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55B1 -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55B1
KR102034755B1 KR1020160092832A KR20160092832A KR102034755B1 KR 102034755 B1 KR102034755 B1 KR 102034755B1 KR 1020160092832 A KR1020160092832 A KR 1020160092832A KR 20160092832 A KR20160092832 A KR 20160092832A KR 102034755 B1 KR102034755 B1 KR 10203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ving image
moving picture
reproduc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109A (ko
Inventor
아츠시 오구치
마사히로 기하라
?스케 고바야시
가즈미 도이
Original Assignee
런.엣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런.엣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런.엣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복수 동화상의 동기 재생 상태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동화상 재생 중에 있어서의 어느 한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한다.

Description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VIDEO PLAYBACK PROGRAM, DEVICE, AND METHOD}
개시하는 기술은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동화상 재생 장치 및 동화상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몸을 움직여 행하는 스포츠, 연기 또는 행위 등의 몸을 움직이는 방법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지도를 받는 수강자가 행하는 스포츠, 연기 또는 행위 등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복수의 비디오 화상을 화면상에서 대비하면서 지도한다. 또한, 지도자가 행하는 스포츠, 연기 또는 행위 등을 동일 화면상에서 비교하여, 그 올바른 폼이나 타이밍을 수강자에게 이해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7-144038호 공보
개시하는 기술은, 하나의 측면으로서, 복수 동화상의 동기 재생 상태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하는 기술은, 하나의 양태로서,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동화상 재생 중에 있어서의 어느 한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한다. 그리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한다.
하나의 측면으로서, 복수 동화상의 동기 재생 상태를 공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공유 사용자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이 표시된 동화상 재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공유 리스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송신측 사용자의 동화상 재생 장치와, 동화상 관리 장치와, 수신측 사용자의 동화상 재생 장치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공유 정보 송신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공유 정보 수신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묘화 데이터 기억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동화상 재생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공유 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플레이 리스트 및 공유 정보의 파일 형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플레이 리스트 및 공유 정보의 파일 형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플레이 리스트 및 공유 정보의 파일 형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하는 기술에 관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10)은, 동화상 재생 장치(20)와, 동화상 관리 장치(30)를 포함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와 동화상 관리 장치(3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동화상 관리 장치(30)는, 동화상 재생 장치(20)에의 동화상 데이터의 배신(配信)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31)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동화상 데이터베이스(DB)(3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10초)마다 분할한 분할 파일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순차 배신하는 방식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배신한다. 예컨대, HLS(HTTP Live Streaming)나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s Group-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등과 같은 방식이다. 그 때문에, 동화상 DB(32)에는, 각 동화상 데이터에 관해서, 분할 파일의 재생 순서 등을 기술한 플레이 리스트도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동화상 DB(32)에는, 각 동화상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있어서 사용자가 동화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로그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을 접수한다. 제어부(31)는, 로그인 사용자에의 배신이 허가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플레이 리스트 일람은, 로그인 사용자에게 배신이 허가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플레이 리스트명을 일람으로 한 것으로, 플레이 리스트명 외에, 동화상 데이터의 다른 메타 정보나 섬네일 화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섬네일 화상은,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느 한 프레임 화상으로부터 미리 생성한 것을 동화상 DB(32)에 저장해 두어도 좋고,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송신할 때에 생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0)로부터의 동화상 데이터의 요구를 접수하면, 요구된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DB(32)으로부터 취득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동화상 재생 장치(20)로부터 순차 요구되는 분할 파일을 동화상 DB(32)으로부터 취득하여, 순차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사용자 사이에서 동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정보를 관리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공유 정보에는, 사용자명,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각 플레이 리스트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공유 정보를 등록하는 쪽의 사용자를 「송신측 사용자」라고도 하고,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 관리되고 있는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재생하는 쪽의 사용자를 「수신측 사용자」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1)는, 송신측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동화상 재생 장치(20)로부터 송신된 공유 정보를 접수한다. 제어부(31)는, 동화상 DB(32)에,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공유 정보 테이블(32A)을 유지하고, 접수한 공유 정보를 관리한다. 도 2의 예에서는 각 행이 하나의 공유 정보에 상당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1」 및 「플레이 리스트 2」는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의 각각이다.
또한, 제어부(31)는 송신측 사용자마다 공유 정보를 관리한다. 그래서, 제어부(31)는, 공유 정보를 공유 정보 테이블(32A)에 등록할 때에, 사용자명마다의 공유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를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로서 각 공유 정보에 부여한다.
또한, 동화상 DB(32)에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마다, 그 사용자가 송신측 사용자로서 송신한 공유 정보를, 수신측 사용자로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가 대응되어 있는 공유 사용자 테이블(32B)도 저장된다. 공유 사용자 테이블(32B)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등록시에 미리 등록하여도 좋고, 공유 정보에, 공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포함해 두고서, 제어부(31)에서 공유 정보를 접수했을 때에 등록하여도 좋다.
제어부(31)는,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1)는, 공유 사용자 테이블(32B)을 참조하여, 「수신측 사용자」란으로부터 로그인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송신측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공유 정보 테이블(32A)에, 취득한 사용자명에 대응시켜 관리되고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0)로부터, 공유 리스트의 요구(상세한 것은 후술)를 접수하면,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공유 정보 테이블(32A)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공유 정보를 리스트화한 공유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공유 리스트에는, 적어도 각 공유 정보의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이외에도, 각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명이 나타내는 동화상 데이터의 메타 정보나 섬네일 화상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0)로부터, 공유된 동화상의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요구된 동화상에 관한 공유 정보와, 그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 각각이 나타내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DB(32)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취득한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상세한 것은 후술)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갖춘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동화상 재생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기능한다. 사용자 단말은,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20)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능적으로는 취득부(21)와 표시 제어부(22)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개시하는 기술의 접수부 및 재생 제어부의 일례이다.
취득부(21)는, 로그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를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함으로써,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로그인 사용자에게 배신이 허가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취득하여,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또한, 취득부(21)는, 플레이 리스트 일람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명을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함으로써,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동화상 데이터를 요구하여, 그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21)는,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순차 분할 파일을 요구하여,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분할 파일을 순차 취득한다. 취득부(21)는, 취득한 분할 파일을, 순차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또한, 취득부(21)는, 송신측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공유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취득부(21)는, 수신측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공유된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21)는,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에,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는 취지의 통지를 접수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 제어부(22)에 통지한다. 또한, 취득부(21)는, 표시 제어부(22)로부터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이 선택되었다는 취지가 통지(상세한 것은 후술)되면,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공유 리스트를 요구한다. 또한, 취득부(21)는 요구에 따라서 접수한 공유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또한, 취득부(21)는, 표시 제어부(22)로부터, 공유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공유 정보의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가 통지(상세한 것은 후술)되면,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함으로써, 공유된 동화상을 요구한다. 그리고 취득부(21)는, 요구에 따라서 접수한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순차 분할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한 분할 파일을 공유 정보와 함께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수취하면,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동화상 재생 화면(60)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4의 예에서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화면 중앙에 마련된 동화상 재생 영역(61)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동화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동화상 재생 화면(60) 좌측의 동화상을 좌측 동화상(62L), 우측의 동화상을 우측 동화상(62R)이라고 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동화상이 아직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화상 재생 영역(61)에는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은 표시되지 않는다.
표시 제어부(22)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재생하는 좌측 동화상(62L)을 선택하기 위한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과, 재생하는 우측 동화상(62R)을 선택하기 위한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을 표시한다. 도 4에서는, 각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 63R)으로서, 각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동화상의 섬네일 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22)는, 스크롤 등에 의해 모든 섬네일 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각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 63R)을 표시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일람의 표시 형태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섬네일 화상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레이 리스트 일람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명을 일람으로 표시하여도 좋고, 플레이 리스트명을 섬네일 화상과 함께 표시하여도 좋다.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 일람에 다른 메타 정보도 포함되는 경우는, 이들 메타 정보도 함께 표시하여도 좋다.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 및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 각각에 대한 더블 클릭이나 더블 탭 등의 조작에 의해 섬네일 화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섬네일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2)는, 강조 표시로서는, 예컨대, 프레임선을 굵게 하거나,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휘도를 높게 하는 등의 표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명과,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명을 취득부(21)에 통지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분할 파일을 수취하면,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을 좌측 동화상(62L)으로서 동화상 재생 영역(61)에 표시한다. 또한,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을 우측 동화상(62R)으로서 동화상 재생 영역(61)에 표시한다.
여기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의한 동화상의 스트리밍 재생의 일반적인 수법에서는, 동화상이 재생되는 영역의 위치나 사이즈는 미리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에,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의 제어 정보를 갖게 하고, 표시 제어부(22)는, 이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을, 동화상 재생 영역(61)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사이즈로 배치한다. 제어 정보인 표시 사이즈는, 예컨대,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폭 및 높이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제어 정보인 표시 위치는,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임의의 한 점(예컨대, 왼쪽 상측 코너)의 x 좌표 및 y 좌표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또한, x 좌표 및 y 좌표는, 동화상 재생 영역(61)의 왼쪽 상측 코너를 원점으로 하여, 오른쪽 방향이 x축의 플러스 방향, 아래쪽 방향이 y축의 플러스 방향이 되는 좌표계를 설정한 경우의 좌표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화상의 표시 위치나 표시 사이즈를 임의로 배치하는 것은,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간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큰 틀의 워크 프레임이 아니라, 미세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워크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동화상을 표시하는 워크 프레임, 터치 등의 조작을 검출하는 워크 프레임 등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동화상을 표시하는 워크 프레임으로서는, 예컨대, iOS(등록상표)에 있어서의 오디오 관련 워크 프레임인 AV Foundation의 AV Player, AV Player Item의 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좌측 동화상(62L)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좌측 동화상용의 조작 버튼군(64L)과, 우측 동화상(62R)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우측 동화상용의 조작 버튼군(64R)을 표시한다. 추가로,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의 재생과 우측 동화상(62R)의 재생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공통 조작 버튼군(64C)을 표시한다. 각 조작 버튼군(64L, 64C, 64R)의 각각은, 조작 버튼으로서, 예컨대, 퀵-리턴(quick return) 버튼, 재생 버튼, 일시정지 버튼, 빨리감기 버튼, 이전 트랙(Previous Track) 버튼, 슬로우 재생 버튼, 다음 트랙(Next Track) 버튼 등을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용 조작 버튼군(64L)의 조작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된 버튼 및 조작량에 기초하여, 좌측 동화상(62L)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우측 동화상용 조작 버튼군(64R)의 조작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된 버튼 및 조작량에 기초하여, 우측 동화상(62R)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공통 조작 버튼군(64C)의 조작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된 버튼 및 조작량에 기초하여,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양쪽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좌측 동화상(62L) 재생 중의 어느 한 타이밍을 지정하기 위한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22)는, 우측 동화상(62R) 재생 중의 어느 한 타이밍을 지정하기 위한 우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R)을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이 선택된 타이밍을 좌측 동화상(62L)의 동기 포인트로서 접수하고, 우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R)이 선택된 타이밍을 우측 동화상(62R)의 동기 포인트로서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22)는, 각 동화상(62L, 62R)의 재생 중에, 각 동기 포인트 버튼(65L, 65R)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는 각 동화상(62L, 62R)의 트랙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동기 포인트로서 취득하여 유지한다. 트랙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동화상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나, 각 프레임에 부여된 프레임 번호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랙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 또는 우측 동화상(62R)의 동기 포인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재차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 또는 좌측 동화상(62L)의 동기 포인트 버튼(65R)이 선택되면, 유지하고 있는 동기 포인트의 정보를 파기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양쪽 동화상(62L, 62R)의 동기 포인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조작 버튼군(64L, 64R, 64C)에 포함되는 재생 버튼이 선택되면, 동기 포인트를 기점으로 하여 양쪽 동화상(62L, 62R)을 동기시켜 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22)는, 양쪽 동화상(62L, 62R)을 동기 포인트가 나타내는 트랙 화상, 또는 동기 포인트가 나타내는 타이밍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의 타이밍에 대응하는 트랙 화상에서부터 양쪽 동화상(62L, 62R)의 재생을 동시에 시작한다. 즉, 동기 포인트가 나타내는 양쪽 동화상(62L, 62R)의 트랙 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일치시키도록 양쪽 동화상(62L, 62R)을 재생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각 동기 포인트 버튼(65L, 65R)이 선택된 경우뿐만 아니라, 이하의 경우에도 양쪽 동화상(62L, 62R)의 동기 포인트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좌측 동화상(62L)을 원하는 타이밍에 일시 정지하고, 그 일시 정지한 트랙 화상과 타이밍을 맞추고 싶은 우측 동화상(62R)의 트랙 화상을 다음 트랙 등으로 탐색하여 표시하게 한 상태에서, 공통 조작 버튼군(64C)의 재생 버튼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원하는 트랙 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일치시킨 동기 재생이 실현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는, 공통 조작 버튼군(64C)의 재생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는 각 동화상(62L, 62R)의 트랙 화상의 타임스탬프를 동기 포인트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공유 버튼(71)을 표시한다. 공유 버튼(71)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는, 재생 중인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플레이 리스트명을 플레이 리스트 일람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는,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명 및 유지하고 있는 각 동화상(62L, 62R)의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에, 로그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를 부가하고, 이것을 공유 정보로서 취득부(21)에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동화상(62L)의 플레이 리스트가 플레이 리스트 1로서, 우측 동화상(62R)의 플레이 리스트가 플레이 리스트 2로서, 전술한 동화상 DB(32)의 공유 정보 테이블(32A)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단, 각 동화상(62L, 62R)의 표시 위치나 표시 사이즈의 정보도 공유 정보에 포함시켜 놓으면, 플레이 리스트 1 또는 플레이 리스트 2가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특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는 취지의 통지가 이루어지면,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동화상 재생 화면(60)에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을 표시한다.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는 그 취지를 취득부(21)에 통지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공유 리스트를 수취하면,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공유 리스트 화면(80)을 표시한다. 공유 리스트 화면(80)은, 동화상 재생 화면(60)으로부터 전환하여 표시하여도 좋고, 동화상 재생 화면(60)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도 6의 예에서는, 공유 리스트 화면(80)은 공유 리스트(81)와 선택 버튼(82)을 포함한다. 공유 리스트(81)는, 각 행이 하나의 공유 정보에 대응하고 있고, 각 행이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공유 리스트(81)의 각 행은 적어도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와 연결되어 있고, 공유 리스트(81)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이 선택됨으로써, 그 행에 연결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로 특정되는 공유 정보가 선택되게 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공유 리스트(81)에 포함되는 항목은, 사용자명, 플레이 리스트 1 및 플레이 리스트 2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취득된 공유 리스트에, 각 플레이 리스트명이 나타내는 동화상 데이터의 메타 정보나 섬네일 화상 등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도 좋다.
공유 리스트(8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행이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 버튼(82)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는, 공유 리스트(81)에 있어서 선택된 행에 연결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취득부(21)에 통지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공유 리스트 화면(80)을 닫고, 동화상 재생 화면(60)으로 표시를 되돌린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분할 파일과 함께 공유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할 때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에 따라서 제어한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22)가 도 2에 도시하는 공유 정보 테이블(32A)의 1번째 줄의 공유 정보를 수취했다고 하자.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으로서 플레이 리스트 1에 따라서 취득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하고, 우측 동화상(62R)으로서 플레이 리스트 2에 따라서 취득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한다. 이 때,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의 타임스탬프 t1의 타이밍과, 우측 동화상(62R)의 타임스탬프 t2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좌측 동화상(62L)과 우측 동화상(62R)을 동기 재생한다. 즉,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의 타임스탬프 t1로 특정되는 트랙 화상과, 우측 화상(62R)의 타임스탬프 t2로 특정되는 트랙 화상이 동일한 타이밍에 표시되도록 양쪽 동화상(62L, 62R)의 재생 타이밍을 제어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컴퓨터(40)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40)는 CPU(41),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의 메모리(42) 및 불휘발성의 기억부(43)를 갖춘다. 또한, 컴퓨터(40)는,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 등의 입출력 장치(48)가 접속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F)(44)를 갖춘다. 또한, 컴퓨터(40)는, 기록 매체(49)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과 기록을 제어하는 read/write(R/W)부(45)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I/F(46)를 구비한다. CPU(41), 메모리(42), 기억부(43), 입출력 I/F(44), R/W부(45) 및 네트워크 I/F(46)는 버스(47)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부(43)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기억 매체로서의 기억부(43)에는, 컴퓨터(40)를 동화상 재생 장치(2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이 기억된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은 취득 프로세스(51)와 표시 제어 프로세스(52)를 갖는다.
CPU(41)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을 기억부(43)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42)에 전개하여,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이 갖는 프로세스를 순차 실행한다. CPU(41)는, 취득 프로세스(51)를 실행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하는 취득부(21)로서 동작한다. 또한, CPU(41)는, 표시 제어 프로세스(52)를 실행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제어부(22)로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을 실행한 컴퓨터(40)가 동화상 재생 장치(20)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예컨대 반도체 집적 회로, 보다 자세히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있어서, 사용자가 동화상 재생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취득부(21)가 로그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를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한다.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접수하면, 제어부(31)가 로그인 사용자로의 배신이 허가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에서는, 취득부(21)가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동화상 재생 화면(60)(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은 미표시)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 및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 각각으로부터 섬네일 화상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가 선택된 섬네일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가, 좌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L)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명과, 우측 동화상용의 플레이 리스트 일람(63R)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명을 취득부(21)에 통지한다. 그리고, 취득부(21)가, 통지된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을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명을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함으로써,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동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는, 제어부(31)가, 요구된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DB(32)으로부터 취득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에서는, 취득부(21)가,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순차 분할 파일을 요구한다.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는, 제어부(31)가, 요구된 분할 파일을 동화상 DB(32)로부터 취득하여, 순차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송신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에서는, 취득부(21)가 취득한 분할 파일을 순차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는, 취득부(21)로부터 분할 파일을 수취하면, 동화상 재생 영역(61)에 있어서,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을 재생한다.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는,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이 갖는 제어 정보에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가, 각 조작 버튼군(64L, 64C, 64R)의 조작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재생을 제어한다.
그리고, 좌측 동화상(62L)의 재생 중에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이 선택되거나, 또는 우측 동화상(62R)의 재생 중에 우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R)이 선택되면,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가 실행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 단계 S11에서, 표시 제어부(22)가, 선택된 동기 포인트 버튼(65L 또는 65R)에 대응하는 동화상(62L 또는 62R)에 관한 동기 포인트를,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동기 포인트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2로 이행하여, 표시 제어부(22)가, 유지하고 있는 동기 포인트의 정보를 파기하고,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동기 포인트를 유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3으로 이행한다.
단계 S13에서는,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이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22)가, 좌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는 좌측 동화상(62L)의 트랙 화상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우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L)이 선택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22)가, 우측 동화상용의 동기 포인트 버튼(65R)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는 우측 동화상(62R)의 트랙 화상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는, 취득한 타임스탬프의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는 종료한다.
상기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에 의해, 양쪽 동화상(62L, 62R)의 동기 포인트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조작 버튼군(64L, 64R, 64C)에 포함되는 재생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가, 양쪽 동화상(62L, 62R)의 동기 포인트를 기점으로 하여, 양쪽 동화상(62L, 62R)을 동기시켜 재생한다.
이어서, 사용자 사이에서 동화상의 동기 포인트를 공유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송신측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화상 재생 장치(20A)와, 동화상 관리 장치(30)와, 수신측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화상 재생 장치(20B)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 후에,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20A)와 동화상 재생 장치(20B)는, 공유 정보를 송신할 때와, 공유 정보를 이용할 때의 행동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구별한 것이며, 장치 구성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동화상 재생 장치(20A)와, 동화상 관리 장치(30)와, 동화상 재생 장치(20B)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를 도시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0A)에 있어서 동기 포인트 접수 처리(도 8)가 실행된다(S10). 그리고, 동화상 재생 화면(60)에서 공유 버튼(71)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는, 공유 정보를 작성하여(S30),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한다(S34).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는 접수한 공유 정보를 관리한다(S40).
그리고,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함으로써, 동화상 재생 장치(20B)로부터 로그인 사용자의 사용자명이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된다(S71). 동화상 관리 장치(30)는, 그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통지한다(S72). 이 통지를 받아, 동화상 재생 장치(20B)로부터 공유 리스트가 요구되면(S63),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공유 리스트가 송신된다(S54). 그리고,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서 동화상 관리 장치(30)로, 공유된 동화상이 요구된다(S66). 동화상 관리 장치(30)는, 요구된 동화상에 관한 공유 정보 및 그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명이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송신한다(S56).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서는, 취득한 공유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명, 각 플레이 리스트명 및 각 플레이 리스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20B)는,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대하여, 취득한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분할 파일을 순차 요구한다(S68). 동화상 관리 장치(30)는, 요구에 따라서, 분할 파일을 순차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송신한다(S73).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서는, 순차 취득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각 플레이 리스트의 타임스탬프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동기 재생한다(S69).
이하, 동화상 재생 장치(20A), 동화상 관리 장치(30) 및 동화상 재생 장치(20B) 각각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처리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같은 처리가 되는 단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우선, 동화상 재생 장치(20A)에서는, 동화상 재생 화면(60)에 표시된 공유 버튼(71)이 선택되면, 도 10에 도시하는 공유 정보 송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31에서, 표시 제어부(22)가,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좌측 동화상(62L)에 관한 동기 포인트와 우측 동화상(62R)에 관한 동기 포인트 양쪽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양쪽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32로 이행하고, 적어도 한쪽의 동화상에 관한 동기 포인트를 유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유 정보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단계 S32에서는, 표시 제어부(22)가, 취득부(21)로부터 수취한 플레이 리스트 일람으로부터, 재생 중인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플레이 리스트명을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33에서, 표시 제어부(22)가,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으로부터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34에서, 표시 제어부(22)가, 취득한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 및 타임스탬프의 정보에, 로그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명)를 부가하여, 이것을 공유 정보로서 취득부(21)에 전달한다. 그리고 취득부(21)가, 공유 정보를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하고, 공유 정보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이어서,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20A)로부터 송신된 공유 정보를 접수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공유 정보 수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41에서, 제어부(31)가, 접수한 공유 정보에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부여한다. 이어서 단계 S42에서, 제어부(31)가,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부여한 공유 정보를, 동화상 DB(32)의 공유 정보 테이블(32A)에 저장하고, 공유 정보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있어서 사용자가 로그인함으로써 동화상 재생 장치(20B)로부터 송신된 사용자명을 동화상 관리 장치(30)에서 접수한 경우에는,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하는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51에서, 제어부(31)가, 동화상 DB(32)의 공유 사용자 테이블(32B) 및 공유 정보 테이블(32A)을 참조하여,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2로 이행하여,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는 취지를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통지한다. 한편,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이어서, 단계 S53에서, 제어부(31)가, 동화상 재생 장치(20B)로부터의 공유 리스트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공유 리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4로 이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54에서는, 제어부(31)가,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공유 정보 테이블(32A)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공유 정보를 리스트화한 공유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송신한다.
이어서, 단계 S55에서, 제어부(31)가, 동화상 재생 장치(20B)로부터, 공유된 동화상의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공유된 동화상의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6으로 이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56에서는, 제어부(331)가, 요구된 동화상에 관한 공유 정보와, 그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 각각이 나타내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DB(332)으로부터 취득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20B)에 송신한다.
이어서, 단계 S57에서, 제어부(331)가, 동화상 재생 장치(320B)로부터, 분할 파일의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분할 파일의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8로 이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58에서는, 제어부(331)가, 요구된 분할 파일을, 동화상 DB(332)로부터 취득하여, 순차 동화상 재생 장치(320B)에 송신하고,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는 취지가 통지되면, 동화상 재생 장치(20B)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61에서, 취득부(21)가,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존재한다는 취지를 표시 제어부(22)에 통지하고, 이 통지를 받아, 표시 제어부(22)가, 동화상 재생 화면(60)에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을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 S62에서, 표시 제어부(22)가,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이 선택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63으로 이행하고,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63에서는, 표시 제어부(22)가, 공유 리스트 표시 버튼(72)이 선택되었음을 취득부(21)에 통지하고, 이 통지를 받아, 취득부(21)가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공유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어서, 단계 S64에서, 취득부(21)가, 요구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송신된 공유 리스트를 취득하여,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공유 리스트 화면(80)을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 S65에서, 표시 제어부(22)가, 공유 리스트 화면(80)의 공유 리스트(8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행이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 버튼(82)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공유 정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공유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66으로 이행하고,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66에서는, 표시 제어부(22)가, 공유 리스트(81)에 있어서 선택된 행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명 및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취득부(21)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아, 취득부(21)는,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공유된 동화상을 요구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는, 공유 리스트 화면(80)을 닫고, 동화상 재생 화면(60)으로 표시를 되돌린다.
이어서, 단계 S67에서, 취득부(21)가, 요구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송신된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68에서, 취득부(21)가,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동화상 관리 장치(30)로부터 순차 분할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한 분할 파일을 상기 단계 S67에서 취득한 공유 정보와 함께 표시 제어부(22)에 전달한다.
이어서, 단계 S69에서, 표시 제어부(22)가, 취득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한다. 이 때에, 표시 제어부(22)는, 2개의 동화상(62L, 62R)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기점으로 동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10)에 의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20)가, 좌측 동화상과 우측 동화상을 동기 재생시키는 기점이 되는 동기 포인트를 접수하여,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송신한다. 그리고, 동화상 관리 장치(30)에 있어서, 이 동기 포인트를 공유 정보로서 관리한다. 그리고, 공유된 동화상을 재생할 때는, 동화상 재생 장치(20)에 있어서,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공유 정보도 취득하여, 공유 정보가 나타내는 동기 포인트를 기점으로 양쪽 동화상을 동기 재생한다. 이에 따라, 어떤 사용자가 복수의 동화상을 비교했을 때의 각 동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다른 사용자도 공유하여, 동일한 타이밍에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동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사용자 사이에서 공유한다. 따라서, 동기시킨 상태의 동화상을, 편집 툴 등을 사용하여, 비교 대상이 되는 복수의 동화상과는 별도로 새롭게 작성하여 기억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동화상 DB(32)에 기억되는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동기 재생하는 동화상에 대하여 입력된 묘화 데이터도 공유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10)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210)은 동화상 재생 장치(220)와 동화상 관리 장치(230)를 포함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20)와 동화상 관리 장치(23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동화상 관리 장치(23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화상 재생 장치(220)에의 동화상 데이터의 배신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31)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동화상 DB(232)를 포함한다.
제어부(231)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사이에서 동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정보를 관리한다. 제어부(231)는, 또한, 각 동화상(62L, 62R)에 대하여 입력된 묘화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에 관한 공유 정보도 관리한다. 도 14에 동화상 DB(232)에 저장되는 공유 정보 테이블(232A)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테이블(32A)의 각 항목에 더하여, 좌측 동화상(62L) 상에 묘화된 묘화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 1」, 우측 동화상(62R) 상에 묘화된 묘화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 2」의 항목을 포함한다. 묘화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예컨대, 묘화 데이터의 저장처의 패스로 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정보 테이블(232A)은, 각 묘화 데이터가 나타내는 묘화를 표시하는 기간의 시작 타이밍과 종료 타이밍을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 1의 표시 기간」 및 「묘화 데이터 2의 표시 기간」의 항목을 포함한다.
제어부(2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20)로부터 송신된 공유 정보 및 묘화 데이터를 접수하면, 묘화 데이터를 동화상 DB(2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31)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유 정보에 사용자별 공유 정보 번호를 부여하여, 공유 정보 테이블(232A)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31)는, 공유 정보와 함께 접수한 묘화 데이터의 식별 정보(예컨대, 저장처의 패스)를, 공유 정보 테이블(232A)의 「묘화 데이터 1」 및 「묘화 데이터 2」에 등록한다.
또한, 제어부(231)는, 동화상 재생 장치(220)로부터, 묘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된 동화상이 요구된 경우에는,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묘화 데이터 1」 및 「묘화 데이터 2」로 특정되는 묘화 데이터를 동화상 DB(23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231)는, 취득한 묘화 데이터를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동화상 재생 장치(220)에 송신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20)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능적으로는 취득부(221)와 표시 제어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개시하는 기술의 접수부 및 재생 제어부의 일례이다.
취득부(22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득부(21)와 대략 같은 식이지만, 아울러, 동화상 관리 장치(230)에 공유 정보를 송신할 때에, 후술하는 묘화 데이터도 함께 송신한다. 또한, 취득부(221)는, 묘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된 동화상을 동화상 관리 장치(230)에 요구한 경우에는, 동화상 관리 장치(230)로부터,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묘화 데이터도 취득하여, 공유 정보 및 묘화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22)에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222)는, 취득부(221)로부터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수취하면, 예컨대,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동화상 재생 화면(260)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동화상 재생 화면(26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화면(60)의 각 구성에 더하여, 묘화 툴 버튼(66), 좌측 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및 우측 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R)을 포함한다. 묘화 툴 버튼(66)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2)는, 도형이나 문자 등의 묘화를 하기 위한 묘화 툴(도시 생략)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묘화 툴을 이용하여,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에 대하여 도형이나 문자 등을 입력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좌측 동화상(62L) 상에 입력된 도형이나 문자 등의 묘화(67L), 우측 동화상(62R) 상에 입력된 묘화(67R) 각각을 접수하여, 각 동화상(62L, 62R)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치를 갖는 묘화 데이터로서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각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68R)은, 각 동화상(62L, 62R) 상에 묘화(67L, 67R)를 중첩 표시하는 기간의 지정을 접수하기 위한 것이다. 묘화(67L)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 동화상(62L)의 재생 중에, 좌측 동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이 선택된다고 하자.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2)는, 좌측 동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이 선택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묘화(67L)의 중첩 표시의 시작 타이밍으로서 취득한다. 또한, 재차 좌측 동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222)는, 좌측 동화상용의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이 선택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묘화(67L)의 중첩 표시의 종료 타이밍으로서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222)는, 묘화(67R)에 관해서도,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R)이 선택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묘화(67R)의 중첩 표시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 각각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222)는, 취득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된 묘화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묘화(67L, 67R)의 표시 기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은, 상기 방법에 의해 취득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동화상을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묘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때에 표시되고 있는 트랙 화상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를, 시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로서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동화상 재생 중에 묘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묘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표시되고 있는 트랙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타임스탬프를,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 각각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로서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공유 버튼(71)이 선택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의 플레이 리스트명과,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와, 로그인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부가한 공유 정보를 작성한다. 추가로 표시 제어부(22)는, 이 공유 정보에, 각 동화상(62L, 62R)에 대한 묘화(67L, 67R)의 표시 기간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더한다. 표시 제어부(22)는 작성한 공유 정보를 묘화 데이터와 함께 취득부(221)에 전달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취득부(221)로부터, 분할 파일과 함께 공유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할 때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동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에 따라서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공유 정보와 함께 묘화 데이터도 수취한 경우에는, 수취한 묘화 데이터가 나타내는 묘화(67L, 67R)를,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묘화 데이터의 표시 기간의 정보에 따른 타이밍에, 각 동화상(62L, 62R)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222)가, 도 14에 도시하는 공유 정보 테이블(232A)의 1번째 줄의 공유 정보를 수취했다고 하자.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2)는, 좌측 동화상(62L)으로서, 플레이 리스트 1에 따라서 취득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하고, 우측 동화상(62R)으로서, 플레이 리스트 2에 따라서 취득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한다. 이 때, 표시 제어부(222)는, 좌측 동화상(62L)의 타임스탬프 t1의 타이밍과, 우측 동화상(62R)의 타임스탬프 t2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좌측 동화상(62L)과 우측 동화상(62R)을 동기 재생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좌측 동화상(62L)의 타임스탬프 t3~t4의 기간, 묘화 데이터 「AAA.gif」가 나타내는 묘화(67L)를, 좌측 동화상(62L) 상에 중첩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22)는, 우측 동화상(62R)의 타임스탬프 t5~t6의 기간, 묘화 데이터 「BBB.gif」가 나타내는 묘화(67R)를, 좌측 동화상(62L) 상에 중첩 표시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22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컴퓨터(40)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40)의 기억부(43)에는, 컴퓨터(40)를 동화상 재생 장치(22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이 기억된다.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은 취득 프로세스(251)와 표시 제어 프로세스(252)를 갖는다.
CPU(41)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을 기억부(43)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42)에 전개하여,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이 갖는 프로세스를 순차 실행한다. CPU(41)는, 취득 프로세스(251)를 실행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하는 취득부(221)로서 동작한다. 또한, CPU(41)는, 표시 제어 프로세스(252)를 실행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제어부(222)로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을 실행한 컴퓨터(40)가 동화상 재생 장치(220)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25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예컨대 반도체 집적 회로, 보다 자세히는 ASIC 등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210)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묘화 데이터에 관한 처리가 행해진다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묘화 데이터에 관한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화상 재생 화면(260)에 표시된 묘화 툴 버튼(66)이 선택되면, 동화상 재생 장치(220)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하는 묘화 데이터 기억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81에서, 표시 제어부(222)가, 도형이나 문자 등의 묘화를 하기 위한 묘화 툴을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 S82에서, 사용자가 묘화 툴을 이용하여,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각각에 대하여 입력한 도형이나 문자 등의 묘화(67L, 67R)를 접수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2)는, 접수한 묘화(67L, 67R) 각각을, 각 동화상(62L, 62R)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치를 갖는 묘화 데이터로서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83에서, 표시 제어부(222)가, 어느 한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68R)이 선택됨으로써, 묘화(67L 또는 67R)의 중첩 표시의 시작 타이밍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시작 타이밍이 지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84로 이행하고,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84에서는, 표시 제어부(222)가, 어느 한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또는 68R)이 선택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2)는, 취득한 타임스탬프의 정보를, 묘화(67L 또는 67R)의 중첩 표시의 시작 타이밍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된 묘화(67L 또는 67R)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85에서, 표시 제어부(222)가, 상기 단계 S83에서 선택된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또는 68R)이 재차 선택됨으로써, 묘화(67L 또는 67R)의 중첩 표시의 종료 타이밍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종료 타이밍이 지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86으로 이행하고,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단계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 S86에서는, 표시 제어부(222)가, 표시 기간 지정 버튼(68L 또는 68R)이 선택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22)는, 취득한 타임스탬프의 정보를, 묘화(67L 또는 67R)의 중첩 표시의 종료 타이밍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에 기억된 묘화(67L 또는 67R)를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리고, 묘화 데이터 기억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220)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송신 처리(도 10)와 대략 같은 공유 정보 송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송신 처리에서는, 단계 S33에서, 표시 제어부(222)가, 미리 정해진 영역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묘화 데이터, 그리고 그 묘화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된, 시작 및 종료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의 정보도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34에서는, 표시 제어부(222)가, 취득한 2개의 플레이 리스트명, 동기 포인트의 정보 및 묘화 데이터의 표시 시작 및 종료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의 정보에, 로그인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부가하여 공유 정보를 작성한다.
또한, 동화상 관리 장치(2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수신 처리(도 11)와 대략 같은 공유 정보 수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정보 수신 처리에서는, 단계 S42에서, 제어부(231)가, 공유 정보와 함께 접수한 묘화 데이터의 식별 정보(예컨대 저장처의 패스)를, 공유 정보 테이블(232A)의「묘화 데이터 1」 및 「묘화 데이터 2」에 등록한다.
또한, 동화상 관리 장치(2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도 12)와 대략 같은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가 실행된다. 단,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동화상 송신 처리에서는, 단계 S55에서, 동화상 재생 장치(220)로부터, 묘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된 동화상이 요구된 경우에는, 단계 S56에서, 제어부(231)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31)는, 공유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묘화 데이터 1」 및 「묘화 데이터 2」로 특정되는 묘화 데이터를 동화상 DB(232)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231)는, 취득한 묘화 데이터를, 공유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동화상 재생 장치(220)에 송신한다.
또한, 동화상 관리 장치(2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도 13)와 대략 같은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가 실행된다. 단,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유 동화상 재생 처리에서는, 단계 S67에서, 플레이 리스트 및 공유 정보와 함께 묘화 데이터도 취득한 경우에는, 단계 S69에서, 표시 제어부(222)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 제어부(222)는,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을 순차 재생할 때의 재생 타이밍을,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 1 및 2의 타임스탬프에 따라서 제어한다. 추가로, 표시 제어부(222)는, 수취한 묘화 데이터가 나타내는 묘화(67L, 67R)를, 공유 정보에 포함되는 묘화 데이터의 표시 기간의 정보에 따른 타이밍에, 각 동화상(62L, 62R)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시스템(210)에 의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220)가, 동화상에 대하여 입력된 묘화 및 그 묘화의 표시 기간의 지정을 접수한다. 그리고, 입력된 묘화의 식별 정보 및 묘화의 표시 기간도 공유 정보에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어떤 사용자가 복수의 동화상을 비교할 때에 동화상에 대하여 행한 묘화를, 다른 사용자도 공유하여, 어떤 사용자가 지정한 타이밍에 동화상 상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에 대하여 행해진 묘화를 사용자 사이에서 공유하기 위해서, 묘화가 이루어진 동화상을, 편집 툴 등을 사용하여 새롭게 작성하여 기억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화상 DB(232)에 기억되는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 양쪽에 대하여 묘화가 이루어진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묘화는 양쪽 동화상(62L, 62R)에 행해질 필요는 없고, 어느 한 동화상에 대하여만 이루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좌측 동화상(62L) 및 우측 동화상(62R)으로서 동일한 플레이 리스트를 선택하여, 한쪽의 동화상에 대하여만 묘화를 행하고, 묘화 있는 동화상과 묘화 없는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여, 양쪽 동화상을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묘화의 공유는, 단일로 재생되고 있는 동화상에 대한 묘화에 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동화상 재생 영역(61)에서 하나의 동화상(62)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그 동화상(62)에 대하여 행해진 묘화(67)를,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동화상 관리 장치에서 관리되는 공유 정보 테이블(332A)의 일례를 도 18에 도시한다. 수신측 사용자의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 공유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순차 취득된 분할 파일이 나타내는 동화상(62)이 순차 재생된다. 그리고, 동화상(62)의 타임스탬프 t3~t4의 기간에, 묘화 데이터 「AAA.gif」가 나타내는 묘화(67)가, 동화상(62)에 중첩 표시된다. 따라서, 송신측 사용자에 의해 묘화가 이루어진 동화상을, 수신측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재생하는 수신측 사용자의 동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송신되는 플레이 리스트 및 공유 정보의 형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레이 리스트는, 예컨대, HLS에 있어서의 m3u8 형식과 같은 미리 정한 규약에 따른 파일로 하고, 공유 정보는 별도 작성한 파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레이 리스트 각각에 공유 정보를 부가한 형식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자신의 플레이 리스트가 나타내는 동화상과 동기 재생되는 동화상을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는 정보를 공유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동기 재생되는 2개의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와 공유 정보를 하나로 통합한 파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동화상 관리장치에 있어서 각 데이터를 관리할 때도, 도 19~도 21에 도시하는 형식으로 동화상 DB에 저장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분할한 분할 파일을,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순차 취득하여 재생하는 경우, 즉 복수의 세그멘트로 분할되어 관리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MPEG4와 같이, 각 세그멘트가 개개의 파일로서 관리되고 있는 동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유 정보에는, 플레이 리스트명 대신에, 각 파일의 파일명을 포함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동화상을 비교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개시하는 기술은 3개 이상의 동화상을 비교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에 있어서 야구의 동화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대상이 되는 동화상은 테니스나 골프 등의 다른 스포츠 동화상이라도 좋고, 스포츠 이외의 동화상이라도 좋다.
또한, 위에서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50, 250)이 기억부(43)에 미리 기억(인스톨)되어 있는 양태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하는 기술에 따른 프로그램은 CD-ROM, DVD-ROM, USB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컴퓨터에,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동화상의 재생 중에 버튼의 입력을 접수한 타이밍을 기억해 두고,
    상기 복수의 동화상의 데이터를 동기시켜 재생할 때에, 기억된 상기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해서, 동화상의 표시 영역 내에 문자 또는 도형의 입력을 접수하고,
    접수된 상기 문자 또는 상기 도형을 중첩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4. 컴퓨터에,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5.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6.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7. 컴퓨터에,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8. 컴퓨터에,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9.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을 재생할 때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마련된 지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동화상 재생 영역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각각에 관한, 지정된 재생 타이밍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이 요구된 경우, 요구된 상기 동화상 재생의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로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 또는 이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에 대하여, 정보를 추기하는 추기 입력부와,
    추기된 상기 정보를 화상 형식으로 기억하는 추기 정보 기억부와,
    화상 형식으로 기억된 상기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를 동화상 데이터에 중첩시켜 표시할 때의 표시 타이밍을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부가하는 정보 부가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제어 시스템.
  11. 컴퓨터에,
    동화상 재생 화면에 마련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동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의 각각에 관한 재생의 타이밍의 지정을 접수하고,
    재생 지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동화상 각각에 관해서 지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KR1020160092832A 2015-07-22 2016-07-21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10203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5347A JP6705625B2 (ja) 2015-07-22 2015-07-22 動画再生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JP-P-2015-145347 2015-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109A KR20170012109A (ko) 2017-02-02
KR102034755B1 true KR102034755B1 (ko) 2019-10-22

Family

ID=5783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32A KR102034755B1 (ko) 2015-07-22 2016-07-21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6259B2 (ko)
JP (1) JP6705625B2 (ko)
KR (1) KR102034755B1 (ko)
TW (1) TWI625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7869A1 (en) * 2012-08-30 2014-03-06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association and history tracking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JP6519374B2 (ja) * 2015-07-22 2019-05-29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再生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6760718B2 (ja) * 2015-07-22 2020-09-23 Run.Edge株式会社 動画再生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US10861200B1 (en) * 2018-10-03 2020-12-08 Luceo Sport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agrams
EP4369339A1 (en) * 2022-11-08 2024-05-15 Loc & Capture S.L. A video player and a quality control method for video cre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0910B2 (en) 1993-08-10 1998-05-07 Katayama, Midori Method for teaching the body gesture
JPH11187348A (ja) * 1997-12-22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1186471A (ja) * 1999-12-27 2001-07-06 Hisaya Sato 映像比較装置及び映像比較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548565B2 (en) * 2000-07-24 2009-06-16 Vma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metadata generation, delivery and access for live broadcast program
JP4516682B2 (ja) * 2000-10-06 2010-08-04 富士通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
US6920613B2 (en) * 2001-08-27 2005-07-19 Xerox Corporation Video/text bi-directional linkage for software fault clearance applications
JP4287231B2 (ja) * 2003-09-30 2009-07-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情報編集システム
JP4436301B2 (ja) * 2005-09-01 2010-03-2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メディア用ネットワークプレーヤ、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03781B2 (en) * 2006-08-04 2018-06-19 Gula Consulting Limited Liability Company Displaying tags associated with items in a video playback
US8656282B2 (en) * 2007-01-31 2014-02-18 Fall Front Wireless Ny, Llc Authoring tool for providing tags associated with items in a video playback
WO2009046324A2 (en) * 2007-10-05 2009-04-09 Flickbitz Corporation Online search, storage, manipulation, and delivery of video content
US8285121B2 (en) * 2007-10-07 2012-10-09 Fall Front Wireless Ny, Llc Digital network-based video tagging system
JP2009140565A (ja) * 2007-12-06 2009-06-25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82989B2 (ja) * 2007-12-10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86548B2 (en) * 2009-07-20 2015-11-17 Disney Enterprises, Inc. Play sequence visualization and analysis
JP5869796B2 (ja) * 2011-08-03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004475B2 (ja) 2012-10-19 2016-10-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28386B2 (ja) * 2013-03-22 2016-06-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27215B2 (en) * 2013-11-11 2017-08-08 Htc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multimedia management utilizing tag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5964B (zh) 2018-06-01
US20170025037A1 (en) 2017-01-26
KR20170012109A (ko) 2017-02-02
US10096259B2 (en) 2018-10-09
TW201707466A (zh) 2017-02-16
JP6705625B2 (ja) 2020-06-03
JP2017028507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755B1 (ko)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US95845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editing, searching, and delivering multi-media content with local and global time
US9055193B2 (en) System and method of a remote conference
KR101880804B1 (ko)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KR101905638B1 (ko)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6195687B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KR101880803B1 (ko)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JP6569876B2 (ja) 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装置
JP6443205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関連情報配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2010010736A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6215866B2 (ja) 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90433B2 (ja) 動画再生管理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367882B2 (ja) 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
JP7000520B2 (ja) 動画再生方法及び動画再生システム
US120038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to output video content using video from multiple video sources including one or more pan-tilt-zoom (PTZ)-enabled network cameras
US202301991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970292B1 (ko) 게시물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NZ7959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220123061A (ko) 영상 배신 장치, 영상 배신 시스템, 영상 배신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3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01

Effective date: 201906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