가 유지 부재(13)에 유지된 상태에서, 막 부재(12)가 가열되어 수축되는 것에 의해, 막 부재(12)의 거의 전체면에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 부재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막 부재(12)가 유지 부재(13)에 유지된 상태에서 막 부재(12)를 가열하면 막 부재(12)가 수축된다. 그러므로, 유지 부재(13)에 복잡한 형상이나 구성을 고안하거나, 유지 부재(13)를 구성하는 부품끼리를 강한 힘을 가하여 끼워맞추거나 하지 않아도, 막 부재(12)가, 거의 전역에 유지 부재(13)에 의한 긴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 부재(13)에 유지되어, 막 부재(12)의 주름지거나 늘어짐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며,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외부에서 명료하게 청취하게 할 수 있는 전성기 본체(11)나 전성기 유닛(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13)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 또는 임의의 형상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유지 부재(13)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 부재로 막도록 구성된 것에 의해, 막 부재(12)를 가열하여 수축시킴으로써, 막 부재(12)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막 부재(12)에 대한 긴장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막 부재(12)의 주름지거나 늘어짐의 발생을 한층 확실하게 억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막 부재(12)에 주어지는 긴장의 크기를, 이 막 부재(12)의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이 막 부재(12)를 투과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음질에 맞추어 막 부재(12)의 긴장을 양호한 정밀도로 조정하여, 음성을 외부로 양호하게 전반할 수 있는 전성기 유닛(10)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 1의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는, 전성기 유닛(10)의 전성기 본체(11)에 있어서, 유지 부재(13)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 부재(13)가 프레임형을 이루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제1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성기 유닛(10)의 전성기 본체(11), 커버 부재(14), 탑재부(15)를, 각각,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전성기 본체(11)의 유지 부재(13)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때에도, 막 부재(12)는 유지 부재(13)의 전체 형상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이 때, 커버 부재(14)의 부재 본체부(16)는 대략 사각기둥형으로 형성하고, 탑재부(15)를 평면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6의 제2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성기 유닛, 커버 부재(14), 탑재부를,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이른바 표주박형(한 쌍의 볼록형의 곡면과, 한 쌍의 오목형의 곡면으로 형성된 형상) 등, 오목형의 곡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전성기 본체(11), 커버 부재(14), 탑재부(15)를,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예를 들면, 대략 5각형이나 대략 육각형 등의 임의의 대략 다각형으로 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부에 대략 오목형으로 되는 곡면이나 직선의 집합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전성기 본체(11)나, 그에 더하여 커버 부재(14)나 탑재부(15)를, 임의의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성기 본체(11)를 콘형(움푹 들어간 원추형)이나 돔형[부푼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하고, 커버 부재(14)나 탑재부(15)를, 전성기 본체(11)의 형상에 적합한 오목형이나 볼록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성기 본체(11)의 유지 부재(13)를 콘형이나 돔형의 골조로서 형성하고, 이 골조에 막 부재(12)를 탑재시켜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전성기 본체(11)를 콘형이나 돔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장착자(100)가 발화한 음성의 지향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13)는, 막 부재(12)를 고착시킨 상태에서 막 부재(12)를 긴장시켜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는 구성이면, 프레임형 이외의 임의의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유지 부재(13)는, 대략 「コ」자형이나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한 쌍의 봉형(棒形)의 부재를 대략 평행하게 대향시킨 것으로서 구성되며, 유지 부재(13)의 내측에 설치되는 막 부재(12)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성기 유닛(10)을, 방호 마스크(110)나 방호복(120)의 형상이나 사양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도록, 자유롭게 형성하면서, 전성기 본체(11)에 있어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막 부재(12)를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성기 유닛(10)이나 전성기 본체(11)의 형상 선택의 자유도가 상승하고, 방호 마스크(110)나 방호복(120)의 설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2]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의 전성기 본체(11) 대신에, 전성기 본체(21)를 구비한다. 이 전성기 본체(21)는, 막 부재(22)와, 한 쌍의 유지 부재(23a, 23b)를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낸, 이 실시형태 2의 막 부재(22)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막 부재(22)의 직경은, 유지 부재(23a, 23b)의 직경(외경)과 같아도 되고, 유지 부재(23a, 23b)의 직경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그리고, 막 부재(22)의 형상은, 유지 부재(23a, 23b)의 내경보다 작지 않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는, 각각, 원환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막 부재(22)를 협지(sandwich)한다. 각각의 유지 부재(23a, 23b)의 직경은 같게 해도 되고, 예를 들면, 한쪽 유지 부재(23a)의 직경이 예를 들면, 다른 쪽 유지 부재(23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21)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부재(22)를 한 쌍의 유지 부재(23a, 23b)의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막 부재(22)를, 한 쌍의 유지 부재(23a, 23b)로 협지하여 원하는 방법으로 고착시킨 후, 막 부재(22)를 가열함으로써, 막 부재(22)를 긴장시켜, 막 부재(22)를,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유지 부재(23a, 23b)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유지 부재(23a, 23b)의 직경이 각각 상이한 경우에는, 막 부재(22)를, 유지 부재(23a, 23b)로 협지한 상태에서, 직경이 큰 유지 부재, 예를 들면, 유지 부재(23a)의 주위 에지부를, 직경의 작은 유지 부재, 예를 들면, 유지 부재(23b) 측으로 접어넣어,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 유지 부재(23a, 23b)에 유지시켜도 된다.
이 실시형태 2의 전성기 유닛의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를 측정한 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결과 (도 11 참조)를 얻었다.
이상,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21)에 있어서, 막 부재(22)를 한 쌍의 유지 부재(23a, 23b)로 협지하여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으므로, 막 부재(22)가 유지 부재(23a, 23b)로부터 박리(剝離)되도록 하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막 부재(22)가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인 전성기 본체(21)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23a, 23b)의 형상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환형 이외라도 되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 1과 같다.
[발명의 실시형태 3]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의 전성기 본체(11), 실시형태 2의 전성기 본체(21) 대신에, 전성기 본체(31)를 구비한다. 이 전성기 본체(31)는, 막 부재(32)와, 한 쌍의 유지 부재(33a, 33b)를 구비한다. 막 부재(32)는, 실시형태 2의 막 부재(2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유지 부재(33a, 33b)는,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와 마찬가지로, 원환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막 부재(32)를 협지한다. 단, 유지 부재(33b)의 주위 에지부 근방에는 절곡부(34b)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와 상위하다. 이 절곡부(34b)는, 유지 부재(33a, 33b)를 적층시켰을 때, 이 유지 부재(33a)의 외측 에지부를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31)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부재(32)를 한 쌍의 유지 부재(33a, 33b)의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부재(32)를, 한 쌍의 유지 부재(33a, 33b)로 협지하고, 절곡부(34b)를 내측(도 8a의 화살표로 나타낸 동 도면 위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고착시킨다(도 8b의 확대도 참조). 이 상태에서, 막 부재(32)를 가열함으로써, 막 부재(32)를 긴장시켜, 막 부재(32)를,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유지 부재(33a, 33b)에 유지시킨다.
이 실시형태 3의 전성기 유닛의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를 측정한 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결과(도 11 참조)를 얻었다.
이상,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31)에 있어서, 막 부재(32)를 한 쌍의 유지 부재(33a, 33b)로 협지하고, 절곡부(34b)로 절곡하여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으므로, 막 부재(32)가 유지 부재(33a, 33b)로부터 박리되는 사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막 부재(32)가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인 전성기 본체(31)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33a, 33b)의 형상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환형 이외라도 되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 1과 같다.
[발명의 실시형태 4]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내지 3의 전성기 본체(11, 21, 31) 대신에, 전성기 본체(41)를 구비한다. 이 전성기 본체(41)는, 막 부재(42)와, 한 쌍의 유지 부재(43a, 43b)를 구비한다. 막 부재(42)는, 실시형태 2의 막 부재(2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유지 부재(43a, 43b)는,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와 마찬가지로, 원환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막 부재(42)를 협지한다. 단, 유지 부재(43b)의 내측(도 9에서의 위쪽)에는 코킹(caulking)용 볼록부(44)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b)와 상위하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41)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부재(42)를 한 쌍의 유지 부재(43a, 43b)의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막 부재(42)를, 한 쌍의 유지 부재(43a, 43b)로 협지한다(도 9의 확대도의 「코킹 전」 상태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유지 부재(43a, 43b)의 주위 에지부 근방을, 사이에 막 부재(42)를 협지한 상태인 채 코킹하여, 유지 부재(43a)의 주위 에지부로 막 부재(42)의 주위 에지부와 유지 부재(43b)의 주위 에지부를 위요(圍繞)한 상태로 고착시킨다(도 9의 확대도의 「코킹 후」 상태 참조). 이 상태에서, 막 부재(42)는, 어느 정도 긴장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막 부재(42)를 가열함으로써, 막 부재(42)를 긴장시켜, 막 부재(42)를,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유지 부재(43a, 43b)에 유지시킨다.
이 실시형태 4의 전성기 유닛의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를 측정한 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결과 (도 11 참조)를 얻었다.
이상, 이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41)에 있어서, 막 부재(42)를 한 쌍의 유지 부재(43a, 43b)를 코킹함으로써, 코킹용 볼록부(44)에 있어서 막 부재(42)에 어느 정도의 긴장을 부여하고, 이 상태에서 막 부재(42)를 가열시켜 수축시킴으로써, 막 부재(42)에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막 부재(42)를 유지 부재(43a, 43b)로 협지하여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으므로, 막 부재(42)가 유지 부재(43a, 43b)로부터 박리되는 사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막 부재(42)가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인 전성기 본체(41)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43a, 43b)의 형상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환형 이외라도 되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 1과 같다.
[발명의 실시형태 5]
도 10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의 전성기 본체(11, 21, 31, 41) 대신에, 전성기 본체(51)를 구비한다. 이 전성기 본체(51)는, 막 부재(52)와, 한 쌍의 유지 부재(53a, 53b)를 구비한다. 막 부재(52)는, 실시형태 2의 막 부재(2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유지 부재(53a, 53b)는,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와 마찬가지로, 원환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막 부재(52)를 협지한다. 단, 유지 부재(53a)의 내측(도 10에서의 아래쪽)에는 끼워맞춤 볼록부(54a)가, 유지 부재(53b)의 내측(도 10에서의 위쪽)에는 피끼워맞춤 오목부(5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2의 유지 부재(23a, 23b)와 상위하다. 이들 끼워맞춤 볼록부(54a), 피끼워맞춤 오목부(54b)는, 유지 부재(53a, 53b)를 적층시켰을 때,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51)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부재(52)를 한 쌍의 유지 부재(53a, 53b)의 사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막 부재(52)를, 한 쌍의 유지 부재(53a, 53b)로 협지한다. 이 때, 유지 부재(53a)의 끼워맞춤 볼록부(54a)와 피끼워맞춤 오목부(54b)를, 사이에 막 부재(52)를 협지한 상태인 채 끼워맞추어 고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막 부재(52)를 가열함으로써, 막 부재(52)를 긴장시켜, 막 부재(52)를,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유지 부재(53a, 53b)에 유지시킨다.
이 실시형태 5의 전성기 유닛의 가열 조건과 주파수 특성과의 관계를 측정한 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결과(도 11 참조)를 얻었다.
이상, 이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전성기 본체(51)에 있어서, 막 부재(52)를 한 쌍의 유지 부재(53a, 53b)의, 끼워맞춤 볼록부(54a)와 피끼워맞춤 오목부(54b)를 끼워맞추어 협지하여 견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으므로, 막 부재(52)가 유지 부재(53a, 53b)로부터 박리되는 사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막 부재(52)가 주름지거나 늘어짐이 없는 상태인 전성기 본체(51)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 부재(53a, 53b)의 형상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환형 이외라도 되는 것은, 상기 실시형태 1과 같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막 부재(12)를 유지 부재(13)에 탑재하거나, 막 부재(22, 32, 42, 52)를 유지 부재[(23a 및 23b), (33a 및 33b), (43a 및 43b), (53a 및 53b)]로 협지하거나 한 후에 막 부재(12, 22, 32, 42, 52)를 가열하여 수축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한편, 그 대신에, 막 부재(12) 및 유지 부재(13), 막 부재(22) 및 유지 부재(23a, 23b), 막 부재(32) 및 유지 부재(33a, 33b), 막 부재(42) 및 유지 부재(43a, 43b), 막 부재(52) 및 유지 부재(53a, 53b)의 각각을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의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막 부재(12) 및 유지 부재(13), 막 부재(22) 및 유지 부재(23a, 23b), 막 부재(32) 및 유지 부재(33a, 33b), 막 부재(42) 및 유지 부재(43a, 43b), 막 부재(52) 및 유지 부재(53a, 53b)의 각각을 용접기 용착(溶着) 등에 의해 접착시킨 후, 막 부재(12, 22, 32, 42, 52)를 가열하여 수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막 부재(12) 및 유지 부재(13), 막 부재(22) 및 유지 부재(23a, 23b), 막 부재(32) 및 유지 부재(33a, 33b), 막 부재(42) 및 유지 부재(43a, 43b), 막 부재(52) 및 유지 부재(53a, 53b)를, 각각 견고하게 접속시키면서, 막 부재(12, 22, 32, 42, 52)의 주름지거나 늘어짐을 한층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은, 물론이다.
10: 전성기 유닛
11, 21, 31, 41, 51: 전성기 본체
12, 22, 32, 42, 52: 막 부재
13, 23a, 23b, 33a, 33b, 43a, 43b, 53a, 53b: 유지 부재
100: 장착자

Claims (6)

  1. 장착자의 적어도 입가를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세정 공기를 제공하는 흡기 기구(機構);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자에 의해 발화(發話)된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성기(voice transmitter) 유닛;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로부터 상기 장착자의 호흡을 보호하는 방호(防護) 부재의, 상기 전성기 유닛에 사용되는 전성기로서,
    닫힌 소정 형상의 프레임형의 유지 부재; 및
    상기 유지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 전체를 막고, 음성의 전반(傳搬)이 가능한 열수축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자가 발화한 음성을 한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전반하기 위한 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막 부재로 개구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막 부재를 열수축시켜, 상기 막 부재의 전체면에 긴장(緊張) 상태를 부여함으로써, 주름지거나 느슨해짐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막 부재를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유지 부재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밀봉 상태에서 상기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전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한쪽 면의 전역(全域)을 상기 막 부재로 덮고,
    상기 막 부재의 주위 에지부를, 상기 유지 부재의 다른 쪽 면으로 돌려넣고,
    그 후, 상기 막 부재를, 장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가열하여, 열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막 부재를, 그 긴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시키는, 전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부재의 주위 에지부를, 상기 유지 부재에, 장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고착하고,
    그 후, 상기 막 부재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막 부재를, 그 긴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시키는,
    전성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부재의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막 부재에 주어지는 긴장의 크기가 소정값으로 조정되는, 전성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개구부는, 정면에서 볼 때, 한 쌍의 볼록형의 곡면과 한 쌍의 오목형의 곡면으로 형성된 형상인, 전성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개구부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인, 전성기.
KR1020157020519A 2013-02-15 2014-02-12 전성기 KR102039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7642 2013-02-15
JP2013027642 2013-02-15
JPJP-P-2014-019979 2014-02-05
JP2014019979A JP5759032B2 (ja) 2013-02-15 2014-02-05 伝声器
PCT/JP2014/053139 WO2014126083A1 (ja) 2013-02-15 2014-02-12 伝声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343A KR20150120343A (ko) 2015-10-27
KR102039533B1 true KR102039533B1 (ko) 2019-11-01

Family

ID=5135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519A KR102039533B1 (ko) 2013-02-15 2014-02-12 전성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2410B2 (ko)
JP (1) JP5759032B2 (ko)
KR (1) KR102039533B1 (ko)
CN (1) CN105073205B (ko)
MY (1) MY184392A (ko)
WO (1) WO2014126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334B2 (en) * 2015-10-22 2022-03-15 Scott Technologies, Inc.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US20180000173A1 (en) * 2016-06-29 2018-01-04 Garry Tsaur Mask With a Sound-transmitting Structure
US10856591B2 (en) * 2017-08-29 2020-12-08 To2M Corporation Breathable mask capable of transmitting sound
KR101953988B1 (ko) * 2017-08-31 2019-03-04 프랭크 자우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통기성 마스크
GB201808993D0 (en) * 2018-06-01 2018-07-18 Avon Polymer Prod Ltd Speech diaphram module for a respirator mas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29A (ja) * 1998-12-28 2000-07-11 Koken Ltd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JP2002027582A (ja) * 2000-07-03 2002-01-25 Nec Viewtechnology Ltd スピー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130A (en) * 1964-03-10 Respirator with speaking diaphragm
US1730227A (en) * 1923-03-31 1929-10-01 Lewis M Mcbride Gas mask
US3140754A (en) * 1954-02-12 1964-07-14 Armard V Motsinger Gas mask speech transmission
US3109425A (en) * 1960-03-04 1963-11-05 Electric Storage Battery Co Respirator speaking diaphragm and exhalation valve unit
US3834231A (en) * 1973-04-17 1974-09-10 Tokyo Toyo Rubber Ind Co Ltd Flexible diaphragms for gas meter
US5038459A (en) * 1987-03-04 1991-08-13 Hosiden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aphragm unit of a condenser microphone by electron beam welding
JPH07185027A (ja) 1993-11-16 1995-07-2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耳掛け付顔面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95537A (en) * 1997-10-09 1999-04-20 Campbell; Richard G. Sonic welded gas mask and process
DE19845572C2 (de) * 1998-10-02 2002-06-06 Draeger Safety Ag & Co Kgaa Sprechübertrager für eine Atemschutzmaske
JP3376329B2 (ja) * 1999-10-22 2003-02-10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振動膜及び平面スピーカ
JP3408476B2 (ja) * 1999-11-19 2003-05-19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平面スピーカシステム
JP3457596B2 (ja) * 1999-11-19 2003-10-20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Usb対応スピーカ駆動システム
JP2001275187A (ja) * 2000-03-24 2001-10-05 Nec Viewtechnology Ltd 平面スピーカ
JP3921515B2 (ja) * 2001-01-26 2007-05-30 興研株式会社 防護マスク用伝声装置
JP4659519B2 (ja) * 2005-05-25 2011-03-3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振動板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CN101102622B (zh) * 2006-07-07 2011-12-14 欧力天工股份有限公司 振动膜组装体的制造方法以及电容式传声器
CN201410243Y (zh) * 2009-06-09 2010-02-24 无锡市华信安全设备有限公司 带传声装置的防毒防尘半面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29A (ja) * 1998-12-28 2000-07-11 Koken Ltd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JP2002027582A (ja) * 2000-07-03 2002-01-25 Nec Viewtechnology Ltd スピー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083A1 (ja) 2014-08-21
US9592410B2 (en) 2017-03-14
KR20150120343A (ko) 2015-10-27
MY184392A (en) 2021-04-01
CN105073205B (zh) 2017-12-08
CN105073205A (zh) 2015-11-18
JP5759032B2 (ja) 2015-08-05
JP2014176634A (ja) 2014-09-25
US20160001109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533B1 (ko) 전성기
CN104955525B (zh) 呼吸器面罩语音增强装置和方法
JP7426001B2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WO2014030643A1 (ja) 防護服
US6151717A (en) Transparent or translucent earmuff cup
US11865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t test and monitoring for respiratory products
WO2014163796A1 (en) Eyewear spectacle with audio speaker in the temple
WO2019132044A1 (ja) 防水部材及び電子機器
US9833644B2 (en) Air purification respirator voice amplifier
JP6724231B2 (ja) 防水部材及び電子機器
CN111147992A (zh) 用于mems器件的防尘结构及mems麦克风封装结构
CA2386886C (en) Assembly and method for covering small earphones
JP2014176634A5 (ko)
KR20200018625A (ko) 이어피스를 구비한 보호 헬멧
JP3234196B2 (ja)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CN211047216U (zh) 用于mems器件的防尘结构及mems麦克风封装结构
KR200494337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335705B1 (ko) 커버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부재 공급 어셈블리
KR102656412B1 (ko)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US20220312091A1 (en) Conversion element member, and conversion eleme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version element member
CN111330182A (zh) 一种口罩或面罩
US20190366133A1 (en) Speech diaphragm module for a respirator mask
JP2004253656A (ja) 圧力差調節構造体及びマスク
AU2004202194A1 (en) Microphone for a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