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42B1 - 리프팅 사이클 - Google Patents

리프팅 사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42B1
KR102035142B1 KR1020190103536A KR20190103536A KR102035142B1 KR 102035142 B1 KR102035142 B1 KR 102035142B1 KR 1020190103536 A KR1020190103536 A KR 1020190103536A KR 20190103536 A KR20190103536 A KR 20190103536A KR 102035142 B1 KR102035142 B1 KR 10203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gh precision
fixed
whee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주)지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주)지랜드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9010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수평기둥(16)의 일측부위 및 타측부위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고정도르레(31, 32), 제1, 2고정도르레(31, 32) 각각과 대향하며 제2수평기둥(17)의 일측부위 및 타측부위 각각에 설치되는 제3, 4고정도르레(33, 34), 일단부위는 제1지지봉(25)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1, 3고정도르레(31, 33)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1지지와이어(35), 일단부위는 제2지지봉(26)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2, 4고정도르레(32, 34)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2지지와이어(36),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어 공중에 부양하는 균형추(37)가 마련되는 지지부; 제1, 2고정도르레(31, 32)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평기둥(16)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제5고정도르레(41), 제1지지봉(25)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돌출단(42)에 설치되는 제1가동도르레(43), 지지체(21)의 탑튜브(215) 후단부위에 구비되는 제2돌출단(44)에 설치되는 제2가동도르레(45), 일단부위는 제2휠(23)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2, 1가동도르레(45, 43) 및 제5고정도르레(41)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타단부위가 제2지지봉(26)의 상측부위에 고정되는 가동와이어(44)가 마련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팅 사이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사이클{Lifting cycle}
본 발명은 리프팅 사이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이클에 탑승한 이용자가 페달에 일정 외력을 가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용자는 사이클과 함께 일정수직높이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우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할 때마다 새로운 시승 욕구를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한 리프팅 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개인 교통수단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전거는 근자 그 원래의 기능을 넘어 유흥이나 레저용으로 다양한 변모를 꾀하고 있다. 유흥이나 레저 용도 자전거로서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예가 하늘 자전거(sky bike)이다.
통상적인 하늘 자전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에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이용자의 완력으로 자전거가 운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전거를 운행하는 이용자들은 지면을 벗어나 마치 하늘 길을 산책하는 것 같은 색다른 체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하늘 자전거는 그 구조적 특성상 자전거의 운행 길인 레일이 일정길이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 제약이 있을 뿐 아니라 시공 비용 자체가 만만치 않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히 레일을 따라 운행할 수 밖에 없어 새로운 흥미나 시승 욕구를 유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73539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면에 원형의 레일(2)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이클(3)이 레일(2)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의 경우 하늘 자전거와 달리 지면에 원형의 레일을 설치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공간적 제약 및 설치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기대되나, 주행 경로 자체가 원형 레일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7353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적 제약이 없으면서 낮은 설치비용으로 이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사이클 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1수직기둥(11),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1수직기둥(11) 후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2수직기둥(12), 상호 대향하는 제1, 2수직기둥(11, 12) 각각의 상단부위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기둥(14),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좌우 연결기둥(14) 각각의 전방부위에 결합되는 제1수평기둥(16), 제1수평기둥(16)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좌우 연결기둥(14) 각각의 후방부위에 결합되는 제2수평기둥(17)이 마련되는 기둥부; 지지체(21), 지지체(21)의 포크(211)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1휠(22), 제2스프라켓(24)이 구비되어 지지체(21)의 시트스테이(212)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2휠(23), 하단부위는 지지체(21)의 포크(211)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봉(25), 하단부위는 지지체(21)의 시트스테이(212)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되는 제2지지봉(26), 지지체(21)의 다운튜브(213)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1스프라켓(27), 제1, 2스프라켓(27, 24) 상호간을 연결하는 체인(28)이 마련되는 사이클부; 제1수평기둥(16)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고정도르레(31), 제1고정도르레(31)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1수평기둥(16)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는 제2고정도르레(32), 제1고정도르레(31)와 대향하며 제2수평기둥(17)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3고정도르레(33), 제2고정도르레(32)와 대향하며 제3고정도르레(33)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2수평기둥(17)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는 제4고정도르레(34), 일단부위는 제1지지봉(25)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1, 3고정도르레(31, 33)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1지지와이어(35), 일단부위는 제2지지봉(26)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2, 4고정도르레(32, 34)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2지지와이어(36),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어 공중에 부양하는 균형추(37)가 마련되는 지지부; 제1, 2고정도르레(31, 32)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평기둥(16)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제5고정도르레(41), 제1지지봉(25)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돌출단(42)에 설치되는 제1가동도르레(43), 지지체(21)의 탑튜브(215) 후단부위에 구비되는 제2돌출단(44)에 설치되는 제2가동도르레(45), 일단부위는 제2휠(23)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2, 1가동도르레(45, 43) 및 제5고정도르레(41)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타단부위가 제2지지봉(26)의 상측부위에 고정되는 가동와이어(44)가 마련되는 가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휠(23)은 림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와이어(44)의 일단부위는 림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와이어(44)는 상기 림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림의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2, 4고정도르레(32, 34)와 균형추(37) 사이에 위치하는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길이는 상기 균형추(37)가 승하강할 때 동일한 길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휠(23)의 회전축(241)에는 회전판(24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스프라켓(24)은 상기 회전판(24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에 탑승한 이용자가 페달에 일정 외력을 가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용자는 사이클과 함께 일정수직높이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사이클 놀이기구와 달리 매우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할 때마다 새로운 시승 욕구를 유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사이클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사이클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사이클에 있어 제2스프라켓 부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종래 유흥용 사이클 기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사이클에 있어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및 측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기둥부, 사이클부, 지지부, 가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둥부는 본 발명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수직기둥(11, 12), 연결기둥(14), 제1, 2수평기둥(16, 17)으로 이루어진다. 제1수직기둥(11)은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돌출된다.
제2수직기둥(12) 역시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1수직기둥(11) 후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돌출된다.
연결기둥(14)은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대향하는 제1, 2수직기둥(11, 12) 각각의 상단부위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 2수직기둥(11, 12)과 연결기둥(14)은 상호 직교한다.
제1, 2수평기둥(16, 17) 각각은 연결기둥(14) 상호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제1수평기둥(16)은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며 좌우에 위치하는 연결기둥(14) 각각의 전방부위에 결합된다. 제2수평기둥(17)은 제1수평기둥(16)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며 좌우에 위치하는 연결기둥(14) 각각의 후방부위에 결합된다.
사이클부는 이용자가 탑승하는 부분으로, 통상적인 사이클과 유사하게 지지체(21), 제1, 2휠(22, 23), 제1, 2지지봉(25, 26), 제1, 2스프라켓(27, 24), 체인(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체(21)는 사이클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포크(211), 시트스테이(212), 다운튜브(213), 탑튜브(214), 시트튜브(215), 시트(216) 각각이 마련된다.
제1휠(22)은 지지체(21)의 포크(211) 하단부위에 위치하며, 제2휠(23)은 시트스테이(212)의 하단부위에 위치한다. 제2휠(23)에는 제2스프라켓(24)이 구비되며, 제2휠(23)과 제2스프라켓(24) 각각은 동축을 공유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휠(23)이 타이어의 결합 없이 림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2휠(23)이 림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페달(271) 회전에 따라 가동와이어(46)가 제2휠(23)의 외면(231)을 따라 순차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제1휠(22) 역시 도면과 같이 림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지지봉(25)은 그 하단부위가 지지체(21)의 포크(211)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그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된다. 제2지지봉(25)은 제1지지봉(25)과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하며, 그 하단부위는 지지체(21)의 시트트레이(212)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그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된다.
제1스프라켓(27)은 지지체(21)의 다운튜브(213) 하단부위에 위치하며, 체인(28)이 제1, 2스프라켓(27, 24) 상호간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페달(271)을 밟으면 제2스프라켓(24)의 회전에 따라 제2휠(23) 역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1은 패드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스프라켓(24)이 회전판(242)에 고정 결합되고, 회전판(242)은 제2휠(23)의 회전축(241)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럴 경우, 체인(28)이 일방향(실선 참조) 또는 타방향으로(점선 참조)으로 운동하면, 회전축(241)은 일방향(실선 참조) 또는 타방향(점선 참조)으로 회전한다.
즉, 이용자가 일정 외력을 가하여 페달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뒷바퀴의 회전축이 겉도는 종래 사이클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은 이용자가 외력을 가해 페달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뒷바퀴의 회전축은 그에 연동되어 타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부호 243은 체결볼트이다.
지지부는 사이클부가 승하강할 때 사이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고정도르레(31, 32), 제3, 4고정도르레(33, 34), 제1, 2지지와이어(35, 36), 균형추(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고정도르레(31)는 제1수평기둥(16)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며, 제2고정도르레(32)는 제1고정도르레(31)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1수평기둥(16)의 타측부위에 설치된다. 제1, 2고정도르레(31, 32) 사이 간격은 제1, 2휠(22, 23) 사이 간격을 감안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고정도르레(33)는 제1고정도르레(31)와 대향하며, 제2수평기둥(17)의 일측부위에 설치된다. 제4고정도르레(34)는 제2고정도르레(32)와 대향하며, 제3고정도르레(33)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2수평기둥(17)의 타측부위에 설치된다. 제1, 2, 3, 4고정도르레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와이어(35)는 그 일단부위가 제1지지봉(25)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그 타측부위는 제1, 3고정도르레(31, 33)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된다. 제2지지와이어(36)는 그 일단부위가 제2지지봉(26)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그 타측부위는 제2, 4고정도르레(32, 34)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된다.
균형추(37)는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어 공중에 부양한다. 균형추(37)의 중량은 사이클부의 중량 및 이용자의 체중 등을 감안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형추는 그 중량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 4고정도르레(32, 34)와 균형추(37) 사이에 위치하는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길이는, 균형추(37)가 승하강할 때 동일한 길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사이클부는 안정적인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하게 된다.
가동부는 균형추(37)와 함께 사이클부를 승하강시키는 부분으로, 제5고정도르레(41), 제1, 2가동도르레(43, 45), 가동와이어(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5고정도르레(41)는 제1, 2고정도르레(31, 32)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평기둥(16)의 중앙부위에 설치된다. 이때, 제5고정도르레(41)의 작동방향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고정도르레(31, 32) 각각의 작동방향과는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동도르레(43)는 제1지지봉(25)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돌출단(42)에 설치되며, 제2가동도르레(45)는 지지체(21)의 탑튜브(215) 후단부위에 구비되는 제2돌출단(44)에 설치된다. 제1, 2가동도르레(43, 45) 각각은 제1, 2돌출단(42, 44) 각각에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동와이어(44)는 그 일단부위가 제2휠(23)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2, 1가동도르레(45, 43) 및 제5고정도르레(41)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그 타단부위가 제2지지봉(26)의 상측부위에 고정된다.
제2휠(23)이 림만으로 이루어지면, 가동와이어(44)의 타단부위는 림의 내면(231) 일측부위에 고정된다. 또한, 제1, 2가동도르레(43, 45) 사이에서 가동와이어(44)는 도면과 같이 탑튜브(214)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7, 232 각각은 가동와이어(44)의 일단 및 타단 고정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1, 2휠(22, 23)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시트(216)에 착석한다. 시트(216)에 착석한 이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페달(27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페달(271)의 회전력이 제1스프라켓(27) 및 체인(28)을 통해 제2스프라켓(24)으로 전달된다.
회전력이 제2스프라켓(24)에 전달되면, 제2휠(23)이 일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게 되고(실선 참조), 제2휠(23)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동와이어(46)는 제1, 2가동도르레(43, 45) 각각을 통해 당겨지면서(실선 참조) 제2휠(23)의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이용자의 외력이 페달(271)에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가동와이어(46)의 일측부위가 제1, 2가동도르레(43, 45) 각각을 통해 당겨져 제2휠(23)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면, 제1, 2휠(22, 23)은 지면과 떨어지게 되고 이후 이용자는 사이클부와 함께 공중으로 서서히 부양하게 된다(실선 참조).
이때, 사이클부의 중량으로 인해 지면으로부터 일정수직 높이에 위치하던 균형추(37)는 사이클부가 공중으로 부양함에 따라 그 수직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균형추(37)에 작용하는 중력 방향은 수직하방이기 때문에(실선 참조), 이용자는 균형추(37)의 도움으로 인해 보다 수월하게 공중으로 부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만일, 이용자가 핸들바(29)의 브레이크레버(291)를 작동시키면, 미도시된 브레이크에 의해 제2휠(23)의 회전이 중단되고, 이용자와 사이클부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일정수직 높이에서 정지한다. 이는 이용자가 페달(271)을 회전시키지 않고 외력을 가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때도 동일하다.
한편, 제2스프라켓(24)은 회전판(242)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회전판(242)은 제2휠(23)의 회전축(241)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클부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페달(271)이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용자가 페달(27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외력을 가하게 되면, 제2휠(23)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있던 가동와이어(46)가 서서히 풀려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는 사이클부와 함께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점선 참조).
가동와이어(46)가 제2휠(23)로부터 서서히 풀려나가며 이용자가 사이클부와 함께 서서히 하강하면, 일정수직높이로 상승했던 균형추(37) 역시 서서히 하강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점선 참조). 이때, 균형추(37)가 그 중량만큼 가동와이어(46)를 당기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가동와이어(46)의 장력을 배제한 외력만을 페달(271)에 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12 : 제1, 2수직기둥 14 : 연결기둥
16, 17 : 제1, 2수평기둥 21 : 지지체
22, 23 : 제1, 2휠 24, 27 : 제2, 1스프라켓
25, 26 : 제1, 2지지봉 28 : 체인
31, 32 : 제1, 2고정도르레 33, 34 : 제3, 4고정도르레
35, 36 : 제1, 2지지와이어 37 : 균형추
41 : 제5고정도르레 43, 45 : 제1, 2가동도르레
46 : 가동와이어 241 : 회전축
242 : 회전판

Claims (4)

  1.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1수직기둥(11), 상호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1수직기둥(11) 후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각각의 하단부위가 지면에 고정되는 제2수직기둥(12), 상호 대향하는 제1, 2수직기둥(11, 12) 각각의 상단부위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기둥(14),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좌우 연결기둥(14) 각각의 전방부위에 결합되는 제1수평기둥(16), 제1수평기둥(16)과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양단부위 각각이 상호 대향하는 좌우 연결기둥(14) 각각의 후방부위에 결합되는 제2수평기둥(17)이 마련되는 기둥부;
    지지체(21), 지지체(21)의 포크(211)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1휠(22), 제2스프라켓(24)이 구비되어 지지체(21)의 시트스테이(212)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2휠(23), 하단부위는 지지체(21)의 포크(211)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봉(25), 하단부위는 지지체(21)의 시트스테이(212) 하측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일정수직높이로 연장되는 제2지지봉(26), 지지체(21)의 다운튜브(213) 하단부위에 위치하는 제1스프라켓(27), 제1, 2스프라켓(27, 24) 상호간을 연결하는 체인(28)이 마련되는 사이클부;
    제1수평기둥(16)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고정도르레(31), 제1고정도르레(31)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1수평기둥(16)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는 제2고정도르레(32), 제1고정도르레(31)와 대향하며 제2수평기둥(17)의 일측부위에 설치되는 제3고정도르레(33), 제2고정도르레(32)와 대향하며 제3고정도르레(33)와 일정거리 떨어져 제2수평기둥(17)의 타측부위에 설치되는 제4고정도르레(34), 일단부위는 제1지지봉(25)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1, 3고정도르레(31, 33)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1지지와이어(35), 일단부위는 제2지지봉(26)의 상단부위에 고정되고 타측부위는 제2, 4고정도르레(32, 34)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장되는 제2지지와이어(36),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타단부위와 연결되어 공중에 부양하는 균형추(37)가 마련되는 지지부;
    제1, 2고정도르레(31, 32) 사이에 위치하며 제1수평기둥(16)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제5고정도르레(41), 제1지지봉(25)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돌출단(42)에 설치되는 제1가동도르레(43), 지지체(21)의 탑튜브(215) 후단부위에 구비되는 제2돌출단(44)에 설치되는 제2가동도르레(45), 일단부위는 제2휠(23)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2, 1가동도르레(45, 43) 및 제5고정도르레(41) 각각을 순차적으로 거쳐 타단부위가 제2지지봉(26)의 상측부위에 고정되는 가동와이어(44)가 마련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팅 사이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휠(23)은 림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와이어(44)의 일단부위는 림의 외면 일측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와이어(44)는 상기 림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림의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이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4고정도르레(32, 34)와 균형추(37) 사이에 위치하는 제1, 2지지와이어(35, 36) 각각의 길이는 상기 균형추(37)가 승하강할 때 동일한 길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이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휠(23)의 회전축(241)에는 회전판(24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스프라켓(24)은 상기 회전판(242)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이클.
KR1020190103536A 2019-08-23 2019-08-23 리프팅 사이클 KR10203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36A KR102035142B1 (ko) 2019-08-23 2019-08-23 리프팅 사이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36A KR102035142B1 (ko) 2019-08-23 2019-08-23 리프팅 사이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142B1 true KR102035142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36A KR102035142B1 (ko) 2019-08-23 2019-08-23 리프팅 사이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18B1 (ko) 2020-06-19 2020-11-27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트랙 라이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063A (ja) * 1991-10-14 1993-04-20 Jitensha Center パラシユート形遊戯装置
KR100387012B1 (ko) * 1999-11-18 2003-06-11 최영민 균형추를 이용한 부양장치
KR20130017551A (ko) * 2011-08-11 2013-02-20 신옥균 패달식 고공 승 하강장치
JP2014108340A (ja) * 2012-12-03 2014-06-12 Fujika:Kk 津波・洪水などの非常事態からの避難装置
KR101973539B1 (ko) 2018-12-13 2019-04-29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스카이 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063A (ja) * 1991-10-14 1993-04-20 Jitensha Center パラシユート形遊戯装置
KR100387012B1 (ko) * 1999-11-18 2003-06-11 최영민 균형추를 이용한 부양장치
KR20130017551A (ko) * 2011-08-11 2013-02-20 신옥균 패달식 고공 승 하강장치
JP2014108340A (ja) * 2012-12-03 2014-06-12 Fujika:Kk 津波・洪水などの非常事態からの避難装置
KR101973539B1 (ko) 2018-12-13 2019-04-29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스카이 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18B1 (ko) 2020-06-19 2020-11-27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트랙 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929A (en) Low center of gravity cycle
JP6798923B2 (ja) 自転車用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転車用電動補助ユニット
TW201406595A (zh) 輪式載具之懸吊系統
US20100096833A1 (en) Motorcycle wheelie training device
KR102035142B1 (ko) 리프팅 사이클
CN102582737B (zh) 大滚轮娱乐车
JP5213597B2 (ja) 三輪車
US9975600B2 (en) Pedal-propelled transmission mechanism
US9079628B2 (en) Spring assisted jumping bicycle
KR100704886B1 (ko) 스텝구동식 4륜자전거
KR200475512Y1 (ko) 이인승 자전거
US6220614B1 (en) Jumping bike
US20160362156A1 (en) Gravity Propelled Apparatus
KR100908317B1 (ko) 점핑 자전거
CN218853402U (zh) 一种便于进行固定的桌上比赛自行车
CN205113617U (zh) 一种双驱动多功能健身自行车
KR101106760B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
CN105882865B (zh) 仿步运动健身车
CN207450121U (zh) 一种加速与滑行通过后轮变位的代步车
CN203727552U (zh) 一种骑行时车身保持稳定的三轮车
CN106428356A (zh) 并排双人游览自行车
CN202593777U (zh) 手脚双驱无链自行车
KR200363709Y1 (ko) 무핸들 삼륜 자전거
KR100709607B1 (ko) 3륜 자전거
CN202180896U (zh) 一种风火轮式自动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