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88B1 - 시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88B1
KR102039088B1 KR1020170176313A KR20170176313A KR102039088B1 KR 102039088 B1 KR102039088 B1 KR 102039088B1 KR 1020170176313 A KR1020170176313 A KR 1020170176313A KR 20170176313 A KR20170176313 A KR 20170176313A KR 102039088 B1 KR102039088 B1 KR 10203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unit
fixing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737A (ko
Inventor
최윤희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Abstract

승하강되는 접촉바를 이용하여 시편의 모양에 관계없이 상부면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밀판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편의 중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지지바를 이용하여 굴곡이 있는 시편의 모양에 맞추어 하부면을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는 ⅰ)승하강되는 맞춤유닛, ⅱ) 맞춤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시편을 수용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맞춤유닛은, 메인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 프레임, 접촉실린더와 연결되고 제1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바, 그리고 누름바와 연결되고 시편의 상면을 수평으로 가압하는 접촉바를 포함하고, 고정유닛은, 시편이 놓여지는 고정판, 고정판에 설치되어 시편의 상면 수평 상태로 고정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편 고정 장치{APPARATUS FOR HOLDING SPECIMEN}
시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철강 시편의 성분 분석 장치는 시편의 상면을 가공하여 시편의 중앙부를 측정하고, 시편의 후면을 고정하여 분석기를 통해 시편의 성분을 분석한다.
철강 시편의 성분 분석 장치는 성분 데이터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시편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고, 철강 시편의 상부면이 수평이 되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철강 시편의 성분 분석 장치로 측정자를 이용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측정자를 이용한 장치는 시편의 가장자리 선분들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편의 전체의 중앙부 값을 얻는다. 그러나, 시편이 굴곡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중앙부 값의 정확도가 낮아 질 수 있다.
또한, 측정자를 이용한 장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편의 후면을 분석판에 고정하므로 접착제의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면 시편이 움직일 수 있어 재부착 작업이 필요하다. 재부착 작업이 반복 될 경우, 시편의 오염이 진행되어 작업자가 추가적인 가공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분석 장치의 효율성이 낮아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하강되는 접촉바를 이용하여 시편의 모양에 관계없이 상부면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밀판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편의 중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지지바를 이용하여 굴곡이 있는 시편의 모양에 맞추어 하부면을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는 ⅰ) 승하강되는 맞춤유닛, ⅱ) 맞춤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시편을 수용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맞춤유닛은, 메인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 프레임, 접촉실린더와 연결되고 제1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바, 그리고 누름바와 연결되고 시편의 상면을 수평으로 가압하는 접촉바를 포함하고, 고정유닛은, 시편이 놓여지는 고정판, 고정판에 설치되어 시편의 상면 수평 상태로 고정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는, 고정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시편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바, 지지바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하부실린더, 하부실린더에 연결되고 지지바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바, 연결바에 설치되어 지지바에 밀착되어 지지바를 고정하는 고정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고정패드가 원호(Circular Arc)형상을 가지고, 고정패드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는,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시편의 하부와 맞닿는 안착볼, 지지바의 내부에 위치하고 안착볼의 하부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볼은,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이 연결될 경우 자기화되어 시편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맞춤유닛은,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편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중심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위치 검출부는,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시편의 네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제2 프레임과 연결된 측면실린더, 측면실린더에 연결되고 시편으로 이동되어 시편에 접하는 밀판, 밀판 이동시 제2 프레임과 밀판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시편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밀판은, 밀판과 연결되고 시편의 측면과 맞닿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일측은 스프링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된 터치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는 터치바의 일측 단부와 맞닿으면 맞춤유닛의 하강을 중지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유닛을 맞춤유닛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은 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판, 이송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바와 지지바가 승하강되어 시편의 모양이나 두께에 관계없이 시편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을 통해 시편의 중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시편의 성분의 분석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편의 후면을 고정하는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시편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재부착 작업에 따른 시간을 줄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유닛을 A-A'선을 따라 잘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시편 고정 장치(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시편 고정 장치(1)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 고정 장치(1)는 맞춤유닛(10), 고정유닛(20), 이송유닛(30) 그리고 베이스들(B1, B2, B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베이스(B1)와 상부베이스(B3)는 각각 시편 고정 장치(1)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측면베이스(B2)는 하부베이스(B1)와 상부베이스(B3)를 연결 할 수 있다.
맞춤유닛(10)은 제1 프레임(11), 접촉바(13), 누름바(14), 메인실린더(C1) 그리고 접촉실린더(C2)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유닛(10)은 y축 방향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x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상부베이스(B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의 상부는 메인실린더(C1)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실린더(C1)의 일측은 제1 프레임(1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베이스(B3)와 연통되어 상부베이스(B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실린더(C1)는 제1 프레임(11)을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누름바(14)는 제1 프레임(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누름바(14)의 상부는 접촉실린더(C2)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실린더(C2)의 일측은 누름바(14)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프레임(11)과 연통되어 상부베이스(B3)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실린더(C2)는 누름바(14)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접촉바(13)는 누름바(14)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실린더(C1)가 제1 프레임(11)을 하강시키면 제1 프레임(11)에 연결된 접촉실린더(C2)가 하강하면서 누름바(14)와 접촉바(13)를 하강시킬 수 있다. 접촉바(13)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강할 경우, 시편(S)의 상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접촉바(13)는 시편(S)의 상부를 눌러 시편(S)의 형상에 관계없이 그 상면을 가압하여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접촉바(13)는 고무 또는 탄성체로 제조될 수 있다.
맞춤유닛(10)은 제2 프레임(12), 밀판(15), 측정부(17), 감지부(18), 터치바(19), 스프링(191) 그리고 측면실린더(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은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제1 프레임(11)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프레임(11)의 네 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밀판(15)은 제2 프레임(1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밀판(15)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강할 경우, 시편(S)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밀판(15)은 측면실린더(C3)와 연결될 수 있다. 측면실린더(C3)는 밀판(15)을 x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시킬 수 있다.
밀판(15)이 시편(S)을 향해 전진할 경우, 시편(S)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측정부(17)를 통해 시편(S)의 크기 및 중심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바(19)는 스프링(191)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바(19)는 제2 프레임(12)과 연결될 수 있다. 터치바(19)의 일측은 제2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2 프레임(1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191)은 제2 프레임(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191)의 일측은 감지부(18)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치바(19)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바(19)는 스프링(191)과 연결되어 스프링(191) 작용에 의해 제2 프레임(12)의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이 하강할 경우, 터치바(19)는 고정판(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바(19)가 고정판(21)의 상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프레임(11)이 더 하강하면 터치바(19)의 일측이 감지부(18)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맞춤유닛(10)은 하강을 중지할 수 있다.
고정유닛(20)은 고정판(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20)은 맞춤유닛(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유닛(20)은 맞춤유닛(10)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고정판(21)은 시편(S)을 수용할 수 있다.
이송유닛(30)은 홈부(31), 이송판(32) 그리고 이송실린더(C4)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31)는 하부베이스(B1)의 내측으로 홈이 파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31)는 레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판(32)은 하부베이스(B1)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송판(32)의 상부에는 고정판(2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송판(32)과 고정판(21)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송실린더(C4)는 하부베이스(B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송실린더(C4)는 이송판(32)을 홈부(31)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시편(S)이 고정판(21)의 내부에 안착하면, 이송판(32)은 레일의 상부를 슬라이딩 하면서 z축 방향을 따라 맞춤유닛(10)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시편(S)의 상부 평행을 맞추기 위하여 실린더들(C1, C2)에 의해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접촉바(13) 그리고 누름바(14)가 하강할 수 있다. 접촉바(13)는 시편(S)의 상부면과 접촉하고 시편(S)의 상면을 수평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접촉바(13)는 시편(S)의 최상부에 먼저 맞닿고 더 하강하여 실린더들(C1, C2)이 끝까지 하강하면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시편 고정 장치(1)에서 고정유닛(20)과 이송유닛(30)의 xz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유닛(20)은 고정판(21), 수평지지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201)는 고정판(21)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201)는 시편(S)을 상면 수평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201)는 고정부(22) 및 지지바(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2)는 연결바(27), 고정패드(28), 고정체(29) 그리고 하부실린더(C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23)는 고정판(21)에 복수개로 위치할 수 있다. 지지바(23)는 고정판(21)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지지바(23)는 상부에 안착볼(24)을 포함할 수 있다. 시편(S)은 안착볼(24)과 맞닿아 안착볼(2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7)는 지지바(2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27)는 하부실린더(C5)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실린더(C5)는 고정판(2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실린더(C5)는 연결바(27)를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패드(28)는 연결바(27)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패드(28)는 원호(Circular Arc)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체(29)는 고정패드(28)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체(29)는 지지바(23)와 맞닿을 수 있다.
고정체(29)는 지지바(23)의 하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체(29)는 지지바(23)와 맞닿을 경우, 지지바(23)의 외면 손상 및 슬립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29)는 고정판(21)에 삽입된 지지바(23)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에는 고정부(22)를 일부만 도시하였지만, 고정부(22)는 복수개의 또 다른 연결바(27), 고정패드(28) 그리고 고정체(29)들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지지바(23)를 각각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지지바(23) 전체가 고정부(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시편(S)이 안착볼(24)의 상부에 위치하면, 고정판(21)은 슬라이딩 되면서 z축 방향을 따라 맞춤유닛(10)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하고 접촉바(13)의 가압에 따라 시편(S)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하부실린더(C5)가 x축 방향을 따라 연결바(27)를 이동시키고, 연결바(27)에 연결된 고정패드(28) 및 고정체(29)가 지지바(23)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시편 고정 장치(1)는 고정부(22)를 이용하여 시편(S)의 상부면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시편(S)이 안착된 복수개의 지지바(23)를 고정체(29)가 각각 전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2)는 시편(S)의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하고 시편(S)을 상면 수평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편 고정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시편 고정 장치(1)에서 맞춤유닛(10), 고정유닛(20) 그리고 이송유닛(30)의 xz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밀판(15)과 롤러(16)의 yz단면도를 나타낸다.
맞춤유닛(10)은 중심위치 검출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위치 검출부(101)는 시편(S)의 중심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중심위치 검출부(101)는 제2 프레임(12), 밀판(15), 롤러(16), 측정부(17) 그리고 측면실린더(C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바(13)가 하강하여 시편(S)의 상면을 수평하게 가압할 수 있다. 시편(S)의 상부 평행을 맞추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편 고정 장치(1)는 제2 프레임(12)을 이용하여 시편(S)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밀판(15)은 제2 프레임(1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밀판(15)은 시편(S)을 기준으로 네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시편(S)의 중심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측면실린더(C3)에 의해 밀판(15)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측정부(17)는 밀판(15)의 제2 프레임(12)과 밀판(15)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측정부(17)는 밀판(15)의 이동시, 제2 프레임(12)과 밀판(15)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시편(S)의 중심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측정부(17)는 접촉바(13)가 시편(S)의 상부와 맞닿아 시편(S)의 상면이 수평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12)과 밀판(15)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밀판(15)은 시편(S)을 기준으로 네 측면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측의 중심위치 검출이 완료되면 나머지 측면에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중심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밀판(15)과 제2 프레임(12)의 이격거리를 통해 시편(S)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으며 시편(S)의 성분 분석 작업 시, 시편(S)의 중심 맞춤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실린더들(C1, C2)에 의해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접촉바(13) 그리고 누름바(14)가 상승하고, 이송실린더(C4)에 의해 이송판(32)이 후진할 수 있다. 시편(S)의 상부 평행과 중앙부를 맞추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고정판(21)은 이송판(32)과 분리시킨 후 성분 분석 장치 내부로 이동하여 후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확대원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판(15)은 롤러(16)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6)는 밀판(1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16)는 시편(S)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롤러(16)는 시편(S)의 측면과 접촉하여 시편(S)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편 고정 장치(1)는 시편(S)의 형상이나 굴곡에 관계없이 상부면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시편(S)의 중심 맞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편(S)의 중앙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시편(S)의 성분의 분석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편(S)의 크기가 결정되어 고정판(21)의 중앙에 시편(S)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고정판(21)의 중심을 인지하고 있는 분석 장치가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서 분석작업을 정밀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편의 상부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상부면을 수평하게 유지시키지 못한 상태로 중심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중앙부 값 및 분석 데이터의 정확도가 낮아져 분석 장치의 효율성이 낮아 질 수 있었다.
도 5는 도 2의 고정유닛(20)을 A-A'선을 따라 잘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유닛(20)은 고정판(21), 지지바(23a, 23b), 안착볼(24), 그리고 스프링(25a, 25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21)은 삽입홀(26)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26)은 고정판(21)의 내측으로 홈이 파인 원형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홀(26)에는 지지바(23a, 23b)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바(23a, 23b)는 고정판(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바(23a, 23b)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23a, 23b)의 상부는 안착볼(24)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23a, 23b)는 그 내부에 스프링(23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25a, 25b)은 지지바(23a, 23b)를 둘러싸고 삽입홀(2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볼(24)은 지지바(23a, 23b) 내부의 스프링(231) 작용에 의해 지지바(23a, 23b)의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착볼(24)은 전원 공급 장치(E)와 연결될 수 있다. 안착볼(24)이 전원 공급 장치(E)와 연결될 경우 자기화되어 전자석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안착볼(24) 상부와 맞닿아 있는 시편(S)의 견고한 고정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 고정 장치(1)는 지지바(23a, 23b)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하로 이동되어 시편(S)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편(S)이 굴곡진 형상일 경우에도 지지바(23b)의 높이를 달리하여 시편(S)의 상면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시편(S)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시편 고정 장치(1)는 시편(S)의 하부의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시편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부착 작업에 따른 시간을 줄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에, 종래에는 시편의 후면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접착력이 약해질 경우, 시편의 재부착 작업이 필요하므로 시편의 표면이 오염되어 작업자의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맞춤유닛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3. 접촉바
14. 누름바 15. 밀판
16. 롤러 17. 측정부
18. 감지부 19. 터치바
20. 고정유닛 21. 고정판
22. 고정부 23. 지지바
24. 안착볼 25. 스프링
26. 삽입홀 27. 연결바
28. 고정패드 29. 고정체
231. 스프링 30. 이송유닛
31. 홈부 32. 이송판

Claims (13)

  1. 승하강되는 맞춤유닛, 및
    상기 맞춤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시편을 수용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맞춤유닛은,
    메인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 프레임,
    접촉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바, 그리고
    상기 누름바와 연결되고 상기 시편의 상면을 수평으로 가압하는 접촉바,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시편이 놓여지는 고정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 설치되어 상기 시편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시편의 상면 수평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부
    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지지바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하부실린더, 상기 하부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바를 고정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패드가 원호(Circular Arc)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패드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시편의 하부와 맞닿는 안착볼, 상기 지지바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볼의 하부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볼은,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이 연결될 경우 자기화되어 상기 시편의 하부를 고정하는 시편 고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시편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중심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위치 검출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시편의 네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된 측면실린더, 상기 측면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 시편으로 이동되어 상기 시편에 접하는 밀판, 상기 밀판 이동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밀판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상기 시편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상기 밀판과 연결되고 상기 시편의 측면과 맞닿는 롤러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일측은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된 터치바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바의 일측 단부와 맞닿으면 상기 맞춤유닛의 하강을 중지시키는 시편 고정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유닛을 상기 맞춤유닛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판, 상기 이송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시편 고정 장치.
KR1020170176313A 2017-12-20 2017-12-20 시편 고정 장치 KR10203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13A KR102039088B1 (ko) 2017-12-20 2017-12-20 시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13A KR102039088B1 (ko) 2017-12-20 2017-12-20 시편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37A KR20190074737A (ko) 2019-06-28
KR102039088B1 true KR102039088B1 (ko) 2019-10-31

Family

ID=6706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13A KR102039088B1 (ko) 2017-12-20 2017-12-20 시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71B1 (ko) * 2019-10-29 2021-11-01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의 냉각 및 운반 장치
CN117288597B (zh) * 2023-11-27 2024-02-06 西安重装铜川煤矿机械有限公司 一种支架强度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32B1 (ko) 2015-12-08 2017-02-2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마찰평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993B1 (ko) * 1995-08-29 1998-12-01 김종진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KR20040046206A (ko) * 2002-11-2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편 압축 장치
KR101620417B1 (ko) * 2014-08-07 2016-05-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32B1 (ko) 2015-12-08 2017-02-2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마찰평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37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8735B (zh) 汽车天窗总成三坐标检测用夹具装置
KR102039088B1 (ko) 시편 고정 장치
KR20100127546A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CN203416570U (zh) 一种对位组装机
CN106568536A (zh) 一种连接器保持力测试装置
CN205619882U (zh) 一种汽车仪表板横梁自动检测装置
CN212779778U (zh) 一种气密性快速检测工装治具
KR20180020585A (ko) 표면 거칠기 측정 장치
CN208476112U (zh) 一种防错可调的机器人轴类零件圆跳动检测装置
CN210603158U (zh) 一种建筑工程测量装置
KR101238392B1 (ko) 차량용 테이퍼 리프스프링의 두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213658787U (zh) 一种适用于光电芯片测试系统的探针夹具
CN201319035Y (zh) 新型样片检测装置
CN210718990U (zh) 一种用于检测可调平面度的治具装置
CN209820997U (zh) 一种自动高效型邵氏硬度计检定装置
CN207798313U (zh) 跳动笔的弹力检测装置
CN209246853U (zh) 一种多孔位置度检具
CN108955533B (zh) 组装机用的高度检查装置及组装机
CN208000324U (zh) 带精定位功能的测试治具
CN216869426U (zh) 一种垂直度检测工装
CN211010516U (zh) 一种用于回弹仪的支撑架
JP6355588B2 (ja) 半導体検査治具
CN220541898U (zh) 一种尺寸检验装置
CN218349443U (zh) 一种按键检测装置及组装设备
JP3203651U (ja) 伸び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