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745B1 -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 Google Patents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745B1
KR102036745B1 KR1020170166777A KR20170166777A KR102036745B1 KR 102036745 B1 KR102036745 B1 KR 102036745B1 KR 1020170166777 A KR1020170166777 A KR 1020170166777A KR 20170166777 A KR20170166777 A KR 20170166777A KR 102036745 B1 KR102036745 B1 KR 102036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hainsaw
saw blade
fixed
vert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901A (ko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filed Critical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745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74 priority patent/WO2018221927A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7/00Chain saws; Equipment therefor
    • B27B17/0083Attach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chain saws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1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rives or feed mechanisms for straight tools, e.g. saw blades, or 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1/00Cross-cut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Appurtenances therefor
    • B27B11/02Arrangements for guiding the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27B19/02Saws with a power- driven blade chucked at both ends or at one end only, e.g. jig saws, scroll saws
    • B27B19/09Saws with a power- driven blade chucked at both ends or at one end only, e.g. jig saws, scroll saws portabl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 톱날이 국부적으로 마모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톱날 고유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고, 톱날의 휨을 방지하여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절단될 수 있으며, 공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톱날에 과부하가 걸릴 때 와이어의 평형이 유지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피절단물을 고정한 좌, 우측 홀더바가 절단깊이만큼씩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피절단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Portable and stationary electric saw}
본 발명은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절단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좌, 우측 홀더바를 톱날의 전구간 어느 곳이든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톱날이 국부적으로 마모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톱날 고유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톱날홀더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톱날텐셔너를 구비하여 톱날에 텐션을 부여하여 톱날의 휨을 방지하여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좌, 우측 톱날홀더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를 직선왕복대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공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와이어텐셔너를 구비하여 톱날에 과부하가 걸릴 때 와이어의 평형이 유지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좌, 우측 홀더바와 피절단물이 절단깊이만큼씩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피절단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목재나 금속재 등의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데에는 톱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다.
종래 톱은 일단에 손잡이가 달린 형태의 것과 홀더에 톱날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것을 포함하는 수동톱과, 톱날을 전동장치에 의하여 전후진시키는 전동톱으로 구분된다.
홀더를 사용하는 수동톱은 홀더에 띠톱날을 장착하는 띠톱과, 홀더에 실톱날을 장착하는 실톱으로 구분된다.
전동톱은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장치에 장착되는 톱날의 종류에 따라 전동식 띠톱, 전동식 일자톱, 전동식 원형톱 등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동톱과 전동톱은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피절단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유동할 경우 절단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수동톱과 전동톱은 자체적으로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통상 발로 밟거나 별도의 바이스(vise)를 이용하여 피절단물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의료용의 경우 피절단물의 고정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인데 피절단물의 특성상 강제적으로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절단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되며, 자칫 의료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전동톱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603호(2010.03.11. 공개) "휴대용 톱"(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무한궤도벨트를 이용하여 톱날이 왕복운동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절단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에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전동톱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1182호(2012.01.04. 공개) "전동톱"(이하, '선행기술2'라 함)은 전동톱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내벽면에 가이드가 장착된 지지다이와; 가이드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면서 그 양단의 절곡부에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절단톱이 결합되는 구동기구; 지지다이와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구동기구를 이동시키는 회동기구; 회동기구에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기구를 회전시키는 동력기구; 및 지지다이에 장착되어 유동방지수단을 통해 절단톱을 보호함은 물론 물품고정수단을 통해 가공품을 고정하는 보호기구로 이루어져 가공물의 절단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절단작업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되어 신뢰성이 증대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의 전동톱은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물품고정수단에 의하여 가공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단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나, 물품고정수단의 위치가 일정 구간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톱날의 일부분만 절단에 활용되어 활용되지 않은 부분은 전혀 마모가 되지 않아 계속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된 부분의 마모로 인하여 톱날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톱날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603호(2010.03.11. 공개) "휴대용 톱"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1182호(2012.01.04. 공개) "전동톱"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절단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좌, 우측 홀더바를 톱날의 전구간 어느 곳이든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톱날이 국부적으로 마모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톱날 고유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톱날홀더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톱날텐셔너를 구비하여 톱날에 텐션을 부여하여 톱날의 휨을 방지하여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 우측 톱날홀더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를 직선왕복대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공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와이어텐셔너를 구비하여 톱날에 과부하가 걸릴 때 와이어의 평형이 유지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좌, 우측 홀더바와 피절단물이 절단깊이만큼씩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피절단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톱날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톱날의 좌, 우측단이 고정되는 좌, 우측 톱날홀더와; 상기 톱날을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직선왕복운동발생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좌측 톱날홀더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상단과 우상단 및 후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우측 톱날홀더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 및 상기 톱날에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좌, 우측 톱날텐셔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제공한다.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고정되는 좌, 우측 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가이드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의 좌, 우측 연결부가 고정되는 좌, 우측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고정되는 좌, 우측 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가이드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의 좌, 우측 연결부가 고정되는 좌, 우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좌, 우측 톱날텐셔너는,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에 텐션을 부가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와이어텐셔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과, 상기 텐션암을 상기 제1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암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텐셔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과, 상기 텐션암을 상기 제2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암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의 상기 텐션암은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롤러는,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에 의해 반전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의 직선왕복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상단부와 우측 상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들에 의하여 반전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의 직선왕복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반전 및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들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좌, 우측판과, 상기 좌, 우측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좌, 우측판과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판의 좌측에 결합되는 중공형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는 좌측단에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부에 장착되는 회전력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력발생장치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암에 편위되어 고정되는 크랭크핀을 가지는 크랭크축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전면에 고정되는 상하 한 쌍의 한 쌍의 선형축받이와, 상기 한 쌍의 선형축받이에 상하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왕복축과, 상기 직선왕복축의 중강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핀에 연동되는 직선왕복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작업스위치 및, AC/DC컨버터의 잭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절단물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연결부 전면에 고정되는 수평가이드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 우측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좌, 우측판, 상기 좌, 우측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좌, 우측판과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절단물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연결부 전면에 고정되는 수평가이드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 우측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는,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좌, 우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상, 하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수평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는, 상기 수평안내홈 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와,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좌, 우측 연결판과, 상기 좌, 우측 슬라이더와 측 연결판을 수평가이드 고정하는 수직가이드고정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는, 전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좌, 우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좌, 우측 수직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홀더는, 상기 좌측 수직안내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 수직슬라이더와, 상기 좌측 수직슬라이더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의 전면과 우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과 측면판을 가지는 좌측 홀더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홀더는, 상기 우측 수직안내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 수직슬라이더와, 상기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전면과 좌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과 측면판을 가지는 우측 홀더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 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소재를 절곡하여 일부가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삽입되고, 나머지가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의 외주면에서 노출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 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좌, 우측 홀더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홀더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된 안내공을 가지는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공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우측단이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고정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블록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봉을 안내블록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봉은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형성된 결합공에 안내봉의 우측단을 삽입하고, 고정블록에 형성된 나사홀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안내봉이 고정블록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은 전면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너트박스와, 상기 너트박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너트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이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나사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너트의 나사홀과 조절나사봉의 수나사부의 피치와 리드각은 동일하게 하되 나사홀의 내경을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너트박스의 전면 개방부에 삽입되며 조임나사홀이 형성되는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의 조임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나사봉의 좌측단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회전원통과,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플랜지부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회전지지공을 가지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우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위치하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거치용 지주와,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결합되어 피절단물을 지지하며 상기 톱날이 통화하는 슬릿을 가지는 피절단물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용 지주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좌, 우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관통되어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에 삽입되는 베이스결합볼트와, 상기 베이스결합볼트에 체결되는 베이스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은 복수개의 나사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결합된다.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고정되는 전후 한 쌍의 지지판 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톱날이 국부적으로 마모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톱날 고유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톱날의 휨을 방지하여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공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톱날에 과부하가 걸릴 때 와이어의 평형이 유지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피절단물을 고정한 좌, 우측 홀더바가 절단깊이만큼씩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피절단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에 의하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기톱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톱날과 톱날홀더와 제1 및 제2 와이어와 톱날텐셔너와 와이어텐셔너 및 직선왕복운동발생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피절단물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홀더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전기톱 본체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베이스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좌측 수직가이드바와 피절단물지지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톱날이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편의상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톱날이 위치한 방향을 하방, 그 반대방향을 상방, 도면의 좌측을 좌측으로, 도면의 우측을 후방으로, 도면의 전면부로 나오는 방향을 전방, 도면의 하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구성요소들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각종 나사 또는 볼트와, 나사 또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나사 또는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은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나사 또는 볼트의 머리부와 고정 또는 결합 대상물 사이에 끼워지는 와셔에 대해서도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톱 본체(A)와, 거치대(B)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톱 본체(A)는 자체로서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거치대(B)는 전기톱 본체(A)를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톱날(2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 우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톱날(200)의 좌, 우측단이 고정되는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와; 상기 톱날(200)을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좌측 톱날홀더(310)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5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상단과 우상단 및 후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우측 톱날홀더(320)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520)와; 상기 톱날(200)에 텐션을 부가하는 좌, 우측 톱날텐셔너(610, 620)와; 상기 와이어(510, 520)에 텐션을 부가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710, 72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좌측판(110)과 우측판(120), 좌측판(110)과 우측판(1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0) 및, 좌측판(110)과 우측판(120) 및 연결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측에는 손잡이(150)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150)는 좌측단에 배터리수납부(160)가 구비된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톱날(200)은 도시예에서는 실톱날을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띠톱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톱날(200)은 가늘고 기다란 톱날몸체(210)와, 상기 톱날몸체(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톱니(220)와, 상기 톱날몸체(210)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좌, 우측 연결부(230, 24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30, 240)는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나사(231, 241)를 관통시켜 톱날을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 톱날홀더(310)는 상기 좌측판(110)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 톱날홀더(320)는 상기 우측판(120)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 우측 전면에 고정되는 좌, 우측 가이드(311, 321)와, 상기 좌, 우측 가이드(311, 32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톱날(200)의 좌, 우측단이 고정되는 좌, 우측 슬라이더(312, 322)를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 가이드(311, 321)는 양단에 관통되는 나사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톱날(200)은 전기톱의 특성상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좌, 우측 가이드(311, 321)는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 우측 하단 전면, 즉 좌측판(110)과 우측판(120)의 하단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를 구성하는 좌, 우측 가이드(311, 321)와 좌, 우측 슬라이더(312, 322)는 리니어모션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를 리니어모션가이드를 사용함으로써 톱날(200)의 직선왕복운동이 조용하며 요동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톱날(200)의 좌우 양단은 연결부(230, 240)에 나사(231, 241)를 관통시켜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의 슬라이더(312, 32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의 슬라이더(312, 32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측단부에 장착되는 회전력발생장치(410)와, 상기 회전력발생장치(410)의 출력축(420)에 결합되는 크랭크암(431)과 상기 크랭크암(431)에 편위되어 고정되는 크랭크핀(432)을 가지는 크랭크축(43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측 전면에 고정되는 상하 한 쌍의 선형축받이(440)와, 상기 한 쌍의 선형축받이(440)에 상하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왕복축(450)과, 상기 직선왕복축(45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핀(432)에 연동되는 직선왕복대(460)를 포함한다.
도시예와 같이, 상기 회전력발생장치(410)를 구동모터(411)와 감속기(412)로 구성하고, 출력축(420)을 감속기(412)의 최종출력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구동모터(411)만으로 구성하고, 출력축(420)을 구동모터(411)의 모터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크랭크축(430)은 크랭크암(431)의 중심부에 결합된 메인저널을 통하여 회전력발생장치(410)의 출력축(420)에 결합할 수 있으나, 회전력발생장치(410)의 출력축(420)에 직결할 수 있으며, 크랭크암(431)은 로드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플라이휠과 같이 회전관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랭크핀(432)은 단순히 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직선왕복대(460)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통형 핀저널(433)을 끼우고, 크랭크핀(432)과 원통형 핀저널(433) 사이에 베어링(434)을 삽입하여 크랭크핀(432)과 직선왕복대(460) 상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535는 핀저널(433)과 베어링(434)을 관통하여 크랭크핀(432)에 체결되어 핀저널(433)과 베어링(434)의 이탈을 방지하는 나사이다.
상기 회전력발생장치(410)와 선형축받이(440)는 브래킷(470)을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선형축받이(440)와 직선왕복축(450) 사이에는 리니어베어링을 삽입하여 직선왕복축(450)의 직선왕복운동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왕복대(460)는 상기 크랭크핀(432)이 삽입되는 크랭크핀홀(461)이 구비된다.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는 상기 손잡이(150)의 배터리수납부(160)에 수납되어 상기 회전력발생장치(410)의 구동모터(4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8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491)와, 손잡이(150)에 설치되는 작업스위치(492) 및, AC/DC컨버터의 잭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잭(49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480)와 메인스위치(491), 작업스위치(492) 및 전원잭(493)을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손잡이(150)의 내부를 통하여 배선될 수 있으며, 일부는 외부에 배선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위치(491)는 토글스위치 또는 푸시로크버튼스위치와 같이 「온」상태와 「오프」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스위치는 푸시버튼스위치와 같이 버튼을 눌렀을 때 「온」상태로 되고, 버튼에서 손을 때면 「오프」상태로 되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는 단선 와이어(單線 wir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에도 쉽게 절단되지 않으면서 쉽게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연선 와이어(撚線 wir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와이어(510)는 양단에 형성된 루프고리(511, 512)에 나사(513, 514)를 관통시켜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의 직선왕복대(460)에 형성된 나사홀과 좌측 톱날홀더(310)의 슬라이더(31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와이어(510)를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와 좌측 톱날홀더(3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520)는 양단에 형성된 루프고리(521, 522)에 나사(523, 524)를 관통시켜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의 직선왕복대(460)에 형성된 나사홀과 우측 톱날홀더(320)의 슬라이더(32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와이어(520)를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와 우측 톱날홀더(32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루프고리(511, 512, 521, 522)는 와이어(510, 520)의 양단을 구부리고 와이어의 중첩되는 부분을 결속와이어나 결속밴드에 의하여 결속함으로써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는 일단이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직선왕복대(460)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공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와이어(51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530)에 의하여 반전 및 안내되며, 제2 와이어(5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좌상단과 우상단 및 우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540, 550, 560)에 의하여 반전 및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롤러(530, 540, 550, 56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롤러축(531, 541, 551, 561)과, 상기 롤러축(531, 541, 551, 5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를 반전 및 안내하는 롤러(532, 542, 552, 56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러(530, 540, 550, 560)는 롤러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532, 542, 552, 562)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롤러축(531, 541, 551, 561)의 외주면과 롤러(532, 542, 552, 562)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533, 543, 553, 563)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530, 540, 550, 560)를 구성하는 롤러(532, 542, 552, 562)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534, 544, 554, 56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축(531, 541, 551, 561)은 머리부를 가지는 나사로 구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머리부에 의하여 베어링(533, 543, 553, 563)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으나, 보다 확실한 이탈방지를 위하여 이탈방지와셔(535, 545, 555, 565)를 덧댈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톱날텐셔너(610, 620)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의 슬라이더(312, 322)에 고정된다.
상기 좌, 우측 톱날텐셔너(610, 620)는 양단에 둥근후크(611, 612, 621, 622)가 달린 둥근후크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둥근후크(611, 612, 621, 622)를 관통하는 나사(613, 614, 623, 624)를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슬라이더(312, 32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슬라이더(312, 32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710, 720)는 톱날(200)에 과부하가 걸릴 때 제1 및 제2 와이어(410, 42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와이어텐셔너(71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지지축(711)과, 상기 지지축(711)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713)과, 상기 텐션암(713)을 상기 제1 와이어(410)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714)과, 상기 텐션암(713)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롤러(7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텐셔너(7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지지축(721)과, 상기 지지축(721)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723)과, 상기 텐션암(723)을 상기 제2 와이어(420)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724)과, 상기 텐션암(723)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롤러(72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711, 721)은 텐션암(713, 723)을 자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지지축(711, 721)과 텐션암(713, 723)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축(711, 721)과 텐션암(713, 723) 사이에 링(712, 722)을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암(713, 723)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시예와 같이,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텐션암(713, 723)에 장공(716, 72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711, 721)이 장공(716, 726)을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지지축(711, 721)이 머리부를 가지는 볼트로 구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나사홀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축(711, 721)을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롤러(715, 725)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10, 420)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717, 72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롤러(530, 540, 550, 560)를 구성하는 롤러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31, 541, 551, 561)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410, 420)가 전방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부(717, 727)는 제1 및 제2 와이어(410, 420)가 후방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제1 및 제2 와이어(410, 420)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텐션롤러(715, 725)는 원통형 롤러로 형성하여 상기 텐션암(713, 723)에 고정되는 롤러축(718, 728)의 외주면과 텐션롤러(715, 725)의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719, 729)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스프링(714, 724)은 양단이 둥근후크(714a, 714b, 724a, 724b)가 달린 둥근후크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둥근후크(714a, 714b, 724a, 724b)를 관통하는 나사(714c. 714d, 724c, 724d)를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텐션암(713, 723)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텐션암(713, 72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절단물홀더(8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연결부(130) 전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810)와, 상기 수평가이드(810)에 상기 개방부(140)의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820, 830)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820, 830)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 우측 홀더(840, 85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가이드(810)는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820, 830)를 안내하기 위한 수평안내홈(811)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가이드(810)는 도시예와 같이 전후상하면에 모두 홈이 형성된 기성품 부재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전면에만 수평안내홈(811)이 형성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안내홈(811)은 좌, 우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며, 후술하는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가 전방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 상,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턱(811a)을 구비한다.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820, 830)는 상기 수평안내홈(811) 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와, 상기 수평가이드(8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와,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를 연결하는 좌, 우측 연결판(823, 833)과, 상기 좌, 우측 슬라이더(821, 831)와 측 연결판(823, 833)을 수평가이드(810)에 대하여 고정하는 수직가이드고정나사(824, 834)를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는 상기 수평가이드(810)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연결판(823, 833)과 수평슬라이더(822, 832)는 좌, 우측 연결판(823, 833)을 관통하는 결합나사(825, 835)를 수평안내홈(811)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는 종단측단면 형상이 6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수평안내홈(811)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좌, 우측 홀더(840, 850)를 안내하는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을 구비한다.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는 도시예와 같이 전후상하면에 모두 홈이 형성된 기성품 부재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전면에만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이 형성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후술하는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가 전방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 좌, 우측에 형성되는 걸림턱(826a, 836a)을 구비한다.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의 하단에는 상기 톱날(200)이 통과하는 슬릿(slit) 형태의 톱날통과홈(827, 837)이 형성된다.
상기 좌, 우측 연결판(823, 833)은 상반부가 상기 수평가이드(810)의 전면에 밀착되며 하반부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0, 830)의 상단 전면에 밀착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가이드고정나사(824, 834)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비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홀더(840)는 상기 좌측 수직안내홈(826)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 수직슬라이더(841)와, 상기 좌측 수직슬라이더(841)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의 전면과 우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842a)과 측면판(842b)을 가지는 좌측 홀더바(842)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홀더(850)는 상기 우측 수직안내홈(836)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 수직슬라이더(851)와, 상기 우측 수직슬라이더(851)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의 전면과 좌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852a)과 측면판(852b)을 가지는 우측 홀더바(852)를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는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와 좌, 우측 홀더바(842, 852)는 좌, 우측 홀더바(842, 852)의 전면판(842a, 852a)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결합나사(843, 853)를 수직안내홈(826, 836)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나사(843, 853)는 좌, 우측 홀더바(842, 852)의 전면판(842a, 852a)과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를 직접 결합할 수 있으나, 전면판(842a, 852a)에 보강손잡이(844, 854)를 덧대고, 결합나사(843, 853)를 보강손잡이(844, 854)와 전면판(842a, 852a)을 관통하여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와 좌, 우측 홀더바(842, 852)가 자중에 의하여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에 결합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부재(845, 8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845 855)는 판스프링 소재를 절곡하여 일부가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에 삽입되고, 나머지가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의 외주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845, 855)가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와 좌, 우측 홀더(840, 85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좌, 우측 홀더조절수단(860, 8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측 홀더조절수단(86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된 안내공(862)을 가지는 안내블록(861)과, 상기 안내공(862)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우측단이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고정되는 안내봉(863)과, 상기 안내블록(861)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봉(863)을 안내블록(861)에 고정하는 고정나사(864)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봉(863)은 우측단이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822)에 나사홀을 형성하여 나사부를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822)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좌측 수직가이드(822)에 고정되는 고정블록(865)에 형성된 결합공(866)에 안내봉(863)의 우측단을 삽입하고, 고정블록(865)에 형성된 나사홀에 고정나사(867)를 체결하여 안내봉(863)이 고정블록(865)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870)은 전면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공(871a)이 형성되는 너트박스(871)와, 상기 너트박스(87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너트(872)와, 상기 관통공(871a)을 통하여 상기 조절너트(872)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이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나사봉(873)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870)은 손잡이(873a)를 잡고 조절나사봉(873)을 돌리면 조절나사봉(873)과 조절너트(872)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조절나사봉(873)이 좌우로 이동하게 디고, 조절나사봉(873)의 좌측단이 연결된 우측 수직가이드바(832)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와 우측 홀더바(852)의 조절 거리가 먼 경우 조절나사봉(873)을 여러 바퀴 돌려야 하므로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와 우측 홀더바(852)를 피절단물 고정 위치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절너트(872)와 조절나사봉(873)이 맞물리지 않게 한 상태에서 조절나사봉(873)을 밀어서 우측 홀더바(852)가 피절단물에 접촉하게 한 다음, 조절너트(872)와 조절나사봉(873)이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조절나사봉(873)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우측 홀더바(852)가 피절단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와 우측 홀더바(852)를 피절단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경우에는 조절너트(872)와 조절나사봉(873)이 맞물리지 않게 한 상태에서 조절나사봉(873)을 당겨서 우측 홀더바(852)가 피절단물로부터 신속히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너트(872)의 나사홀과 조절나사봉(873)의 수나사부의 피치와 리드각은 동일하게 하되 나사홀의 내경을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너트박스(871)의 전면 개방부에 삽입되며 조임나사홀(874a)이 형성되는 마감블록(874)과, 상기 마감블록(874)의 조임나사홀(874a)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87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임나사(875)를 조이면 조절너트(872)가 후방으로 밀려가면서 나사홀이 수나사부와 맞물리게 되고, 조임나사(875)를 풀면 너트박스(871)가 자유상태로 되어 나사홀과 수나사부가 맞물리지 않게 된다.
상기 너트박스(871)는 복수개의 나사(871b)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강을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너트박스(871) 사이에 보강판(871c)을 덧댈 수 있다. 상기 보강판(871c)은 별도의 나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봉(873)의 좌측단을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나사봉(873)의 좌측단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부에 플랜지부(876a)가 형성되는 회전원통(876)과, 상기 회전원통(87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플랜지부(876a)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회전지지공(877a)을 가지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의 우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876a)가 위치하는 틈새(C)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부재(877)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톱날(200)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와 좌, 우측 홀더바(842, 852)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와 좌, 우측 수직안내홈(826, 83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845, 855)에 의하여 좌우측 수직안내홈(826, 836)과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 사이에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어 좌, 우측 홀더바(842, 852)가 임의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좌측 홀더바(842)와 우측 홀더바(852) 사이에 피절단물이 위치하도록 하고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와 좌측 홀더바(842),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와 우측 홀더바(852)를 좌, 우측 홀더조절수단(860, 870)에 의하여 조절하여 피절단물이 좌측 홀더바(842)와 우측 홀더바(85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즉, 수직가이드고정나사(824, 834)를 이완시키면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가 수평안내홈(811)으로부터 이완되어 좌, 우측 슬라이더와 이에 연결판(823, 833)으로 연결된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좌측 홀더조절수단(860)의 고정나사(864)를 이완시키면, 안내봉(863)의 고정이 해제되어 고정블록(865)을 통해 안내봉(863)의 우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좌측 수직가이드바(82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우측 홀더조절수단(870)의 고정나사(875)를 이완시키면, 조절너트(872)가 자유상태로 되어 조절너트(872)의 나사홀과 조절나사봉(873)의 수나사부가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되어 조절나사봉(873)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조절나사봉(873)의 좌측단에 회전원통(876)과 지지부재(877)를 통해 연결된 우측 수직가이드바(83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를 좌우로 이동시켜 좌, 우측 홀더바(842, 852)가 피절단물의 양측에 접촉하게 한 다음, 고정나사(864)를 조여서 좌측 수직가이드바(822)가 고정되게 하고, 조임나사(875)를 조여서 조절너트(872)의 나사홀과 조절나사봉(873)의 수나사부가 맞물리게 한 다음, 조절나사봉(873)을 조여지는 방향(오른나사인 경우 오른쪽)으로 돌리면, 조절너트(872)와 조절나사봉(873)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조절나사봉(873)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나사봉(873)의 좌측단에 회전원통(876)과 지지부재(877)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우측 수직가이드바(832)와 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우측 홀더바(852)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피절단물에 밀착되어 피절단물이 좌측 홀더바(842)와 우측 홀더바(852)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좌, 우측 홀더바(842, 852)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의 수직안내홈(826, 836)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좌, 우측 슬라이더(841, 85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피절단물의 크기에 따라 승강시켜 피절단물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측 수직가이드바(82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개방부(14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우측 수직가이드바(83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개방부(140)의 우측단에서 좌측단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 우측 홀더바(842, 832)에 의한 피절단물의 고정 위치가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개방부(140)의 좌측 또는 우측, 그리고 좌측과 우측 사이의 어디에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톱날(200)의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톱날(200) 고유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스위치(491)를 켜고, 작업스위치(492)를 누르면, 직선왕복운동발생부(400)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즉, 메인스위치(491)와 작업스위치(492)를 켜면, 배터리(480)의 전원이 구동모터(411)에 인가되어 구동모터(411)가 가동되며 구동모터(411)의 회전력이 출력축(420)을 통해 출력되고, 출력축(42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은 출력축(420)에 결합된 크랭크(430)의 크랭크암(431)과 크랭크핀(432) 및 직선왕복대(460)를 통하여 직선왕복대(46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직선왕복대(46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된 선형축받이(440)에 상하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왕복축(4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직선왕복대(460)의 직선왕복운동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선형축받이(440)와 직선왕복축(450) 사이에 리니어베어링을 삽입하는 경우 직선왕복대(460)의 직선왕복운동이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왕복대(460)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 직선왕복대(460)와 좌측 톱날홀더(310)의 슬라이더(312)에 양단이 고정된 제1 와이어(510)와 직선왕복대(460)와 우측 톱날홀더(320)의 슬라이더(322)에 양단이 고정된 제2 와이어(520)가 가이드롤러(530, 540, 550, 560)에 의하여 반전 안내되면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좌, 우측 톱날홀더(310, 320)의 슬라이더(312, 322)와 이에 양단이 고정된 톱날(200)이 좌우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잡고 밑으로 힘을 가하면, 좌, 우측 홀더바(842, 852) 사이에 고정된 직선왕복운동하는 톱날(200)에 의하여 절단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는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710, 720)에 의하여 텐션이 부가되므로 제1 및 제2 와이어(510, 520)의 직선왕복운동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톱날(200)은 좌, 우측 톱날텐셔너(610, 620)에 의하여 텐션이 부가되므로 톱날이 휘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게 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톱날(200)에 의하여 피절단물이 절단되기 시작하면, 전기톱 본체(A)가 하강하게 되는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841, 851)와 좌, 우측 홀더바(842, 852)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피절단물과 함께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피절단물의 절단이 완료될 때까지 피절단물을 고정하게 되므로 피절단물의 절단이 정확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피절단물의 절단이 완료되면, 고정나사(824, 834)와 고정나사(864, 875)를 이완시켜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821, 831)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822, 832), 좌, 우측 홀더바(842, 832), 안내봉(863)과 조절나사봉(873)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좌, 우측 홀더바(842, 832)를 피절단물로부터 이격시켜 피절단물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은 거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치대(B)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B)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거치용 지주(910)와,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되어 피절단물을 지지하며 상기 톱날(200)이 통화하는 슬릿(921)을 가지는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거치용 지주(910)에 결합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볼트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거치용 지주(9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용 지주(9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91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관통되어 머리부(931)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911)에 삽입되는 베이스결합볼트(930)와,
상기 베이스결합볼트(930)에 체결되는 베이스결합너트(94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용 지주(910)는 도시예와 같이 전후상하면에 모두 홈이 형성된 기성품 부재를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전면에만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911)이 형성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911)은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며, 후술하는 상기 베이스결합볼트(930)의 머리부(931)가 걸려서 임의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 좌, 우측에 걸림턱(911a)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결합너트(94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비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용 지주(910)의 하단에는 거치하고자 하는 바닥(도시생략)에 고정하기 위한 거치용 고정구(912)가 결합된다.
상기 거치용 고정구(912)는 볼트를 수평으로 관통시켜 거치용 지주(91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거치용 지주(91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거치용 고정구(912)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볼트를 거치하고자 하는 바닥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920)은 복수개의 나사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되어 있던 좌측 수직슬라이더(841)와 좌측 홀더바(842)는 제거한 다음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하면에 전후 한 쌍의 지지판 고정구(922)를 고정하고 이 지지판 고정구(922)를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구(922)는 수평부(923)와 수직부(924)를 가지며 수평부(923)는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나사를 수평부(923)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피절단물 지지판(920)에 결합할 수 있고, 수직부(924)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나사를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의 전, 후면에 조이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하면에 전후 한 쌍의 지지판 고정구(922)를 고정하고 이 지지판 고정구(922)를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구(922)는 수평부(923)와 수직부(924)를 가지며 수평부(923)는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나사를 수평부(923)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피절단물 지지판(920)에 결합할 수 있고, 수직부(924)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나사를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의 전, 후면에 조이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바(822)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거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절단물 지지판(920)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톱날(20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바, 피절단물을 피절단물 지지판(920) 상에 안착시키고, 좌, 우측 홀더바(842, 832)에 의하여 고정한 다음 전기톱 본체(A)와 거치대(910)와 피절단물 지지판(920)을 이동시키거나 피절단물을 이동시키면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을 거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동작은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A : 전기톱 본체 B : 거치대
100 : 베이스 200 : 톱날
310, 320 : 좌, 우측 톱날홀더
400 : 직선왕복운동발생부 410 : 회전력발생장치
411 : 구동모터 412 : 감속기
420 : 출력축 430 : 크랭크축
431 : 크랭크암 432 : 크랭크핀
440 : 선형축받이 450 : 직선왕복축
460 : 직선왕복대 480 : 배터리
491 : 메인스위치 492 : 작업스위치
493 : 전원잭 510, 520 : 제1 및 제2 와이어
530, 540, 550, 560 : 가이드롤러
610, 620 좌, 우측 톱날텐셔너 710, 720 :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
800 : 피절단물홀더 810 : 수평가이드
811 : 수평안내홈 820, 830 : 좌, 우측 수직가이드
821, 831 :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
822, 832 :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
824, 834 : 좌, 우측 수직가이드고정나사
826, 836 : 좌, 우측 수직안내홈 827, 837 : 톱날통과홈
840 850 : 좌, 우측 홀더 841, 851 :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
842, 852 : 좌, 우측 홀더바 845, 855 탄성부재
860, 870 : 좌, 우측 홀더조절수단
861 : 안내블록 862 : 안내공
863 : 안내봉 864 : 고정나사
865 : 고정블록 866 : 결합공
867 : 고정나사 870 : 우측 홀더조절수단
871 : 너트박스 872 : 조절너트
873 : 조절나사봉 874 : 마감블록
874a 조임나사홀 875 : 조임나사
910 : 거치용 지주 911 :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
920 : 피절단물 지지판 921 : 슬릿
930 : 베이스결합볼트 940 : 베이스결합너트

Claims (28)

  1.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톱날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톱날의 좌, 우측단이 고정되는 좌, 우측 톱날홀더와;
    상기 톱날을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직선왕복운동발생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좌측 톱날홀더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상단과 우상단 및 후하단에서 반전되며 상기 우측 톱날홀더와 직선왕복운동발생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 및
    상기 톱날에 항시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좌, 우측 톱날텐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좌, 우측판과, 상기 좌, 우측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좌, 우측판과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절단물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연결부 전면에 고정되는 수평가이드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 우측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고정되는 좌, 우측 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가이드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의 좌, 우측 연결부가 고정되는 좌, 우측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고정되는 좌, 우측 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 가이드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의 좌, 우측 연결부가 고정되는 좌, 우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좌, 우측 톱날텐셔너는,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좌, 우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에 텐션을 부가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텐셔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과,
    상기 텐션암을 상기 제1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암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와이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텐셔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암과,
    상기 텐션암을 상기 제2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암의 일단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텐셔너의 상기 텐션암은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는,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에 의해 반전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의 직선왕복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상단부와 우측 상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들에 의하여 반전 안내되고,
    일단이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의 직선왕복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톱날홀더의 슬라이더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반전 및 안내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들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좌, 우측판과, 상기 좌, 우측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좌, 우측판과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판의 좌측에 결합되는 중공형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는 좌측단에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단부에 장착되는 회전력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력발생장치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암에 편위되어 고정되는 크랭크핀을 가지는 크랭크축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측 전면에 고정되는 상하 한 쌍의 한 쌍의 선형축받이와, 상기 한 쌍의 선형축받이에 상하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왕복축과, 상기 직선왕복축의 중강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핀에 연동되는 직선왕복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왕복운동발생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손잡이에 설치되는 작업스위치 및,
    AC/DC컨버터의 잭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는,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좌, 우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상, 하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수평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는,
    상기 수평안내홈 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와,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좌, 우측 연결판과,
    상기 좌, 우측 슬라이더와 측 연결판을 수평가이드 고정하는 수직가이드고정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는,
    전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좌, 우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좌, 우측 수직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홀더는,
    상기 좌측 수직안내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 수직슬라이더와,
    상기 좌측 수직슬라이더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의 전면과 우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과 측면판을 가지는 좌측 홀더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홀더는,
    상기 우측 수직안내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 수직슬라이더와,
    상기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전면과 좌측면에 접촉하는 전면판과 측면판을 가지는 우측 홀더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 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소재를 절곡하여 일부가 상기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에 삽입되고, 나머지가 좌, 우측 수직슬라이더의 외주면에서 노출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안내홈 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좌, 우측 홀더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홀더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된 안내공을 가지는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공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우측단이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고정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블록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상기 안내봉을 안내블록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은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에 형성된 결합공에 안내봉의 우측단을 삽입하고, 고정블록에 형성된 나사홀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안내봉이 고정블록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은 전면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너트박스와, 상기 너트박스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너트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이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나사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홀더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너트의 나사홀과 조절나사봉의 수나사부의 피치와 리드각은 동일하게 하되 나사홀의 내경을 수나사부의 외경보다 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너트박스의 전면 개방부에 삽입되며 조임나사홀이 형성되는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의 조임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봉의 좌측단에 나사결합되며 좌측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회전원통과, 상기 회전원통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플랜지부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회전지지공을 가지며 상기 우측 수직가이드바의 우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위치하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는,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좌, 우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상, 하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수평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 우측 수직가이드는,
    상기 수평안내홈 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상기 수평가이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와,
    상기 좌, 우측 수평슬라이더와 좌, 우측 수직가이드바를 연결하는 좌, 우측 연결판과,
    상기 좌, 우측 슬라이더와 측 연결판을 수평가이드 고정하는 수직가이드고정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여 거치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거치용 지주와,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결합되어 피절단물을 지지하며 상기 톱날이 통화하는 슬릿을 가지는 피절단물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지주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 하단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면 좌, 우측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관통되어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결합홈에 삽입되는 베이스결합볼트와,
    상기 베이스결합볼트에 체결되는 베이스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은 복수개의 나사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절단물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수직가이드바에 고정되는 전후 한 쌍의 지지판 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KR1020170166777A 2017-05-30 2017-12-06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KR102036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777A KR102036745B1 (ko) 2017-12-06 2017-12-06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PCT/KR2018/006074 WO2018221927A1 (ko) 2017-05-30 2018-05-29 의료용 전기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777A KR102036745B1 (ko) 2017-12-06 2017-12-06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01A KR20190066901A (ko) 2019-06-14
KR102036745B1 true KR102036745B1 (ko) 2019-10-28

Family

ID=6684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777A KR102036745B1 (ko) 2017-05-30 2017-12-06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5359A (zh) * 2021-05-19 2021-08-27 李彦来 高效型电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587B1 (en) 1999-06-05 2007-05-22 Robert Bosch Gmbh Hand-guided jig saw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209A (en) * 1997-10-08 1999-07-20 Ward; Troyse W. Powered coping saw
KR20100027603A (ko) 2008-09-03 2010-03-11 (주) 제이이티앤드케이 휴대용 톱
KR20120001182A (ko) 2010-06-29 2012-01-04 송영은 전동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587B1 (en) 1999-06-05 2007-05-22 Robert Bosch Gmbh Hand-guided jig saw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01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929B2 (en) Blade driving mechanism for a table saw
CN108818703B (zh) 一种纽扣棒料的切片装置
EP3323569B1 (en) Quick chain tensioning system
KR102036745B1 (ko)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US20080110315A1 (en) Guiding device for saw blade of band saw
AU2011376683A1 (en) Novel lig saw
KR200487872Y1 (ko)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 장치
JP2009515712A (ja) ハンドヘルド型電動操作帯鋸を支持するためのスタンド
JP2015208831A (ja) 携帯型帯鋸盤
JP5832577B2 (ja) 電線布設用グリッパ装置
US5163663A (en) Vise having pantographic mounting assembly and improved clamping mechanism
CN111804994B (zh) 一种锯床
KR100687105B1 (ko) 지그장치
WO2014159025A1 (en) Quick-change tension cable assembly for oscillating tool
US5088369A (en) Blade tensioning device for scroll saw
US4807507A (en) Self-lubricating holder for scroll saw blade
US1852193A (en) Jig saw
JP2003501291A (ja) 手持ち式糸鋸盤
CN210548424U (zh) 一种型材切割机
KR101953598B1 (ko) 휴대용 전기톱
US173319A (en) Improvement in scroll-sawing machines
GB2472498A (en) Sanding element clamping and tensioning mechanism
CN219787392U (zh) 一种用于加工环形物料的锯床夹具
KR20120001182A (ko) 전동톱
KR20090015165A (ko)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