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940B1 - A device for parking cars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parking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940B1
KR102037940B1 KR1020180051130A KR20180051130A KR102037940B1 KR 102037940 B1 KR102037940 B1 KR 102037940B1 KR 1020180051130 A KR1020180051130 A KR 1020180051130A KR 20180051130 A KR20180051130 A KR 20180051130A KR 102037940 B1 KR102037940 B1 KR 10203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ft
coupled
driv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8005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only vertical trans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ark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frame forming parking spaces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a palle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to support a vehicle, and including a hook ring; a transfer devic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installed to be able to be moved in a lateral direction; a first driving device including a first driving motor to move the transfer device laterally; a second driv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driving motor and a wire to raise or drop the pallet; a lift hook combined with the hook ring, rotated to be separated from the hook ring, and connected with the wire to be moved up and down; a hinge shaft combined with the lift hook, and providing a center for the rotation of the lift hook; a cam push part combined with the lift hook; and a hook operating device fixed to the transfer device. The hook operating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cam linearly moved to press the cam push part; and a solenoid tool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operation cam. Therefore, the vehicle parking apparatus is capable of enabling a pallet supporting a vehicle to be stably moved up and down.

Description

자동차 주차장치 {A device for parking cars}{A device for parking ca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parking lot value.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의 입출고 및 보관을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the car parking lot as a device for the storage and storage of the car to enable the safe storage of a plurality of cars.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가 보관될 수 있는 층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는 자동화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r parking lo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ors in which the car may be stored, and the receipt or release of the car may be performed by an automated device.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주차장치에 의하면, 상기 자동화 장치의 구조 및 입고 또는 출고 과정이 복잡하여 신속한 입출고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2층으로 구성된 주차장치의 경우, 1층의 차량이 출고되어야 2층의 차량이 출고될 수 있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r parking lot val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automated device and the receipt or exit of the automated device are complicated and rapid entry and exit is limi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arking lot value composed of two floors, there was a troublesome problem that the second floor vehicle can be shipped only when the first floor vehicle is released.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의 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The 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regarding the car parking lot value is as follows.

1. 제 1 종래기술의 문헌정보1. 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Prior Art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6-57998(1994년 3월 1일), 발명의 명칭 : 승강식 자동차 주차기Publication No. (published date): JP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57998 (March 1, 1994), title of invention: Lifting car parking

2. 제 2 종래기술의 문헌정보2. 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Prior Art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7-18901(1995년 1월 20일), 발명의 명칭 : 입체 주차장치용의 차량승강 유니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입체 주차장치Publication No. (published date): JP JP-A-7-18901 (January 20, 1995), title of the invention: a car lift unit for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and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using the sam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입출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parking lot value that can safely store the car, and facilitates entry and ex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에는, 1층 및 2층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후크 고리를 가지는 팔레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제 1 구동장치; 상기 팔레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하여, 제 2 구동모터 및 와이어가 구비되는 제 2 구동장치; 상기 후크 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고리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는 캠 푸쉬부; 및 상기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캠 푸쉬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직선 운동하는 작동 캠; 및 상기 작동 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가 포함된다.An automobil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forming first and second floor parking spaces; A pallet provided in the main frame to support the vehicle and having a hook ring; A conveying apparatu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motor for moving left and right of the transfer device; A second driving device having a second driving motor and a wir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pallet; A lift hook coupled to the hook ring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hook ring,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 hinge shaft coupled to the lift hook and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lift hook; A cam push unit coupled to the lift hook; And a hook driving device fixed to the transfer device, wherein the hook driving device comprises: an operation cam for linearly moving to press the cam push unit; And a solenoid mechanism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actuating cam.

상기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ift hook may have a hook shape.

상기 후크 고리는 캡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그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상기 후크 고리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ok ring is provided to have a cap shape, and forms an open portion at a lower side thereof, and the lift hook may be rotated through the open portion to be hook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ok ring.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후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후크 브라켓 및 상기 리프트 후크를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A hook bracket connected to the wir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hinge shaft may extend through both sides of the lift hook through the hook bracket and the lift hook.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롤러가 삽입되는 홈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포함될 수 있다.Moving guide roller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And a guide rail in which the moving guide roller is inserted,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 및 상기 제 2 레일에 구비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hook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hook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rail; And a second hook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rail.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캠 푸쉬부가 구비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지지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힌지축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A support shaf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ft hook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provided with the cam push unit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upport shaf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hinge shaft.

상기 이송장치에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이송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fer apparatus includes a transfer body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four lift hooks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body.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는, 코일이 감겨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캠에 결합되는 작동 바가 포함될 수 있다.The solenoid mechanism includes a core on which a coil is wound; And an actuating bar reciprocally inserted into the core and coupled to the actuating cam.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작동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작동 바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ok drive device, the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on bar; And a spr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spring, and the operation bar may be coupled to the spring bracket.

상기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pring may be coupled to the core,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spring bracket.

상기 제 1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름 작용하는 종동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drive device includes a first drive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 motor and rotates; A drive roller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And a driven roller rotatably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the rolling roller acting upon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상기 제 2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프로켓; 상기 제 1,2 스프로켓에 권취되는 체인;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 및 상기 제 2 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2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riving devic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procket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to rotate; A chain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A second driv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sprocket and rotating; And two drum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drive shaft, wherein the wires are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two drums and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장치에 자동차가 놓여져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동차의 주차과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transport devic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hicle can be placed and move in the transport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king process of the car is simple.

특히, 이송장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장치 및 리프트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이송장치 또는 리프트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drive device for moving the transfer devi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e device for moving the lift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fer device or the lift device can be easily moved.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리프트 후크가 구비되어,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가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the lift device is provided with a lift hoo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llet for supporting the vehicle can be st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팔레트의 후크 고리에 용이하게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 hook is configured to have a hook shape and rotatably around the hinge axis, so that the hook hook of the pallet can be easily caught or released.

또한, 상기 리프트 후크를 구동하기 위한 후크 구동장치에는, 솔레노이드 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푸쉬 바 및 상기 푸쉬 바에 의하여 가압되는 작동 캠이 포함되어, 상기 리프트 후크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리프트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ok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lift hook includes a solenoid mechanism, a push bar for linear movement by the solenoid mechanism, and an operation cam pressurized by the push bar to rotate the lift hook. Reliable lift device can be driv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이송 장치의 하단부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자동차 주차장치의 출입공간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1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2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 자동차가 지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출입공간에 위치된 팔레트에 결합된 리프트 후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3층 높이까지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가 2층 높이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리프트 후크와 팔레트의 결합이 해제되어 자동차의 입고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hook is lower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hook descends to the access space of the car parking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operation cam and the solenoid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cam and the solenoid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l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supported in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ift hook coupled to the pallet located in the entrance or exit of the vehicle, i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raised to a height of 3 floors when the vehicle is in stock or shipped from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second floor in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ing of the vehicle is released by the coupling of the lift hook and the pallet in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기둥(50)이 포함된다. 상기 기둥(50)은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tomobile parking lot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pillar 50 supporting the main frame 100. The pillars 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상기 기둥(50)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는 개방되며, 차량(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 이루는 공간에, 1층(높이 H1, 도 15 참조) 및 2층(높이 H2, 도 15 참조)으로 분리되어 주차될 수 있다. The main frame 100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by the height of the pillar 50, and the main frame 100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empty interior.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is opened, and the vehicle 20 is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main frame 100, on the first floor (height H1, see FIG. 15) and the second floor (height H2, see FIG. 15). Can be parked separately.

상세히,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1층에는 차량(20)이 정렬하여 주차될 수 있으며, 1층의 대략 중앙부에는 차량이 2층으로 승강하기 위하여 투입될 수 있는 출입공간(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공간(30)의 상측에는, 상기 차량(20)이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는 승강로(35)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vehicle 20 may be parked by being aligned on the first floor of the car parking lot 10, and an entrance space 30 may be form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loor to allow the vehicle to be lifted to or from the second floor. do. In addition, an elevation path 35 through which the vehicle 20 may be elevated or descended is formed above the entrance space 30.

2층에는 이송장치(210) 또는 리프트 장치(250)에 의하여 이동된 차량(20)이 주차될 수 있다. 상기 2층의 차량(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거치 프레임(280)에 놓여져 주차될 수 있다. On the second floor, the vehicle 20 moved by the transport device 210 or the lift device 250 may be parked. The vehicle 20 on the second floor may be parked by being placed on a mounting frame 280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0.

상세히, 상기 거치 프레임(28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102)과 교차하는 방향, 일례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2)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 프레임(280)의 상측에는 팔레트(110)가 놓여지며, 상기 팔레트(110)의 상면에 차량(20)이 지지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unting frame 28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2 by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upport frame 10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in a left-right direction. The support frame 102 may be understood as one configuration of the main frame 100. In addition, the pallet 110 may be placed above the mounting frame 280, and the vehicle 20 may be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allet 110.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차량(20)이 상기 출입공간(30)으로 투입되는 방향을 후방, 그 반대방향을 전방이라 이름하고, 상기 전후방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을 측방이라 한다. 일례로, 차량(20)이 상기 출입공간(30)으로 투입되는 방향의 좌측을 좌측방, 우측을 우측방이라 정의한다.Define the direction. Referring to FIG. 1,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20 is introduced into the access space 30 is called a rear side, and an opposite direction thereof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sides is called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20 is introduced into the access space 30 is defined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s the right side.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2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송장치(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지지되어 2층 높이에 위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transfer device 200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ransfer device 200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is positioned at a height of two stories, and may be mov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이송장치(200)에는, 대략 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이송 본체(210)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 본체(210)의 하부는 개구된다. 상기 이송 본체(210)가 상기 승강로(35)에 위치될 때, 상기 개구된 하부는 상기 승강로(35)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로(35)는 상기 출입공간(30)으로부터 상기 이송 본체(210)의 내부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ransfer device 200 includes a transfer main body 210 forming a skeleton of a substantially hexahedr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is opened. When the transfer main body 210 is located in the hoistway 35, the opened lower portion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hoistway 35, and the hoistway 35 moves from the entrance space 30 to the transfer main body. It may extend upward to the inside of 210.

상기 이송 본체(2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가이드 레일(105)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좌측부로부터 우측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은 후술할 구동롤러(223) 및 종동롤러(224)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transfer body 210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ain frame 100 has a transfer guide rail 105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transfer main body 210. The transfer guide rail 105 extends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t the top of the main frame 100. In addition, the transfer guide rail 10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respectively. The transfer guide rail 105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roller 223 and the driven roller 224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09)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109)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탈선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stopper 109 is provid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guide rail 105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ain body 210. The stopper 109 may be understood as a "derailment prevention part" to prevent derailment of the transfer device 200.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장치(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first driving device 22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200.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may be supported above the transfer body 210.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팔레트(110)는 주차장치의 2층을 형성하는 공간에서,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팔레트(110)는 좌우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pallet 110 for supporting the vehicle. The pallet 11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in a space that forms the second floor of the parking lot value. The plurality of pallets 110 may be alig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250) 및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25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lift device 250 capable of supporting or lifting the pallet 110 and a second driving device 230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lift device 250. do.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may be supported above the transfer body 210. In addition, the lift apparatus 250 is disposed at each of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main body 210, and is provided to move upward or downward.

차량(20)의 입고 또는 출고시, 상기 리프트 장치(250)는 상기 차량(20)를 지지하는 팔레트(110)의 네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When the vehicle 20 is received or released, the lift apparatus 250 may be coupled to four corners of the pallet 110 supporting the vehicle 20 to raise or lower the vehicle 20. .

그리고, 상기 차량(20)는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량(20)가 상기 2층에 주차되어 있는 다른 차량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20)는 상기 2층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일례로, 3층 높이(H3, 도 15 참조)의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후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자동차(20a)는 상기 3층 높이의 위치까지 들어올려졌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vehicle 20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vehicle 20 from interfering with another vehicle parked on the second floor, the vehicle 20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floor height (for example, the third floor height H3, FIG. Position), and then moved left and right. The automobile 20a shown in FIG. 1 shows a state when it is lifted to the position of the 3rd floor heigh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송장치(200)의 구성, 즉 제 1 구동장치(220), 제 2 구동장치(230) 및 리프트 장치(25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200, that is, the first drive device 220, the second drive device 230 and the lift device 2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이송 장치의 하단부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hook lower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B" portion of FIG.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이송장치(2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장치(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장치(22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2 to 6, the vehicle parking lo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driving device 22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transport device 2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o.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transfer body 210.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221)와, 상기 제 1 구동모터(221)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222) 및 상기 제 1 구동축(222)에 결합되어 구름 작용하는 구동롤러(223)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221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first driving shaft 222 and a first driving shaft rotating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driving motor 221. The driving roller 223 coupled to the 222 is included.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 브라켓(21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15)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b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지지 브라켓(215)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221)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otor 221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215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210. The support bracket 215 may have a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21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efine a space in which the first driving motor 221 is located.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otor 221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상기 제 1 구동축(222)은 상기 제 1 구동모터(22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223)는 상기 제 1 구동축(222)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모터(221)가 구동하면, 상기 제 1 구동축(2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223)는 구름 작용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shaft 222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first driving motor 221 and rotate. In addition, the driving roller 223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driving shaft 222. When the first drive motor 221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 shaft 222, the drive roller 223 may act as a cloud.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종동롤러(22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본체(2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본체 프레임(210a)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축에 의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21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우측부 전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롤러(223) 및 종동롤러(224)는 각각 2개씩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부 네 모서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rive device 220 further includes a driven roller 224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transfer body 210. The driven roller 224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body frames 210a constituting the transfer main body 210 and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210a by an axis. In addition, the driven rollers 224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210, respectively. That is, two driving rollers 223 and two driven rollers 224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main body 210.

상기 구동롤러(223) 및 상기 종동롤러(224)는 상기 이송가이드 레일(105)에 접촉하여 구름 작용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본체(2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driving roller 223 and the driven roller 224 may be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guide rail 105 to act as a cloud, in this process, the transfer body 210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리프트 장치(2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장치(230)는 상기 이송 본체(2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second driving device 23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lift device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transfer body 210.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모터(231)와, 상기 제 2 구동모터(23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스프로켓(232)과,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에 이격되는 제 2 스프로켓(233) 및 상기 제 1,2 스프로켓(232,233)에 권취되는 체인(233a)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모터(231)가 구동하여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이 회전하면, 상기 제 1 스프로켓(232)의 회전력은 상기 체인(233a)을 통하여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에 전달되며,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이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231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first sprocket 232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231 and rotating, and the first sprocket 232. The second sprocket 233 is spaced apart from) and the chain 233a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232,233). When the second drive motor 231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232,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procket 23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rocket 233 through the chain 233a, The second sprocket 233 may rotate.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상기 제 2 스프로켓(23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234) 및 상기 제 2 구동축(234)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23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축(234)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2개의 드럼(235)은 상기 이송본체(210)의 대략 중앙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driving shaft 234 coupled to the second sprocket 233 and rotating, and two drums 235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34. do. The second drive shaft 234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two drums 235 may be disposed at approximately both sides of a central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는, 상기 2개의 드럼(235)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236) 및 상기 이송본체(210)의 상단부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드럼(235)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236)가 권취되는 4개의 와이어 롤러(2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236)는 상기 4개의 와이어 롤러(237)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각각 리프트 장치(250)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wires 236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two drums 235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main body 210, the two drums ( Four wire rollers 237 are further included on which the wire 236 extending from 235 is wound. The wires 236 extend downward through the four wire rollers 237 and may be coupled to the lift device 250, respectively.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의 와이어(236)에 결합되며 회전 동작하는 리프트 후크(251)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vehicle parking lot 10 further includes a lift device 250 that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The lift device 250 includes a lift hook 251 that is coupled to the wire 236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and rotates. The lift hooks 251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body 210, respectively.

즉,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4개의 리프트 후크(25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 도 12 참조)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lift device 250 may include four lift hooks 251. In addition, the lift hook 251 has a hook shap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ook ring 116 (see FIG. 12) of the pallet 110.

상세히,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와이어(236)가 결합되는 상부를 가지는 후크 브라켓(254) 및 상기 후크 브라켓(254)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25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236)의 하부는 상기 후크 브라켓(254)에 결합되는 브라켓 핀(254a)에 지지될 수 있다.In detail, the lift device 250 has a hook bracket 254 having an upper portion to which the wire 236 is coupl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ok bracket 254 to form a center of rotation of the lift hook 251. Hinge shaft 252 is further included.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236 may be supported by the bracket pin 254a coupled to the hook bracket 254.

상기 힌지축(252)은 상기 후크 브라켓(254) 및 상기 리프트 후크(251)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상부는 상기 힌지축(252)에 의하여 상기 후크 브라켓(254)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hinge shaft 252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hook bracket 254 and the lift hook 251. An upper portion of the lift hook 251 is coupled to the hook bracket 254 by the hinge shaft 252, and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52.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힌지축(252)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는 가이드 레일(217)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17)에는, 2개의 이동가이드 롤러(253) 중 일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제 1 레일(217a) 및 타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제 2 레일(217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lift device 250 further includes a movement guide roller 25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252. In addition, the movement guide roller 253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17. The guide rail 217 has a first rail 217a into which one movement guide roller 253 is inserted and a second rail 217b into which the other movement guide roller 253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17. This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rails 217a and 217b may be spaced apar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은 고정 브라켓(218)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8)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8)에 의하여, 상기 제 1,2 레일(217a,217b)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ails 217a and 217b may be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218. The fixing bracket 218 has a bent shap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217a and 217b. By the fixing bracket 21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217a and 217b to open or pinch.

상기 제 1,2 레일(217a,217b)는 대략 "ㄷ"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가 삽입되는 홈(217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가이드 롤러(253)는 상기 홈(217c)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ails 217a and 217b may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and a groove 217c into which the movement guide roller 253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lift hook 251 up and down, the movement guide roller 253 may be moved up and down in the groove 217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lift hook 251.

상기 리프트 장치(250)에는,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후술할 작동캠(310)에 의하여 가압되는 캠 푸쉬부(255)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지지축(256)이 결합될 수 있다. The lift device 250 further includes a cam push unit 255 that is coupled to the lift hook 251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and is pressed by an operation cam 31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support shaft 256 may be coupled to the lift hook 251.

상기 지지축(256)은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캠 푸쉬부(255)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256)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캠 푸쉬부(255)에는, 롤러 또는 볼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upport shaft 256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ft hook 251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wo cam push units 255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256. have. For example, the cam push unit 255 may include a roller or a ball.

상기 지지축(256)은 상기 힌지축(252)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바, 상기 캠 푸쉬부(255)를 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상기 힌지축(252)을 기준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회전운동 할 수 있다. The support shaft 256 is located below the hinge shaft 252.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ift hook 251 through the cam pusher 255, the hinge hook 251 is hinged. A rotation moment may act on the axis 252 to rotate.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17)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를 회전시키기 위한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vehicle parking lot 10 may be provided under the guide rail 217 and may be provided with a hook driving device 300 for rotating the lift hook 251.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상기 캠 푸쉬부(255)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캠(310) 및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캠(31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포함된다. The hook driving device 300 is coupled to the actuating cam 310 and the actuating cam 310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order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cam push unit 255, and the actuating cam 310. It includes a solenoid mechanism 320 for providing power for the movement of.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제 1 레일(217a)에 결합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300a) 및 제 2 레일(217b)에 결합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300b)가 포함된다. Two hook driving devices 300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lift hook 251. In detail, the hook driving apparatus 300 includes a first hook driving apparatus 300a coupled to the first rail 217a and a second hook driving apparatus 300b coupled to the second rail 217b.

상기 제 1 후크 구동장치(300a)에 구비되는 작동 캠(310)은 상기 2개의 캠 푸쉬부(255) 중 하나에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후크 구동장치(300b)에 구비되는 작동 캠(310)은 상기 2개의 캠 푸쉬부(255) 중 다른 하나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operation cam 310 provided in the first hook driving device 300a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one of the two cam push units 255, and the operation cam provided in the second hook driving device 300b ( 310 may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other one of the two cam push units 255.

정리하면, 1개의 리프트 후크(251)에 대하여, 2개의 캠 푸쉬부(255) 및 2개의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되며, 이송장치(200) 전체를 기준으로 4개의 리프트 후크(251)가 제공되므로, 총 8개의 후크 구동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In summary, two cam push units 255 and two hook driving units 300 are provided for one lift hook 251 and four lift hooks 251 based on the entire transport device 200. Since it is provided, a total of eight hook driving apparatus 300 may b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가 자동차 주차장치의 출입공간까지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hook descends to the access space of the car parking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 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 후크(251)에는, 상기 이송본체(210)의 전방 좌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1 리프트 후크(251a)와, 상기 이송본체(210)의 전방 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2 리프트 후크(251b)와, 상기 이송본체(210)의 후방 좌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3 리프트 후크(251c) 및 상기 이송본체(210)의 후방 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제 4 리프트 후크(251d)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2, 5, and 7, four lift hooks 251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body 210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hat is, the lift hook 251 has a first lift hook 251a disposed at the front left corner of the transfer body 210 and a second lift disposed at the front right corner of the transfer body 210. The hook 251b, the third lift hook 251c disposed at the rear left corner of the transfer body 210 and the fourth lift hook 251d disposed at the rear right corner of the transfer body 210 are provided. Included.

먼저 도 2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20)은 2층에 주차된 차량보다 높은 위치(3층 위치)에 있을 수 있다. First, Figure 2 shows the lift hook 251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transfer device 2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ft hook 251 supports the pallet 110 in this position, the vehicle 20 may be at a higher position (third floor position) than the vehicle parked on the second floor.

도 5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하단부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20)은 2층의 주차위치에 있을 수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 hook 251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apparatus 2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lift hook 251 supports the pallet 110 in this position, the vehicle 20 may be in a parking position on the second floor.

도 7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리프트 후크(251)가 이송장치(200)의 하측으로 이격하여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하면, 차량은 1층의 출입공간(30)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FIG. 7 shows the lift hook 251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device 20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ft hook 251 supports the pallet 110 in this position, the vehicle may be in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space 30 on the first floor.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1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캠 및 솔레노이드 기구의 제 2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and 9 show a first operation of the actuating cam and solenoid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nd 11 show a second actuation of the actuating cam and solenoid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l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 캠(310) 및 상기 작동캠(3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캠(31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포함된다. 8 to 12, in the hook driv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pusher 255 presses the actuation cam 310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lift hook 251. And a solenoid mechanism 320 coupled to the operation cam 310 to move the operation cam 310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작동 캠(3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bar)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는 가압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면(311)은,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가 이송본체(210)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 캠(3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operation cam 310 may have a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ressing surface 311 that presses the cam push part 255. The pressing surface 311 may form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cam 31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ok driving device 300 is dispos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body 210.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는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세히, 솔레노이드 기구(320)에는, 코일(321b)이 감겨지는 코어(321a) 및 상기 코어(321a)의 외측에 결합되는 코어 브라켓(321c)이 포함된다. The solenoid mechanism 320 may be applied with power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In detail, the solenoid mechanism 320 includes a core 321a on which the coil 321b is wound and a core bracket 321c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re 321a.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는, 상기 코어(321a) 또는 상기 코어 브라켓(321c)에 결합되는 스프링(322)과, 상기 스프링(322)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323) 및 상기 스프링 브라켓(323)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력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 바(325)가 더 포함된다.The solenoid mechanism 320 includes a spring 322 coupled to the core 321a or the core bracket 321c, a spring bracket 323 supporting the spring 322, and the spring bracket 323. An operation bar 325 coupled to and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further included.

일례로, 상기 스프링(322)에는, 인장 스프링이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3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 브라켓(321c)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32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코어(321a)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ring 322 includes a tension spring. One end of the spring 322 may be coupled to the core bracket 321c,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322 may be coupled to the spring bracket 323. The operation bar 325 may be inserted into the core 321a to be movable.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는,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되는 캠 브라켓(31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캠 브라켓(312)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 캠(31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며, 고정핀(314)에 의하여 상기 작동 캠(3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ok driving device 300 further includes a cam bracket 312 coupled to the operation cam 310. The cam bracket 312 is position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the operation cam 31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operation cam 310 by a fixing pin 314.

상기 캠 브라켓(312)에는, 상기 작동 바(32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바(325)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operation bar 325 may be coupled to the cam bracket 312. Thus, as the operation bar 325 moves, the cam bracket 312 and the operation cam 310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17)의 하부에 지지 또는 결합되어, 일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2층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인접해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 및 작동캠(310)과 연동하여 회전동작 할 수 있다. The solenoid mechanism 320 may be supported 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17 to be stably fixed at one position. Therefore, when the lift hook 251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second floor and is adjacent to the solenoid mechanism 320, the lift hook 251 may operate in rotation with the solenoid mechanism 320 and the operation cam 310.

상기 팔레트(110)는 대략 4각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팔레트(110)에는, 차량(20)가 안착되는 안착부(111) 및 상기 안착부(111)의 네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팔레트 브라켓(11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브라켓(115)에는, 갈고리 형상의 리프트 후크(251)가 결합되는 후크 고리(116)가 구비된다. The pallet 110 may have a shape of a quadrilateral panel. In detail, the pallet 110 may include a seating part 111 on which the vehicle 20 is seated and a pallet bracket 115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eating part 111. The pallet bracket 115 is provided with a hook ring 116 to which the hook-shaped lift hook 251 is coupled.

상기 후크 고리(116)는 상기 팔레트 브라켓(115)의 상부에 구비되며 캡 형상, 즉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개방부(116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후크 고리(116)에 걸려지거나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할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방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hook ring 116 is provided on the pallet bracket 115 and may have a cap shape, that is, a ∩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ring 116 is configured to open to form an opening 116a. Thus, when the lift hook 251 is hooked to the hook ring 116 or when the hook hook 116 is operated to be detached from the hook ring 116, the lift hook 25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ook ring 116, Movement to rotate downward of the hook ring 116 can be easily perform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스프링(322)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상기 코어(321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22)은 인장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322)과 함께 상기 코어 브라켓(321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mechanism 320, the operation bar 325 may be in a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core 321a to overcom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22. . In this process, the spring 322 may be tension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pring bracket 32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re bracket 321c.

그리고,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에 가깝게 접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 일례로 상기 캠 푸쉬부(255)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촉만 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 bracket 312 and the operation cam 310 is in a position close to the core 321a. In this position, the actuating cam 3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cam push unit 255 is not pressurized, for example,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the cam push unit 255.

만약, 상기 작동 캠(310)이 상기 캠 푸쉬부(255)를 약간 가압한다 하더라도,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걸려져, 차량(20)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리프트 후크(251)의 팔레트(110) 지지 상태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Even if the actuating cam 310 presses the cam push part 255 slightly, the lift hook 251 is hooked to the hook ring 116 of the pallet 110, thereby weigh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20. Since the force acts downward by the state, the problem does not occur in the pallet 110 support state of the lift hook 251.

반면에,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에 인가된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작동 바(325)는 상기 스프링(3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코어(321a)로부터 상기 작동 캠(3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22)은 압축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322)과 함께 상기 코어 브라켓(321c)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power supply applied to the solenoid mechanism 320 is stopped, the operation bar 325 is moved from the core 321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22. It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toward 310. In this process, the spring 322 may be compress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pring bracket 322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re bracket 321c.

그리고, 상기 작동 바(325)의 돌출에 의하여, 상기 캠 브라켓(312) 및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캠 푸쉬부(255)는 힌지축(252)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bracket 312 and the operation cam 31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re 321a by the protrusion of the operation bar 325, and the operation cam 310 is the cam push unit. 255 can be pressurized. In this process, since the cam push unit 255 is positioned below the hinge shaft 252, the lift hook 251 may rotate about the hinge shaft 252.

상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후크 고리(116)에 걸려져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하방, 즉 (a)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이후에 회전하더라도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11, in order to detach the hook hook 116 from the hook hook 116 while the lift hook 251 is hooked to the hook hook 116 to support the pallet 110. The 251 may be moved downward by a distance set in the direction of (a)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By this movement, even if the lift hook 251 is rotated later may not interfere with the hook ring 116.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하방 이동후,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도 10과 같이 작동하여 상기 작동 캠(310)이 상기 캠 푸쉬부(255)를 b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일례로 시계방향(c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고리(116)로부터의 걸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ift hook 251, the solenoid mechanism 320 operates as shown in FIG. 10, and when the actuating cam 310 presses the cam push part 255 in the b direction, the lift hook 251 is moved. The rotation moment acts about the hinge axis 252, and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c direction), for example. By the rotation of the lift hook 251, the lift hook 251 may be released from the hook ring 116.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 고리(116)의 하부는 개방되어 개방부(116a)를 형성하므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c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개방부(116a)를 경유하여 상기 후크 고리(116)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ring 116 is opened to form the opening portion 116a, the hook ring via the opening portion 116a when the lift hook 251 rotates in the c direction. May not interfere with 116.

반대로,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팔레트(110)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20)가 도 8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캠(310)은 상기 코어(321a)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 푸쉬부(255)를 가압하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state of FIG. 11, when the lift hook 251 performs the operation of engaging the pallet 110, the solenoid mechanism 320 may operate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he operation cam 310 may move toward the core 321a to release the pressurization of the cam push unit 255.

따라서,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252)을 중심으로 c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방부(116a)를 통하여 상기 후크 고리(116)를 하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상방으로 설정거리 만큼 이동하고, 상기 후크 고리(116)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ift hook 25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 direction about the hinge axis 252 by its own weight, and moves the hook ring 116 to the lower space through the opening 116a. Can be. In addition, the lift hook 251 may be moved upward by a set distance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and may be cau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ok ring 116.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 자동차가 지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출입공간에 위치된 팔레트에 결합된 리프트 후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시 3층 높이까지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자동차가 2층 높이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내에서, 리프트 후크와 팔레트의 결합이 해제되어 자동차의 입고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s supported in a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located in an entrance space at the time of wearing or leaving a vehicle in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ift hook coupled to the pallet, Figure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 to the height of the third floor at the time of receipt or shipment of the car in 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n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is located on the second floor, Figure 17 is a combination of the lift hook and the pallet in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The figure shows how the wearing of clothes.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20)는 팔레트(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본체(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110)의 네 모서리측에는 리프트 후크(251)가 위치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걸려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vehicle 20 may be located inside the transport body 2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pallet 110. Lift hooks 251 are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pallet 110, and the lift hooks 251 may be in a state of being hooked to the hook ring 116 of the pallet 110.

이 상태에서, 제 1 구동장치(220)가 구동하면, 상기 이송본체(21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하 바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is driven, the transfer main body 210 may move left and right, and when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is driven, the lift hook 251 may move upward and downward. Can be.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차량(20)이 자동차 주차장치(10)에 입고 및 출고되는 과정을 설명한다.14 to 17, a process in which the vehicle 20 is received and released from the vehicle parking lot 10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량(20)의 입고과정을 설명한다.First, the wearing process of the vehicle 20 will be described.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20)이 출입공간(30)의 전방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송본체(210)는 상기 승강로(35)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팔레트(110)를 지지한 상태에서 대략 지면의 높이까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20 is waiting in front of the entrance space 30, the transport main body 210 is located in the hoistway 35 and the lift hook 251 is located on the pallet. It moves downward to the height of the ground in the state which supported 110. At this time,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may be driven to move the lift hook 251.

상기 차량(20)이 전진하여 상기 팔레트(110)의 상면에 놓여지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리프트 후크(251) 및 팔레트(110)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20)이 상기 승강로(35) 내에서 대략 3층 높이까지 올라갈 때까지, 상승될 수 있다.When the vehicle 20 is advanced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110, the lift hook 251 is moved upward. In this case, the lift hook 251 and the pallet 110 may be raised until the vehicle 20 ascends to approximately three stories in the hoistway 35, as shown in FIG. 15. .

상기 차량(20)이 상기 3층 높이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장치(220)가 구동하여,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량(20)을 주차할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된다.In a state where the vehicle 20 is raised to the third floor height,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is driven so that the transport main body 210 and the lift hook 251 move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It is moved until it reaches the position to park 20.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가 상기 주차할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 프레임(280)에 팔레트(110)가 지지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When the transfer body 210 and the lift hook 251 reach the parking position, the lift hook 251 is supported by the pallet 110 on the spaced frame 280 as shown in FIG. 16. Is moved downwards until

상기 팔레트(110)가 상기 이격 프레임(280)에 지지되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의 구동에 의하여, 도 1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도 17 참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차량(20)의 입고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pallet 110 is supported by the spaced frame 280, the lift hook 251 is driven by the hook driving device 300, and the hook hook of the pallet 110 is driven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116 may be released (see FIG. 17). In this way, the wearing of the vehicle 20 can be performed stably.

다음으로, 차량의 출고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출고과정은 상기 입고과정과 반대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shipping process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The release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 process to the receipt process.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본체(210) 및 리프트 후크(251)는 출고할 차량(20)이 있는 위치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6에 순서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 구동장치(300)에 의하여 리프트 후크(251)가 작동하여 상기 팔레트(110)의 후크 고리(116)에 결합될 수 있다.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device 220, the transfer body 210 and the lift hook 251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20 to be shipped. 17 and 16, the lift hook 251 may be operated by the hook driving device 300 to be coupled to the hook ring 116 of the pallet 110.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장치(23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상기 차량(20)을 3층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구동장치(220)에 의하여 상기 승강로(35)를 향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the lift hook 251 is raised as shown in FIG. 15 to move the vehicle 20 to the third floor position, and the first driving device ( 220 may move left or right toward the hoistway 35.

다시 제 2 구동장치(230)가 구동하며,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후크(251)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차량(20)은 1층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20)은 출고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device 230 is driven again, and as shown in FIG. 14, the lift hook 251 moves downward and the vehicle 20 may descend to the first floor position. The vehicle 20 may be shipped.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자동차 주차장치(10)의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20)의 입출고 과정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nd action, the structure of the car parking lot 10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vehicle 20 can be easily made.

10 : 자동차 주차장치 30 : 출입공간
35 : 승강로 50 : 기둥
100 : 메인 프레임 102 : 지지프레임
105 : 이송가이드 레일 110 : 팔레트
200 : 이송장치 210 : 이송 본체
220 : 제 1 구동장치 230 : 제 2 구동장치
250 : 리프트 장치 251 : 리프트 후크
252 : 힌지축 253 : 이동가이드 롤러
254 : 후크 브라켓 255 : 캠 푸쉬부
300 : 후크 구동장치 310 : 작동 캠
320 : 솔레노이드 기구 321a : 코어
10: car parking lot value 30: entrance space
35: hoistway 50: pillar
100: main frame 102: support frame
105: transfer guide rail 110: pallet
200: transfer device 210: transfer body
220: first drive device 230: second drive device
250: lift device 251: lift hook
252: hinge shaft 253: movement guide roller
254: hook bracket 255: cam push portion
300: hook drive device 310: operation cam
320: solenoid mechanism 321a: core

Claims (13)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후크 고리를 가지는 팔레트;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제 1 구동장치;
상기 팔레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하여, 제 2 구동모터 및 와이어가 구비되는 제 2 구동장치;
상기 후크 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고리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상기 리프트 후크에 결합되는 캠 푸쉬부; 및
상기 이송장치에 고정되는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캠 푸쉬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직선 운동하는 작동 캠; 및
상기 작동 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에는,
코일이 감겨지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캠에 결합되는 작동 바가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A main frame forming a parking space;
A pallet provided in the main frame to support the vehicle and having a hook ring;
A conveying apparatu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motor for moving left and right of the transfer device;
A second driving device having a second driving motor and a wir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pallet;
A lift hook coupled to the hook ring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hook ring,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 hinge shaft coupled to the lift hook and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lift hook;
A cam push unit coupled to the lift hook; And
A hook driving device is fixed to the transfer device, and the hook driving device includes:
An actuating cam linearly moving to press the cam push portion; And
A solenoid mechanism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actuating cam is included,
The solenoid mechanism,
A core on which the coil is wound; And
Car parking valu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re so as to be reciprocating, the operation bar coupled to the operation c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는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 hook is a car parking value having a hook sha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리는 캡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그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회전하여 상기 후크 고리의 상부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ring is provided to have a cap shape, and forms an opening in the lower side thereof,
The parking hook is a car parking lot is rotat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is cau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후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후크 브라켓 및 상기 리프트 후크를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bracket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hinge shaft passes through the hook bracket and the lift hook and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lift hoo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롤러가 삽입되는 홈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더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Moving guide roller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And
Automobile parking lot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moving guide roller is inserted,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레일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구동장치; 및
상기 제 2 레일에 구비되는 제 2 후크 구동장치가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rail includes a first and second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ok drive device,
A first hook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first rail; And
Automobile parking lot that includes a second hook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second ra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캠 푸쉬부가 구비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지지축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힌지축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ft hook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shaft having both ends provided with the cam push portion,
The support shaft is a car parking value located below the hinge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이송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본체의 네 모서리측에 배치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conveying body having a shape of a hexahedron,
The lift hook is provided with four, the car parking lot value is dispos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transfer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구동장치에는,
상기 작동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작동 바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drive device,
A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actuation bar; And
Further comprising a spr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spring,
The operation bar is a car parking value coupled to the spring brack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코어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One end of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core, the other end is a car parking value coupled to the spring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1 구동축;
상기 제 1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구름 작용하는 종동롤러가 더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drive device,
A first drive shaft coupled to the first drive motor to rotate;
A drive roller coupled to the first drive shaft; And
The car parking value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en roller roll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프로켓;
상기 제 1,2 스프로켓에 권취되는 체인; 및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축; 및 상기 제 2 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드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2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drive device,
First and second sprocket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rotating;
A chain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And
A second driv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sprocket and rotating; And two drum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drive shaft.
And the wires are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two drums and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KR1020180051130A 2018-05-03 2018-05-03 A device for parking cars KR102037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en) 2018-05-03 2018-05-03 A device for parking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en) 2018-05-03 2018-05-03 A device for parking c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940B1 true KR102037940B1 (en) 2019-10-29

Family

ID=6842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30A KR102037940B1 (en) 2018-05-03 2018-05-03 A device for parking c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9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10Y1 (en) * 2021-11-26 2022-11-04 박현희 Pulley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transporting maintenance structure setting on upper side of polar crane in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building
KR20230018623A (en)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Carrier assembly, puzzle-type 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57U (en) * 1991-11-20 1993-06-18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Pallet holding device in multi-storey car park
KR20160143046A (en) * 2015-06-04 2016-12-14 김성진 A device for parking ca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157U (en) * 1991-11-20 1993-06-18 大谷櫻井鐵工株式会社 Pallet holding device in multi-storey car park
KR20160143046A (en) * 2015-06-04 2016-12-14 김성진 A device for parking ca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623A (en)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Carrier assembly, puzzle-type 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3229B1 (en) * 2021-07-30 2024-01-10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Carrier assembly, puzzle-type 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0496110Y1 (en) * 2021-11-26 2022-11-04 박현희 Pulley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transporting maintenance structure setting on upper side of polar crane in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940B1 (en) A device for parking cars
TW494172B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vehicle parking method of the same
CN110607931B (en) Stereoscopic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10401B2 (en) Parking equipment
KR20160143046A (en) A device for parking cars
JP6284324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3522021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KR100694694B1 (en) Device for protecting partial abrasion of coil skid
JP3932508B2 (en) Turn device that forms a flat surface
KR100465017B1 (en) Tentable Swiveling Device in Mechanical Stereo Parking Lot
CN1347110A (en) Optical disk supporter
JP5134902B2 (en) Fork type parking system
JP3023650B2 (en) Three-dimensional storage
KR100219845B1 (en) Automated devices for parking
KR101851110B1 (en) Two layer stack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10037067A (en) Traveling mechanism
JPS60153312A (en) Storage installation provided with casing lock
KR0125584B1 (en) Multi-stproes parking garage for cars
JPH0518133A (en) Multi-stage storage device
JP4005603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JP2971256B2 (en) Pallet fixing device for elevator stand in multi-story parking lot
JP4566881B2 (en) Parking device and parking method
JP2561545B2 (en) Automated warehouse with shelves with stoppers
KR100555837B1 (en) Elevator door
JP3752910B2 (en) Containment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