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18B1 -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18B1
KR102036018B1 KR1020190110323A KR20190110323A KR102036018B1 KR 102036018 B1 KR102036018 B1 KR 102036018B1 KR 1020190110323 A KR1020190110323 A KR 1020190110323A KR 20190110323 A KR20190110323 A KR 20190110323A KR 102036018 B1 KR102036018 B1 KR 10203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dot
map pocket
scratc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551A (ko
Inventor
하윤철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1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트림의 수납내면부에 긁힘방지부재가 형성되고 긁힘방지부재에는 돌출된 형태의 도트부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물이 수납내면부에 접촉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고무 재질의 도트부에 걸리면서 수납내면부와 수납물의 접촉이 방해된다. 따라서 수납내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물과 수납내면부와의 마찰 소음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Scratch prevention structure of door-trim with map-pocket using elastomer}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맵포켓에 물건을 넣을 때, 도어트림 내측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트림의 하단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맵포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맵포켓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1701호(2006.03.10.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9895호(2014.06.10. '자동차 도어트림 맵포켓 물병 고정장치') 등의 관련 기술들이 개발 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맵포켓 관련 기술들은 맵포켓의 용적 가변성, 수납물의 고정 구조 등의 관점에서만 개선안을 내 놓은 것일 뿐, 물건 출입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접촉에 의해 도어트림이 손상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고 있지 않다.
즉, 통상적으로 맵포켓의 수납공간에 물건을 집어넣을 때에는 물건 하단과 도어트림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게 되고, 접촉된 상태에서 물건을 아래쪽으로 밀어 넣으면, 접촉 소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반복된 접촉에 의해 도어트림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맵포켓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서 물건이 출입할 시 필연적으로 접촉이 발생하는 도어트림쪽 내면부에 도트 형태의 긁힘방지부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반복된 접촉에 의해 도어트림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 소음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는, 차량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트림; 상기 도어트림의 하단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맵포켓; 및 상기 맵포켓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서 상기 도어트림 측에 복수의 도트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긁힘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트림에서 상기 맵포켓이 장착되는 하단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긁힘방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트부와, 상기 도트부에서 상기 관통홀 내부를 통해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관통홀의 실외측에서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긁힘방지부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에 따르면, 도어트림의 수납내면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도트부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물이 수납내면부에 접촉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고무 재질의 도트부에 걸리면서 수납내면부와 수납물의 접촉이 방해된다. 따라서 수납내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물과 수납내면부와의 마찰 소음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도어트림에 돌출된 도트부를 형성시킬 때, 도트들을 일일이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트림을 금형에 위치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원료로 하는 수지를 주입하여 도트부, 연장부 및 평면부로 구성되는 긁힘방지부재를 제작하는 것이어서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도어트림 실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부가 연장부를 통해 도트부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있어서, 도트부에 수납물이 반복하여 접촉하더라도 도트부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도트들을 수납내면부에 부착하거나, 도트가 형성된 테입을 수납내면부에 부착하는 방식은 단순히 도트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납내면부 표면에만 도트를 배치시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여 도트가 이탈할 가능성이 높지만, 본 발명에서는 긁힘방지부재가 수납내면부의 전후면에 걸쳐 연장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반복적인 수납물의 접촉이 있더라도 도트부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내면부가 평탄하지 않고 도트부에 의해 표면이 오돌토돌해 지기 때문에, 얇은 필름 형태의 물질이 수납내면부에 달라붙는 것이 방지되고, 설사 정전기나 끈적한 이물질에 의해 필름 형태의 물질이 달라붙더라도 도트부에 의해 들뜬 부분이 반드시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잡아 떼어내는 것이 쉽다. 즉 맵포켓 내부의 수납 공간 청소가 매우 용이해진다.
더불어 매우 작은 크기의 도트부는 수납내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아 기본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즉 맵포켓 내측의 수납내면부에 로고 등의 기본 문양이 삽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도트부를 적용하면 로고와 도트부가 혼재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매우 작은 크기의 도트부는 눈에 잘 띄지 않아서 기존의 평면에 새겨진 것과 별 다른 차이 없이 로고를 노출 시킬 수 있다.
도1은 도어트림과 맵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도어트림에서 긁힘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긁힘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맵포켓 안쪽의 수납내면부에 로고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도어트림과 맵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10)은 차량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도어트림(10)에는 암레스트, 이너핸들, 풀핸들, 각종 조작스위치 및 맵포켓(20) 등이 설치된다. 이 중 맵포켓(20)은 도어트림(10) 하단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시킨다. 실시하기에 따라 별도 부재의 맵포켓(20)을 도어트림(10) 하단에 장착하기도 하고, 맵포켓(20) 형태까지 갖추도록 도어트림(1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의 넓은 영역에 장착되어 암레스트, 이너핸들 등이 장착되는 부재를 도어트림(10)이라 하고, 도어트림(10)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부재를 맵포켓(20)이라 부르도록 한다. 또한 맵포켓(2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서 도어트림(10) 쪽 측면을 수납내면부(11)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물병이나 책자 등의 수납물을 맵포켓(20)의 수납공간에 집어넣을 때에는, 수납물의 위쪽은 실내쪽을 향하도록 하고 아래쪽은 실외쪽을 향하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집어넣는다. 이 때문에 실외 방향을 향하는 수납물의 하단이 도어트림(10)의 수납내면부(11)에 접촉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수납물과 수납내면부(11) 사이의 접촉 마찰음이 발생하게 되고, 반복된 마찰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10)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내면부(11)에 긁힘방지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긁힘방지부재(30)는 수납내면부(11)에서 복수의 도트부(3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자세한 구조는 도3을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긁힘방지부재(30)의 장착을 위해 도어트림(10) 하단의 수납내면부(11)에 복수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12)의 전방(실내측)과 후방(실외측)에 걸쳐 긁힘방지부재(30)가 안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긁힘방지부재(30)는 도어트림(10)의 관통홀(12)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트부(31)와, 도트부(31)에서 관통홀(12) 내부를 통해 실외측까지 연장되는 연장부(32)와, 관통홀(12)의 실외측에서 연장부(32)와 연결되는 평면부(33)를 포함한다. 도트부(31), 연장부(32) 및 평면부(33)를 갖는 긁힘방지부재(3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이며, 관통홀(12)이 형성된 도어트림(10)을 금형(40,50) 내에 위치시킨 후 수지(30a) 주입을 통해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3과 같은 형태의 긁힘방지부재(30)를 제작할 수 있다.
차량의 실내측에서 맵포켓(20)의 수납공간을 바라본다면 도2 및 도3과 같이 반구 형태의 도트부(31)가 수납내면부(11) 표면에 오돌토돌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물을 맵포켓(20)의 수납공간에 넣을 때, 수납물의 하단이 수납내면부(11)에 접촉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고무 재질의 도트부(31)에 걸리면서 수납내면부(11)와 수납물의 접촉이 일시적으로 해제될 수 있고, 수많은 도트부(31)를 모두 지나가면서 수납물과 수납내면부(11)의 직접적인 접촉이 수시로 방해된다. 이에 따라 수납내면부(11)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원리로 수납내면부(11)와 수납물 하단이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시 발생하였던 마찰 소음도 크게 줄어들게 된다.
더불어 매우 작은 크기의 도트부(31)는 수납내면부(11)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아 기본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즉 맵포켓(20) 내측의 수납내면부(11)에 도5와 같이 로고(L) 등의 기본 문양이 삽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도트부(31)를 적용하면 로고(L)와 도트부(31)가 혼재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매우 작은 크기의 도트부(31)는 눈에 잘 띄지 않아서 기존의 평면에 새겨진 것과 별 다른 차이 없이 로고(L)를 노출 시킬 수 있다.
한편, 기존 도어트림(10)의 수납내면부(11)는 평탄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부분에 얇은 필름 형태의 물건이 붙어 있는 경우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수납내면부(11)에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도트부(31)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얇은 필름 형태의 수납물이 수납내면부(11)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도어트림(10)의 수납내면부(11)에 도트를 형성시키는 방식으로는 반구 형태로 도트를 복수개 제작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방식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수많은 도트들에 일일이 접착제를 도포하고 붙이는 공정이 상당히 복잡하며, 이렇게 도트를 붙인다 하더라도 수납물이 진입하면서 도트와 강한 접촉이 발생하면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 현상이 반복되면 도트가 떨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트부(31)가 연장부(32)를 통해 도어트림(10) 실외측의 평면부(33)까지 일체로 제작되는 형태로 긁힘방지부재(30)를 형성시킨 것이며, 이에 따라 도트부(31)가 수납내면부(11)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긁힘방지부재(30)는 도어트림(10)을 인서트 부재로 하여 금형에 위치시킨 후 수지(30a)를 주입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긁힘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의 제조 방법을 설명토록 한다.
긁힘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10)의 제조를 위해, 먼저 하단에 복수의 관통홀(12)이 형성된 도어트림(10)을 제작한다. 도어트림(10)은 별도 금형(미도시)에 합성수지 등의 원재료를 주입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으며, 필요시 내추럴파이버 등을 더 포함하여 도어트림(10)을 제작할 수도 있다. 도어트림(10)의 제조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시키기 위한 도어트림(10)에는 하단의 일정 영역, 즉 수납내면부(11)에 복수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도어트림(1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미도시)을 설계 변경하거나, 기존 방식으로 도어트림(10)을 제작한 이후 별도 타공 작업을 추가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도어트림(10)을 제작할 시 맵포켓(20) 부분까지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관통홀(12)이 형성된 도어트림(10)의 제작과 별개로 긁힘방지부재(30) 형성을 위한 금형(40,50)을 준비한다. 도4의 (a)를 참조하면, 긁힘방지부재(30) 형성을 위한 금형은 제1금형(40)과 제2금형(50)을 포함한다.
제1금형(40)의 하부에는 제1금형면(41)이 형성되어 있고, 제1금형면(41)의 하나 이상 지점에는 수지(30a)가 주입되는 주입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금형(50)의 상부에는 제2금형면(51)이 형성되어 있되, 제2금형면(51)에는 복수의 도트성형면(52)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금형(40,50)이 준비되면 도4의 (a)와 같이 미리 제작된 도어트림(10)을 제1금형(40)과 제2금형(50)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금형(40)을 하강시켜 제1금형면(41)에 도어트림(10)의 실외측이 밀착되도록 하고, 제2금형면(51)에 도어트림(10)의 실내측이 밀착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금형(40,50)은 긁힘방지부재(30)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인데, 긁힘방지부재(30)는 도어트림(10) 하단의 수납내면부(11) 전후면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반드시 도어트림(10) 전체가 금형(40,50) 내에 완전히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트림(10)의 전체 영역 중 수납내면부(11)에 대응하는 위치만 금형(40,50) 내에 진입할 수도 있다. 단 도4에서는 편의상 전체 도어트림(10)에서 수납내면부(11)만 발췌하여 도시하였다.
도4의 (b)와 같이 제1금형(40)이 하강하여 도어트림(10)에 밀착하면, 제1금형면(41)과 도어트림(10)의 실외측 사이에는 긁힘방지부재(30)의 평면부(33)가 형성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금형면(51)과 도어트림(10)의 실내측이 밀착하게 되면, 관통홀(12)과 대응하는 위치의 아래쪽으로 도트성형면(52)이 위치하게 된다. 도트성형면(52)은 대략 반구 형태이며, 그 폭은 관통홀(1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후 제1금형(40)의 주입공(42)을 통해 수지(30a)를 주입하면, 도어트림(10)의 실외측과 제1금형면(41) 사이에 먼저 수지(30a)가 채워지게 되며, 이후 수지(30a)가 관통홀(12)을 통해 이동하여 도4의 (b)와 같이 도트성형면(52)까지 가득 채워지게 된다.
긁힘방지부재(30)를 제작하기 위해 제1금형(40)의 주입공(42)을 통해 주입되는 수지(30a)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일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플라스틱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고무보다 단단하고, 플라스틱보다 말랑거리고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재료이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실온에서는 고무의 기능을 갖고 있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성질을 갖는 것)되어 성형성이 우수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비닐 등이 있다.
제1금형(40)의 주입공(42)을 통해 수지(30a)를 주입하여 도어트림(10)의 실외측(긁힘방지부재(30)의 평면부(33)가 성형되는 공간)과, 관통홀(12) 내부(긁힘방지부재(30)의 연장부(32)가 성형되는 공간)와, 도어트림(10)의 실내측과 도트성형면(52) 사이의 공간(긁힘방지부재(30)의 도트부(31)가 성형되는 공간)에 수지(30a)가 가득 채워지면, 수지(30a) 주입을 중단한 후 소정의 냉각 과정을 거친다.
이후 제1금형(40)과 제2금형(50)을 분리하면, 도4의 (c)와 같이 긁힘방지부재(30)가 형성된 도어트림(10)을 인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포켓(20)이 장착된 도어트림(10)의 긁힘 방지 구조에 따르면, 도어트림(10)의 수납내면부(11)에서 돌출된 형태로 도트부(31)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물이 수납내면부(11)에 접촉한 상태로 하강하더라도, 고무 재질(고무의 특성을 갖는 것을 말함)의 도트부(31)에 걸리면서 수납내면부(11)와 수납물의 접촉이 방해된다. 따라서 수납내면부(11)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물과 수납내면부(11)와의 마찰 소음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도어트림(10)에 돌출된 도트부(31)를 형성시킬 때, 도트들을 일일이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것이 아니라, 도어트림(10)을 금형(40,50)에 위치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원료로 하는 수지(30a)를 주입하여 도트부(31), 연장부(32) 및 평면부(33)로 구성되는 긁힘방지부재(30)를 제작하는 것이어서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도어트림(10) 실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부(33)가 연장부(32)를 통해 도트부(31)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있어서, 도트부(31)에 수납물이 반복하여 접촉하더라도 도트부(31)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도트들을 수납내면부(11)에 부착하거나, 도트가 형성된 테입을 수납내면부(11)에 부착하는 방식은 단순히 도트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납내면부(11) 표면에만 도트를 배치시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여 도트가 이탈할 가능성이 높지만, 본 발명에서는 긁힘방지부재(30)가 수납내면부(11)의 전후면에 걸쳐 연장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반복적인 수납물의 접촉이 있더라도 도트부(31)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내면부(11)가 평탄하지 않고 도트부(31)에 의해 표면이 오돌토돌해 지기 때문에, 얇은 필름 형태의 물질이 수납내면부(11)에 달라붙는 것이 방지되고, 설사 정전기나 끈적한 이물질에 의해 필름 형태의 물질이 달라붙더라도 도트부(31)에 의해 들뜬 부분이 반드시 있기 때문에 손으로 잡아 떼어내는 것이 쉽다. 즉 맵포켓(20) 내부의 수납 공간 청소가 매우 용이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도어트림
11 : 수납내면부
12 : 관통홀
20 : 맵포켓
30 : 긁힘방지부재
31 : 도트부
32 : 연장부
33 : 평면부
30a : 수지
40 : 제1금형
41 : 제1금형면
42 : 주입공
50 : 제2금형
51 : 제2금형면
52 : 도트성형면

Claims (1)

  1. 차량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트림;
    상기 도어트림의 하단에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맵포켓; 및
    상기 맵포켓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서 상기 도어트림 측에 복수의 도트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긁힘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트림에서 상기 맵포켓이 장착되는 하단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긁힘방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트부와, 상기 도트부에서 상기 관통홀 내부를 통해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관통홀의 실외측에서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긁힘방지부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KR1020190110323A 2019-09-05 2019-09-05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KR10203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23A KR102036018B1 (ko) 2019-09-05 2019-09-05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23A KR102036018B1 (ko) 2019-09-05 2019-09-05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74A Division KR102021341B1 (ko) 2018-01-09 2018-01-09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및 긁힘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51A KR20190105551A (ko) 2019-09-17
KR102036018B1 true KR102036018B1 (ko) 2019-10-24

Family

ID=6807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323A KR102036018B1 (ko) 2019-09-05 2019-09-05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949B2 (ja) 1994-01-31 2000-08-1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リード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949U (ja) * 2000-09-08 2001-04-27 道郎 小林 自動車のサイド.ドア.プロテクター
KR20170014180A (ko) * 2015-07-29 2017-02-08 박기원 표면에 부분적으로 섬유파일을 부착한 자동차 내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949B2 (ja) 1994-01-31 2000-08-1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リード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51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450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 friction surface
US8978883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 co-molded stand
US20080251663A1 (en) Anti-skid foot assembly
US6450468B1 (en) Sliding drawer device for vehicle
CN108237659B (zh) 用于成型且背面注塑可弯曲片材的模制工具和方法
US8190222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US20070138041A1 (en) Carrying Case
KR102036018B1 (ko)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KR102036016B1 (ko) 사출에 의한 수지 주입을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KR102021341B1 (ko)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및 긁힘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의 제조 방법
JP2008148603A (ja) ペット用トイレ
KR970702091A (ko) 태크로 볼
KR101560371B1 (ko)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KR102646990B1 (ko) 차량용 컵홀더장치
US20110000804A1 (en) Storage device for a data carrier
JPS6132895Y2 (ko)
JPH0728789B2 (ja) マグネット付き吊り下げフックの二重成形方法
JP2000128202A (ja) 開閉カバーおよび開閉カバー付き筐体
CN215260747U (zh) 制冷设备门体及制冷设备
KR102039449B1 (ko) 전지용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260965A1 (en) Multi-layered molded article with moisture protection
KR101557977B1 (ko) 차량용 클러스터
CN109315071A (zh) 用于电子设备的底脚,包括该底脚的电子设备和制造该底脚的方法
KR20050112354A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JP3247047B2 (ja) モールディ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