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94B1 -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94B1
KR102035794B1 KR1020180149818A KR20180149818A KR102035794B1 KR 102035794 B1 KR102035794 B1 KR 102035794B1 KR 1020180149818 A KR1020180149818 A KR 1020180149818A KR 20180149818 A KR20180149818 A KR 20180149818A KR 102035794 B1 KR102035794 B1 KR 10203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node
bypass
pin diode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8014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9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553 priority patent/WO20201115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01P1/15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by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로서, 제1포트와 제3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신호의 이동 경로인 메인경로를 제공하는 메인경로부; 상기 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의 상기 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메인경로부와 제2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신호의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PIN DIODE SWITCH HAVING BY-PASS FUNCTION}
본 발명은 핀 다이오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핀 다이오드 스위치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신호의 양방향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한정된 통신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주파수의 RF(Radio Frequency)신호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TDD 방식은 다양한 주파수의 RF신호들을 시간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RF신호들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기 위한 RF스위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DD 방식에 이용되는 다양한 RF스위치들 중 고출력 및 고성능 특성을 가지고, 제어가 용이하며, On/Off 스위칭 속도가 빠른 핀(PIN) 다이오드 스위치가 RF 신호의 차단 또는 통과를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핀 다이오드 스위치는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며,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핀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RF신호를 차단 또는 통과시킨다.
그러나,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 오작동하거나 이 구성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핀 다이오드 스위치가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TDD 방식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종래 설정된 자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통신신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경로(바이패스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핀 다이오드 스위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로서, 제1포트와 제3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신호의 이동 경로인 메인경로를 제공하는 메인경로부; 상기 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의 상기 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메인경로부와 제2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신호의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로서, 제1포트와 제3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제1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1메인경로를 제공하는 제1메인경로부; 제2포트와 제4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제2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2메인경로를 제공하는 제2메인경로부; 상기 제1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신호의 상기 제1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제2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신호의 상기 제2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바이패스 경로를 통하여 통신신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핀 다이오드 스위치와 무선 통신 장치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구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는 쿼터웨이브 전송라인과 핀 다이오드만이 적용된 간단한 구조를 통해 형성되므로,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비용 효율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여 특정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 가능하므로,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가 무선 통신 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와 바이패스부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부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와 바이패스부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를 구성하는 차단부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이하 '스위치”라 지칭한다)(100)가 무선 통신 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100)의 기능과 주변 장치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100)는 내부에 구성된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메인경로(스위치의 실선을 통해 형성되는 경로)로부터 바이패스경로(스위치의 점선을 통해 형성되는 경로)로 스위칭하여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의 양방향 이동 또는 전송이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TDD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의 RF신호들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이 구현 예에는 로컬 주파수 선택 스위치, IF(Intermediate Frequency)단의 필터 선택 스위치 등과 같이 바이패스 기능을 가짐으로 인하여 구동의 안정성 확보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100)가 구현된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AN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단(front-end)(300), 스위치(100)를 기준으로 전단(3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후단(200), 본 발명의 스위치(100)가 제공하는 바이패스경로 상에 위치하는 특정 장치(403) 및 본 발명의 스위치(100)가 제공하는 메인경로 상에 위치하는 특정 장치(4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신호의 경우, 전단(300)의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는 다운컨버터(Down Converter)에서 로컨 주파수(LO)신호를 거쳐 기저대역(baseband)신호로 다운(down)되고, 메인경로가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후단(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송신호의 경우, 후단(200)으로부터 이동된 기저대역(baseband)신호는 메인경로가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전단(300)으로 이동하게 되고, 업컨버터(Up Converter)에서 로컬 주파수(LO)신호를 거쳐 RF신호로 업(up)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신호 전송 경로를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메인경로는 본 발명의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경로가 형성되지 않으며,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별도의 구성(DC_IN, 미도시)이 오작동하거나 이 구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될 수 없는 경우에는 메인경로를 이용한 신호의 양방향 전송 또는 이동이 구현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형성되는 바이패스 경로를 별도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바이패스경로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경로에 해당하는 바이패스경로는 메인경로와 동일한 경로를 제공하므로, 메인경로를 이용한 신호의 양방향 전송과 동일한 전송이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바이패스경로를 통하여 통신신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핀 다이오드 스위치(100) 자체와 무선 통신 장치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구동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100)의 스위칭 기능을 더욱 강조하기 위하여 스위치(100)를 일반적인 스위치 구조 즉, 물리적인 On/Off를 통해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에 표현된 구조와 달리,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물리적인 On/Off를 통해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닌, 내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핀 다이오드의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를 통하여 스위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동일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스위치(100)가 제공하는 바이패스경로는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단선되는 것이 아니라,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특정 포트에서 바라본 바이패스경로의 임피던스가 무한의 임피던스를 가져 바이패스경로로 신호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특정 포트에서 바라본 바이패스경로는 유한의 임피던스(예를 들어, 50옴)를 가져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후술되는 내용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와 바이패스부(130)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는 제1포트(P1)과 제3포트(P3) 사이에 연결되며, 제1포트(P1) 로부터 제3포트(P3)로 이동하는 신호와 제3포트(P3)로부터 제1포트(P1)로 이동하는 신호의 이동 경로인 메인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메인경로는 신호의 양방향 이동 경로에 해당하므로, 제1포트(P1)와 제3포트(P3)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이동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에 해당하며 다른 하나는 메인경로를 이동한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는 단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단부(120)는 메인경로부(110)와 연결되며, 제1포트(P1)와 제3포트(P3) 사이에서의 신호의 이동(신호의 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차단부(120)는 후술되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메인경로를 통한 신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패스부(130)는 메인경로부(110)와 제2포트(P2)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바이패스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선택적 경로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바이패스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바이패스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31)과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쿼터웨이브(λ/4)란,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가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경우, 제1노드(A)로부터 그라운드 사이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의 쿼터웨이브란, 위 문단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신의 일단과 연결된 특정 노드와 자신의 타단과 연결된 그라운드 사이의 길이를 나타낸다.
바이패스 전송라인(131)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드(A)를 통하여 제1포트(P1) 및 메인경로부(110)와 연결되고, 제2노드(B)를 통하여 제2포트(P2)와 연결된다.
도 2에 표현된 Z0는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이와 동일하게 이하 설명되는 도 3 내지 도 5에 표현된 Z0 또한,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드(B)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바이패스경로부(130) 및 제2포트(P2)와 연결된다. 제2노드(B)와 제2포트(P2)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10)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바이패스 전송라인(131)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오픈 스터브(1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2노드(B)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유한의 임피던스(예를 들어, 50옴)가 되므로,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단부(120)는 메인경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므로, 신호는 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2노드(B)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오픈 임피던스(즉, 무한대의 임피던스)가 되므로, 바이패스경로를 통한 신호의 이동이 차단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단부(120)는 메인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바이패스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된 신호는 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핀 다이오드(Dp)의 온/오프 동작과 차단부(120)의 선택적 차단 동작을 통하여 메인경로와 바이패스경로 중 어느 하나를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경로 선택은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될 수 없는 경우에도 바이패스경로라 지칭되는 별도의 신호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스위치 자체와 이 스위치가 포함된 무선통신시스템의 안정성과 지속적인 구동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단부(120)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단부(120)가 메인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는 메인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메인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단부(120)는 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차단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21)과 차단 핀 다이오드(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전송라인(111)의 일단은 제1노드(A)를 통하여 제1포트(P1)와 연결되며, 메인 전송라인(111)의 타단은 제3노드(C)를 통하여 제3포트(P3)와 연결된다. 또한, 메인 전송라인(111)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는 메인 전송라인(111)의 양단에 연결되는 오픈 스터브(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 전송라인(121)은 제1노드(A)와 제3노드(C) 사이에 연결되어, 제1노드(A)로 유입되는 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경로인 차단경로를 제공한다. 차단 핀 다이오드(Db)는 차단 전송라인(121)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순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기준으로 온 또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가 온되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4노드(D)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와 제1노드(A)에서 제2노드(B)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모두 오픈 임피던스가 된다.
따라서, 오픈 임피던스로 인하여, 차단경로와 바이패스경로가 모두 차단되게 되므로, 제1노드(A)로 유입된 신호는 차단경로를 통한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되어 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차단 전송라인(121)은 세 개의 차단 전송라인(121-1, 121-2, 121-3)과 두 개의 차단 핀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제1차단 전송라인(121-1)의 일단은 제1노드(A)를 통하여 메인경로부(110)와 연결되며, 제1차단 전송라인(121-1)의 타단은 제4노드(D)와 연결된다.
또한, 제2차단 전송라인(121-2)의 일단은 제3노드(C)를 통하여 메인경로부(110)와 연결되며, 제2차단 전송라인(121-2)의 타단은 제5노드(E)와 연결된다. 제3차단 전송라인(121-3)은 제4노드(D)와 제5노드(E) 사이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 핀 다이오드(D1)는 제4노드(D)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2차단 핀 다이오드(D2)는 제5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가 온되는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제1노드(A)로 유입된 신호는 차단경로를 통한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를 통한 이동이 모두 차단되어 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핀 다이오드(Dp, Db)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차단 전송라인(121-1, 121-2, 121-3)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3노드(C)에서 270도의 위상을 가지며, 메인 전송라인(111)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3노드(C)에서 90도의 위상을 가지게 되어, 서로 상쇄되게 된다.
이러한 상쇄 효과를 통하여 제1포트(P1)으로부터 제3포트(P3)로의 신호의 이동(차단경로를 통한 이동 및 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되게 되나, 전술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경로는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신호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핀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바이패스경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높은 비용 효율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므로 특정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와 바이패스부(130)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경로부(110)와 바이패스부(130)의 다른 일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제1메인경로부(110-1), 제2메인경로부(110-2), 제1차단부(120-1). 제2차단부(120-2), 바이패스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메인경로부(110-1)는 제1포트(P1)과 제3포트(P3) 사이에 연결되며, 제1포트(P1) 로부터 제3포트(P3)로 이동하는 신호와 제3포트(P3)로부터 제1포트(P1)로 이동하는 신호(제1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1메인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제2메인경로부(110-2)는 제2포트(P2)과 제4포트(P4) 사이에 연결되며, 제2포트(P2) 로부터 제4포트(P4)로 이동하는 신호와 제4포트(P4)로부터 제2포트(P2)로 이동하는 신호(제2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2메인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1차단부(120-1)는 제1메인경로부(110-1)와 연결되며, 제1포트(P1)와 제3포트(P3) 사이에서의 신호의 이동(제1메인경로를 통한 제1신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제1차단부(120-1)는 후술되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1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하려는 제1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차단부(120-2)는 제1차단부(120-1)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제2메인경로부(110-2)와 연결되며, 제2포트(P2)와 제4포트(P4) 사이에서의 신호의 이동(제2메인경로를 통한 제2신호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제2차단부(120-2)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 즉, 핀 다이오드(Dp1, Dp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제2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하려는 제2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패스부(130)는 제1포트(P1)와 제2포트(P2) 사이에 연결되며(제1메인경로부(110-1)와 제2메인경로부(110-2)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바이패스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제1 및 제2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선택적 경로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바이패스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이패스 전송라인(131-1), 제2바이패스 전송라인(131-2), 제1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1) 및 제2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바이패스 전송라인(131-1)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드(A)를 통하여 제1포트(P1) 및 제1메인경로부(110-1)와 연결된다. 제2바이패스 전송라인(131-2)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6노드(F)를 통하여 제2포트(P2) 및 제2메인경로부(110-2)와 연결된다.
제1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1)의 일단은 제1바이패스 전송라인(131-1)을 중심으로 제1노드(A)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1노드(B1)에 연결되며, 제1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1)의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제2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2)의 일단은 제2바이패스 전송라인(131-2)을 중심으로 제6노드(F)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2노드(B2)에 연결되며, 제2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2)의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제2-1노드(B1)와 제2-2노드(B2)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10)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오픈 스터브(1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1, Dp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2-1노드(B1)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유한 임피던스(예를 들어, 50옴)가 되고, 제6노드(F)에서 제2-2노드(B2)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 또한, 유한 임피던스(예를 들어, 50옴)가 된다.
따라서, 두 임피던스가 오픈 임피던스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신호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단부(120-1, 120-2)는 제1 및 제2메인경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므로, 제1 및 제2신호는 제1 및 제2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Dp1, Dp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2-1노드(B1)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와 제6노드(F)에서 제2-2노드(B2)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모두 오픈 임피던스가 된다.
따라서, 바이패스경로를 통한 신호의 이동이 차단되고, 차단부(120-1, 120-2)가 제1 및 제2메인경로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바이패스경로로 이동할 수 없는 신호는 제1 및 제2메인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핀 다이오드(Dp1, Dp2)의 온/오프 동작과 차단부(120-1 120-2)의 선택적 차단 동작을 통하여 메인경로와 바이패스경로 중 어느 하나를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경로 선택은 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핀 다이오드(Dp1, Dp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될 수 없는 경우에도 바이패스경로라 지칭되는 별도의 신호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스위치 자체와 이 스위치가 포함된 무선통신시스템의 안정성과 지속적인 구동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차단부(120-1, 120-2)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단부(120-1, 120-2)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단부(120)는 제1차단부(120-1)와 제2차단부(12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차단부(120-1)의 실시예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제2차단부(120-2)의 실시예에 대해 후술하도록 한다.
제1메인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메인경로부(110-1)는 제1메인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제1메인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차단부(120-1)는 제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제1차단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21)과 차단 핀 다이오드(Db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메인 전송라인(111-1)의 일단은 제1노드(A)를 통하여 제1포트(P1)와 연결되며, 제1메인 전송라인(111)의 타단은 제3노드(C)를 통하여 제3포트(P3)와 연결된다.
또한, 제1메인 전송라인(111-1)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제1메인경로부(110-1)는 제1메인 전송라인(111-1)의 양단에 연결되는 오픈 스터브(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차단 전송라인(121)은 제1노드(A)와 제3노드(C) 사이에 연결되어, 제1노드(A)로 유입되는 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경로인 차단경로를 제공한다. 차단 핀 다이오드(Db1)는 제1차단 전송라인(121)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순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기준으로 온 또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1)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1)가 온되는 경우, 제1노드(A)에서 제4노드(D)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와 제1노드(A)에서 제2노드(B1)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모두 오픈 임피던스가 된다.
따라서, 오픈 임피던스로 인하여, 제1차단경로와 바이패스경로가 모두 차단되게 되므로, 제1노드(A)로 유입된 신호는 제1차단경로로의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제1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1차단 전송라인(121)은 세 개의 차단 전송라인(121-1, 121-2, 121-3)과 두 개의 차단 핀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1차단 전송라인(121-1)의 일단은 제1노드(A)를 통하여 제1메인경로부(110-1)와 연결되며, 제1-1차단 전송라인(121-1)의 타단은 제4노드(D)와 연결된다.
또한, 제1-2차단 전송라인(121-2)의 일단은 제3노드(C)를 통하여 제1메인경로부(110-1)와 연결되며, 제1-2차단 전송라인(121-2)의 타단은 제5노드(E)와 연결된다. 제1-3차단 전송라인(121-3)은 제4노드(D)와 제5노드(E) 사이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 핀 다이오드(D1)는 제4노드(D)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2차단 핀 다이오드(D2)는 제5노드(E)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1)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1)가 온되는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제1노드(A)로 유입된 제1신호는 제1차단경로로의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제1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핀 다이오드(Dp, Db1)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1차단 전송라인(121-1, 121-2, 121-3)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3노드(C)에서 270도의 위상을 가지며, 제1메인 전송라인(111-1)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3노드(C)에서 90도의 위상을 가지게 되어, 서로 상쇄되게 된다.
이러한 상쇄 효과를 통하여 제1포트(P1) 로부터 제3포트(P3)로의 신호의 이동(제1메인경로를 통한 제1신호의 이동)이 차단되게 되나, 전술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경로는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신호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바이패스된다.
한편, 제2메인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메인경로부(110-2)는 제2메인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제2메인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차단부(120-2)는 제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이하 '제2차단 전송라인'이라 지칭한다)(123)과 차단 핀 다이오드(Db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메인 전송라인(111-2)의 일단은 제6노드(F)를 통하여 제2포트(P2)와 연결되며, 제2메인 전송라인(111-2)의 타단은 제7노드(G)를 통하여 제4포트(P4)와 연결된다.
또한, 제2메인 전송라인(111-2)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제2메인경로부(110-2)는 제2메인 전송라인(111-2)의 양단에 연결되는 오픈 스터브(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차단 전송라인(123)은 제6노드(F)와 제7노드(G) 사이에 연결되어, 제6노드(F)로 유입되는 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경로인 제2차단경로를 제공한다. 차단 핀 다이오드(Db2)는 제2차단 전송라인(123)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순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기준으로 온 또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2)가 온되는 경우, 제6노드(F)에서 차단 핀 다이오드(Db2)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와 제6노드(F)에서 제2노드(B2) 방향으로 바라 본 임피던스가 모두 오픈 임피던스가 된다.
따라서, 오픈 임피던스로 인하여, 제2차단경로와 바이패스경로가 모두 차단되게 되므로, 제6노드(F)로 유입된 신호는 제2차단경로로의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제2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2차단 전송라인(123)은 세 개의 제2차단 전송라인(123-1, 123-2, 123-3)과 두 개의 차단 핀 다이오드(D3, D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1차단 전송라인(123-1)의 일단은 제6노드(F)를 통하여 제2메인경로부(110-2)와 연결되며, 제2-1차단 전송라인(123-1)의 타단은 제8노드(H)와 연결된다.
또한, 제2-2차단 전송라인(123-2)의 일단은 제7노드(G)를 통하여 제2메인경로부(110-2)와 연결되며, 제2-2차단 전송라인(123-2)의 타단은 제9노드(I)와 연결된다. 제2-3차단 전송라인(123-3)은 제8노드(H)와 제9노드(I) 사이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차단 핀 다이오드(D3)는 제8노드(H)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4차단 핀 다이오드(D4)는 제9노드(I)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핀 다이오드(Dp, Db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이 핀 다이오드(Dp, Db2)가 온되는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제6노드(F)로 유입된 제2신호는 제2차단경로로의 이동과 바이패스경로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제2메인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핀 다이오드(Dp, Db2)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2차단 전송라인(123-1, 123-2, 123-3)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7노드(G)에서 270도의 위상을 가지며, 제2메인 전송라인(111-2) 방향으로 이동한 신호는 제7노드(G)에서 90도의 위상을 가지게 되어, 서로 상쇄되게 된다.
이러한 상쇄 효과를 통하여 제2포트(P2) 로부터 제4포트(P4)로의 신호의 이동(제2메인경로를 통한 제2신호의 이동)이 차단되게 되나, 전술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경로는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신호는 바이패스경로를 통해 바이패스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핀 다이오드 스위치
110: 메인경로부 120: 차단부
130: 바이패스부 111: 메인 전송라인
121: 차단 전송라인 131: 바이패스 전송라인
Dp: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 Db: 차단 핀 다이오드

Claims (10)

  1. 무선통신시스템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로서,
    제1포트와 제3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신호의 이동 경로인 메인경로를 제공하는 메인경로부;
    상기 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의 상기 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메인경로부와 제2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신호의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경로부에 포함된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2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쿼터웨이브(quarter wave) 전송라인; 및
    상기 제2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경로를 통하여 바이패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경로부는,
    일단이 상기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드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3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3포트에 연결되는 메인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3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차단경로를 제공하는 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차단 퀘터웨이브 전송라인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는,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가 온되는 경우, 상기 차단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4노드에 연결되는 제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일단이 상기 제3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3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5노드에 연결되는 제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제4노드와 상기 제5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3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는,
    상기 제4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1차단 핀 다이오드; 및
    상기 제5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경로를 이동하는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차단 핀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메인경로를 이동하는 신호와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5. 무선통신시스템의 핀 다이오드 스위치로서,
    제1포트와 제3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제1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1메인경로를 제공하는 제1메인경로부;
    제2포트와 제4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제2신호의 이동 경로인 제2메인경로를 제공하는 제2메인경로부;
    상기 제1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신호의 상기 제1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제2메인경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신호의 상기 제2메인경로를 통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자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핀 다이오드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신호의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일단이 상기 제1메인경로부에 포함된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트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 쿼터웨이브(quarter wave)전송라인;
    일단이 상기 제2메인경로부에 포함된 제6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상기 제1바이패스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의 타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핀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바이패스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의 타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바이패스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바이패스 핀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경로를 통하여 바이패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경로부는,
    일단이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3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3포트에 연결되는 제1메인 쿼터웨이브(quarter wave) 전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3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제1차단경로를 제공하는 제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제1차단 퀘터웨이브 전송라인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는,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가 온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1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1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4노드에 연결되는 제1-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일단이 상기 제3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3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5노드에 연결되는 제1-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제4노드와 상기 제5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3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는,
    상기 제4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1차단 핀 다이오드; 및
    상기 제5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경로를 이동하는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차단 핀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메인경로를 이동하는 신호와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경로부는,
    일단이 제6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7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4포트에 연결되는 제2메인 퀘터웨이브 전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제6노드와 상기 제7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신호의 일부가 이동하는 제2차단경로를 제공하는 제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제2차단 퀘터웨이브 전송라인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는,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가 온되는 경우, 상기 제2차단경로를 통한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은,
    일단이 상기 제6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2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8노드에 연결되는 제2-1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일단이 상기 제7노드를 통하여 상기 제4포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9노드에 연결되는 제2-2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 및
    상기 제8노드와 상기 제9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3차단 쿼터웨이브 전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핀 다이오드는,
    상기 제8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3차단 핀 다이오드; 및
    상기 제9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4차단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단경로를 이동하는 신호는,
    상기 제3 및 제4차단 핀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2메인경로를 이동하는 신호와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KR1020180149818A 2018-11-28 2018-11-28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KR10203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18A KR102035794B1 (ko) 2018-11-28 2018-11-28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PCT/KR2019/014553 WO2020111535A1 (ko) 2018-11-28 2019-10-31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18A KR102035794B1 (ko) 2018-11-28 2018-11-28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94B1 true KR102035794B1 (ko) 2019-10-23

Family

ID=6846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18A KR102035794B1 (ko) 2018-11-28 2018-11-28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5794B1 (ko)
WO (1) WO20201115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707A (ja) * 2000-11-27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波移相器及びフェーズドアレーアンテナ
JP2007318264A (ja) * 2006-05-24 2007-12-06 Japan Radio Co Ltd リミッタ回路
WO2008135630A1 (en) * 2007-05-03 2008-11-13 Powerwave Comtek Oy Masthead amplifier unit
KR101594517B1 (ko) * 2015-08-14 2016-02-16 (주)에드모텍 격리도 및 왜곡 개선을 위한 rf 핀 다이오드 스위치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1903A (ja) * 1992-03-05 1993-09-28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スイッチドライン型移相器
KR100653186B1 (ko) * 2004-11-11 2006-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주파 가변 감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707A (ja) * 2000-11-27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波移相器及びフェーズドアレーアンテナ
JP2007318264A (ja) * 2006-05-24 2007-12-06 Japan Radio Co Ltd リミッタ回路
WO2008135630A1 (en) * 2007-05-03 2008-11-13 Powerwave Comtek Oy Masthead amplifier unit
KR101594517B1 (ko) * 2015-08-14 2016-02-16 (주)에드모텍 격리도 및 왜곡 개선을 위한 rf 핀 다이오드 스위치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535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119B2 (ja) 高周波スイッチ
US9112504B2 (en) High frequency switch
US7639102B2 (en) Reconfigurable duplexing couplers
US5778306A (en) Low loss high frequency transmitting/receiving switching module
EP3057230B1 (en) Power saving transceiver switch configuration
US8907745B2 (en) Transistor switches with single-polarity control voltage
CN109964407A (zh) 具有补偿电路的二进制加权衰减器
US9973154B2 (en) Dual output RF LNA
JPH09505450A (ja) 双方向性増幅器
US20190020088A1 (en) Microwave digital phase shifters
JP2019068194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EP3127246B1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system
JP4717930B2 (ja) 高周波スイッチ
US20220006483A1 (en) Transmit/receive switch circuits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systems
JP2013027035A (ja) Rf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高周波アンテナ部品及び移動通信機器
JP2010521830A (ja) Rfスイッチ及びrfスイッチを備える装置
KR102035794B1 (ko) 바이패스 기능이 적용된 핀 다이오드 스위치
US10491113B1 (en) Transmit-receive system having three operating modes
US8829977B2 (en) High frequency switch including diode-connected transistor connected to gate of transistor forming or blocking high frequency signal flow path
JP4213706B2 (ja) 高周波スイッチ回路
US10622995B2 (en) Independent control of branch FETs for RF performance improvement
JP2009152749A (ja) 信号切替スイッチ
JP2007214825A (ja) 半導体スイッチ集積回路
KR102189696B1 (ko) 스위칭 기능이 있는 전력 분배기
JP2012239011A (ja) 高周波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