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49B1 -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49B1
KR102038849B1 KR1020190007971A KR20190007971A KR102038849B1 KR 102038849 B1 KR102038849 B1 KR 102038849B1 KR 1020190007971 A KR1020190007971 A KR 1020190007971A KR 20190007971 A KR20190007971 A KR 20190007971A KR 102038849 B1 KR102038849 B1 KR 10203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moving magnet
magnet
same polarit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이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희 filed Critical 이도희
Priority to KR102019000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마그네트;와, 상기 이동마그네트가 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의 내부 양끝단과 충돌되지 않도록 보빈의 내부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이동마그네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보빈의 일단으로 부분 노출되는 타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마그네트의 양측 극성과 동일 극성을 갖게 배치 고정되어 상기 이동마그네트가 일정거리 접근하게 되면 같은 극성의 반발력에 의해 자기장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보빈은 이동마그네트가 왕복운동하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배기구가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AN ASSEMBLY FOR VIBRATION STRIKING MODULE}
본 발명은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의 내부에 왕복운동하는 이동마그네트의 작동 충돌음과 공기 배기음을 최소화시킨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사지 기기, 안마기, 안마 시트, 안마 매트리스 등에는 내부에 다수의 진동모듈이 내장된다.
하지만 진동모듈을 내장한 장치로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진동안마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0643호 : 이하 종래기술1 이라 한다)"와, "진동안마기(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350516호 : 이하 종래기술2 이라 한다)"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1은 나선형 코일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진공헤드가 플랜저와 연결되어 있어 높은 출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플랜저는 하우징과 맞닿아 있어 진동이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2는 지지부재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가동로드이 이동구간이 짧고, 스프링의 탄성의 반발력에 의해 공진발생과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1,2에서 적용된 진동모듈의 진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크기를 크게 제작해야 하는데, 이렇게 모듈의 크기가 커지면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체(가동로드 또는 진공헤드) 외부의 하우징을 타격하게 되고, 이동체가 왕복운동하는데 있어 공기배기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진동효율을 높이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무게추를 달거나, 또는 안마롤러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편심무게추 및 안마롤러를 구비한 진동모듈은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때는 효율적이지만 국소적인 안마나 맞사지 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064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3505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접촉식 자기장 쿠션을 통해 모듈 내의 작동 충돌음을 최소화시키고, 왕복운동하는 이동마그네트로 인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원활히 유도배출함으로써 공기 배기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마그네트;와, 상기 이동마그네트가 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의 내부 양끝단과 충돌되지 않도록 보빈의 내부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이동마그네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보빈의 일단으로 부분 노출되는 타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마그네트의 양측 극성과 동일 극성을 갖게 배치 고정되어 상기 이동마그네트가 일정거리 접근하게 되면 같은 극성의 반발력에 의해 자기장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보빈은 이동마그네트가 왕복운동하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배기구가 타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기유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일측과 타측 내주면에는 외부와 상통될 수 있게 방사상으로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은 이동마그네트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타격부은 다수개가 동심원 상으로 군집된 형태이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따르면, 보빈의 내부 양끝단에 이동마그네트와 동일 극성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고정함으로써, 무접촉식 자기장 쿠션을 통해 모듈 내의 작동 충돌음을 최소화시키고, 더불어 물리적 충격을 없애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빈의 내주면에는 공기유통로를 형성시키고, 양측으로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켜 압축공기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되, 압축공기로 인해 배기되는 배기음은 통공을 통해 상쇄시켜 소음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격부가 사람의 인체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원기둥을 동심원 형태로 군집시키되, 상기 각 원기둥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하여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작동도,
도 4는 타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작동도이고, 도 4는 타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 내의 작동 충돌음과 공기 배기음을 최소화시킨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마사지 기기, 안마기, 안마 시트, 안마 매트리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보빈(10)과, 이동마그네트(30)와, 브레이크 디스크(40) 및 타격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10)은 원통형상으로 일단은 개방된 형태이고, 타단은 이동마그네트(30)가 왕복운동하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배기구(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보빈(10)은 개방된 일단으로 이동마그네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60)이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캡 없이 구성할 경우에는 이동마그네트(30)를 내장하기 위해 보빈을 2개로 분리 구성하고, 내주면에 스토퍼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빈(10)은 2개의 날개(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11)의 사이에는 보빈(10)의 내부에 자기력을 형성하기 위한 코일(20)이 권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보빈(10)은 코일(20)에 전력 공급방향에 따라 자기력이 방향이 전환되어 내부에 삽입된 이동마그네트(30)가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마그네트(30)는 보빈(10)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10)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이동체이다.
이 때 상기 보빈(10)의 내부 양끝단에는 왕복이동하는 이동마그네트(30)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디스크(40)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각 브레이크 디스크(40)는 "엽전" 형태로 중앙에 개방구(41)가 형성된 마그네트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브레이크 디스크(40) 중 보빈(10)의 내부 티단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40)는 배기구(12)가 형성된 단턱(121) 내부에 고정되고, 보빈(10)의 일단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40)는 캡(60)의 내측에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브레이크 디스크(40)는 상기 이동마그네트(30)의 양측 극성과 동일 극성을 갖게 배치 고정되며, 이동마그네트(30)가 일정거리 접근하게 되면 같은 극성의 반발력에 의해 자기장 쿠션이 형성되고, 이는 결국 모듈 내의 작동 충돌음을 없앨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각 브레이크 디스크(40)는 이동마그네트(30)와의 반력을 발생시켜 작은 출력으로 이동마그네트(30)의 이동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의 타단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40)의 개방구(41)는 배기구(12)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보빈(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배기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10)의 타단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40)의 개방구(41)는 타격부(50)가 진출입되는데 있어 간섭이 없도록 상기 타격부(5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타격부(50)는 상기 이동마그네트(30)의 일단에 결합되어 보빈(10)의 일단으로 타격면이 노출됨으로써, 타격부(50)의 일측이 피대상물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타격부(50)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타격부(50)가 사람의 인체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원기둥(51)을 동심원 형태로 군집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원기둥(51)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하여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마그네트(30)는 보빈(10)의 내부에서 왕복운동 때 보빈(10)과의 공차가 발생되면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공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차를 줄이게 되면 마찰력 상승으로 인해 이동마그네트(30)의 이동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코일(20)에 인가되는 전력의 출력을 상승시킬 경우, 배기구(12)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보빈(10)의 내부에서 초당 10 내지 20회 십회 왕복운동하는 이동마그네트(30)로 인해 상기 이동마그네트(30)의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압축되어 배기음이 발생되고 왕복운동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빈(10)과 이동마그네트(30) 간의 마찰력을 줄이고, 이동마그네트(30)의 전/후로 공기가 상통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기유통로(13)를 더 형성시켜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보빈(10)의 일측과 타측 내주면에는 외부와 상통될 수 있게 방사상으로 다수의 통공(14)을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14)은 이동마그네트(30)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공기가 원활히 배출시키고 이로 인해 배기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통공(14)은 캡(60)에도 형성되고, 상기 캡(60)에 형성된 통공(14)과, 보빈(10)에 형성된 통공(14)은 상호 상통되는 구성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보빈 11: 날개 12: 배기구
121: 단턱 13: 공기유통로
14: 통공
20: 코일
30: 이동마그네트
40: 브레이크 디스크 41: 개방구
50: 타격부 51: 원기둥
60: 캡
100: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Claims (4)

  1. 외주면에 코일(20)이 권취되는 보빈(10);
    상기 코일(20)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마그네트(30);
    상기 이동마그네트(30)가 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10)의 내부 양끝단과 충돌되지 않도록 보빈의 내부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40); 및
    상기 이동마그네트(30)의 일단에 결합되어 보빈의 일단으로 부분 노출되는 타격부(50);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40)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마그네트(30)의 양측 극성과 동일 극성을 갖게 배치 고정되어 상기 이동마그네트(30)가 일정거리 접근하게 되면 같은 극성의 반발력에 의해 자기장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보빈(10)은 이동마그네트(30)가 왕복운동하는 범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배기구(12)가 타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빈(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기유통로(1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빈(10)의 일측과 타측 내주면에는 외부와 상통될 수 있게 방사상으로 다수의 통공(14)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14)은 이동마그네트(30)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50)은 다수개가 동심원 상으로 군집된 형태이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KR1020190007971A 2019-01-22 2019-01-22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KR10203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71A KR102038849B1 (ko) 2019-01-22 2019-01-22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71A KR102038849B1 (ko) 2019-01-22 2019-01-22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49B1 true KR102038849B1 (ko) 2019-10-31

Family

ID=6842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971A KR102038849B1 (ko) 2019-01-22 2019-01-22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818B1 (ko) 2019-07-10 2019-12-17 주식회사 인코 출력을 향상시킨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79U (ko) * 1996-11-21 1998-08-05 배순훈 솔레노이드식 다이아프램 펌프
JPH10215555A (ja) * 1997-01-28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ソレノイド
KR20010100036A (ko) * 2000-09-20 2001-11-14 나승문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사용한 안마 매트
KR200350516Y1 (ko) 2004-02-12 2004-05-17 이재언 진동안마기
KR20050005016A (ko) * 2003-07-01 2005-01-13 윤장호 진동안마기
KR20110067455A (ko) * 2009-12-14 2011-06-22 임정애 안마용 솔레노이드 진동체
KR20120110643A (ko) 2011-03-30 2012-10-10 장기운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진동안마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79U (ko) * 1996-11-21 1998-08-05 배순훈 솔레노이드식 다이아프램 펌프
JPH10215555A (ja) * 1997-01-28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ソレノイド
KR20010100036A (ko) * 2000-09-20 2001-11-14 나승문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사용한 안마 매트
KR20050005016A (ko) * 2003-07-01 2005-01-13 윤장호 진동안마기
KR200350516Y1 (ko) 2004-02-12 2004-05-17 이재언 진동안마기
KR20110067455A (ko) * 2009-12-14 2011-06-22 임정애 안마용 솔레노이드 진동체
KR20120110643A (ko) 2011-03-30 2012-10-10 장기운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진동안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818B1 (ko) 2019-07-10 2019-12-17 주식회사 인코 출력을 향상시킨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49369C (zh) 磁性缓冲器以及具有磁性缓冲器的致动器
EP1684402B1 (en) Vibratory linear actuator and electric toothbrush using the same
KR102038849B1 (ko)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US8264105B2 (en) Resonant actuator for a personal care appliance having a programmable actuation capability
US11452665B1 (en) Pressure generator and massager having pressure generator
JP2001073942A (ja) リニア圧縮機
WO2000040863A1 (ko) Body supporting apparatus fro hermetic compressor
JP2006325381A (ja) 往復リニアエンジン
JPH0751393A (ja) 電動マッサージ器
KR100729200B1 (ko) 펌프
KR102179266B1 (ko) 회오리형 판스프링을 채용한 음파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기
KR100615802B1 (ko) 리니어 압축기의 가동 어셈블리
KR102056818B1 (ko) 출력을 향상시킨 진동 타격 모듈 조립체
KR200448164Y1 (ko) 지압 헤어브러시
KR20050046074A (ko) 안마기의 진동장치
JPH1174115A (ja) リニア電磁ソレノイド
JP3603646B2 (ja) タタキマッサージャー機用電磁ソレノイド
JP4770447B2 (ja) 多次元運動合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KR101780965B1 (ko) 모터진동부를 구비하는 안마 마사지기의 아암 유닛
JP3621035B2 (ja) ソレノイド
CN219110162U (zh) 一种伸缩式音频振动按摩器
KR200494252Y1 (ko) 다리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CN215779799U (zh) 按摩仪
CN213279461U (zh) 交流变频线性音圈致动器及按摩仪
KR20210001840U (ko) 신체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