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895B1 -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895B1
KR102036895B1 KR1020130044673A KR20130044673A KR102036895B1 KR 102036895 B1 KR102036895 B1 KR 102036895B1 KR 1020130044673 A KR1020130044673 A KR 1020130044673A KR 20130044673 A KR20130044673 A KR 20130044673A KR 102036895 B1 KR102036895 B1 KR 10203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riable mirror
camera assembly
image senso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474A (ko
Inventor
황효석
노경식
윤석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895B1/ko
Priority to US14/020,107 priority patent/US9219859B2/en
Publication of KR2014012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2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flexible sheet or membrane, e.g. for varying the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가변형 거울을 사용하여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마련되는 가변형 거울,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모드 또는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모드 중 어느 하나로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가변형 거울 제어부,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제1영상 데이터와 제2영상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Camera assembly and image acquiring method using the same}
넓은 화각의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넓은 화각의 영상을 얻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획득된 영상간의 정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구성하기 쉽고 각각의 영상에 왜곡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넓은 화각의 영상을 얻기 위해 광각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에 보통 사용되는 초점거리 50mm 내외의 렌즈 외에 넓은 시야각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광각 렌즈나 어안 렌즈 (fish-eye lens) 를 사용하는 것이다. 광각 렌즈는 표준 렌즈보다는 넓은 화각을 가지나 대체로 최대 120˚ 내외이다. 더 넓은 화각을 가지는 어안 렌즈는 180˚ 정도의 화각을 가진다. 그러나 어안렌즈로 얻는 영상은 상이 비뚤어지는 단점이 있다.
카메라가 수술시의 복강과 같이 좁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복강경 또는 내시경에 쓰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 번째로, 카메라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카메라는 인체 기관 혹은 수술 시 절개 부위로 몸 안으로 들어온다. 카메라의 크기가 클 때, 절개 부위의 확장 및 수술 공간 협소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개의 카메라를 배열하는 방식 보다는 한대 혹은 소수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두 번째로, 카메라가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는 수술 부위가 있는 전방을 보는 역할 외에도, 카메라 근처의 수술 도구의 움직임, 수술 부위의 환경 등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전방의 시야는 사람의 눈으로 직접 보는 것처럼 왜곡 없는 고화질 영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복강경이나 수술용 로봇에 사용하기 적합한 크기가 작고, 넓은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가변형 거울을 사용하여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마련되는 가변형 거울;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모드 또는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가변형 거울 제어부; 상기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제1영상 데이터와 제2영상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거울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마주보는 면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입사되는 광을 상기 가변형 거울의 오목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가변형 거울에서 재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정합하여 제3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로 넓은 화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이 반사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이 투과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영상처리부에서 영상이 정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이 반사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이 투과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가변형 거울(100)이 반사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타나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영상처리부(400)에서 영상이 정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어셈블리(20)는 가변형 거울(100),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 반사부(200), 이미지 센서(300) 및 영상처리부(400)를 포함한다.
가변형 거울(100)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이미지 센서(300)로 입사되는 빛(IL)은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p)하여 입사되거나 가변형 거울(100)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된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전환시킨다.
가변형 거울(100)은 가변형 거울(100)로 입사되는 빛(IL)이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모드와, 가변형 거울(100)로 입사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되는 반사모드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거울(100)은 투과모드에서는 유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반사모드에서는 거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투과모드에서 반사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가변형 거울(100)은 이미지 센서(300)와 마주하는 면이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의 반사모드에서 이미지 센서(300)가 제1영상 데이터(d1)를 획득하면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투과모드로 전환시키고, 가변형 거울(100)의 투과모드에서 이미지 센서(300)가 제2영상 데이터(d2)를 획득하면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다시 반사모드로 전환시킨다. 카메라 어셈블리(20)의 동작 중에 가변형 거울(100)은 가변형 거울(100)의 전술한 모드 전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사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변형 거울(100)의 하부에 마련되고, 가변형 거울(100)의 오목면과 마주보는 면이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반사부(200)의 중심부는 이미지 센서(300)와 마주하므로 이미지 센서(300)의 빛감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미지 센서(300)에 대응하는 반사부(200)의 중심부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거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부(200)는 반사부(200)로 입사하는 빛을 반사(r1)시킬 수 있도록 거울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을 가변형 거울(100)의 오목면을 향해 반사(r1)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200)의 곡률이 정해진다.
전술한 가변형 거울(100)과 반사부(200)는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하는 카메라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상용 제품에 사용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의 이미지 센서(300)로 구현될 수 있다.
가변형 거울(100)이 반사모드일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이 반사부(200)에서 반사(r1)되어 가변형 거울(100)의 오목면을 향해 진행한다.
가변형 거울의 오목면은 반사부(200)에서 반사된 빛을 다시 이미지 센서(300)를 향해 반사(r2)시킨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된 빛(RL)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d1)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생성된 제1영상 데이터(d1)는 영상처리부(400)로 출력되고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 데이터(d1)로부터 제1영상(I1)을 산출한다.
도 2에는 제1영상(I1)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영상(I1)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을 감지하여 산출한 것이므로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방향의 영상이 나타난다.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측면방향에서 입사되는 빛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각을 갖게 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제1영상 데이터(d1)를 영상처리부(400)로 출력하면,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3에는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로 전환된 후 제2영상(I2)을 획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일 때는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입사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p)하여 이미지 센서(300)로 집광된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한 빛(PL)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d2)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생성된 제2영상 데이터(d2)는 영상처리부(400)로 출력되고 영상처리부(400)는 제2영상 데이터(d2)로부터 제2영상(I2)을 산출한다.
도 3에는 제2영상(I2)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2영상(I2)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빛을 감지하여 산출한 것이므로 전면방향의 영상이 나타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처리부(400)는 이미지 센서(300)로부터 제1영상 데이터(d1)와 제2영상 데이터(d2)를 수신하여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산출하면,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제3영상(I3)을 산출한다.
제1영상(I1)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에 반해, 제2영상(I2)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의 정보까지 포함된 제3영상(I3)을 산출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는 종래의 광각렌즈나 어안렌즈보다 넓은 화각을 가지기 때문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로 획득한 영상은 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카메라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장치는 카메라 어셈블리(20)와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한다.
카메라 어셈블리(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도 6 내지 도 8의 카메라 어셈블리(20)도 도 5의 카메라 어셈블리(20)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30)는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영상처리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제3영상(I3)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영상(I3)을 표시한다.
전술한 카메라 어셈블리(20)가 포함되는 장치의 일 예로는 복강경과 같은 내시경이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는 복강경처럼 작은 크기의 카메라로 넓은 화각의 영상이 필요한 장치에 적합하다.
그러나 카메라 어셈블리(20)가 포함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어셈블리(20)에서 출력되는 제3영상(I3)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0)를 구비한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에 포함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와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텔레비전, 감시카메라, 자동차 등과 같은 장치는 전술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가변형 거울(100)이 반사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인 경우의 영상획득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어셈블리(20)는 가변형 거울(100),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 이미지 센서(300) 및 영상처리부(400)를 포함한다.
가변형 거울(100)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이미지 센서(300)로 입사되는 빛은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하여 입사되거나 가변형 거울(100)로부터 반사(r)되어 입사된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전환시킨다.
가변형 거울(100)은 가변형 거울(100)로 입사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모드와, 가변형 거울(100)로 입사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되는 반사모드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거울(100)은 투과모드에서는 유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반사모드에서는 거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투과모드에서 반사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가변형 거울(100)은 이미지 센서(300)와 마주하는 면이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의 반사모드에서 이미지 센서(300)가 제1영상 데이터(d1)를 획득하면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투과모드로 전환시키고, 가변형 거울(100)의 투과모드에서 이미지 센서(300)가 제2영상 데이터(d2)를 획득하면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다시 반사모드로 전환시킨다. 카메라 어셈블리(20)의 동작 중에 가변형 거울(100)은 가변형 거울(100)의 전술한 모드 전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가변형 거울(100)이 반사모드일 때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변형 거울(100)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을 이미지 센서(300)로 반사(r)시킨다. 가변형 거울(100)의 곡률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300)로 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된 빛(RL)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d1)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생성된 제1영상 데이터(d1)는 영상처리부(400)로 출력되고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 데이터(d1)로부터 제1영상(I1)을 산출한다.
도 7에는 제1영상(I1)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영상(I1)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을 감지하여 산출한 것이므로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방향의 영상이 나타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제1영상 데이터(d1)를 영상처리부(400)로 출력하면,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8에는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로 전환된 후 제2영상(I2)을 획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일 때는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입사하는 빛이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p)하여 이미지 센서(300)로 집광된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p)한 빛(PL)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d2)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300)에서 생성된 제2영상 데이터(d2)는 영상처리부(400)로 출력되고 영상처리부(400)는 제2영상 데이터(d2)로부터 제2영상(I2)을 산출한다.
도 8에는 제2영상(I2)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2영상(I2)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빛을 감지하여 산출한 것이므로 전면방향의 영상이 나타난다.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처리부(400)는 이미지 센서(300)로부터 제1영상 데이터(d1)와 제2영상 데이터(d2)를 수신하여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산출하면,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제3영상(I3)을 산출한다. 제1영상(I1)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에 반해, 제2영상(I2)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의 정보까지 포함된 제3영상(I3)을 산출한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 또한 종래의 광각렌즈나 어안렌즈보다 넓은 화각을 가지기 때문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20)로 획득한 영상은 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I1)을 획득한다(500).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우선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반사모드로 전환시킨다. 가변형 거울(100)이 반사모드로 전환되면,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로 직접 입사하여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거나,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반사부(200)를 포함하는 경우, 반사부(200)로 입사되어 가변형 거울(100)로 반사되고 가변형 거울(100)에서 재반사된 빛을 감지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d1)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영상 데이터(d1)를 영상처리부(400)로 출력한다.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 데이터(d1)로부터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영상(I1)을 획득한다.
제1영상(I1)을 획득하면,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모드로 전환시킨다(510). 가변형 거울 제어부(110)는 가변형 거울(100)을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가변형 거울(100)의 모드를 전환시킨다.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I2)을 획득한다(520).
가변형 거울(100)이 투과모드로 전환되면,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로 입사하여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한 빛을 감지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가변형 거울(100)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d2)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영상 데이터(d2)를 영상처리부(400)로 출력한다. 영상처리부(400)는 제2영상 데이터(d2)로부터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영상(I2)을 획득한다.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제3영상(I3)을 획득한다(530).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제3영상(I3)을 획득하거나, 제1영상 데이터(d1)와 제2영상 데이터(d2)를 조합하여 제3영상(I3)을 산출할 수도 있다.
제1영상(I1)은 이미지 센서(300)의 측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에 반해, 제2영상(I2)은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처리부(400)는 제1영상(I1)과 제2영상(I2)을 정합하여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방향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의 정보까지 포함된 제3영상(I3)을 산출한다.
100: 가변형 거울
110: 가변형 거울 제어부
200: 반사부
300: 이미지 센서
400: 영상처리부

Claims (12)

  1.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마련되는 가변형 거울;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모드 또는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가변형 거울 제어부;
    상기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제1영상 데이터와 제2영상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거울은 상기 이미지 센서 쪽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마련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거울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마주보는 면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입사되는 빛을 상기 가변형 거울의 오목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가변형 거울의 오목면과 마주보는 면이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가변형 거울에서 재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가변형 거울 제어부는 상기 가변형 거울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카메라 어셈블리.
  7.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마련되는 가변형 거울,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모드 또는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가변형 거울 제어부, 상기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제1영상 데이터와 제2영상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에서 생성된 제3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장치.
  8. 카메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정합하여 제3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획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 제어부에서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반사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이미지 센서에서 상기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산출된 제1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획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이미지 센서에서 상기 가변형 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반사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거울로 반사되어 상기 가변형 거울에서 재반사된 빛을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획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가변형 거울 제어부에서 상기 가변형 거울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가변형 거울의 모드를 반사모드에서 투과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획득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이미지 센서에서 상기 가변형 거울로 입사되어 상기 가변형 거울을 투과한 빛을 감지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산출된 제2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획득방법.
KR1020130044673A 2013-04-23 2013-04-23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KR10203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73A KR102036895B1 (ko) 2013-04-23 2013-04-23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US14/020,107 US9219859B2 (en) 2013-04-23 2013-09-06 Camera assembly having a wide viewing angl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73A KR102036895B1 (ko) 2013-04-23 2013-04-23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74A KR20140126474A (ko) 2014-10-31
KR102036895B1 true KR102036895B1 (ko) 2019-10-25

Family

ID=5172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673A KR102036895B1 (ko) 2013-04-23 2013-04-23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9859B2 (ko)
KR (1) KR102036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194B1 (ko) 2020-12-18 2021-08-17 주식회사 케이에스자원개발 폐기물을 이용한 보조기층용 골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9317B2 (en) * 2015-03-24 2020-05-12 Batelle Memorial Institute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images
US10451741B2 (en) 2017-04-30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ime of flight camera
JP7147255B2 (ja) * 2018-05-11 2022-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7073991B2 (ja) 2018-09-05 2022-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表示装置
KR102168726B1 (ko) * 2019-04-23 2020-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료챔버용 광학대물렌즈 정렬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장착되는 전자 관통공 구비 광반사 거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분광기 구비 광-전자 융합현미경
CN110470673B (zh) * 2019-08-09 2021-12-14 湖北华宁防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通道防腐胶板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WO2023277548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안구의 돌출도 분석을 위한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촬영 장치 및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662A (ja) * 2001-01-23 2002-07-31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装置の振れ補正装置
US20070201846A1 (en) 1997-03-16 2007-08-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mera Unit Incorporating A Lidded Printhead Unit
US20130002925A1 (en) * 2011-07-01 2013-0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variable translucency mirr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363B1 (en) * 1999-03-17 2002-10-15 Olympus Optical Co., Ltd. Variable mirror, optical apparatus and decentered optical system which include variable mirror, variable-optical characteristic optical element or combination thereof
US6785049B1 (en) * 2000-01-31 2004-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llumination system for reflective displays
JP2001333303A (ja) 2000-05-23 2001-11-30 Sharp Corp 全方位視覚システム
US6710831B1 (en) 2000-09-29 2004-03-23 Rockwell Scientific Licensing, Llc High brightness transflective LCD and method using tunable mirror
US20110105847A1 (en) * 2009-11-05 2011-05-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e including a variable state optical member
KR101669197B1 (ko) 2009-12-17 2016-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각 이미지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1846A1 (en) 1997-03-16 2007-08-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mera Unit Incorporating A Lidded Printhead Unit
JP2002214662A (ja) * 2001-01-23 2002-07-31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装置の振れ補正装置
US20130002925A1 (en) * 2011-07-01 2013-0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variable translucency mirr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194B1 (ko) 2020-12-18 2021-08-17 주식회사 케이에스자원개발 폐기물을 이용한 보조기층용 골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19859B2 (en) 2015-12-22
US20140313359A1 (en) 2014-10-23
KR20140126474A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895B1 (ko)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방법
CN108718373B (zh) 影像装置
JP6474900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9253470B2 (en) 3D camera
WO2011111201A1 (ja) 画像位置調整装置
US20110267432A1 (en) Camera and camera system
CN104935915A (zh) 成像装置、三维成像系统及三维成像方法
WO2017073323A1 (ja) 手術顕微鏡、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1571109B2 (en) Medical observation device
JP2015231498A (ja) 内視鏡装置
JP2011524699A (ja) 複数の動作モードの光学機器
WO201615792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61861B1 (ko) 적외선 플래시 방식의 능동형 3차원 거리 영상 측정 장치
JP2010134617A (ja) パノラマ撮像装置
CN103139477A (zh) 一种3d相机及获得立体像的方法
KR102066938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0144048A (ja) 光源装置及び測距装置
US11310481B2 (en) Imaging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verting a first image into a plurality of second images
JP5749442B2 (ja) 監視装置
JP2011090166A (ja) ステレオ撮像装置
US20240015377A1 (en) Imaging control device,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30121526A (ko) 착용형 프로젝션 장치
JP5042550B2 (ja) 内視鏡装置
KR20160070969A (ko) 이미지 센서를 다각도로 결합한 카메라
JP2015201771A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