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299B1 -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299B1
KR102037299B1 KR1020180007850A KR20180007850A KR102037299B1 KR 102037299 B1 KR102037299 B1 KR 102037299B1 KR 1020180007850 A KR1020180007850 A KR 1020180007850A KR 20180007850 A KR20180007850 A KR 20180007850A KR 102037299 B1 KR102037299 B1 KR 10203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gate
fixing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00A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18000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2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을 구성하는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레버의 젖히는 동작으로 록킹장치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고 레버를 미는 동작으로 쉽게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레버에 스프링부재의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여 레버의 동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시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LOCKER DEVICE FOR TRUCK REAR DECK}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 적재함을 구성하는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레버의 젖히는 동작으로 록킹장치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고 레버를 미는 동작으로 쉽게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레버에 스프링부재의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여 레버의 동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시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등과 같이 후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에는 측면과 후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적재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적재함은 화물을 적재할 때 파손되지 않도록 비교적 두껍고 중량이 무겁게 제작된다.
기존의 트럭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며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을 운행시킬 수 있는 승차공간을 형성하는 캡과, 상기 캡의 뒤편으로 위치하여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는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함은 화물적재의 안전성과 화물의 승하적을 용이하게 하는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측벽은 적재함의 측방으로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와, 상기 사이드게이트의 후미에 제공되어 적재함의 후미를 형성하는 리어게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사이드게이트 및 리어게이트는 개폐가능하도록 적재함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에 힌지설치된다.
이러한, 사이드게이트 및 리어게이트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게이트의 잠금장치는 리어게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래킷과, 이 고정브래킷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리모양의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는 사이드게이트의 후미측에 결합된 지지브래킷의 고정홀측으로 이동되어 소정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선단이 고정홀 일측에 걸리도록하여 리어게이트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리어게이트의 잠금장치는 후크의 선단부를 잡고 작업자가 좌우로 이동시킬 때, 상기 후크의 선단부가 짧기 때문에 이동시키는데 힘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후크를 강제적으로 지지브래킷의 고정홀측으로 삽입시켜야 하므로 변형 및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게이트는 화물을 안정적으로 실을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제작됨과 아울러 소정 두께를 갖고 비교적 긴 길이로 제작되는 바, 위의 사이드게이트의 중량은 성인 남자 혼자 개폐하기는 부담스러울 정도의 중량이 된다.
즉,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는 화물의 중량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높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스틸재로 제작되는 사이드게이트는 매우 무거운 중량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를 제작할 때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매우 무겁게 제작하게 되면 운전자가 혼자 사이드게이트를 개폐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고, 특히 8톤 트럭이상의 큰 트럭의 경우에는 사이드게이트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이를 혼자 개폐하기는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트럭 사이드측에는 사이드게이트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부쪽에는 리어 게이트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대형 트럭의 경우에는 사이드게이트의 무게가 카고 테크의 길이(장축/초장축/극초장축)에 따라 약 70kg이 넘는 수준에 달하여 사람이 직접 열고 닫는데 어려움이 있고 열림시 충격으로 인하여 사이드게이트의 파손 및 주변사람의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게이트를 열고 닫을 때, 사람의 힘을 보조해주는 보조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사이드게이트 개폐 보조장치라 한다.
기존 사이드게이트 개폐 보조장치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1190호 "자동차용 사이드게이트 개폐 보조장치"(공개일자 : 2015.06.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고 데크의 바닥패널의 저부에 장착되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수직실린더의 바닥쪽에 압축 가능하게 내재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위체 가압 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위에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축과 사이드 게이트 간에 연결되어,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시 캠의 회전축에 각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이드게이트 개폐 보조장치는 게이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구조적으로 약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트럭 적재함의 잠금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343호 "트럭 적재함의 잠금장치"(등록일자 : 1999.12.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럭 적재함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의 후미측에 힌지고정되어 사이드게이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의 일측 소정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측에 위치 고정되어 롤러측으로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로커와,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이루는 리어게이트의 후면 일측에 상기 로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로커포밍홈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트럭 적재함의 경우에는 후크 결합식일 경우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를 회전시켜 플로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킨 후에 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야만 후크 결합이 가능하며, 후크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도 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레버를 후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레버를 젖혀서 회전시키고 사이드게이트 또는 리어게이트를 회전시켜 적재함을 오픈시키는 과정에서 리어게이트 또는 사이드게이트의 무게를 지지한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신체 부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기존 후크와 레버 결합방식을 갖는 적재함 잠금장치는 외부로 노출된 레버와 후크로 인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외부 이송중인 물품에 부딪혀 그 충격으로 인해 레버와 후크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함이 개방되면서 적재함에 적재된 물품이 낙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후크를 고정홈에 걸어서 록킹시키는 잠금장치의 경우에는 리어게이트에 마련된 고정브래킷의 후크가 사이드게이트의 후단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의 고정홈에 걸려져 후크 결합되는 방식이므로,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인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후크와 고정홈의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적재함 잠금장치는 후크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밀착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주행중에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접촉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1190호 "자동차용 사이드게이트 개폐 보조장치"(공개일자 : 2015.06.04)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343호 "트럭 적재함의 잠금장치"(등록일자 : 1999.12.1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럭 적재함을 구성하는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레버의 젖히는 동작으로 록킹장치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고 레버를 미는 동작으로 쉽게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에 스프링부재의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여 레버의 동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시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럭용 적재함의 리어게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하부의 폭보다 상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폭이 상기 록킹핀의 헤드부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하부에 상기 리어게이트의 측면 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한 고정브라켓과; 트럭용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의 좌,우 양측 후단에 결합되는 록킹케이싱과, 상기 록킹케이싱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링크부재를 상,하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면서 상단부가 승강동작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하 승강동작되며 상부에 상기 록킹케이싱 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에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록킹케이싱에 천공 형성된 장공 내에서 상,하 승강되며 상기 레버의 닫힘동작시 단부가 상기 고정홀 내에서 상승동작되어 상기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를 결속시키는 록킹핀으로 구성되는 록킹기구; 및 상기 고정홀의 내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사이드게이트의 회전시 상기 록킹핀이 측방향에서 고정홀의 하부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홀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고정홀의 하부와 연통되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록킹핀의 단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부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직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록킹케이싱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 이동 높이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에 결합된 연결핀과 레버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핀에 양단부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록킹핀은 일단부에 핀 몸체의 외경 폭보다 더 큰 폭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승강부재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레버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되어 레버를 젖힐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리어게이트와 사이트게이트의 록킹 구조를 록킹케이싱에 힌지 결합된 레버의 회전동작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록킹 동작시 레버가 록킹케이싱의 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핀의 헤드부 폭이 고정홀의 상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핀의 헤드부가 고정홀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이드게이트와 리어게이트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 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레버의 젖힘동작시 동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홀의 내측 테두리에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시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록킹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록킹기구의 레버가 젖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레버의 젖힘동작 전,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의 록킹핀과 고정홀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레버의 젖힘 동작 전,후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록킹핀의 위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트럭용 적재함의 리어게이트(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하부(112)의 폭보다 상부(114)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114)의 폭이 상기 록킹핀(250)의 헤드부(252)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고정홀(110)과, 상기 고정홀(110)의 하부(112)에 상기 리어게이트(10)의 측면 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홀(115)을 구비한 고정브라켓(100)과; 트럭용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20)의 좌,우 양측 후단에 결합되는 록킹케이싱(210)과, 상기 록킹케이싱(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링크부재(230)를 상,하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며 스프링부재(235)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레버(220)와, 상기 레버(220)와 핀 결합되어 상기 레버(22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면서 상단부가 승강동작되는 링크부재(230)와, 상기 링크부재(230)와 연동되어 상,하 승강동작되며 상부에 상기 록킹케이싱(2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240), 및 상기 승강부재(240)의 외측에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록킹케이싱(210)에 천공 형성된 장공(215) 내에서 상,하 승강되며 상기 레버(220)의 닫힘동작시 단부가 상기 고정홀(110) 내에서 상승동작되어 상기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를 결속시키는 록킹핀(250)으로 구성되는 록킹기구(200); 및 상기 고정홀(110)의 내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돌출부재(12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고정홀(110)은 하부(112)가 리어게이트(10)의 외측면과 연통되도록 연통홀(115)이 형성되며,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250)의 단부가 고정홀(110)의 하부를 통해 쉽게 진입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상승동작될 경우 상부(114)의 폭이 록킹핀(250)의 헤드부(252) 폭보다 좁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록킹핀(250)의 헤드부(252)가 고정홀(11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록킹핀(250)이 분리되지 못하게 되어 견고하게 리어게이트(10)와 사이트게이트를 구속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부의 폭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록킹핀(250)의 유동을 억제하면서 록킹핀(250)의 상승동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통홀(1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게이트(20)의 회전시 후방측으로 돌출된 록킹핀(250)이 간섭되지 않도록 측방향에서 고정홀(110)의 하부측으로 록킹핀(250)이 진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연통홀(115)은 하부(112)와 연통된 상기 고정홀(110)의 하부(112)와 연통되는 측방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내측(고정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록킹핀(250)과의 결합시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가 밀착되도록 상기 록킹핀(250)의 단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면(122)을 갖는 돌출부재(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120)는 경사면(122)과 상기 경사면(122)의 상단부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직선부(124)로 구성되며, 상기 록킹핀(250)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252)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중에 경사면(122)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되어 직선부(124)에 위치할 경우 돌출부재(120)의 직선부(124) 두께에 해당하는 헤드부(252)의 위치변위만큼 록킹핀(250)이 당겨지면서 리어게이트(10)가 사이드게이트(20)에 밀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케이싱(210)은 전면이 상기 사이드게이트(20)의 후단부에 리벳이나 볼트등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고, 사이드게이트(20)의 후단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중공을 갖는 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케이싱(210)은 전면 좌,우 양측에 연장되는 연장돌부(270)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돌부(270)의 내부에 상기 사이드게이트(20)의 후단부가 진입되어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케이싱(210)은 전면과 후면에 상기 승강부재(240)에 록킹핀(250)이 결합되도록 상기 록킹핀(250)의 진입을 위한 장공(215)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장공(215)은 록킹케이싱(210)이 사이드게이트(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호환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록킹케이싱(2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부재(235)는 상기 링크부재(230)에 결합된 연결핀과 레버(220)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핀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레버(220)의 젖힘 동작(오픈 동작)시 록킹케이싱(210)으로부터 레버(220)를 오픈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레버(2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되어 레버(220)를 젖힐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222)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핀(250)은 록킹케이싱(210)의 장공(215)을 통해 승강부재(24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일단부에 핀 몸체의 외경 폭보다 더 큰 폭의 헤드부(2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승강부재(240)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핀(250)은 도 5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가 록킹케이싱(210)의 측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헤드부(252)가 장공(21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의 결합시 록킹되는 반면에, 도 5b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20)가 젖혀질 경우 상기 록킹핀(250)의 헤드부(252)가 장공(215)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의 록킹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게이트(20) 또는 리어게이트(10)의 회전시 록킹핀(250)이 고정홀(11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다.
상기 록킹기구(200)는 상기 록킹케이싱(21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240)의 상측 이동 높이를 제한하는 스톱퍼(2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260)는 록킹케이싱(210)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승강부재(240)의 상승동작시 승강부재(240)의 상측과 간섭되어 승강부재(24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레버(2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레버(220)의 일면이 록킹케이싱(210)의 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레버(220)를 젖히기 전에 록킹케이싱(210)의 외관만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레버(220)의 일면이 록킹케이싱(210)의 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경우 록킹핀(250)은 장공(215)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록킹핀(250)의 헤드부(252)가 고정홀(110)의 상측에 끼워져 사이드게이트(20)와 리어게이트(10)에 결속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해 레버(220)를 록킹케이싱(210)으로부터 오픈되도록 젖히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와 핀 연결된 링크부재(230)의 하단부가 연동 회전되면서 링크부재(230)의 상단부가 하강동작되고, 링크부재(230)의 상단부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승강부재(240)가 연동되도록 연결된 승강부재(240)가 록킹케이싱(210) 내에서 하강동작된다.
이어서, 록킹핀(250)은 승강부재(240)의 하강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하강동작되고, 고정홀(1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고정홀(110)과의 결합상태가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록킹핀(250)이 고정홀(110)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만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235)는 레버(220)의 젖힘 동작시 탄성력을 제공하지만, 레버(220)가 록킹케이싱(210)측으로 회전되어 닫힐 경우에는 레버(220)와 록킹케이싱(210)이 동일 수직선상에 가까운 각도로 가까워지도록 회전됨에 따라 스프링부재(235)의 탄성력이 링크부재(230)에 전달되면서 승강부재(240)를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에, 레버(220)를 록킹케이싱(210)측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닫으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40)와 연동되게 연결된 록킹핀(250)이 고정홀(110)에 진입된 상태에서 고정홀(110)의 하부(112)에서 상부(114)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가 밀착되면서 록킹핀(250)과 고정홀(110)을 통해 사이드게이트(20)와 리어게이트(10)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내측(고정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록킹핀(250)의 단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면(122)을 갖는 돌출부재(1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핀(250)의 단부가 고정홀(110)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방향 이동할 경우 록킹핀(250)의 헤드부(252)가 경사면(122)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되어 직선부(124)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직선부(124)의 두께만큼 사이드게이트(20)와 리어게이트(10) 사이의 틈새가 줄어들도록 밀착되고, 이로 인해 적재함의 작동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게이트(10)와 사이트게이트의 록킹 구조를 록킹케이싱(210)에 힌지 결합된 레버(220)의 회전동작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록킹 동작시 레버(220)가 록킹케이싱(210)의 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핀(250)의 헤드부(252) 폭이 고정홀(110)의 상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핀(250)의 헤드부(252)가 고정홀(110)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이드게이트(20)와 리어게이트(10)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220)의 회전 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3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레버(220)의 젖힘동작시 레버(220)를 록킹케이싱(210)의 측면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스프링부재(235)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레버(220)의 동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홀(110)의 내측 테두리에 경사면(122)을 갖는 돌출부재(1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장치의 록킹동작시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리어게이트 20 : 사이드게이트
100 : 고정브라켓 110 : 고정홀
115 : 연통홀 120 : 돌출부재
122 : 경사면 124 : 직선부
200 : 록킹기구 210 : 록킹케이싱
215 : 장공 220 : 레버
222 : 통공 230 : 링크부재
235 : 스프링부재 240 : 승강부재
250 : 록킹핀 252 : 헤드부
260 : 스톱퍼 270 : 연장돌부

Claims (5)

  1. 트럭용 적재함의 리어게이트(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하부(112)의 폭보다 상부(114)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114)의 폭이 록킹핀(250)의 헤드부(252)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고정홀(110)과, 상기 고정홀(110)의 하부(112)에 상기 리어게이트(10)의 측면 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홀(115)을 구비한 고정브라켓(100)과;
    트럭용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20)의 좌,우 양측 후단에 결합되는 록킹케이싱(210)과, 상기 록킹케이싱(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링크부재(230)를 상,하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며 스프링부재(235)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레버(220)와, 상기 레버(220)와 핀 결합되어 상기 레버(22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면서 상단부가 승강동작되는 링크부재(230)와, 상기 링크부재(230)와 연동되어 상,하 승강동작되며 상부에 상기 록킹케이싱(2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240), 및 상기 승강부재(240)의 외측에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록킹케이싱(210)에 천공 형성된 장공(215) 내에서 상,하 승강되며 상기 레버(220)의 닫힘동작시 단부가 상기 고정홀(110) 내에서 상승동작되어 상기 리어게이트(10)와 사이드게이트(20)를 결속시키는 록킹핀(250)으로 구성되는 록킹기구(200); 및
    상기 고정홀(110)의 내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115)은 사이드게이트(20)의 회전시 상기 록킹핀(250)이 측방향에서 고정홀(110)의 하부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홀(110)의 하부(112)와 연통되고, 상기 고정홀(110)의 하부(112)와 연통되는 측방향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120)는 록킹핀(250)의 단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사면(122)과, 상기 경사면(122)의 상단부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직선부(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200)는 상기 록킹케이싱(21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240)의 상측 이동 높이를 제한하는 스톱퍼(2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235)는 상기 링크부재(230)에 결합된 연결핀과 레버(220)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핀에 양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250)은 일단부에 핀 몸체의 외경 폭보다 더 큰 폭의 헤드부(2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승강부재(240)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2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되어 레버(220)를 젖힐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2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KR1020180007850A 2018-01-22 2018-01-22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KR10203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50A KR102037299B1 (ko) 2018-01-22 2018-01-22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50A KR102037299B1 (ko) 2018-01-22 2018-01-22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00A KR20190089400A (ko) 2019-07-31
KR102037299B1 true KR102037299B1 (ko) 2019-11-26

Family

ID=6747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50A KR102037299B1 (ko) 2018-01-22 2018-01-22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8435A (zh) * 2020-11-06 2021-01-15 常州灵特尔轻便展示系统有限公司 一种组合模块机构
CN115196359A (zh) * 2022-07-27 2022-10-18 郭均 一种物流货箱锁定装置及锁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06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록킹장치
KR200173343Y1 (ko) 1997-12-26 2000-04-01 정몽규 트럭 적재함의 잠금장치
KR20000025379A (ko) * 1998-10-10 2000-05-06 김무 카고트럭용 적재함의 게이트록킹장치
KR101936443B1 (ko) 2013-11-27 2019-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00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299B1 (ko) 트럭 적재함용 록킹장치
US5556152A (en) Tailgate
US20070071567A1 (en) Cargo retention device
CN103958235A (zh) 车辆用车门构造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US20090072590A1 (en) Soft top for a motor vehicle
US8783754B1 (en) Vehicle having utility bed and retractable seat
US20150375668A1 (en) Commercial vehicle having a modular body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US10046707B2 (en) Door blocker for a vehicle
US8075239B2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vehicle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CN216331663U (zh) 一种自卸车
CN110171492A (zh) 一种顶开式硬顶车厢
KR101719987B1 (ko) 화물차량의 잠금장치
KR100445877B1 (ko) 사이드 게이트 이중 잠금장치
KR100747888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CN220929041U (zh) 汽车行李箱的锁具
JPH0122075Y2 (ko)
JP4859885B2 (ja) 箱型荷台の後部ドアのスライド装置
KR100483864B1 (ko) 화물차의 적재함의 문짝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분실방지장치
CN220429979U (zh) 一种粮食运输车侧门开启机构
JP396807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580711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구조
JP4342812B2 (ja) ロック装置付きドアはね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