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123B1 -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23B1
KR102037123B1 KR1020180044489A KR20180044489A KR102037123B1 KR 102037123 B1 KR102037123 B1 KR 102037123B1 KR 1020180044489 A KR1020180044489 A KR 1020180044489A KR 20180044489 A KR20180044489 A KR 20180044489A KR 102037123 B1 KR102037123 B1 KR 10203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nose pad
arm
support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23A (ko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 (Inno)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to KR102018004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에 형성된 브릿지의 내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부위와 프론트의 브릿지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여서 프론트에 조립된 렌즈가 안구의 전방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단부를 절곡하여, 아이부(eye)의 상부에 연결암부와 지지암부가 형성된 굽힘단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굽힘단부의 아이부를 수용하는 아이(eye)형의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의 연결암과 지지암을 수용하는 암 수용부가 형성된 절개소켓이 형성된 코패드; 및
적어도 상기 굽힘단부를 구성하는 아이부에 조립되어, 상기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에 형성된 아이부 사이를 틸팅구조를 조립하는 피봇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Nose pad assembly for 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에 형성된 브릿지의 내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부위와 프론트의 브릿지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여서 프론트에 조립된 렌즈가 안구의 전방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코받침은, 착용자의 콧등에 직접 밀착하는 코받침과 코받침을 안경테에 연결하는 연결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연결간은 안경코받침의 후측 및 안경테의 브릿지, 또는 그 하단에서 렌즈고정림에 용착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경은 안경의 사용중에 가장 많은 고장을 유발하는 부분 또한 안경의 코받침을 안경테에 결합하는 연결간 부분이다.
즉, 안경코받침을 안경테에 연결하는 연결간은 가는 철사를 밴딩하여 그 단부를 안경테에 용착결합하여 형성되며 이는 안경착용자의 코의 모양에 따라 코받침의 위치 및 받침각도 등을 교정하여 착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가는 철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코받침을 결합하는 연결간은 안경의 착용중에도 안경에 의한 하중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므로 안경착용자 및 안경점에서는 연결간의 밴딩된 모양 등을 수시로 교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잦은 교정 및 보정으로 인한 손상 및 외부충격에 의해 코받침의 연결간은 쉽게 부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간이 안경테에 용접결합됨으로 인하여 연결간이 부러진 안경은 연결간을 다시 안경테에 용접하여 수리하여야 하지만 안경점에서 수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안경점에서는 안경용접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비되어 있다 하여도 연결간을 안경테에 용접결합하면 안경테는 용접열에 의해 안경테에 표면처리된 색상과 문양 등이 또 다시 손상되므로 재용접한 안경테를 다시 문양과 표면처리를 하여야 하여 안경의 수리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연결간이 용접결합된 안경은 안경점 및 사용자가 수리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수리하기 위하여서는 안경의 제조공장 또는 전문적으로 안경을 수리하는 곳으로 보내야 하는 등, 안경의 수리에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심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안경렌즈의 외주둘레 전체를 렌즈고정림이 밀착하여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온테안경은 렌즈고정림의 내측에서 안경렌즈를 고정하는 렌즈고정홈을 형성하여 안경렌즈를 렌즈고정홈에 투입하여 고정하거나 안경렌즈의 외주둘레에 원주면을 따라 고정홈을 형성하여 두께가 얇은 렌즈고정림이 렌즈고정홈에 투입되게 하여 안경렌즈를 고정한다.
즉, 렌즈고정림의 내측에 렌즈고정홈을 형성한 것은 안경렌즈의 둘레가 렌즈고정홈 외측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안경렌즈가 렌즈고정홈에 투입되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렌즈고정림이 안경렌즈의 고정홈 내측에 투입되는 것 또한 안경렌즈의 고정홈 외측은 렌즈고정림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렌즈고정림의 둘레가 안경렌즈의 고정홈에 투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고정림에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것은 렌즈의 둘레가 렌즈고정림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안경렌즈를 렌즈고정림에 결합하기 위하여서는 렌즈고정림에 상, 하 한 쌍의 렌즈고정구를 용착하여 결합하고 렌즈고정구의 중심에서 렌즈고정림과 렌즈고정구를 동시에 컷팅하여 컷팅부가 벌어지도록 하여 렌즈고정림의 내측으로 안경렌즈의 둘레가 끼어지게 하고 컷팅된 상, 하 렌즈고정구를 고정나사로 결합하여 안경렌즈를 렌즈고정림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렌즈고정림에 별도의 렌즈고정구를 용착하여 형성하여야 함으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대한 자료는 공개실용신안 실 1998-057468호의 ‘안경테’와, 등록실용 20-0419614호의 ‘좌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코받침을 결합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안경테’ 및 등록실용신안 20-0453136호의 ‘코받침연결간을 가진 조립식안경’에 개시되어 있다.
KR 20-0453136 Y1 KR 10-1056533 B1 KR 20-1998-057468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의 내측에 배치된 코 지지대와 코등부위에 지지되는 코 패드 사이에 독특한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코패드의 전후 및 좌우로 틸팅이 구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을 갖도록 한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는,
하단부를 절곡하여 아이(eye)부의 상부에 연결암부와 지지암부가 형성된 굽힘단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굽힘단부의 아이부를 수용하는 아이(eye)형의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의 연결암과 지지암을 수용하는 암 수용부가 형성된 절개소켓이 형성된 코패드; 및
상기 굽힘단부를 구성하는 아이부에 조립되어, 상기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에 형성된 아이부 사이를 틸팅구조를 조립하는 피봇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봇부재는 굽힘단부의 아이부에 삽입되며 양측에 절개포켓의 내측벽에 틸팅구조로 지지되는 피봇돌기가 돌출된 피봇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코패드에 형성된 아이부 수용부의 내측벽은 피봇돌기를 통해 틸팅구조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부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피봇부재의 양측벽에 돌출된 피봇돌기를 감싸는 그루브홈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피봇 돌기부의 상부에는 굽힘단부의 연결암과 지지암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편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패드에 형성된 절개포켓 내에 진입하여 코패드를 조립하는 지지대의 굽힘단부에 피봇부재를 조립하여, 코패드와 굽힘단부 사이의 안정된 결합상태를 형성하고, 또 피봇부재에 의해 코패드가 틸팅구조로 조립되어서, 코패드의 전후 및 좌우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부위의 체형에 따라 코패드는 피봇부재에 의해 전후 및 좌우로 틸팅하여 코부위에 안정되게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한 안경테를 착용한 착용자는 코부위의 불균일하고 과도한 압박없이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봇부재는 연결암과 지지암 사이를 설정간격으로 지지하는 지지편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피봇부재에 의한 지지작용에 의해 연결암과 지지암을 포함하는 굽힘단부가 물리적으로 변형되어 코패드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부재가 조립된 지지대의 굽힘단부를 절개포켓 내에 진입하여 지지대에 조립된 코패드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제작하면, 절개포켓 내에 진입된 피봇부재, 지지대의 굽힘단부가 외부에 투영되어 독특한 미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의 순차적인 조립상태와, 코패드의 전후, 및 좌우 틸팅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에 있어, 코패드를 투명재질로 제작하여 코패드의 절개포켓 내에 삽입된 굽힘단부와 피봇부재의 투영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의 순차적인 조립상태와, 코패드의 전후, 및 좌우 틸팅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에 있어, 코패드를 투명재질로 제작하여 코패드의 절개포켓 내에 삽입된 굽힘단부와 피봇부재의 투영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테(100)에 형성된 브릿지(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부위와 안경테(100)의 브릿지 사이를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여서, 안경테(100)에 조립된 렌즈를 안구의 전방에 정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패드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를 안경테(100)에 고정하여 하단부를 자유단을 형성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착용자의 콧등 부위를 지지하는 코패드(20)를 포함하며, 이들 코패드 조립체(1)는 안경테(100)의 브릿지(110) 내벽에 좌우 대칭되어 형성되어 코패드(20)를 통해 착용자의 코 등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대(10)는 좌우 분할되지 아니하고, 상단부에 연결부를 통해 단일몸체로 이루어져, 좌우 양편에 자유단을 형성한 하단부가 형성된 "∩" 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10)는 금속편이나 와이어 부재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부재를 소정형상으로 절곡한 지지대(10)를 안경테(100)의 브릿지(110)의 양편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대(10)의 하단부와 코패드(20) 사이에 개량된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코패드(20)가 지지대(10)의 하단부에 안정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코 체형에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를 구성하는 와이어 부재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아이(eye)부(12)의 상부에 연결암(13)과 지지암(14)이 각각 형성된 굽힘단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코패드(30)에는 지지대(10)에 형성된 굽힘단부(11)의 아이부(12)를 수용하는 아이(eye)형의 아이부 수용부(22)와 굽힘단부(11)의 연결암(13)과 지지암(14)을 수용하는 암 수용부(23)가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절개포켓(21)을 형성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굽힘단부(11)의 연결암(13)과 지지암(14)은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이를 수용하는 암 수용부(23)의 전방 내벽(23a)과 후방 내벽(23b)은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0)의 굽힘단부(11)에 피봇부재(30)를 삽입하여, 피봇부재(30)에 의해 굽힘단부(11)를 구성하는 연결암(13)과 지지암(14) 사이의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특히, 상기 피봇부재(30)에 의해 굽힘단부(11)는 코패드(20)의 절개포켓(21) 내에 틸팅구조로 조립되고, 코패드(20)는 피봇부재(30)를 통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틸팅되어 착용자의 코부위에 안정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피봇부재(30)는, 상기 굽힘단부(11)의 아이부(12)에 삽입되는 피봇 돌기부(31)와; 상기 피봇 돌기부(31)의 상부에 연장하여 형성되어 굽힘단부(11)의 연결암(13)과 지지암(14)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편부(32)를 포함한다.
상기 피봇 돌기부(31)의 양측벽에는 반구형의 피봇돌기(31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패드(20)의 아이부 수용부(22)의 내측벽(22a)은 피봇돌기(31a)를 통해 지지되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코패드(20)는 피봇돌기(31a)를 통해 굽힘단부(11)에 틸팅구조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아이부 수용부(22)의 내측벽(22a)에는 피봇돌기(31a)를 감싸는 그루브(22b)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 돌기부(31)는 아이부 수용부(22)의 내측벽(22a)에 정위치에 전후 및 좌우 틸팅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암(13)과 암 수용부(23)의 전방 내벽(23a), 지지암(14)과 암 수용부(23)의 후방 내벽(23b) 사이에는 전후 틸팅 공간부(S2)가 형성되어, 상기 피봇부재(30)를 통해 굽힘단부(11)에 틸팅구조로 조립된 코패드(20)는 전후 틸팅 공간부(S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암(13)과 지지암(14)의 외향 경사각은, 암 수용부(23)의 전방 내벽과 후방 내벽의 경사각 보다 경사도가 작도록 구성되어, 연결암(13)과 암 수용부(23)의 전방 내벽(23a), 지지암(14)과 암 수용부(23)의 후방 내벽(23b) 사이에는 전후 틸팅 공간부(S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굽힘단부(11)의 측벽과 이와 마주하는 절개포켓(21)의 내측벽(22a) 사이에는 좌우 틸팅 공간부(S1)가 형성되어, 상기 피봇부재(30)를 통해 굽힘단부(20)에 틸팅구조로 조립된 코패드(20)는 좌우 틸팅 공간부(S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절개포켓(21)의 좌우 폭은 굽힘단부(11)의 좌우 폭 보다 크게 제작되어, 굽힘단부(11)의 측벽과 이와 마주하는 절개포켓(21)의 내측벽(22a) 사이에는 좌우 틸팅 공간부(S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부재(30)를 조립한 지지대(10)의 굽힘단부(11)를 절개포켓(21) 내에 진입하여 지지대(10)의 하단부에 조립된 코패드(20)는 피봇부재(30)에 형성된 피봇 돌기부(31)를 통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틸팅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착용자의 코부위의 체형에 따라 코패드(20)는 전후 및 좌우로 틸팅하여 코부위에 안정되게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착용자에게 향상된 착용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13)과 연결암(14)은 피봇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부(32)에 의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므로, 코패드(20)가 지지대(10)의 굽힘단부(11)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1. 코패드 조립체
10. 지지대 11. 굽힘단부
12. 아이부 13. 연결암
14. 지지암
20. 코패드 21. 절개포켓
22. 아이부 수용부 22a. 내측벽
22b. 그루브 S1. 좌우 틸팅 공간부
23. 암 수용부 23a, 전방 내벽
23b. 후방 내벽 S2. 전후 틸팅 공간부
30. 피봇부재 31. 피봇돌기부
31a. 피봇돌기 32. 지지편부
100. 안경테 110. 브릿지

Claims (4)

  1. 하단부를 절곡하여, 아이(eye)부의 상부에 연결암부와 지지암부가 형성된 굽힘단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굽힘단부의 아이부를 수용하는 아이(eye)형의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의 연결암과 지지암을 수용하는 암 수용부가 형성된 절개소켓이 형성된 코패드; 및
    상기 굽힘단부를 구성하는 아이부에 조립되어, 상기 아이부 수용부와 굽힘단부에 형성된 아이부 사이를 틸팅구조를 조립하는 피봇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봇부재는 굽힘단부의 아이부에 삽입되며 양측에 절개포켓의 내측벽에 틸팅구조로 지지되는 피봇돌기가 돌출된 피봇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코패드에 형성된 아이부 수용부의 내측벽은 피봇돌기를 통해 틸팅구조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피봇부재의 양측벽에 돌출된 피봇돌기를 감싸는 그루브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피봇 돌기부의 상부에는 굽힘단부의 연결암과 지지암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편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KR1020180044489A 2018-04-17 2018-04-17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KR10203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9A KR102037123B1 (ko) 2018-04-17 2018-04-17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9A KR102037123B1 (ko) 2018-04-17 2018-04-17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23A KR20190121023A (ko) 2019-10-25
KR102037123B1 true KR102037123B1 (ko) 2019-10-29

Family

ID=6842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89A KR102037123B1 (ko) 2018-04-17 2018-04-17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6426U (ja) * 1984-05-22 1985-12-10 山崎工業株式会社 眼鏡の鼻当具
KR19980057468U (ko) 1997-02-04 1998-10-15 황선학 안경테
AT500856B8 (de) * 2005-04-25 2007-02-15 Silhouette Int Schmied Ag Nasenabstützung für eine brille
KR200453136Y1 (ko) 2008-12-10 2011-04-08 이상탁 코받침연결간을 가진 조립식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23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8353B2 (en) Nosepiece for eyeglass frames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US6767096B2 (en) Eyeglass with connection structure for rimless eyeglass and screwless hinge
KR102037123B1 (ko) 안경테용 코패드 조립체
US3391976A (en) Auxiliary nosepiece for spectacle frames
CA2141896C (en) Folding frameless eyeglasses
US11054670B2 (en) Flexible eyewear assembly
KR870000241B1 (ko) 조정할 수 있는 코받이를 갖는 선글라스
EP2947504B1 (en) Nosepiece for eyeglass frames
JPS59195620A (ja) 着脱自在なレンズ枠とその支持体からなる眼鏡
JP3785168B2 (ja) 眼鏡枠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102206631B1 (ko) 안경
JP3048052U (ja) 眼鏡のテンプル開閉機構
KR100201801B1 (ko) 안경용 보조 렌즈
JPH09329767A (ja) 縁なし眼鏡枠のレンズ固定構造
JP3002342U (ja) メガネフレームの屈曲部材の連結構造
JP3107987U (ja) 眼鏡フレーム
CA2551378A1 (en) Eyeglass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KR20220060260A (ko)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KR20180000576U (ko) 일체형 코 받침이 구비된 안경
JP3121139U (ja) 度付きサングラス
JP3025354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190051645A (ko) 안경테
JPH0734421U (ja) 眼 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