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706B1 -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06B1
KR102037706B1 KR1020180083120A KR20180083120A KR102037706B1 KR 102037706 B1 KR102037706 B1 KR 102037706B1 KR 1020180083120 A KR1020180083120 A KR 1020180083120A KR 20180083120 A KR20180083120 A KR 20180083120A KR 102037706 B1 KR102037706 B1 KR 10203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mounting
heating unit
fuel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달섭
Original Assignee
송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달섭 filed Critical 송달섭
Priority to KR102018008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B29C51/424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using a heat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6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클램프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의 중간부에 주름을 형성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a)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름 패턴이 음각으로 형성된 성형다이에 상기 배관을 안치하는 단계, (b) 어느 한 상기 클램프장착부 안으로 마감부재를 삽입하여 폐쇄하는 단계, (c) 나머지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통과하여,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가열유닛을 배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가열유닛을 통해 고온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배관의 중간부를 가열하여 연질화시키는 단계, (e) 상기 가열유닛을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가열유닛이 제거된 상기 클램프장착부에 에어공급부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폐쇄하는 단계 및 (g) 상기 에어공급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중간부를 팽창시켜 주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Fuel pipe manufacturing method for fuel pump}
본 발명은 관형 연료배관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연료배관의 일부에 주름을 형성하는 연료배관의 제조방법과 관련된다.
자동차의 연료펌프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정량 공급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부속 중 하나이다. 엔진의 온전한 작동을 위하여 중요할 뿐만 아니라, 가요성 연료를 다루므로 높은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연료펌프를 구성하는 부속품 중 하나인 연료배관은 집적 설계된 연료계통 부품들 사이에 연료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데, 구조적 필요성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주름관 형태의 연료배관은 고정식 배관에 비하여 장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배관이 연결하는 양 부품들의 상이한 진동을 완충하여 피로 파괴의 우려를 덜 수 있게 하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름관 형태의 연료배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주름관에 대응하는 성형다이에 가요성 수지를 넣어 처음부터 주름관이 구비된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방법과 직선형 관체를 가열한 후 기계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마다 접어 주름을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연료배관으로서 요구되는 다양한 물성을 맞추기 위한 특수 수지 재질을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주름관 성형 방법은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의 일부 수지는 큰 사이즈의 물품을 성형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직경이 작으며 작은 주름이 형성된 긴 연료배관을 하나의 공정으로 성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328호 (2015.12.10)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3-128127호 (1991.05.31)
본 발명은 반제품으로 제공되어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직선형 배관으로부터 주름관이 형성된 연료배관을 제조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양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클램프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의 중간부에 주름을 형성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름 패턴이 음각으로 형성된 성형다이에 상기 배관을 안치하는 단계, (b) 어느 한 상기 클램프장착부 안으로 마감부재를 삽입하여 폐쇄하는 단계, (c) 나머지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통과하여,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가열유닛을 배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가열유닛을 통해 고온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배관의 중간부를 가열하여 연질화시키는 단계, (e) 상기 가열유닛을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가열유닛이 제거된 상기 클램프장착부에 에어공급부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폐쇄하는 단계 및 (g) 상기 에어공급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중간부를 팽창시켜 주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된 고온 가스는, 상기 클램프장착부와 상기 가열유닛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장착부가 안치되는 상기 성형다이의 단부안착부에는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자켓을 구비하여,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장착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좁은 내경을 가지면서 긴 관 형상의 중간부만을 주름관으로 형성한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름 성형 공정 중 불량 발생율을 저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이 적용되는 배관의 성형 전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성형다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성형다이에 배관과 마감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마감부재의 선단부의 단면도.
도 5는 배관의 내부에 가열유닛을 장착한 상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열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성형다이에 구비된 냉각수단과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배관에 에어공급부를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마감부재의 사용 상태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이 성형 대상으로 삼는 배관과 관련되며, 도 1의 (a)는 성형 전의 배관(10)을 나타내고, (b)는 성형이 완료된 배관(10)과 관련된다.
도 1의 (a)에서 연료배관은 원통형 튜브 타입의 중간부(11)와, 중간부의 양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클램프장착부(12)를 포함한다. 클램프장착부(12)는 연료펌프의 타 배관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부분으로, 외주면에 클램프 등 공지된 조임 수단이 결합된다.
중간부(11)의 내경은 6 밀리미터 수준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좌우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11)의 두께(T1)는 클램프장착부(12)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향후 설명하는 주름 형성을 위한 중간부 가열 과정 중에 클램프장착부의 가열에 따른 연질화 우려를 일으키고, 클램프장착부의 가열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냉각 수단의 필요성을 야기한다.
도 1의 (b)는 중간부(11)의 전체에 걸쳐 주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중간부(11)를 가열하여 연질화시킨 후에 성형다이의 음각 형상을 이용하여 주름을 성형한 것이다. 좌우에 구비된 클램프장착부(12)는 주름 성형 전후에 형상과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즉 중간부(11)는 성형 전후로 좌우 길이의 변화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형다이(20)와 관련된다. 성형다이(20)는 상하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맞닿는 면에는 배관이 안착되는 배관자리(21)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배관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주름(211)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장착부가 안치되는 해당 배관자리(21)는, 클램프장착부의 외주면이 면접하며 안치되도록 형상과 사이즈가 맞추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은, (a) 성형다이에 배관을 안치하는 단계, (b) 일측 클램프장착부를 마감하는 단계, (c) 타측 클램프장착부 내로 가열유닛을 삽입하는 단계, (d) 가열유닛으로 고온 가스를 주입하여 중간부를 가열하여 연질화시키는 단계, (e) 가열유닛을 제거하는 단계, (f) 가열유닛이 제거된 클램프장착부에 에어공급부를 장착하여 배관 내부를 기밀하는 단계 및 (g)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중간부를 확장시켜 주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성형다이(20)에 배관(10)을 안치하고, 일측 클램프장착부(12)에 마감부재(30)를 장착한 상태((a) 단계, (b) 단계)와 관련된다. 마감부재(30)의 선단부는 클램프장착부(12)의 내경과 일치하며, 마감부재(30)의 선단은 클램프장착부(12)와 중간부(11)의 연결 지점 직전까지 진입된다. 이로써 마감부재(30)가 장착된 해당 클램프장착부(12)는 기밀되며, 클램프장착부(12)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구속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가열유닛이 사용되는 (c) 단계 내지 (d) 단계와 관련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가열유닛(40)은, 마감부재(30)가 장착되지 아니한 나머지 클램프장착부(12)에 삽입되는 몸체부(41)와, 몸체부(41)를 관통하여 길게 연장된 핀튜브(42)를 포함한다. 핀튜브(42)의 길이는 배관(10)의 중간부(11)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핀튜브(42)의 원형 단면의 외경은 중간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간부(11)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다.
핀튜브(42)는 중공된 관체로 몸체부(41)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배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핀튜브(4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기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홀(421)은 방사상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핀튜브의 후방은 고온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연결된다. 가스 공급부는 가스 저장 탱크, 히터, 보조 챔버, 밸브 등 저장하였던 가스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적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다양한 공지된 가스 공급장치 중 하나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핀튜브(42)의 선단부는 막혀 있어, 후방에서 공급되는 고온 가스는 복수의 통기홀(421)을 통해 배출된다.
도 5는 마감부재(30)가 장착되지 아니한 클램프장착부(12)를 통해 가열유닛(40)이 장착된 상태((c) 단계 및 (d) 단계)이다.
핀튜브(42)의 선단부는 마감부재(30)의 선단부에 접하게 된다. 이때 마감부재(30)의 선단의 중앙에 핀튜브(42)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1)이 형성되어 있어, 핀튜브(42)가 배관(10) 중간부(11)의 중심에 놓이도록 돕게 된다. 가늘고 긴 형상의 핀튜브(42)가 배관(10)의 내주면에 직접 닿지 아니하게 함으로써, 연질화된 배관(10)의 중간부(11)가 핀튜브(42)와 접촉하여 의도치 않게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수용홈(31)의 내벽면(311)은 수용홈의 바닥을 향하여 내림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핀튜브(42)의 선단부가 수용홈(31)에 진입하면서 배관의 중심에 자연스럽게 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41)는 클램프장착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클램프장착부(12) 내부로 진입된다. 그리하여 몸체부(41)의 외주면과 클램프장착부(12)의 내주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배관(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기가 연통하게 된다.
이후 가열유닛(40)을 통해 고온 가스를 주입하여 배관(10)의 중간부(11)를 가열, 연질화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고온 가스의 온도와 공급 시간은 연료배관의 재질과 관련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주입되는 가스는 불활성 가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핀튜브(42)의 통기홀들을 통해 배출된 고온 가스는 배관의 중간부(11)와 접촉하여 가열시키면서, 몸체부(41)와 클램프장착부(12) 사이의 틈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연질화 과정 중에 배관 중간부(11)는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중간부(11)가 가열되는 과정 중에 클램프장착부(12)로 열이 전달되어 클램프장착부마저 연질화될 우려가 있어, 클램프장착부(12)를 냉각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해소하는 방안 중 하나는 성형다이(20)에 냉각자켓(22)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2와 도 7을 참고하면, 성형다이(20)의 배면에는 클램프장착부(12)가 안치되는 해당 배관자리 위치에 대응하여 냉각자켓(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냉각이 필요한 클램프장착부(12)의 안치 위치에 맞춰 성형다이(20) 이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 냉각자켓(22)에 냉매를 주입하여 클램프장착부(12)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냉각자켓(22)의 내부에는 지그재그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격리핀(221)이 형성되며, 이 격리핀(221)은 클램프장착부(12)가 장착되는 부위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격리핀은 방열핀으로도 기능한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냉각자켓(22)의 커버(222)에 형성한 관으로부터 공급된 냉매는 지그재그 유로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자켓(22)을 통하여 클램프장착부(12)가 안치된 부위의 온도가 상승하지 아니하도록 하여, 고온 가스에 의한 클램프장착부(12)의 연질화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다른 해소 방안으로 마감부재(30)의 내부에 냉각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마감부재(30)의 선단부 내부에 빈 공간(32)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이르는 냉매 유입관(33)을 설치하여, 공급된 냉매가 마감부재(30)의 선단부를 냉각시키도록 작동한다. 이후 마감부재(30)의 선단부 내부의 냉매는 도면 좌측에 형성한 유출구(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클램프장착부(1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마감부재(30)의 선단부가 냉매에 의해 직접 냉각되므로, 클램프장착부(12)의 온도 상승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부재의 내부 구성은, 가열유닛의 몸체부에도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냉각자켓을 대체하여 히트 파이프 매립 등 다양한 공지된 방식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 일측의 클램프장착부는 마감부재를 통한 냉각 수단을 구비하고, 타측 클램프장착부는 성형다이에 구비된 냉각수단으로 냉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배관(10)의 중간부(11)를 연질화시킨 이후에 가열유닛(40)을 제거하고((e) 단계), 그 자리에 에어공급부(50)를 삽입하여 해당 클램프장착부(12)를 폐쇄한다.
에어공급부(50)의 선단부의 외경은 클램프장착부(12)의 내경 사이즈에 대응하여, 배관(10)의 내부는 마감부재(30)와 에어공급부(50)에 의해 막힌 공간이 된다. 또한 에어공급부(50)의 선단부는 클램프장착부(12)와 중간부(11)가 서로 이어지는 지점까지 깊숙이 진입하여 클램프장착부(12)를 견고히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압축공기의 주입에도 불구하고 클램프장착부가 이동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50)의 중심에는 공기주입관(51)이 관통하며,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 공기주입관은 컴프레셔의 압축공기 챔버와 밸브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공기주입관(51)을 통해 압축공기가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며, 압력 상승에 따라 밸브의 중간부(11)가 성형다이(20)에 형성해둔 음각 형상에 따라 팽창하여 주름으로 성형된다((f) 단계, 도 8의 (b) 참고).
이후 압축공기 배출과 냉각을 거친 후 주름이 형성된 배관(10)을 성형다이(20)에서 탈거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마감부재의 사용 상태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성형다이(29), 마감부재(30), 가열유닛 및 에어공급부의 구성요소의 구성과 작용관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내용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감부재(30)는 중심을 관통하는 냉각홀(312)를 구비하고, 이 냉각홀와 연결된 배관은 밸브(35)에 의해 단속되며, 브로워, 공기탱크 등 공지된 공기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배관을 성형다이(20)에 안착하는 (a) 단계부터 에어공급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주름을 성형하는 (g) 단계까지 밸브(35)는 폐쇄되어 있어, 마감부재(30)는 일측 클램프장착부(12)를 폐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주름 성형이 완료((g) 단계)된 이후, 에어공급부가 제거되면 타측 클램프장착부가 개방된다. 이때 밸브(35)를 개방하여 배관 내부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를 냉각홀(312)로 수 초간 불어 넣음으로써 배관(10) 내부의 열기를 빠르게 식힐 수 있다.
그에 따라 완성된 주름의 형상이 신속히 굳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며, 중력 등 외력에 의해 주름 형상이 의도치 않게 변형될 수 있는 염려를 해소하게 된다.
<실시예>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로 융점이 181℃인 재질이고, 배관 중간부의 두께가 1.25 밀리미터이고, 클램프장착부의 두께는 1 밀리미터인 배관을 주름진 연료배관으로 성형하였다.
다양한 방식에 따른 실험에서, (d) 단계의 고온 가스는 200℃ 내지 300℃의 온도 범위로 8초 내지 10초간 공급하여 중간부를 연질화시키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200℃ 미만의 온도로 고온 가스를 공급하면, 가열 시간을 십 수초까지 늘려도 클램프장착부와 가까운 부위에서는 의도한 바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성형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300℃를 초과하여 고온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공급 시간을 짧게 하면 중간부 전체에 대한 연질화가 불균등하게 이루어져 성형 상태가 나쁘고, 공급 시간을 늘리면 성형된 주름관의 두께가 불균등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고온 가스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 위 2가지 문제점 중 하나가 발생하여 적정한 고온 가승 공급 시간을 특정할 수 없기에 300℃가 최대 고온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g) 단계의 압축공기의 압력은 7 bar 내지 15 bar 범위로 제한된다.
주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7 bar 미만인 경우에는 어느 조건으로 연질화를 하였든 간에 주름에 성형 불량이 발생된다. 한편 15 bar를 초과한 압력을 가하면 주름의 일부에서 찢김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압축공기의 압력 범위는 7 bar 내지 15 bar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에서, 고온 가스를 핀튜브(42)로 주입하여 방사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작은 내경을 가진 배관(10)의 중간부(11)를 고르게 연질화시킬 수 있다. 공급된 고온 가스가 이동하는 배관 중간부(11)를 빠져나가는 동안, 중간부(11)의 내벽면을 거쳐가므로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 가열유닛(40)은 배관(10) 내부로 삽입 시에 냉각된 상태이고, 고온 가스는 밸브 조작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시작되고 종료되므로, 배관 중간부(11)를 의도에 따라 정확한 온도와 시간에 걸쳐 가열할 수 있다. 이는 배관 중간부를 가열함에 있어 공정의 정밀한 제어를 가능케 하여 성형의 성공률을 증대시킨다.
10 : 배관
11 : 중간부 T1 : 두께 12 : 클램프장착부 T2 : 두께
20 : 성형다이
21 : 배관자리 211 : 주름
22 : 냉각자켓 221 : 격리핀 222 : 커버
30 : 마감부재
31 : 수용홈 311 : 내벽면 312 : 냉각홀
32 : 공간 33 : 유입관 34 : 유출구 35 : 밸브
40 : 가열유닛
41 : 몸체부 42 : 핀튜브 421 : 통기홀
50 : 에어공급부 51 : 공기주입관

Claims (3)

  1.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양단부에 직경이 확장된 클램프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의 중간부에 주름을 형성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름 패턴이 음각으로 형성된 성형다이에 상기 배관을 안치하는 단계,
    (b)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는 마감부재를 어느 한 상기 클램프장착부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폐쇄하는 단계,
    (c) 나머지 클램프장착부를 통과하여,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가열유닛을 배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가열유닛을 통해 200℃ 내지 300℃의 온도인 고온 가스를 8초 내지 10초 간 주입함과 동시에 주입된 상기 고온 가스를 상기 클램프장착부와 상기 가열유닛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마감부재에 냉매를 공급하여,
    상기 배관의 중간부를 가열하여 연질화시키면서 상기 클램프장착부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단계,
    (e) 상기 가열유닛을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가열유닛이 제거된 상기 클램프장착부에 에어공급부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폐쇄하는 단계 및
    (g) 상기 에어공급부로 7 bar 내지 15 bar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중간부를 팽창시켜 주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핀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부재의 선단의 중앙에는 상기 핀튜브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핀튜브의 선단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중간부 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클램프장착부가 안치되는 상기 성형다이의 단부안착부에는 상기 클램프장착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자켓을 구비하여,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클램프장착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KR1020180083120A 2018-07-17 2018-07-17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KR10203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20A KR102037706B1 (ko) 2018-07-17 2018-07-17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20A KR102037706B1 (ko) 2018-07-17 2018-07-17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06B1 true KR102037706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20A KR102037706B1 (ko) 2018-07-17 2018-07-17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127A (ja) 1989-10-13 1991-05-31 Usui Internatl Ind Co Ltd 蛇腹管の製造装置
JPH0557812A (ja) * 1991-09-04 1993-03-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成形方法
JPH079542A (ja) * 1993-06-22 1995-01-13 Toyoda Gosei Co Ltd 蛇腹部をもつホースの製造方法
JPH07205327A (ja) * 1994-01-26 1995-08-08 Tokai Rubber Ind Ltd ホースの製造方法
EP0912853B1 (en) * 1996-07-16 2003-12-17 W.L. Gore & Associates, Inc. Fluoropolymer tub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578328B1 (ko) 2015-07-24 2015-12-16 (주)케이텍플러스 플렉시블 연료가스 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127A (ja) 1989-10-13 1991-05-31 Usui Internatl Ind Co Ltd 蛇腹管の製造装置
JPH0557812A (ja) * 1991-09-04 1993-03-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成形方法
JPH079542A (ja) * 1993-06-22 1995-01-13 Toyoda Gosei Co Ltd 蛇腹部をもつホースの製造方法
JPH07205327A (ja) * 1994-01-26 1995-08-08 Tokai Rubber Ind Ltd ホースの製造方法
EP0912853B1 (en) * 1996-07-16 2003-12-17 W.L. Gore & Associates, Inc. Fluoropolymer tub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578328B1 (ko) 2015-07-24 2015-12-16 (주)케이텍플러스 플렉시블 연료가스 배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3807B2 (ja) 内部付属品を備えた燃料タンクを製造する方法
US6936206B1 (en) Synthetic resin molding mol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djusting a temperature of the mold
US9808981B2 (en) Fuel tank manufacturing method and fuel tank
CN103660256A (zh) 通过使与模具外表面接触的传热流体流通冷却模具的方法
KR20210111307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 온도조정장치,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온도조정방법
KR102037706B1 (ko) 연료펌프용 연료배관 제조방법
KR20170134074A (ko) 플라스틱파이프의 스팀 벤딩장치
US7459118B2 (en) Heated medium supplying method and structure for secondary molding of resin molded component
US8940201B2 (en) Correcting apparatus of seamless belt, and correcting method of seamless belt
KR20180060772A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성형장치 및 이의 장치를 이용해서 제작된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KR20240018884A (ko) 블로우 성형장치용 코어몰드
KR102120991B1 (ko) 투명 합성수지 파이프 벤딩방법
KR100774768B1 (ko) 자동차용 흡기호스 제작금형 및 제작방법
KR20170124277A (ko)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JP2002178070A (ja) 合成樹脂ライニング付金属容器の製造方法
JP7451856B2 (ja) 固定部材付き樹脂管の製造方法及び固定部材付き樹脂管の製造装置
KR101816194B1 (ko)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공법
KR101387304B1 (ko) 분자구조상 바이-오리엔트된 플라스틱 파이프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JP6933925B2 (ja) インサート成形法
KR20080099756A (ko) 웰드레스 방식의 사출금형 장치
JP4063961B2 (ja) 伝動ベルトの加硫装置
KR102570670B1 (ko) 차량용 호스 가공 유닛
CN218256177U (zh) 模具半部、成型模具和模制部件
JP2019025833A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装置
KR20230120456A (ko) 호스 성형 장치 및 호스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