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006B1 -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006B1
KR102034006B1 KR1020190069456A KR20190069456A KR102034006B1 KR 102034006 B1 KR102034006 B1 KR 102034006B1 KR 1020190069456 A KR1020190069456 A KR 1020190069456A KR 20190069456 A KR20190069456 A KR 20190069456A KR 102034006 B1 KR102034006 B1 KR 10203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ork
module
cabl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19006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0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rise structure outer wall operation device and a high-rise structure outer wall op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which automatically perform outer wall operation such as cleaning operation of a wall surface of an outer wall or a glass window and painting operation of the outer wall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of an operator or a preset program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and laterally moved by being hung on a wire vertical to a front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structure, are possible to always maintain wall surface adherence required for the outer wall operation by having a propeller generating thrust toward the outer wall, are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outer wall operation even when any uneven obstacles such as a protrusion or a dented portion are present in the outer wall, and are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various types of the outer wall operation by being formed to be possible to replace an operation module while corresponding to kinds of the outer wall operation.

Description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초고층 빌딩을 비롯한 고층 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과 같은 고소(高所) 구조물의 외벽에 대해 청소, 도장 등과 같은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된 외벽작업장치와,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 정면에서 연직한 와이어에 매달려서 승하강 및 횡이동하면서 작업자의 조작 또는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외벽의 벽면이나 유리창의 청소작업, 외벽의 도장작업(페인팅 작업) 등의 "외벽작업"을 수행하되, 외벽을 향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어서 외벽작업에 필요한 벽면 밀착도를 어떠한 높이에서도 항상 제어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어떠한 요철형태의 장애물이 외벽에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외벽작업의 종류에 맞추어서 작업모듈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유형의 외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고소구조물의 외벽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exterior wall working apparatus for performing exterior wall work such as cleaning and painting on exterior walls of high-rise buildings, high-rise buildings, high-rise bridges, storage tanks, and the like, and exterior wall work using the same. It is about the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nging on the vertical wire in front of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while moving up and down and lateral movement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or a preset program, the cleaning of the wall surface or the glass window of the outer wall, the painting work of the outer wall (painting work) Performs "outer wall work" such as, but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to generate a thrust toward the outer wall to always control and maintain a constant wall adhesion at any height, and any irregularities such as protrusions and depressions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form of the outer wall, the outer wall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work module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uter wall work so that various types of outer wall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Work device, and exterior wall work system of aerial structure using the same " A.

초고층을 비롯한 고층 빌딩이나, 굴뚝, 고가교량, 저장탱크, 플랜트 등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 외벽에 존재하는 유리창의 청소작업, 외벽의 벽면 청소작업 및 외벽의 벽면 도장작업 등의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은 일반적으로 고소 구조물의 옥상 또는 상층에 설치한 연직한 와이어에 작업자(作業者)가 직접 매달리거나, 또는 와이어에 작업대를 매달아 설치하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하여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4229호 등에서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작업 대차작업자를 대신하여 기계적인 자동청소장치를 연직와이어에 매달아서 자동청소장치가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Exterior wall work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chimneys, high-rise bridges, storage tanks, plants, etc." Cleaning the glass windows existing on the exterior walls, cleaning the walls of the exterior walls, and painting the walls of the exterior walls "In general, a worker hangs directly on a vertical wire installed on a rooftop or an upper floor of an aerial structure, or a worker hangs on a wire, and a worker rides on a workbench. In Korean Patent No. 10-1804229, etc., a method of allowing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suspending a mechanical automatic cleaning device on a vertical wire by using a wire rope on behalf of a work balance worker is provid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청소장치는, 외벽에 돌출된 턱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하기가 어렵고, 벽면에서 후퇴하여 설치된 창문 등과 같은 벽체 함몰부에 대한 작업이 곤란하며, 설사 장애물을 통과하더라도 외벽작업시 외벽과의 간격을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워서 효율적인 청소 작업 등이 수행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유리창 등의 청소작업의 경우에는, 효과적인 청소를 위해 외벽면에 최적의 힘으로 밀착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최적의 밀착력을 부여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pass an obstacle such as a jaw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difficult to work on a wall recess such as a window installed by retreating from the wall, and even when passing through an obstacle even when passing through an obstacl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gap with the outer wall in an optimal sta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t c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leaning operation such as a glass window, it is necessary to closely adhere to the outer wall surface with an optimal force for effective cleaning,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an optimal adhesion force in the prior art.

더 나아가, 종래 기술의 자동청소장치는, 한가지의 용도만을 가지는 것인 바, 다양한 형태의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Furthermore,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the prior art has only one use,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that various types of exterior wall work cannot be perform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4229호(2017.12.06.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04229 (August 06, 20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대한 청소 등의 외벽작업을, 원격조정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수행하되 외벽에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어떠한 요철의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외벽과 최적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wall work such as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by remote control or automatically performed any irregularities such as protrusions or depressions on the outer wall Even if an obstacle exis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exterior wall work in a state in which it is positioned at an optimal distance from the exterior wall.

또한 본 발명은 외벽작업을 수행하되 외벽과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거나 또는 외벽작업에 필요한 밀착력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다양한 종류의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but maintaining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r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adhesion required for the outer wall work, in particular can perform various kinds of outer wall work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편리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외벽작업용 장치를 승하강시키며,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고층을 비롯한 어떠한 높이의 고층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nd lowers the device for external wall work in a convenient and rapid manner, and move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stably and easily, so that even high-rise buildings of any height, including high-rise buildings, elevated bridges, storage tanks,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various exterior wall works.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자 형태의 부재의 수납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와이어에 의해 고소 구조물의 외벽 전방에 매달리는 구동모듈과, 외벽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작업모듈을 포함하며; 작업모듈은 수납프레임의 후방 측면에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수납프레임에는 작업모듈을 외벽을 향하여 진퇴시키는 진퇴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수납프레임에는, 회전에 의해 바람을 일으켜서 구동모듈을 외벽을 향하여 후방으로 밀어주는 추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프로펠러가 장착되어 있어서; 진퇴유닛에 의한 작업모듈의 진퇴 및 프로펠러의 작동에 의한 추력 발생을 통해서, 외벽작업에 맞추어서 작업모듈이 외벽에 밀착되거나 또는 외벽과 최적간격을 유지한 채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dule made of a receiving frame of the box-shaped member to be suspend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by the wire, and a work module for directly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The work module is mounted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frame, the storage frame is provided with a retreat unit for advancing and working the work module toward the outer wall; The storage frame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to generate a thrust to cause the wind by the rotation to push the drive module toward the outer wall to the rear; External wall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ing module is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wall or the outer wall work is maintained at an optimum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wall work through the retraction of the work module by the forward and backward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An apparatus is provided.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에 있어서, 진퇴유닛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수납프레임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전후방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 수평신축빔 및 하부 수평신축빔과, 수납프레임에 각각 연직 상향 및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상부 연직레일 및 하부 연직레일과, 상부 연직레일과 상부 수평신축빔 사이 및 하부 연직레일과 하부 수평신축빔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부 경사빔 및 하부 경사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업모듈은 상,하부 수평신축빔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부 연직레일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경사빔의 제2단부가 각각 서로에게 근접하도록 상,하부 연직레일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면, 상,하부 경사빔의 경사진 정도가 감소하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의 후방단부가 동시에 외벽을 향하여 움직이게 되어 작업모듈이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되며; 상,하부 경사빔의 제2단부가 각각 서로 멀어지도록 상,하부 연직레일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면, 상,하부 경사빔의 경사진 정도가 증가하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의 후방단부가 동시에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되어 작업모듈이 외벽으로부터 후퇴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treat unit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and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telescopic beam and the lower horizontal telescopic beam to move horizontally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orage frame, respectively, in the storage fram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inclined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and the vertical and upper horizontal stretch beams and the vertical and lower horizontal stretch beams,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work module is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When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respectively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to approach each other,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decreases while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decrease.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telescopic beam is moved toward the outer wall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ork module advances toward the outer wall; When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so as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inclined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increases, and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are simultaneously removed from the outer wall. It may be moved away, so that the work module is retracted from the outer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외벽작업장치와, 이를 연직하게 그리고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외벽작업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로프웨이 시스템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창의 벽체나 옥상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케이블 행거가 구비된 벽체걸이 후크장치와, 벽체걸이 후크장치의 케이블 행거에 관통하여 매달린 형태로 외벽작업 영역의 횡방향 작업구간에 걸쳐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로프웨이 케이블과, 권양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홀딩박스와, 홀딩박스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외벽작업장치가 매달려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장치가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한 후, 홀딩박스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홀딩박스가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장치가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wall working system including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and a ropeway system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ing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wherein the ropeway system is formed on a wall or roof of an open window formed on an outer wall of an aerial structure. Ropeway cable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and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ver the horizontal work section of the outer wall work area in the form of a wall hanger with a cable hanger and a cable hanger through the wall hanger. And a holding box equipped with a hoisting device and having a cabl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opeway cable so as to be movable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opeway cable, and connected to a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and having an outer wall work device at the bottom thereof. It consists of a wire that is installed hanging; With the holding box stopped on the ropeway cable, after the outer wall work devic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the outer wall work is performed, and then the vertical wire is operated while the holding box is moved laterally and the holding box is stopped again. The outer wall wor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by being able to proceed repeatedly by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while moving up and down.

상기한 로프웨이 시스템에서 벽체걸이 후크장치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절취되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스윙게이트가 구비되어 있고; 홀딩박스의 케이블 결합부는, 케이블 행거의 슬릿을 통과하는 목 부분 및 상기 목 부분의 위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어서;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횡이동할 때, 목 부분이 슬릿에 도달하여 스윙게이트에 닿아서 밀어주면, 스윙게이트가 개방되어 목 부분이 슬릿을 지나가면서 홀딩박스가 케이블 행거를 통과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above ropeway system, the cable hanger provided on the wall hook device is formed of a ring-shaped me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pe hanger is formed by cutting the open slit and having a swing gate to open and close the slit; The cable coupling part of the holding box includes a neck part passing through the slit of the cable hanger and a through case made of a tubular member integrally provided on the neck part through which the ropeway cable passes; When the holding box transverses along the ropeway cable, if the neck reaches the slit and touches the swing gate and pushes it, the swing gate opens and the neck passes the slit and the holding box passes through the cable hanger. Can be.

특히, 로프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 행거의 일측 외면에는 스윙게이트가 끼워져서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에는 스윙게이트가 삽입되는데, 가이드 홈에는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케이블 결합부의 목 부분이 슬릿에 도달하여 스윙게이트에 닿게 되면, 스윙게이트가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 속으로 더 들어가게 되어 슬릿이 개방되며; 홀딩박스가 케이블 행거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스윙게이트가 가이드 홈으로 밀려들어오면서 눌려있던 압축 스프링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어, 스윙게이트가 다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릿을 폐쇄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은 다시 케이블 행거에 걸려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단에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은 케이블 결합부 또는 홀딩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바가 케이블 결합부의 횡방향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 바는 수평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수평 연결바의 양단은 회전 바에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바를 따라 회전 바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 지지봉이 수평 연결바의 중앙 위치에 존재하며, 승하강 지지봉에는 2개의 도르래 즉, 상,하부 도르래가 구비되어 있고, 수평 연결바는 상,하부 도르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브레이크 견인줄은 일측에서부터 수평으로 진행하여 상부 도르래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하고 하부 도르래를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와 결합되어 있고; 승하강 지지봉이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양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연결바의 아래쪽에는 압축스프링부재가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을 제1방향으로 수평 연결바가 하강되면서 회전 바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로프웨이 케이블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가 풀려서 홀딩박스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부재는 압축상태에 있게 되고, 제1브레이크 견인줄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가 팽창 복원하면서 수평 연결바가 위로 상승됨으로써 회전 바가 상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로프웨이 케이블에 접하게 되면 마찰에 의해 홀딩박스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로 자동 복원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ropeway system,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cable hang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moving the swing gate is inserted; A swing g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compression groove is built in the guide groove; When the neck of the cable joint reaches the slit and touches the swing gate, the swing gate slides further into the guide groove to open the slit; After the holding box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cable hanger, the swinggate is push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compressed spring that is pressed exerts a restoring force, and the swinggate automatically slides again to close the slit, which causes the ropeway cable to hang agai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in the state hanging on the top, the brake pad is mounted on the top and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ry bar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le coupling portion or the holding box on both sides of the cable coupling portion There is; The pair of rotat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rizontal connecting bar,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bar while being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ar along the rotating bar; The elevating support ba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the elevating support bar is provided with two pulleys, namely, upper and lower pulleys,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The first brake traction line is horizontally connected from one side to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upper pulley and then upwardly through the lower pulley and coupled with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Compression spring members are vertically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bout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ing support rod is installed; As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is lower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first brake traction line, the rotating bar is rotated downward, and the brake pad is spaced apart from the ropeway cable so that the brake is released and the holding box is movable, and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first brake pull line is no longer pulled,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expands and restores, while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is lifted up, so that the rotation bar rotates upward, and when the brake pad contacts the ropeway cable, the brake is operated to prevent the holding box from moving by fric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automatically restored to.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장치는, 와이어에 매달려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을 마주한 채로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거나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요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어떠한 요철의 장애물이 외벽에 존재하더라도, 외벽과 최적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모듈이 외벽을 향하여 진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프로펠러에 의해 외벽을 향하여 필요할 때 추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면서 작업모듈의 필요한 부분을 외벽에 밀착시킨 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벽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hile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by hanging on the wire, and performs the necessary outer wall work while moving up and down 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y unevenness such as a projection jaw or depression. Even if an obstacle exists on the outer wal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with the optimum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and in particular, the work module that performs the outer wall work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and Since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generate thrust when needed toward the outer wal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necessary part of the work module is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wall at all times while controlling it in an optimal state, thereby maximizing the outer wall work efficiency.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에서, 작업모듈은 구동모듈에서 분해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바, 외벽작업의 종류와 형태에 맞추어서 필요한 형태의 작업모듈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외벽작업에 최적화된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작업모듈을 구동모듈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수리 또는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 역시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addition, in the outer wall 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module is assembled to be installed in the drive module so as to be disassembl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work module of the required form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outer wall work to install the optimized state for the outer wall work It can be made, and furthermore, since repair or management work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drive module, maintenance is also very eas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장치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로프웨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운영하게 되면, 어떠한 높이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외벽작업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쉽게 횡이동시켜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외벽작업의 진행 속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In particular, by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outer wall 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ropeway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perform various outer wall work for any height of the aeri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 outer wall work devic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exterior wall work by easily horizontally moving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peed and work efficiency of the exterior wall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장치가 고소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웨이 시스템에 매달려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장치를 후방 측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작업장치의 후방 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작업장치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외벽작업장치에서 작업모듈과 구동모듈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외벽작업장치에서 구비된 구동모듈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구동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외벽작업장치에서 작업모듈이 외벽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d)는 각각 진퇴유닛과 프로펠러에 의한 외벽작업장치의 외벽 접근 및 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외벽을 청소하기 위한 작업모듈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업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각각 도 13의 작업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작업모듈에 구비된 세척수 노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외벽을 청소하기 위한 작업모듈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복수개의 유체공급파이프가 구비된 작업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로프웨이 시스템에 구비된 행거 유닛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로프웨이 시스템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케이블 행거에 구비된 스윙게이트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케이블 행거에서 스윙게이트가 닫혀서 케이블 행거의 슬릿이 폐쇄되고 로프웨이 케이블이 관통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케이블 행거에서 스윙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28은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원 G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29의 (a) 및 (b)는 각각 도 28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와 개략적인 횡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30는 도 29의 (b)에서 화살표 Y-Y에 따른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홀딩박스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가 케이블 행거를 통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3의 (a) 내지 (d)는 각각 케이블 결합부가 슬로프를 가지는 케이블 행거에 접근하여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4는 홀딩박스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가 잠김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28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35은 도 34의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장치가 해제상태로 바뀐 것을 보여주는 도 3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36은 로프웨이 시스템에 구비된 홀딩박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ropeway system installed in the aerial structure.
2 and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ar side is visible.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rear side of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module and a driving module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work apparatus of FIG. 2.
7 and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drive module provided i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respectively.
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driving module shown in FIG. 7.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ork module is retracted from an outer wall in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of FIG. 2.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peller provided i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 to 12 (d) are schematic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outer wall approaching and close contact state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by the retreat unit and the propeller, respectively.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work module for cleaning the outer wall.
14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working module of FIG. 13.
15A and 15B are schematic plan views of the work module of FIG. 13, respectively.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water nozzle provided in the work module of FIG. 13.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work module for cleaning the outer wall.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ork modu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luid supply pipes.
1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tate of FIG. 1.
2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A portion of FIG. 19.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hanger unit provided in the ropeway system.
2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cable hanger provided in a ropeway system.
Figure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wing gate provided in the cable hanger separated.
2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wing gate is closed in the cable hanger of FIG. 22 so that the slit of the cable hanger is closed and the ropeway cable is suspended through.
FIG. 2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24. FIG.
FIG. 2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swing gate in the cable hanger of FIG. 22.
FIG. 27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26. FIG.
FIG. 28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G portion of FIG. 1 showing a holding box movably suspended from a ropeway cable; FIG.
FIGS. 29A and 29B are enlarged schematic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front views, respectively, of part D of FIG. 28.
3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row YY in FIG. 29B.
FIG. 3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29.
3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ble coupling part provided in a holding box passes through a cable hanger.
33 (a) to 33 (d) are schematic front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roaching and entering a cable hanger having a cable coupling portion having slopes, respectively.
FIG. 34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D of FIG. 28 showing that the brake devic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is in a locked state.
FIG. 35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34 illustrating that the brake device is changed to a released state from the state of FIG. 34.
3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olding box provided in the ropeway syst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장치(600)가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에 설치된 로프웨이 시스템(100)에 매달려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장치(600)는 연직한 와이어에 매달린 채로 고소 구조물의 외벽 앞에 위치하여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에는 고소 구조물의 외벽 벽체 자체를 청소하는 벽면 청소작업, 외벽에 존재하는 유리창을 청소하는 유리창 청소작업, 외벽의 벽면을 도장하는 페인트 도장작업 등을 포함한다. 편의상 벽면 청소작업과 유리창 청소작업을 통칭하여 "외벽청소작업"이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상 외벽작업장치(600)를 기준으로 외벽작업장치(600)에서 외벽을 바라보는 방향(외벽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기재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ropeway system 10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while hanging on the vertical wire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of the aerial structure". Here, the "outer wall work" of the aerial structure includes a wall cleaning operation for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itself, a glass window cleaning operation for cleaning the glass window existing on the outer wall, a paint painting operation for painti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wall, and the like. For convenience, wall cleaning and glass window cleaning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uter wall clean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faces the outer wall (direction toward the outer wall) is referred to as "rear" for convenience,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forward". ".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에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이 설치되고, 외벽작업장치(600)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에 구비된 와이어(3)에 매달려서 외벽(900)을 마주한 채로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거나 횡방향(고소 구조물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요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외벽작업장치(600)와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은 외벽작업장치(600)와, 후술하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is installed ropeway system 100,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suspended from the wire (3) provided in the ropeway system 100 outer wall 900 ) Is installed facing each other, and the necessary external wall work is performed while mov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mov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aerial structur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ropeway system 100 form the "outer wall working system of aerial structur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working system of the aerial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ropeway system 100 to be described later.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작업장치(6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작업장치(600)의 후방 측면(외벽작업장치의 측면 중에서 외벽을 마주하게 되는 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외벽작업장치(600)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2의 외벽작업장치(600)에서 작업모듈(800)와 구동모듈(700)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는, 외벽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작업모듈(800)과, 연직한 와이어(3)에 의해 외벽의 전방에 매달리게 되며 작업모듈이 장착되는 구동모듈(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inafter,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and 3 are respectively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shown in FIG. 2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and FIG. 5 shows the outer wall shown in FIG.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work tool 600 is shown.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ork module 800 and the driving module 700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of FIG. 2.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module 800 which directly performs the outer wall work, and a drive module which is suspend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by a vertical wire 3 and is equipped with a work module. And 700.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는 외벽작업의 종류(청소작업, 페인트 도장 작업 등)에 따라 작업모듈(800)을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작업모듈(800)을 생략하고 구동모듈(700)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구동모듈(700)의 후방 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700)은 작업모듈(800)을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바, 도 7에는 작업모듈(800)이 외벽에 근접하도록 작업모듈(800)을 밀어서 후방으로 진출시킨 상태(진출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과 반대로 작업모듈(800)이 외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업모듈(800)을 후퇴시킨 상태(후퇴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The exterior wall work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replace the work module 800 according to the type of exterior wall work (cleaning work, paint painting work, etc.). 7 and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only the drive module 700 without the work module 800, respectively,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drive module 700 shown in FIG. Front view is shown. The driving module 7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7 to 9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orking module 80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FIG. 7, the working module 800 is disposed so that the working module 800 approaches the outer wall. The state in which the 800 is pushed back to the rear (entry mode) is shown, and in FIG. 8, the state in which the work module 800 is retracted so that the work module 8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retract mode) is shown in contrast to FIG. 7. It is.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구동모듈(700)은 작업모듈(800)이 장착되는 수납프레임(712), 및 후방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수납프레임(712)에 장착된 프로펠러(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프레임(712)은 상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외벽(900)을 마주보는 후방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6면체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수납프레임(712)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막대 형태의 프레임부재를 이용하여 6개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된 상자형태의 6면체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납프레임(712)의 상자형 내부 공간은 외벽작업에 필요한 세제용기, 페인트 용기 등과 같은 각종 필요 용품 내지 부품이 탑재되는 수납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driving module 700 includes a storage frame 712 on which the work module 800 is mounted, and a propeller 750 mounted on the storage frame 712 to generate thrust rearward. do. The storage frame 712 may be formed of a box-shaped member, and 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rear side facing the outer wall 900 is opened, and all or part of the other side is a six-sided structure consisting of a plate member. Can be done. Of course, the storage frame 712 may be formed of a box-shaped hexagonal structure in which all or part of the six sides are opened by using a frame member in the form of a ro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box-shaped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712 may be used as a storage space in which various necessary items or parts, such as detergent containers and paint containers, required for exterior wall work are mounted.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구동모듈(700)에서,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710)이 수납프레임(712)의 위쪽에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연결판(710)에는 관통공 형태의 진입공(711)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외벽작업에 필요한 전력선, 신호선, 세척수 호스, 고압공기 호스 등과 같은 외벽작업에 필요한 각종 작업선(線)을 진입공(711)에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한 설비에 연결될 각종 선(線)이나 호스 등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있게 되므로 외관상 유리할 뿐만 아니라, 선로의 유지 관리도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f necessary,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in the driving module 700, a connecting plate 710 made of a horizontal plate member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frame 712. The connection plate 71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hole entry hole 711, in which case various work lines (line) required for the outer wall work such as power lines, signal lines, washing water hose, high pressure air hose, etc. It can pass through the entrance hole (711).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various lines or hoses to be connected to the necessary equipment are arranged neatly, which is advantageous in appearance and also facilitates maintenance of the track.

구동모듈(700)의 수납프레임(712)에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을 마주하게 되는 후방 측면에는 작업모듈(800)이 조립 장착되는데, 구동모듈(700)에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작업모듈(800)을 전후방으로 진퇴시키는 진퇴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퇴유닛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부 수평신축빔(911)과 하부 수평신축빔(912)을 가지고 있다. 상부 수평신축빔(911) 및 하부 수평신축빔(912)의 각각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 각각은 길이가 변하지 않는 단순한 빔 부재로 이루어지고, 구동모듈(700)의 수납프레임(712)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각각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수평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전후방 수평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수납프레임(712)의 상,하부측에 각각 고리형 레일을 설치하고,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이 고리형 레일에 끼워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 각각의 후방 단부(외벽을 향하고 있는 단부)에는 작업모듈(8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이 동시에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면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이 동시에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면 작업모듈(800)은 외벽으로부터 멀어져서 후퇴하게 된다. The work module 800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rear side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in the storage frame 712 of the drive module 700. The drive module 70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work module 800 as described above. Retreat unit may be provided to advance to. 7 and 8, the advancing unit has an upp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1 and a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2 arrang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Each of the upp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1 and the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2 is preferably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912) is made of a simple beam member of which the length does not chang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iving frame 712 of the drive module 700 Each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coupled to move horizontally. As a configuration for horizontally mov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horizont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annular rail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orage frame 712,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are provided. 911 and 912 have a shape fitted to an annular rai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ork module 800 is coupled to a rear end (end facing the outer wall)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Therefore, wh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simultaneously move horizontally to the rear, the work module 800 moves toward the outer wall. On the contrary,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are simultaneously horizontally forward. When moved, the work module 800 is retracted away from the outer wall.

도면에 예시된 것과 달리,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은 신축에 의해 그 자체의 길이가 변화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길이가 신장하게 되면, 후방 단부가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되고, 그에 따라 후방 단부에 결합된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수축하면 후방단부가 후퇴하게 되어 작업모듈(800)이 외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Unlike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may be made of a telescopic member whose length is changed by stretching. In this case, when the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are extended, the rear end portion advances toward the outer wall, and thus the work module 800 coupled to the rear end portion advances toward the outer wall. On the contrary, whe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is reduced, the rear end portion is retracted so that the work module 800 moves away from the outer wall.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업모듈(800)의 진퇴를 위하여, 진퇴유닛에는 상,하부 경사빔(913, 914)과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은 각각 상부 수평신축빔(911)과 하부 수평신축빔(912)이 설치된 위치에서 연직 상향 및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동모듈(700)의 수납프레임(712)에 결합 구비되어 있다. 상부 경사빔(913)은 상부 연직레일(915)과 상부 수평신축빔(911)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부 경사빔(914)은 하부 연직레일(916)과 하부 수평신축빔(912) 사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부 경사빔(913)의 한쪽 단부는 상부 수평신축빔(911)의 후방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부 경사빔(913)의 반대쪽 단부는 상부 연직레일(915)을 따라 연직하게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경사빔(914)의 한쪽 단부는 하부 수평신축빔(912)의 후방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부 경사빔(914)의 반대쪽 단부는 하부 연직레일(916)을 따라 연직하게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편의상 상부 경사빔(913)의 양쪽 단부 중에서, 상부 수평신축빔(911)과 결합된 단부를 "상부 경사빔(913)의 제1단부"라고 기재하고 상부 연직레일(915)에 결합된 단부를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라고 기재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경사빔(914)의 양쪽 단부 중에서, 하부 수평신축빔(912)과 결합된 단부를 "하부 경사빔(914)의 제1단부"라고 기재하고 하부 연직레일(916)에 결합된 단부를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라고 기재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for the advancement of the working module 800, the advancement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914 and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916).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respectively accommodate the storage frame 712 of the drive module 700 so as to extend vertically upward and vertically downward at positions where the upper horizontal and horizontal beams 911 and the lower horizontal and horizontal beams 912 are installed. It is equipped with a coupling. The upper inclined beam 913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vertical rail 915 and the upper horizontal telescopic beam 911, and the lower inclined beam 914 is the lower vertical rail 916 and the lower horizontal telescopic beam 912. It is installed inclined to connect between. One end of the upper inclined beam 9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1, and the opposite end of the upper inclined beam 913 moves vertically along the upper vertical rail 915. Are combined. One end of the lower inclined beam 91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2, and the opposite end of the lower inclined beam 914 moves vertically along the lower vertical rail 916. Combined to For convenience, the ends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1 are described as "first ends of the upper tilt beam 913" among the both ends of the upper sloped beam 913, and the ends coupled to the upper vertical rail 915 are described. It describes as "the second end of the upper oblique beam 913". Similarly, at both ends of the lower sloped beam 914, the end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 912 is described as “the first end of the lower sloped beam 914” and the end coupled to the lower vertical rail 916.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end of the lower oblique beam 914".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가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여서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와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가 서로에게로 접근하게 되면, 그에 따라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경사진 정도가 줄어들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는 동시에 외벽을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에 결합된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moves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so that the second end of the upper inclined beam 913 is moved. When the second ends of the lower and inclined beams 914 approach each other,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is reduced,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able beams 911 and 912 are reduced. The rear end of is simultaneously moved towards the outer wall. By this operation, the work module 800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is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가 각각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여서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가 서로 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경사진 정도가 커지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는 동시에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되고, 작업모듈(800)은 수납프레임(712) 방향으로 당겨져서 후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가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 오목부(919)를 형성하고,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에는 오목부(919)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볼록부가 오목부(919)에 끼워진 채로 연직하게 상,하 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여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를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서 오목부(919)는 도 7에서만 표시하였고, 편의상 다른 도면에서는 오목부(919)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8에서 점선은 진퇴유닛이 도 7의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하부 경사빔(913, 914)과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은 삼각형의 트러스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캔틸레버 형태를 이루어서 외벽 방향으로 밀어지는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을 상하에서 까치발 형식으로 지지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respectively. As the second end moves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increases,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are moved away from the outer wall at the same time. The module 80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frame 712 to retrea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oblique beams 913 and 914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recesses 919 are formed in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and recesses 919 are formed at second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loped beams 913 and 914. The convex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 can be formed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vex portion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919.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using various forms. In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the recess 919 is shown only in FIG. 7, and for convenience, the illustration of the recess 919 is omitted. The dashed line in FIG. 8 shows that the advance and exit unit is in the state of FIG. 7. In such a configuration,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telescopic beams 911 and 912 maintain a triangular truss shape, thereby forming a cantilevered shape and being pushed in the outer wall direction. By supporting the (911, 912) in the form of a crow's feet from the top and bottom, the structural stability is achieved.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하부 경사빔(913, 914) 및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 역시 복수개로 구비된다. 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하부 경사빔(913, 914) 각각의 제2단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서 연직하게 움직이게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작업모듈(800)의 수평방향 진퇴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복수개의 상,하부 경사빔(913, 914)이 동시에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움직여야 하는 바, 진퇴유닛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회전모터(923)를 구비한 중앙회전봉(920) 및 상,하부 수평봉(921, 9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in which case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and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are also plural in number.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may be individually slid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by using a motor or the like to move vertically. However, 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ork module 800,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must move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at the same time. A central rotary rod 920 having a central rotary motor 923 and upper and lower horizontal rods 921 and 922 may be further provided.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프레임(712)의 위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부 수평봉(921)은 복수개의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 전부와 결합된다. 수납프레임(712)의 아래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하부 수평봉(922)도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 전부와 결합된다. 즉, 복수개의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는 하나의 상부 수평봉(921)에 결합되어 있고, 복수개의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는 하나의 하부 수평봉(922)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부 수평봉(921)에는 상부 너트 결합부(924)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 수평봉(922)에는 하부 너트 결합부(925)가 장착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receiving frame 712 is coupled to all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inclined beams 913. Similarly, the lower horizontal bar 922 disposed horizontally under the receiving frame 712 is also coupled to all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lower inclined beams 914. That is,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oblique beams 913 are coupled to one upper horizontal bar 921, and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lower oblique beams 914 are coupled to one lower horizontal bar 922. It is. An upper nut coupling part 924 is mounted on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and a lower nut coupling part 925 is mounted on the lower horizontal bar 922.

중앙회전모터(923)를 구비한 중앙회전봉(920)은 구동모듈(700)의 좌우 중앙 위치에서 연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중앙회전모터(923)를 기준으로 상부 회전봉과 하부 회전봉으로 구분된다. 중앙회전봉(920)의 상부 회전봉과 하부 회전봉은 각각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으로 이루어져서 중앙회전모터(92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한다. 상,하부 회전봉은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되 각각 나사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하부 회전봉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되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The central rotary rod 920 having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is vertically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center positions of the driving module 700,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rotary rod and a lower rotary rod based on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The upper rotating rod and the lower rotating rod of the central rotating rod 920 are each made of a screw ro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its outer surface to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rotating motor 923.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s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but the threaded portions may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s have the screwed portion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but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한편, 상,하부 수평봉(921, 922)에 각각 구비된 상,하부 너트 결합부(924, 925)는 각각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즉, 상부 수평봉(921)은 상부 회전봉에 결합되어 있고, 하부 수평봉(922)은 하부 회전봉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하부 결합부(924, 925)는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서로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중앙회전봉(920)의 회전에 의해 상부 너트 결합부(924)는 상승하고 하부 너트 결합부(925)는 하강하여 서로 멀어지게 되거나 또는, 상부 너트 결합부(924)는 하강하고 하부 너트 결합부(925)는 상승하여 서로에게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하부 너트 결합부(924, 925)의 위와 같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 및 서로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하부 너트 결합부(924, 925)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상,하부 수평봉(921, 922) 역시 서로에게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 접근하게 된다. Meanwhile,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arts 924 and 925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921 and 922 are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rotating bars of the central rotating bar 920, respectively. That is,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is coupled to the upper rotary rod, the lower horizontal rod 922 is coupled to the lower rotary rod. Therefore, when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s of the central rotary rod 920 is rotated by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ortions 924 and 925 coupled there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Will move in the direction. That is, the upper nut coupling portion 924 is raised and the lower nut coupling portion 925 is lowered away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rotating rod 920, or the upper nut coupling portion 924 is lowered and the lower nut coupling portion. The wealth 925 is raised to b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arts 924 and 925 ar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close 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nuts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arts 924 and 925, respectively. The horizontal bars 921 and 922 also move away from each other or approach each other.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이 각각의 제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하부 너트 결합부(924, 925)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서로에게 접근하도록 움직이게 되며, 그에 따라 상,하부 수평봉(921, 922) 역시 서로 접근하도록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부 수평봉(921)은 복수개의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 전부와 결합되어 있고 하부 수평봉(922)은 복수개의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 전부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 수평봉(921)은 하강하고 하부 수평봉(922)은 상승하여 서로에게 접근하도록 움직이면,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 역시 서로에게 접근하도록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수평신축빔(911)과 하부 수평신축빔(912)의 후방단부는 외벽을 향하여 움직이게 되어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된다. When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s of the central rotary rod 920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ortions 924 and 925 coupled thereto are as shown in FIG. Each moves to approac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921 and 922 also move to approach each other.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is coupled to all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sloped beams 913, and the lower horizontal rod 922 is coupled to all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lower sloped beams 914. 921 is lowered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922 is raised to move to approach each other,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916) such that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914 also approach each other. As a result,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upper horizontal stretchable beam 911 and the lower horizontal stretchable beam 912 move toward the outer wall so that the work module 800 moves toward the outer wall.

이와 반대로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이 각각의 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하부 너트 결합부(924, 925)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되며, 상,하부 수평봉(921, 922) 역시 서로 멀어지게 된다. 즉, 상부 너트 결합부(924)가 상승하여 상부 수평봉(921)도 상승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하부 너트 결합부(925) 및 하부 수평봉(922)는 하강하여 서로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부 수평봉(921)에 결합된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 수평봉(922)에 결합된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서로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수평봉(921, 922)에 결합된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도 서로 멀어지도록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게 되고, 결국 상부 수평신축빔(911)과 하부 수평신축빔(912)의 후방단부에 결합된 작업모듈(800)은 수납프레임(712) 방향으로 당겨져서 후퇴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and lower rotating rods of the central rotating rod 920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central rotating motor 923,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arts 924 and 925 coupled thereto are shown in FIG. 8. As they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921, 922) are also far from each other. That is, the upper nut coupling part 924 is raised to raise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nut coupling part 925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922 are lowered and move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end of the upper inclined beam 913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rod 921 is rais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end of the lower inclined beam 914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rod 922 is lowered downward.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uch,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rs 921 and 922 also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so as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work module 800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tretchable beam 911 and the lower horizontal stretchable beam 912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frame 712 to retreat.

도 10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에서 작업모듈(800)이 외벽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진퇴유닛에 의해, 작업모듈(800)이 외벽의 상태, 및 외벽작업의 상황에 맞추어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되거나,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모듈(800)이 수납프레임(712) 방향으로 당겨져서 후퇴하게 되는 바, 외벽작업장치(600)가 외벽(900)으로부터 전후방으로 최적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벽작업이 매우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외벽에 돌출된 턱(돌출턱)이나 외벽에서 함몰된 위치에서 창문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작업모듈(800)을 진퇴시켜서 돌출턱을 넘어가거나 함몰부로 들어가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어떠한 요철의 장애물이 외벽에 존재하더라도, 최적간격을 두고 작업모듈(800)을 배치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물론 외벽에 밀착되는 것이 필요한 청소 등의 외벽작업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작업모듈(800)의 진퇴구성을 통해서, 최적의 상태로 작업모듈(800)의 필요한 부분을 외벽에 접근 또는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벽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 module 800 is retracted from the outer wall in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dvancing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ork module 800 is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as shown in FIG. 2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outer wall, and the situation of the outer wall work, or conversely, as shown in FIG. The module 800 is pulled toward the receiving frame 712 to retreat, so that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can perform the outer wall work in the state positioned at the optimum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from the outer wall 900, As a result, the exterior wall work is very smooth and efficient. In particular, when a jaw (protrusion jaw)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r a window in the position recessed from the outer wall is present, by advancing the working module 80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go over the protruding jaw or enter the depression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It can be don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y uneven obstacles such as high protrusions or depressions exist on the outer wall, the outer wall work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working module 800 is disposed at the optimum interval.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the external wall work such as cleaning that nee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dvancing configuration of the work module 800 as described above, the required part of the work module 800 in the optimum state to approach or close to the outer wall The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exterior wall work.

본 발명에서 구동모듈(700)에는 외벽작업장치(600)가 기울어지지 않고 무게의 평형상태를 이룰 수 있게 만들어주기 위한 평형추가 구비될 수 있다. 평형추는 횡방향으로 수평 균형을 조정하는 좌우조정 평형추(770)와, 전후방향으로의 수평 균형을 조정하는 전후조정 평형추(7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우조정 평형추(77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수납프레임(712)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는데, 횡방향으로 연장된 균형봉을 수납프레임(701)의 아래에 매달아서 설치하고 균형봉의 양측에 각각 균형중량체를 장착하여, 균형봉(774)에 끼워진 균형중량체(775)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횡방향으로의 균형을 조정하게 된다. 전후조정 평형추(771) 역시 이와 유사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균형봉을 수납프레임(712)의 아래에 매달아서 설치하고 균형봉에 균형중량체를 장착하여 균형봉에 끼워진 균형중량체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후방향으로의 균형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외벽작업의 진행과정에서 외벽작업장치(600)가 평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모듈(800)을 외벽 쪽으로 진출시켰을 경우, 전후조정 평형추(771)의 균형중량체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함으로써, 외벽작업장치(600)의 전체적인 무게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dule 700 may be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for making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can achieve a balanced state of the weight without tilting. The counterweight may consist of a left and right balance counterweight 770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bal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front and rear balance counterweight 771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bal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Left and right adjustment counterweight 77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frame 712,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horizontally extending balancing rod is installed by hanging below the storage frame 701 and on both sides of the balance bar Each of the balance weights is mounted to adjust the balance in the cross direction while moving the position of the balance weight 775 fitted to the balance bar 774 in the cross direction. Front and rear adjustment counterweight 771 is similarly installed by hanging the balance bar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under the storage frame 712, and the balance weight is mounted on the balance ba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lance weight fitted to the balance bar. The bal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adjusted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can maintain a stable equilibrium in the course of the outer wall work. Particular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 module 800 is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the overall weight balance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alance weight of the front and rear balance counterweight 771 forward and backwar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b and thus maintaining a very stable state is exerted.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에는, 회전에 의해 바람을 일으켜서 구동모듈(700)을 외벽을 향하여 후방으로 밀어주는 추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프로펠러(75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프로펠러(75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프레임(712)에 결합 설치되는데, 수납프레임(712)의 외측에서 상하좌우의 필요한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도 11에는 프로펠러(750)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프로펠러(750)는 후방의 외벽을 향하여 추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원통형의 슈라우드 링(shroud ring)(76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슈라우드 링(760)의 단면 원중심을 지나도록 축지지대(761)를 슈라우드 링(760) 내에 직경방향으로 설치하고 축지지대(761)에 직교하도록 회전축을 설치하며 회전축에 회전날개(762)를 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후방으로의 추력을 높이기 위해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하나의 회전축에 두 개의 회전날개(762)가 장착된 동축(同軸, Coaxial) 회전날개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프로펠러(750)는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반드시 동축 회전날개를 가진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1 이외의 다른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1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재번호 763은 회전날개(762)의 회전을 위하여 회전축(764)에 구비된 구동모터(763)이다. 한편, 축지지대(761)로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의 파이프 부재를 이용하게 되면, 전력선(도시를 생략함)을 축지지대(761)의 중공 내에 배치하여 구동모터(763)에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 프로펠러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은 유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구동모터(763)의 안정적인 구동 및 외벽작업 동안에 프로펠러에 의한 지속적인 추력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즉, 외벽작업 중에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프로펠러(750)의 작동이 중단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이 중단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물론 축지지대(761)의 중공 내에 신호선을 배치할 수도 있다.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peller 750 that generates wind by rotating the driving module 700 toward the outer wall by generating wind by rotation. Propeller 7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t is installed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712, is fixedly installed in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utside the storage frame 712.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propeller 750.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propeller 750 may have a cylindrical shroud ring 760 to concentrate thrust towards the rear outer wall, the shaft passing through the cross-sectional center of the shroud ring 760. The support 761 may be installed in the shroud ring 76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rotary shaft may be installed to be orthogonal to the shaft support 761, and the rotary blade 762 may be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rearward thrust,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form of a coaxial rotary blade equipped with two rotary blades 762 on one rotary shaft as illustrated in FIG. However, the propeller 75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having a coaxial rotating blade as illustrated in FIG. 11, and may have one rotating blade as illustrated in other drawings besides FIG. 11.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member number 763 is a drive motor 763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764 to rotate the rotary blade 762. On the other hand, when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 pipe member having hollows is used as the shaft support 761, a power line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support 761 to drive the motor 763. Can be connected to Although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drawings, the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propeller m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in a wired manner, and thus, the thrust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by the propeller during stable driving and external wall work of the driving motor 763. Done.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is discontinu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during the outer wall work, thereby the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pped by the source is exerted. Of course, a signal line can also be arrang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support 761.

도 12의 (a), (b), (c) 및 (d)에는 각각 진퇴유닛과 프로펠러(750)에 의해 외벽작업장치(600)를 외벽 방향으로 밀어서 외벽의 벽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외벽작업장치(600)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 형태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2의 (a), (b), (c) 및 (d)에서 외벽작업장치(600)는 작은 원으로 도시하였으며, 외벽작업장치(600)에 구비된 작업모듈(800)은 작은 원의 후방에 붙어 있는 T자형 밀대 모양(영어 대문자 T를 옆으로 뉘어놓은 모양)으로 도시하였다. 도 12의 (a), (b), (c) 및 (d)에서 W는 외벽작업장치(600)의 총중량을 나타낸다. 12 (a), (b), (c) and (d) describe a state in which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wall by pushing the retreating unit and the propeller 750 in the outer wall direc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see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n a transverse direction, a schematic conceptual view in the form of a side view is shown. 12 (a), (b), (c) and (d)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shown as a small circle for convenience, the work module 800 provided i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a small circle. It is shown in the shape of a T-shaped stick (the English capital letter T lying sideway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In Figure 12 (a), (b), (c) and (d) W represents the total weight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전술한 바와 같이, 외벽작업을 수행하면서 외벽에 돌출턱과 같은 큰 장애물이 있으면, 외벽작업장치(600)가 장애물을 넘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외벽작업장치(600)는 외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여야 한다. 도 12의 (a)는 외벽(600)에 돌출턱과 같은 큰 장애물이 존재하여 외벽작업장치(600)를 장애물의 돌출된 길이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지도록 외벽(600)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수직이동시 작업모듈(600)이 장애물에 걸리지 않게 만든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의 (a)에서 U는 외벽작업장치(600)를 매달고 있는 와이어(3)와 외벽(900) 사이의 전후방 간격으로서, 진퇴유닛의 작동이나 프로펠러(750)의 추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외벽작업장치(600)와 외벽(900) 사이의 간격이다. As described above, if there is a large obstacle such as a protruding jaw on the outer wall while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o that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can move up and down the obstacle. 12 (a) is vertical by placing a large obstacle such as a protruding jaw on the outer wall 600 so that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600 so as to have a larger distance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obstacle. When moving, the work module 600 shows a state made not to catch the obstacle. In FIG. 12A, U is a front and rear gap between the wire 3 hanging from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outer wall 900, when the operation of the retraction unit and the thrust of the propeller 750 do not work. It is a gap betwee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outer wall 900.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에서는 작업모듈 자체가 외벽을 향하여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진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진퇴유닛의 후방진출 작동을 통해서 작업모듈(800)이 최적간격(S)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의 (b)는 외벽작업장치(600)가 외벽(90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퇴유닛의 작동에 의해 작업모듈(800)을 외벽 방향으로 진출시켜서 작업모듈(800)이 최적간격(S)의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물론 외벽에 함몰부가 있는 경우에도 진퇴유닛의 작동에 의해 작업모듈(800)과 외벽(900) 사이의 간격이 최적간격(S)이 되도록 작업모듈(800)을 외벽(900)에 접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적간격(S)은 외벽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할 때의 외벽작업장치(600)와 외벽(900) 사이 간격이다. 물론 외벽에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요철부의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외벽작업장치(600)를 외벽의 전방에 최적간격(S)을 유지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승하강시키면서 외벽작업을 진행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module itself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outer wall. In this case, through the rear advancing operation of the retreating unit as necessary. Work module 800 may be located at the optimum interval (S). 12 (b) shows that the work module 800 is moved to the outer wal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etreat unit in a state wher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900, so that the work module 800 has an optimum interval ( It shows the state that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S). Of course, even when the outer wall has a depression, the operation module 800 may approach the outer wall 900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working module 800 and the outer wall 900 becomes an optimum interval S by the operation of the retreat unit. . Here, the optimum spacing S is a gap betwee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outer wall 900 when it is suitable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Of course, if there are no obstacles such as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n the outer wall, the outer wall work is performed whil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raised and lowered to maintain the optimum distance S in front of the outer wall from the beginning. .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프로펠러(750)의 추력 발생을 통해서 최적간격(S)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2의 (c)에는 외벽작업장치(600)가 외벽(90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로펠러(750)에 의한 추력을 발생시켜서 작업모듈(800)을 최적간격(S)에 배치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the optimum interval (S) through the thrust generation of the propeller (750). 12 (c) is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module 800 is disposed at the optimum interval S by generating a thrust by the propeller 750 in the state wher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900. Is show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퇴유닛의 작동과 프로펠러(750)의 추력 발생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작업모듈(800)을 최적간격(S)에 배치시킬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 둘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2의 (d)에는 진퇴유닛의 작동과 프로펠러(750)의 추력 발생을 모두 이용하여 최적간격(S)이 0(zero)가 되도록 배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2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모듈(800)이 외벽(900)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가 최적간격(S)이 될 수도 있지만, 외벽작업의 종류에 따라서는 도 12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모듈(800)의 후방단부가 외벽(900)에 밀착되어 작업모듈(800)의 후방단부와 외벽(900) 간의 수평거리(간격)이 0(zero)인 상태가 최적간격(S)의 상태로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 module 800 may be disposed at the optimum interval S using only one of the operation of the advance unit and the thrust generation of the propeller 750, but both may be used if necessary. . 12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timum interval S is zero by using both the operation of the advance unit and the thrust generation of the propeller 750. For reference, as shown in (a) to (c) of FIG. 12, the work module 8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9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an optimum interval S, depending on the type of outer wall work. As shown in FIG. 12D, the rear end of the work module 8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900 such that a horizontal distance (interval) between the rear end of the work module 800 and the outer wall 900 is zero (zero). ) May be a state of the optimum interval (S).

청소작업의 경우에는 진퇴모듈의 후방진출 작동을 통해서 작업모듈(800)의 후방 단부가 외벽(900)에 근접하거나 닿은 상태에서 프로펠러(750)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장치(600)를 외벽(900)을 향해 밀어주는 추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모듈(800)에 밀착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모듈에 구비된 브러쉬 등 회전형 청소드럼과 외벽 간의 항상 일정한 밀착도가 유지되어 효율적으로 청소작업이 수행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물론 작업모듈이 청소작업이 아닌 페인트 도장작업을 위한 것이거나 기타 외벽작업을 위한 모듈인 경우에도, 위와 같은 진퇴유닛의 작동과 프로펠러(750)에 의한 추력 작동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함으로써 작업모듈과 외벽 간에 일정한 간격 내지 밀착 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case of the cleaning operatio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moved to the outer wall 900 by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while the rear end of the working module 800 approaches or contacts the outer wall 900 through the rear entry and exit operation of the retreat module. By generating a thrust pushing toward the working module 800, it is possible to apply a close contact pressure and accordingly maintains a constant adhesion between the rotary cleaning drum and the outer wall such as a brush provided in the working module at all times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efficiently Effect is exerted. Of course, even if the work module is not for cleaning but for paint painting or other exterior wall work, only on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of the retraction unit and thrust operation by the propeller 750 or both may be used. By using i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to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work module and the outer wall, the work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한편, 외벽작업장치(600)가 하강하면서, 이를 매달고 있는 와이어(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그와 더불어 각종 작업선의 길이도 증대되어 전체 외벽작업장치(600)의 중량이 늘어나게 되고, 외벽작업장치(600)를 외벽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프로펠러(750)의 추력 또한 변화된다. 따라서 추력을 가하여 외벽작업장치(600)를 최적 밀착도로 일정하게 밀어주기 위해서는, 외벽작업장치(600)의 승하강에 따른 전체 중량 증가를 고려하여 프로펠러(750)의 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수납프레임(712)의 상하 및 좌우에 각각 복수개의 프로펠러(750)가 설치된 경우에는, 프로펠러(750)의 작동을 각각 지속적으로 그리고 균형 있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s lowered, the length of the wire (3) hanging it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various work lines are also increase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entire outer wall work device 600, the outer wall work The thrust of the propeller 750 required for bringing the device 6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is also varied. Therefore, in order to constantly push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to the optimal close contact by applying a thrus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weight increase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ropellers 7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frame 712,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continuously and balance, respectively.

도 12의 (a), (b), (c) 및 (d)에서, 연직한 와이어(3)의 길이를 고려하고, 외벽 쪽으로 항상 일정한 밀착력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프로펠러(750)가 발휘해야 할 "필요추력"은 와이어(3)의 상단으로부터 외벽작업장치(600)까지의 수직거리 y의 함수가 되는 바, 다음의 수학식 1의 관계가 성립한다. 12 (a), (b), (c) and (d), the propeller 750 should be exerted to take into account the length of the vertical wire 3 and to always have a constant adhesion toward the outer wall. Necessary thrust "is a function of the vertical distance y from the upper end of the wire 3 to the outer wall working apparatus 600, and the following equation 1 holds.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1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1

위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2
는 와이어(3)의 상단으로부터 외벽작업장치(600)까지의 수직거리가 y일 때 외벽작업장치(600)를 외벽 쪽으로 항상 일정한 밀착력(P)으로 밀어주기 위해 프로펠러(750)가 발휘해야 할 필요 추력이며, W는 외벽작업장치(600)의 총중량이고,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3
는 와이어(3)와 외벽작업에 필요한 각종 작업선(전선, 세척수 호스, 고압공기 호스 등)을 합한 모든 선 전체의 단위길이 당 중량이고, s는 외벽과 외벽작업장치(600) 사이의 수평간격이다. 따라서 위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프로펠러(75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필요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외벽작업이 완료되어 외벽작업장치(600)를 상향 이동시킬 때, 그리고 외벽작업장치(600)가 외벽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통과하여 승하강할 때에는 프로펠러(7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In Equation 1 above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2
When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wire (3) to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y, the propeller 750 needs to be exerted to always push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toward the outer wall with a constant adhesion force (P). Thrust, W is the total weight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Figure 112019060090953-pat00003
Is the weight per unit length of all wires combined with wires (3) and various work lines (wires, washing water hoses, high pressure air hoses, etc.) necessary for external wall work, and s is a horizontal gap between the external wall and the external wall working device 600. to b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required thrus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using the above equation (1). Of course, when the outer wall work is completed to move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upward, and when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ascends and descends through the obstacle present in the outer wall,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is stopped.

도 13에는 외벽을 청소하기 위한 작업모듈(800)의 일예를 구동모듈(700)로부터 분리시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작업모듈(800)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 및 (b)에는 각각 도 13의 작업모듈(800)을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5의 (a)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것이고, 도 15의 (b)는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것이다. 도 16에는 도 13의 작업모듈(800)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살포하는 세척수 살포장치(820)만을 별도로 분리시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모듈(800)은 외벽의 벽면만을 청소하는 것이 아니라 외벽에 구비된 창문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므로, 외벽작업으로서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모듈(800)과 관련하여 "외벽"이라는 용어는 창문(유리창)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ork module 800 for cleaning the outer wall separated from the drive module 700, and FIG. 14 is a schematic lateral direction of the work module 800 of FIG. 13. A side view is shown. Figures 15 (a) and 15 (b) show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ork module 800 of Figure 13, respectively, Figure 15 (a) is a top down view, Figure 15 (b) is I looked up from the bottom up. 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separately provided to the work module 800 of FIG. 13 to spray washing water. Here, the work module 800 is not only to clean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wall, but also to clean the window provided on the outer wall, the term "outer wall" in connection with the work module 800 for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as the outer wall work is the window ( Glass window).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청소작업을 위한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배치된 모듈프레임(815),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모듈프레임(8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외벽의 이물질을 털어 내거나 닦아내어 제거하는 회전형 청소드럼(8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모듈프레임(815)은 사각형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며, 사각평면이 외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모듈프레임(815)의 후방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회전형 청소드럼(810)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형 청소드럼(810)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융이나 극세사로 만들어진 연성 브러시를 구비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회전에 의해 외벽의 이물질을 털어 내거나 닦아내어 제거하여 외벽을 청소하게 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회전형 청소드럼(8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형 청소드럼(81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복수개의 회전형 청소드럼(810)이 위,아래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외벽에 세척수를 살포하기 위한 세척수 살포장치(820)가 모듈프레임(815)에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형 청소드럼(81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전에 세척수를 외벽에 살포할 수 있도록,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세척수 살포장치(820)는 회전형 청소드럼(810)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수가 횡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세척수 살포장치(820)는 후방으로 갈수록 횡방향 폭이 증가하는 부채꼴 형상의 분사구(821)을 구비할 수 있다. 세척수 살포장치(820)로부터 세척수가 외벽에 분사되면서 외벽에 존재하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1차로 제거됨과 동시에 외벽에 수분이 공급되며, 그에 따라 후속되는 회전형 청소드럼(810)에 의한 이물질의 2차 제거가 더욱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ork module 800 for the cleaning operation includes a module frame 815 disposed toward the outer wall, and a cylinder extending laterally,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dule frame 815 and being rotated. It comprises a rotary cleaning drum 810 to shake off or wipe off the foreign matter by the outer wall.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module frame 815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frame member, the square plane is disposed to face the outer wall, the rear side of the module frame 815 is formed of a horizontally extending cylindrical Rotary cleaning drum 810 is provided. The rotary cleaning drum 810 may be in the form of a soft brush made of fusing or microfiber, which is eas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cleans the outer wall by brushing off or wiping off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wall by rotation. Although one rotary cleaning drum 810 is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the rotary cleaning drum 81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rotary cleaning drums 810 may be disposed thereon. It may be provided in parallel down. If necessary, a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on the outer wall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odule frame 815.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may be installed below the rotating cleaning drum 810 so as to spray the washing water onto the outer wall before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y the rotating cleaning drum 810. As shown in FIG. 16, the washing water spreading apparatus 820 may include a fan-shaped spray hole 821 in which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so that the washing water may be evenly sprayed in a wide range in the lateral direction. As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the outer wall from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existing on the outer wall are firstly removed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wall, thereby providing two of the foreign substances by the subsequent rotary cleaning drum 810. Tea removal is more smooth and efficient.

필요한 경우, 세척수 살포장치(820)에는 고압공기와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공기 혼합장치(8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압공기 혼합장치(843)는 고압공기 호스로부터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외벽을 향하여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고압공기 혼합장치(843)에 연결된 물공급 호스를 통해서 공급되는 세척수는, 고압공기의 분사 과정에서 강하게 흡인되어 고압공기와 혼합됨으로써 고압의 미립수(微粒水) 형태로 분사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세척수를 토네이도처럼 교란시킨 고압 미립수의 형태로 분사하는 구성을 필요에 따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압의 미립수를 회오리 또는 토네이도 형태로 강한 흐름을 가진 형태로 외벽에 분사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부채꼴 형상의 분사구(821) 내부에는 관 형태의 노즐바(nozzle bar)(822)가 외벽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노즐바(822)의 내부에는 미립수 분사관(828)이 위치한다. 노즐바(822)는 고압공기 혼합장치(843)와 연결되며, 미립수 분사관(828)의 주위로 고압 공기가 토출된다. 무게추(823)가 노즐 바(822)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노즐바(822)가 구비된 경우, 고압공기 혼합장치(834)로부터 만들어진 고압의 미립수가 노즐바(822)에서 뿜어져 나오게 되는데, 미립수의 압력으로 인하여 노즐바(822)는 부채꼴 형상의 분사구(821) 내에서 요동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미립수는 토네이도 같이 회오리치며 외벽을 향하여 분사된다. 즉, 노즐바(822)가 요동운동하면서 분사되는 고압의 미립수는 부채꼴 형상의 분사구(821)에 의해 외벽방향으로 유도되어 외벽의 청소 예정 부분에 흩뿌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척수 살포장치에서 부채꼴 형상의 분사구(821) 내에서 요동치는 노즐바(822)를 통해서 세척수가 고압의 공기와 함께 토네이도 형태의 교란된 고압 미립수로 분사되는 경우, 아주 소량의 물을 소모하면서도 청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 물 절약은 물론이고 청소에 의한 오염수의 배출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세척수 살포장치(820)는 1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igh pressure air mixing device 843 for mixing the high pressure air and water to spray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he high pressure air mixing device 843 receives the high pressure air from the high pressure air hose and sprays it toward the outer wall.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air mixing device 843 is strongly sucked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high pressure air and mixed with the high pressure air to be sprayed in the form of high pressure fine water.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high-pressure particulate water disturbed like a tornado.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be sprayed to the outer wall in the form of a strong flow in the form of whirlwind or tornado in high pressure fine water.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a nozzle-shaped nozzle bar 822 is provided inside the fan-shaped injection hole 821 in an extended form toward the outer wall, and the particulate water inside the nozzle bar 822. Injection pipe 828 is located. The nozzle bar 822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air mixing device 843, and high pressure air is discharged around the fine water injection pipe 828. A weight 823 is provided at the nozzle bar 822. When the nozzle bar 822 is provided in such a form, the high pressure fine water generated from the high pressure air mixing device 834 is spouted from the nozzle bar 822, and the nozzle bar 822 is caused by the pressure of the fine water. In the fan-shaped injection hole 821, the oscillating motion, so that the fine water is tornado-like tornado is injected toward the outer wall. That is, the high pressure fine water injected while the nozzle bar 822 oscillates is guided in the outer wall direction by the fan-shaped injection port 821 and is scattered on the cleaning part of the outer wall. As such, when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into the tornado-type perturbed high-pressure fine water through the nozzle bar 822 oscillating in the fan-shaped nozzle 821 in the washing water spreading device,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Consumption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while cleaning, bar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not only save water but also minimize the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by cleaning.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모듈프레임(815)의 후방 측면에는 바퀴(830)가 구비될 수 있다. 바퀴(8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프레임(815)의 후방 측면 모서리 4곳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퀴(830)는 작업모듈(800)이 외벽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돕는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외벽을 보호하는 완충재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바퀴(830)로는 저압의 공기타이어(Pneumatic Tire)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저압의 공기타이어의 경우, 압력이 낮으므로 바퀴가 장애물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청소 작업시 창문 이음부와 같은 작은 장애물을 쉽게 타 넘어갈 수 있게 되어 매우 용이하고 원활하게 외벽을 따라 움직이면서 청소작업 등의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830)를 통해 창문 이음부 같은 작은 장애물을 타넘어 가면서 작업하게 되며, 돌출턱이나 함몰부와 같은 큰 장애물을 만나면 진퇴유닛의 작동에 의해 작업모듈을 전후진시켜서 외벽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The rear side of the module frame 815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830. Wheels 8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figure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rear side edges of the module frame 815. The wheel 830 serves to help the work module 800 move along the outer wall and also function as a shock absorber to protect the outer wall.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low pressure pneumatic tire as the wheel 830. In the case of a low pressure pneumatic tire, since the pressure is low, the wheel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bstacle, so that the window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Small obstacles such as joints can be easily crossed so that the outer wall work such as cleaning can be per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wall very easily and smoothly. In this way, while working over the small obstacles such as window joints through the wheels 830, when encountering large obstacles such as protrusions or depressions, the work modu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retreat unit to proceed with the exterior wall work. do.

특히, 저압의 공기타이어(Pneumatic Tire)를 사용하는 경우, 유연한 바퀴의 크게 파여진 트레이드가 프로펠러 추력으로 유리면에 밀착 압착되어 접하여 마치 유리면에서 빨판처럼 붙잡아 있게 되므로 바람 등에 의해 작업모듈에 발생하는 좌우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using low-pressure pneumatic tires, the largely traded flexible wheels are pressed and pressed against the glass surface by propeller thrust, so as to be caught like a sucker on the glass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ectively reduces.

더 나아가, 바퀴(830)를 장착함에 있어서, 스프링 및 감쇄기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쇽크 업져버/shock absorber)를 이용하여 모듈프레임(815)의 후방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바퀴(830)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로 원활하게 지나가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Further, in mounting the wheel 830, by using a shock absorber (shock absorber) using a spring and an attenuator to install on the rear side of the module frame 815, the wheel 830 to block the obstacles It is also desirable to pass smoothly with minimal impact when passing.

도 17에는 외벽을 청소하는 작업모듈(8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찌든 먼지처럼 제거하기 어려운 이물질이 외벽에 존재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처럼 단순히 세척수를 가압 살포하고 회전형 청소드럼(810)으로 표면을 쓸어내어 닦는 것만으로는 이물질이 깨끗하게 청소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모듈(800)은 세척수를 가열된 증기 형태 즉, 스팀 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작업모듈(800)의 경우, 모듈프레임(815)의 후방 측면에는 유체공급파이프(861)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유체공급파이프(861)에는 외벽을 향하여 유체분사노즐부(860)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노즐부(860)는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된 세척수가 스팀의 형태로 만들어져서 유체공급파이프(861)로 공급되면 유체분사노즐부(860)를 통해서 외벽에 분사된다. 스팀을 외벽에 분사하는 경우, 외벽을 강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경성(硬性) 브러시가 표면에 구비된 회전형 청소드럼(81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모듈(800)에 위와 같은 유체공급파이프(861) 및 유체분사노즐부(860)를 더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벽에 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외벽이 찌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 오염되어 있더라도, 매우 효과적으로 이를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IG.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3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ork module 800 for cleaning the outer wall. It can often happen that the foreign matter is not simply cleaned by simply applying pressure and spraying the wash water and wiping the surface with the rotary cleaning drum 810, such as in the case of foreign matter that is difficult to remove, such as dust, on the outer wall. have. For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if necessary, the work module 800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heated steam, that is, steam.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work module 800 illustrated in FIG. 17, the fluid supply pipe 861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rear side of the module frame 815. The fluid injection nozzle part 860 is formed in the fluid supply pipe 861 toward the outer wall.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fluid injection nozzle part 8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Therefore, when the supplied washing water is made in the form of steam an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ipe 861, it is sprayed to the outer wall through the fluid injection nozzle unit 860. When steam is sprayed on the outer wall,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otary cleaning drum 810 provided with a hard brush on the surface of which the outer wall can be strongly washed. When the fluid supply pipe 861 and the fluid injection nozzle unit 860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work module 800 and the steam is sprayed on the outer wall using the same, even if the outer wall is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such as dust, etc.,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removed and cleaned very effectively.

위에서 설명한 유체분사노즐부(860)가 형성된 유체공급파이프(861)의 구성은 스팀을 분사하는 것 이외에도 도장 페인트를 분사하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작업모듈(800)에서 회전형 청소드럼을 제거하고 유체공급파이프(861)에 도장 페인트를 공급하여 유체분사노즐부(860)를 통해서 외벽에 도장 페인트를 분사하게 되면, 작업모듈(800)은 실질적으로 외벽작업으로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도장작업모듈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8에는 작업모듈(800)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유체공급파이프(861)가 구비된 작업모듈(8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8에 예시된 것처럼, 유체공급파이프(861)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하향으로 작업할 경우,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체공급파이프와 유체분사노즐부에 의해서는 도장용 프라이머를 분사하고, 위쪽에 위치하는 유체공급파이프와 유체분사노즐부에 의해서는 도장 페인트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작업모듈(800)을 구성할 수 있는 바, 다양한 도장 방식에 맞추어서 작업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도장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supply pipe 861 having the fluid injection nozzle unit 860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inject paint in addition to spraying steam. When the rotary cleaning drum is removed from the work module 800 shown in FIG. 17 and the paint is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ipe 861 to spray paint paint on the outer wall through the fluid spray nozzle part 860, the work module 800 is to function as a painting operation module to perform painting as a substantially outer wall work. FIG.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odule 800 having a plurality of fluid supply pipes 861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working module 800. As illustrated in FIG. In case of working downward with a plurality of 861, the primer for spraying is sprayed by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ejection nozzle unit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ejection nozzle unit located at the upper side are used. The work module 800 may be configured by spraying paint paint, and thus, the work module 800 may be efficiently configured by configuring the work module according to various paint methods.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작업모듈(800)은 구동모듈(700)의 수납프레임(712)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데, 작업모듈(800)의 모듈프레임(815)이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존 작업모듈을 제거하고 새로운 작업모듈을 상,하부 수평신축빔(912)에 조립 결합할 수 있는 바, 외벽작업에 맞추어서 필요한 형태의 작업모듈(800)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외벽작업에 최적화된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이 작업모듈(800)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구동모듈(700)에 조립 결합할 수 있는 구성에서는 작업모듈(800)과 구동모듈(700)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수리 또는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 역시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module 800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712 of the driving module 700, and the module frame 815 of the working module 800 has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912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In such a configuration, the existing work module can be removed and a new work module can be assembled and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2, so that the work module 800 of the required shape can be replaced and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exterior wall wor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te optimized for exterior wall work. Furthermore, in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ork module 800 can be easily replaced and assembled to the driving module 700, repair or management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module 800 and the driving module 7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maintenance is also very easy.

본 발명에 따른 외벽작업장치(600)는 와이어(3)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하로 승하강할 때마다 외벽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지만, 하강할 때만 외벽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부 작업시점에서부터 하부 작업종점까지 종방향으로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벽작업장치(600)에 구비된 작업모듈(800)의 작업폭에 대해 외벽작업이 수행되고, 다시 연직방향 작업구간의 상부 작업시점까지 외벽작업장치(600)가 인상된 후, 작업폭만큼 횡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연직방향으로 상부 작업시점에서부터 하부 작업종점까지 이동하면서 외벽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반복되는 방식으로 외벽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by the wire (3), the outer wall work may be performed every time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outer wall work only when descending It may also be performed. That is, the outer wall work is performed on the working width of the work module 800 provided in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n the process of moving downward from the upper work point to the lower work end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gain the upper work of the vertical work section. After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s raised to the point in time, the outer wall work may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uter wall work is repeated while moving from the upper work point to the lower work end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gain in the horizontally moved state by the working width. It is.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opeway system 100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에 구비된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수평하게 연장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Ropeway Cable)(1)과, 권양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프웨이 케이블(1)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딩박스(Holding Box)(2)와, 홀딩박스(2)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된 연직한 와이어(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3)의 하단에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가 결합된다. Ropeway system 100 provided in the outer wall working system of the ae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eway cable (Ropeway Cable) (1) and a hoisting device that is horizontally arranged to be disposed and is movable to the ropeway cable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ing box (2) coupled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wire (3)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3).

도 19에는 도 1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외벽작업장치(600)가 로프웨이 시스템(100)에 의해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에 매달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벽체걸이 후크(Hook)장치(10)가 개방창(910)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은 처짐이 방지되도록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체결되어 매달리고 팽팽하게 긴장(緊張)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20에는 본 발명에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에 형성된 개방창(910)의 벽체에 벽체걸이 후크장치(10)가 설치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이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체결되어 매달려 있는 구조의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 19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벽체걸이 후크장치(10)는, 개방창(910)의 벽체 가장자리 상면을 감싸는 후크 본체(11)를 포함하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후크 본체(11)의 일단은 개방창(910)에서 가장자리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개방창(910)의 벽체 가장자리 외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상면을 위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후크 본체(11)에는 슬링(Sling)(111)이 끼워져 있다. 후크 본체(11)의 고리 형상으로 인하여 후크 본체(11)에는 외벽(900)을 항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경사부분에는 슬링(111)이 후크 본체(11)에 끼워져서 구비되며, 이러한 슬링(111)은 후크 본체(11)에 끼워진 채로 경사부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후크 본체(11)의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에는 슬링(111)이 원하는 위치에서 하향 이동되지 않고 멈춰있게 만들기 위한 슬링 스토퍼(Stopper)(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1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tate of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by the ropeway system 100 to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wall hook devices (Hook) device (10) i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sing the opening window 910, the ropeway cable (1) is a wall hook hook to prevent sag It is fastened to the device 10 and is installed in a suspended state. 20 is a wall hook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open window 910 formed on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eway cable 1 is fastened to the wall hook device 10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A portion of FIG. 19 is shown in detail showing an example of a hanging structure. The wall hook device 10 includes a hook body 11 that surrounds an upper surface of the wall edge of the opening window 910,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hook body 11 in the edge of the opening window 91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open window 910 to b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wall edge of the open window 910. A sling 111 is fitted into the hook body 11. Due to the hook shape of the hook body 11, the hook body 11 has a slanted portion inclined downward along the outer wall 900, and the sling 111 is fitted to the hook body 11 in the slanted portion. The sling 111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clined portion while being fitted to the hook body 11. The slanted stopper 112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slanted inclined portion of the hook body 11 to stop the sling 111 without moving downward at a desired position.

후크 본체(11)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링(111)에는, 행거 유닛(Hanger Unit)(12)이 결합 구비된다. 도 21에는 행거 유닛(12)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행거 유닛(12)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행거연결부재(121)와, 상기 행거연결부재(121)에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되어 걸쳐지게 되는 케이블 행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 행거(40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행거연결부재(121)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행거연결부재(121)에는 고소 구조물의 외벽을 향하여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간격스페이서(Spacer)(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간격스페이서(129)가 더 구비되면, 행거연결부재(121)는 간격스페이서(129)의 길이만큼 외벽과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외벽에 기대어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된다. 따라서 행거연결부재(121)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 및 이를 관통하는 로프웨이 케이블(1)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된 홀딩박스(2) 및 그에 연결된 연직와이어(3) 및 외벽작업장치(600)도 외벽작업에 필요한 정도의 간격을 두고 고소 구조물의 외벽과 이격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간격스페이서(129)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막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외벽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가 증감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행거연결부재(121)에 간격스페이서(129)의 단부가 관통하는 끼움부재를 설치하고, 간격스페이서(129)의 위치를 조정한 후, 끼움부재에 구비된 볼트 등의 체결고정재를 조여서 간격스페이서(129)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외벽작업장치(600)와 고소 구조물의 외벽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슬링(111)이 후크 본체(11)에 끼워진 채로 후크 본체(11)의 경사부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 때 슬링(111)이 승하강하여 행거연결부재(121)의 위치가 바뀔 때에는 간격스페이서(129)의 길이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행거연결부재(121)가 안정적으로 외벽에 기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hanger unit 12 is coupled to the sling 111 provided to be slid to the hook body 11. FIG.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hanger unit 12 separately. The hanger unit 12 includes a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formed of a beam-shaped member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cable hanger 400 provided in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so that the ropeway cable 1 penetrat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able hanger 400 is made of a ring-shaped member through which the ropeway cable 1 passes,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a plurality of the hanger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129 formed of a rod-shaped member extending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When the spacer 129 is further provided,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reliably leaned on the outer wall at intervals from the outer wall by the length of the spacer 129. Therefore, the cable hanger 400 and the ropeway cable 1 penetrating the cable hanger 400 provided in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are positioned at intervals with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and thus the holding box coupled to the ropeway cable 1 2) and the vertical wire (3) and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connected thereto are also effective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at intervals necessary for the outer wall work. The spacer spacer 129 may be formed of a rod-shaped member extending toward the outer wall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extending toward the outer wall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is case, the fitting member penetrates the end of the spacer spacer 129 through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pacer spacer 129, and tightens the fastening fasteners, such as bolts provided in the fitting member, the interval It may have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pacer 129. In orde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and the oute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the sling 111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hook body 11 while being fitted to the hook body 11. When the sling 111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position of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spacer spacer 129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can be stably held on the outer wall. .

로프웨이 케이블(1)은 행거 유닛(12)의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도 22에는 행거연결부재(121)에서 케이블 행거(400)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케이블 행거(400)에 구비된 스윙게이트(410)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도 22의 케이블 행거(400)에서 스윙게이트(410)가 닫혀서 케이블 행거(400)의 하부 슬릿(Slit)(490)이 폐쇄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5에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는 도 22의 케이블 행거(400)에서 스윙게이트(410)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행거(400)는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는 중공이 존재하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하부에는 절취되어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슬릿(490)을 개폐하는 스윙게이트(Swing Gate)(41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행거(400)의 일측 외면에는 스윙게이트(410)가 끼워져서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 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412)에는 스윙게이트(410)가 삽입되는데, 가이드 홈(412)에는 압축 스프링(411)이 내장되어 있어서, 홀딩박스가 통과하지 않을 때에는 가압력에 의해 스윙게이트(410)를 가이드 홈(412) 밖으로 밀어줘서 스윙게이트(410)가 슬릿(490)을 막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 행거(400)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된 링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여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ropeway cable 1 penetrates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of the hanger unit 12, and thus is suspended in the cable hanger 400. FIG. 2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able hanger 400 separated from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and 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wing gate 410 provided at the cable hanger 400 separately. Is shown. In FIG. 24, the swing gate 410 of the cable hanger 400 of FIG. 22 is closed to close the lower slit 490 of the cable hanger 400, and the ropeway cable 1 passes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s shown showing the suspended state, and FIG. 2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24. FIG. 2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wing gate 410 in the cable hanger 400 of FIG. 22, and FIG. 27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26. ha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ble hanger 400 is formed of a ring-shaped member in which a hollow through which the ropeway cable 1 penetrates is formed, and a slit 490 cut and open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wing gate (410) for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groove 412 through which the swing gate 410 is inserted and moved is formed at one outer surface of the cable hanger 400. A swing gate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A compression spring 411 is built in the guide groove 412. When the holding box does not pass, the swing gate 410 is guided by the pressing force. 412, the swing gate 410 blocks the slit 490, so that the cable hanger 400 remains in a closed ring shape as shown in FIGS. 24 and 25, such that the ropeway cable 1 It penetrates through this cable hanger 400, and keeps it suspended safely.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여야 할 때에는,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에 닿으면서 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스윙게이트(410)가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412) 속으로 더 들어가게 되어 슬릿(490)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슬릿(490)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홀딩박스(2)는 케이블 행거(400)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고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원활하게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할 수 있게 된다.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오면서 눌려있었던 압축 스프링(411)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스윙게이트(410)가 다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릿(490)을 폐쇄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은 다시 케이블 행거(400)에 안전하게 걸려있게 된다. When the holding box 2 has to pass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the neck part 511 of the cable coupling part 510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push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swing gate 410. And as shown in FIGS. 26 and 27, the swing gate 410 is slid further into the guide groove 412 so that the slit 490 is opened, thereby coupling the cabl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As the neck portion 511 of the portion 510 passes through the slit 490, the holding box 2 is smoothly transversely horizontally along the ropeway cable 1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able hanger 400. You can move. When the holding box 2 passes completely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the compression spring 411 that was pressed as the swing gate 410 is pushed into the guide groove 412 exerts a restoring force, and accordingly, FIG. 24. As shown in the swing gate 410 is automatically slid again to close the slit 490 so that the ropeway cable 1 is again securely hung on the cable hanger 400.

위와 같이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에 닿았을 때 스윙게이트(410)가 더욱 원활하게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목 부분(511)이 처음 닿게 되는 스윙게이트(410)의 시점부 단부에는 경사진(약 45도로 경사진) 모따기부(420)를 형성한다(도 23 참조). 후술하는 것처럼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에서도 목 부분(511)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약 45도 형태의 등변삼각 경사면(520)을 형성하게 되면, 모따기부(420)와 목 부분(511)의 경사면(520)이 맞닿게 되어 스윙게이트(410)의 개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는 행거연결부재(121)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목 부분(511)을 평면형태로 절단하여 그 단면 형태를 보면, 목 부분(511)의 전후방 진출입 부분은 등변 삼각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홀딩박스가 전진할 때 또는 필요에 따라 후진할 때, 목 부분(511)이 용이하게 케이블 행거(400)에 형성된 스윙게이트 모따기부(420)의 경사면을 밀어 올려 슬릿(490)이 개방되게 만들므로, 홀딩박스의 전후진에 상관없이 언제나 홀딩박스(2)가 케이블행거(40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neck portion 511 of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touches the swing gate 410 as described above, the swing gate 410 may be pushed into the guide groove 412 more smooth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hamfer 420 is inclined (inclined to about 45 degrees) at the end of the view point of the swing gate 410 to which the neck portion 511 first touches (see FIG. 23).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ble coupling part 510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when the equilateral triangular inclined surface 520 of about 45 degrees is formed at the transverse edge of the neck part 511, the chamfering part 420 is formed. The inclined surface 520 of the neck portion 511 abuts to smoothly open the swing gate 410. The cable hanger 400 provided with the swing gate 41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hanger connecting member 121. When the neck portion 511 is cut into a planar shape and its cross-sectional shape is see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neck portion 511 have an equilateral triangular sha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olding box may be moved forward or as needed. When the neck 511 easily push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wing gate chamfer 420 formed on the cable hanger 400 to make the slit 490 open, the holding box is always held regardless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can pass smoothly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작업장치(600)를 매달고 있는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수평하게 횡이동하게 되는데, 로프웨이 케이블(1)은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으므로, 케이블 행거(400)는 홀딩박스(2)가 이동할 때 장애물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케이블 행거(400)는 하부에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개폐하는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되어 있는 바, 홀딩박스(2)의 수평이동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스윙게이트(410)가 슬릿(490)을 폐쇄하여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게 하면서도, 홀딩박스(2)가 횡이동할 때에는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서 슬릿(490)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홀딩박스(2)는 매우 원활하게 케이블 행거(400)를 지나서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통해서 케이블 행거(400)가 홀딩박스(2)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9, the holding box 2 suspended from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ropeway cable 1, and the ropeway cable 1 is suspended from the cable hanger 400. The cable hanger 400 may be an obstacle when the holding box 2 mov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hanger 400 has an open slit 490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swing gate 4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r hanger.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is unnecessary, When the swing gate 410 closes the slit 490 so that the ropeway cable 1 stably hangs on the cable hanger 400 while penetrating the cable hanger 400, the holding box 2 moves horizontally. The neck portion 511 of the cable coupling part 510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pushes the swing gate 410 to open the slit 490, so that the holding box 2 smoothly hangs the cable hanger ( It is 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past 40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ble hanger 40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hindering the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is exhibited.

도 28에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에서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원 G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의 (a) 및 (b)에는 각각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매달려 있는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 28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도 29의 (a))와 개략적인 횡방향 정면도(도 29의 (b))가 도시되어 있고, 도 30에는 도 29의 (b)에서 화살표 Y-Y에 따른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는 도 29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에는 홀딩박스(2)가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기 위하여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의 (a) 내지 (d)에는 각각 케이블 결합부(510)가 슬로프(430)를 가지는 케이블 행거(400)에 접근하여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29 내지 도 32에서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고, 도 33에서는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의 링부분만을 도시하였는데, 특히 케이블 행거(400)는 단면 형태로 도시하였다. FIG. 28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G portion of FIG. 1 showing the holding box 2 movably hanging on the ropeway cable 1 in the ropeway system 100. 29 (a) and 29 (b) show a schematic enlargement of the circle D portion of FIG. 28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ble coupling part 510 of the holding box 2 is suspended from the ropeway cable 1,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FIG. 29A) and a schematic lateral front view (FIG. 29B) are shown, and FIG. 3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row YY in FIG. 29B. Is shown. FIG. 31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long line E-E of FIG. 29. FIG. 3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coupling part 510 enters the cable hanger 400 so that the holding box 2 passes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3A to 33D are schematic front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roaching and entering a cable hanger 400 having a slope 430, respectively, by the cable coupler 510. For conveni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device described below is omitted in FIGS. 29 to 32, and only the ring portion of the through case 512 and the cable hanger 400 is illustrated in FIG. 33. In particular, the cable hanger 4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hown.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홀딩박스(2)의 상부에는 케이블 결합부(5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케이블 결합부(510)는,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기 위한 얇은 두께의 부재로 이루어진 목 부분(511)과, 상기 목 부분(511)의 위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케이스(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 부분(511)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통케이스(512)의 내부에는 로프웨이 케이블(1)의 위를 타고 구름운동하는 롤러 풀리(Roller Pulley)(513)가 구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가 처음 닿게 되는 스윙게이트(410)의 시점부 단부에는 모따기부(4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스윙게이트(410)의 모따기부(420)에 닿게 되는 목 부분(511)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에서 횡방향 양면에 각각 등변 삼각형 형태의 경사면(5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목 부분(511)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에는 경사면(5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경사면(520)의 경사각도는 약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따기부(420)와 경사면(520)이 형성된 경우,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할 때 목 부분(511)의 경사면(520)이 모따기부(420)와 만나서 매우 원활하게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줘서 슬릿(490)이 개방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 행거(400)의 스윙게이트(410)에 닿아서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는 수직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그에 따라 슬릿(490)이 개방되는데, 스윙게이트(410)에 모따기부(42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목 부분(511)의 횡방향 가장자리에도 경사진 부분(520)을 형성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의 개방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28 to 32, a cable coupling part 51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box 2, and the cable coupling part 510 passes through the slit 490 of the cable hanger 400. It comprises a neck portion 511 made of a member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through case 512 made of a tubular member through which the ropeway cable 1 penetrates integrally provided on the neck portion 511. do. Neck portion 511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s made of a plate member, the inside of the through-case 512 is provided with a roller pulley (Roller Pulley) 513 to roll over the ropeway cable (1) It is.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form a chamfer 420 at the end of the view portion of the swing gate 410 to which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of the holding box 2 first touches. It is preferable to form inclined surfaces 520 having equilateral triangular shapes on both sides of the transverse direction at both longitudinal edges of the neck portion 51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hamfer 420. That is, as shown in FIG. 30, the inclined surfaces 520 are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dges of the neck portion 511.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520 is preferably about 45 degrees. As such, when the chamfer 420 and the inclined surface 520 are formed, the inclined surface 520 of the neck portion 511 is chamfered when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passes through the slit 490 of the cable hanger 400. The slit 490 is opened by pushing the swing gate 410 very smoothly with 42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of the holding box 2 touches the swing gate 410 of the cable hanger 400 and exerts a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wing gate 410 slides vertically and guides. It is pushed into the groove 412 and thus the slit 490 is opened, forming a chamfer 420 in the swing gate 410 and correspondingly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neck 511 in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When the inclined portion 520 is also formed at the edge, an advantageous effect of opening the swing gate 410 more smoothly is exerted.

또한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관통케이스(512)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완만한 슬로프로 경사지게 절단한 절취부(5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향 경사로 절단한 형태의 절취부(531)가 형성되는 것이다. 절취부(531)의 위쪽으로 관통케이스(512)의 양단부에는 종방향 단부로 갈수록 통형상의 단면 크기가 줄어드는 테이퍼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에 일체 결합되어 구비됨에 있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목 부분(511) 상단의 종방향 길이는, 관통케이스(512) 양단의 절취부(531) 사이의 종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의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절취부(531)의 뒤쪽에서 관통케이스9512)에는 목 부분(511)이 존재하지 않은 짧은 원통구간(532)이 존재하게 된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향 경사로 절단한 형태의 절취부(531)가 형성되며, 절취부(531)가 끝난 부분에 바로 후속하여 목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짧은 원통구간(532)이 관통케이스(512)가 존재하며, 원통구간(532)에 이어서 등변삼각 경사면(520)으로 시작하는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8 to 32, the through case 512 of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and cuts inclined with a gentle slope at both transverse ends of the through case 512.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531 is formed. That is, the cutout portion 531 is formed by cutting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transverse end portions of the through case 512 toward the center portion. At both ends of the through-case 512 above the cutout 531, a tapered portion 530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ize may be formed toward the longitudinal end. In the cable coupling part 510, the neck part 51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through case 512.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neck part 511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case 512.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between cutouts 531.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neck portion 511 is coupled to the through case 512, a short cylindrical section 532 in which the neck portion 511 does not exist is formed in the through case 9512 at the rear of the cutout 5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will exist. That is, the cutout portion 531 is formed by cutting down the inclined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transverse ends of the through-case 512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does not exist immediately after the cutout portion 531 is finished. The non-short cylindrical section 532 is a through-case 512, the neck portion 511 starting with the cylindrical section 532 and then the equilateral triangular inclined surface 520 is coupled to the through-case 512.

이러한 절취부(531)에 대응하여 도 33의 (a) 내지 (d)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위로 솟은 부분이 존재하여 케이블 행거(400)의 횡방향 양단부 방향으로는 하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슬로프(slope)부(430)가 형성된다.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로프부(430)의 경사진 각도는 절취부(531)의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의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가 케이블 행거(400)의 슬로프부(430)와 만나면서,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에 존재하는 단차(연직방향의 높이차)를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531, as shown in (a) to (d) of FIG. 33, an upper portion of the cable hanger 4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of the cable hanger 400 in the transverse both ends of the cable hanger 400. The slope portion 430 is formed of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angle of the slope portion 430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ble hanger 40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angle of the cutout portion 53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hrough case 512 enters the inside of the cable hanger 400, the cutout portion 531 of the through case 512 meets the slope portion 430 of the cable hanger 400, and the through cas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moothly cross the step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existing between the 512 and the cable hanger 400 is exerted.

도 33의 (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로프웨이 케이블(1)은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해오는 관통케이스(512) 내부에서는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케이스(512) 내부에 장착된 롤러 풀리(513)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홀딩박스(2) 등의 무게로 인하여 관통케이스(512)는 케이블 행거(400)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는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데 불편함을 야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 완만한 슬로프로 경사지게 절단한 절취부(531)를 형성하고,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절취부(531)의 경사진 것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도록 횡방향 양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슬로프부(430)를 형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단차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관통케이스(512)가 원활하게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여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순조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 행거(400)의 스윙게이트(410)에 의해 슬릿(49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홀딩박스(2)의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로 접근하면서, 우선적으로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가 케이블행거(400)로 진입한다. 절취부(531)는 케이블 행거(400) 내부의 슬로프부(430)와 동일하게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므로,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의 높이 차이에 의한 단차에도 불구하고 절취부(531)가 도 33의 (b) 내지 (d)에 도시된 것처럼 슬로프부(430)에 밀착한 상태로 관통케이스(512)가 슬로프부(430)를 따라 올라가면서 케이블 행거(400)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는 단차를 극복하면서 용이하게 우선적으로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절취부(531)의 아래쪽 및 종방향으로 절취부(531)에 후속하는 짧은 원통구간(532)에는 목 부분(511)이 아직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절취부(531)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As shown in (a) of FIG. 33, the ropeway cable 1 is suspended in the cable hanger 400, and the ropeway cable 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through case 512 entering the cable hanger 400. 512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pulley 513 mounted inside, due to the weight of the holding box (2), the through case 512 is located below the cable hanger 400, thereby through A step occurs between the case 512 and the cable hanger 400. This step causes inconvenience to the through case 512 to enter the cable hanger 40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utout portion 53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case 512 inclined with a gentle slope, and the cutout portion 5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of the cable hanger 400. By forming the slopes 430, each of which is inclined downward on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have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 the through case 512 smoothly moves to the cable hanger 400 despite the presence of the step difference. Entering the holding box 2 has an advantage that can pass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smoothly. Looking in detail, while the slit 490 is closed by the swing gate 410 of the cable hanger 400, while the through case 512 of the holding box 2 approaches the cable hanger 400, Firstly, the cutout 531 of the through case 512 enters the cable hanger 400. Since the cutout 531 is formed to have a gentle slope in the same way as the slope 430 inside the cable hanger 400, despite the step differenc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hrough case 512 and the cable hanger 400. And the cable hanger 400 as the through case 512 ascends along the slope portion 430 in a state in which the cutout portion 5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 portion 430 as shown in (b) to (d) of FIG. 33. ) Will go smoothly. That is, the cutout portion 531 of the through case 512 is to enter the cable hanger 400 easily and preferentially while overcoming the step.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neck portion 511 is not yet present in the short cylindrical section 532 following the cutout 531 in the lower a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out 531 and thus such cutout. It is very natural that 531 enters the cable hanger 400.

케이블 결합부(510)가 도 33의 (c)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조금 더 케이블 행거(400) 내부로 진입하여, 절취부(531) 및 그에 후속하는 원통구간(532)이 케이블 행거(400) 속으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목 부분(511)의 종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520)이 스윙게이트(410)에 닿게 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것처럼 목 부분(511)에 형성된 경사면(520)이 스윙게이트(410)의 모따기부(420)와 만나면서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주는 힘을 가해지고, 그에 따라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슬릿(490)이 개방된다. 후속하여 도 33의 (d)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 슬릿(490)을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통과하게 되어, 홀딩박스(2)는 케이블 행거(400)로 인한 아무런 지장도 받지 않은 채 횡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는 과정이 매우 수월하고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것이다. The cable coupler 510 enters the cable hanger 400 a little further from the state shown in FIG. 33C, and the cutout 531 and the subsequent cylindrical section 532 are connected to the cable hanger 400. After fully entering, the inclined surface 520 formed at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neck portion 511 touches the swing gate 41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surface 520 formed on the neck portion 511 meets the chamfer 420 of the swing gate 410, and applies a force to push the swing gate 410, and accordingly, the swing gate 410. Is pushed into the guide groove 412 to open the slit 490. Subsequently, the neck portion 511 of the cable coupler 510 passes through the opened slit 490 as shown in FIG. 33 (d), so that the holding box 2 is free of any cable hanger 400. They move horizontally without any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process, the process of passing the holding box 2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is very easy and naturally proceeds.

외벽작업장치(600)가 연직방향으로 수직이동하는 동안에, 그리고 외벽작업장치(600)에 의해 외벽에 대한 외벽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 정지하고 있어야 한다. 홀딩박스(2)에 모터와 같은 자동주행 수단을 설치하여, 홀딩박스(2)가 자체적으로 주행하고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홀딩박스(2)에 홀딩박스 견인줄을 연결하여 견인줄을 횡방향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홀딩박스(2)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홀딩박스(2)를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가 홀딩박스(2)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34 및 도 35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28의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4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잠김상태에 있어 홀딩박스(2)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5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해제되어 홀딩박스(2)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While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moves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uter wall work on the outer wall is performed by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the holding box 2 should be stopped on the ropeway cable 1. do.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holding box 2 so that the holding box 2 can run and stop itself by installing an automatic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in the holding box 2, but by connecting the holding box pull line to the holding box 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holding box 2 is moved in a pulling manner, a brake device for stopping the holding box 2 on the ropeway cable 1 should b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34 and 35 show an enlarged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part D of FIG. 28 with 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4. FIG. 34 shows the holding box 2 in the locked state. The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stopped is illustrated, and FIG. 3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rake device is released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브레이크 장치에는, 상단에 브레이크 패드(570)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은 케이블 결합부(510) 또는 홀딩박스(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바(Bar)(571)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바(571)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접하게 되면 마찰에 의해 홀딩박스(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되고, 반대로 회전 바(571)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과 더 이상 접하지 않게 되면 홀딩박스(2)가 움직일 수 있는 "브레이크 해제 상태"가 된다. 회전 바(571)는 케이블 결합부(510)의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바(571)는 수평 연결바(5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은 각각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바(57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은 회전 바(571)를 따라 회전 바(57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연결바(573)가 하향으로 내려가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양쪽의 회전 바(571)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가 풀려서 홀딩박스(2)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수평 연결바(573)가 상향으로 올라가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양단 쪽의 회전 바(571)가 상향 회전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홀딩박스(2)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brake device, the brake pad 57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ry bar (Rotary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or the holding box (2) 571). When the rotation bar 571 rotates upward and the brake pad 5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peway cable 1, the brake box 570 is in a "brake operating state" to prevent the holding box 2 from moving due to friction, and vice versa. When the brake pad 570 is no longer in contact with the ropeway cable 1 by rotating downward, the holding box 2 is moved to a "break release state". The rotary bars 571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cable coupling part 510, and the pair of rotary bars 571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cable coupler 5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are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rotating bars 571 respectively positioned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573 is coupl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bar 571 along the rotation bar 571. 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downward, the rotating bar 571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571 is rotated downward to release the brakes to move the holding box 2. On the contrary, when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upward, the rotary bars 571 of both ends coupled thereto are rotated upward, and the brake is operated to make the holding box 2 impossible to move.

이러한 수평 연결바(573)의 연직방향 승하강을 위하여 승하강 지지봉(5730)이 수평 연결바(573)의 중앙 위치에 존재하며, 승하강 지지봉(5730)에는 2개의 도르래 즉, 상,하부 도르래(576, 577)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 연결바(573)는 상,하부 도르래(576, 57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은 일측에서부터 수평으로 진행하여 상부 도르래(576)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하고 하부 도르래(577)을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573)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도면에서 오른쪽으로)으로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The elevating support bar 5730 is loca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for the vertical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and two pulley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ulleys, are provided at the elevating support bar 5730. 576 and 577 are provided,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576 and 577.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is horizontally coupled from the one side and is turned downward through the upper pulley 576 and coupled upwardly through the lower pulley 577 and coupled with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have.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brake traction line 578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draw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lowered and the brake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승하강 지지봉(5730)이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양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연결바(573)의 아래쪽에는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연직하게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도면에서 오른쪽으로)으로 당기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되면서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부재(580)는 압축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이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하면서 수평 연결바(573)를 위로 상승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방향 홀딩박스 견인줄과,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도 있지만, 위와 같이 압축스프링부재(580)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자동 복원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딩박스 견인줄(28)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1개의 줄을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 홀딩박스 견인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홀딩박스(2)의 이동을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부는 회전 바(571)를 따라서만 움직이므로, 홀딩박스(2)의 이동을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계속 당겨도 수평 연결바(573)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은 채 브레이크 해제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홀딩박스(2)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당기는 방향 즉, 제1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홀딩박스(2)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는데,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구성에서는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되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상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vertically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ing support bar 573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rake tow 578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drawing) to release the brake,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573 descends to release the brake and at the same time,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compressed. Will be in a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brake pull line 578 is no longer pulled,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automatically inflates and restores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upward, thereby automatically restoring the brake to the operating state. do. Although the first direction holding box pull line for moving the holding box 2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brake pulling line 578 for operating the brake device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having a configuration of automatically restoring to the brake operating state by using a reference numeral 1),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can be used as the holding box tow line 28 for moving the holding box 2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one string can be used together as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and the holding box tow line. When the first brake traction line 578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holding box 2,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573 descends as described above to release the brake. Sinc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only move along the rotation bar 571,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no longer lowers even when the first brake tow 578 is continuously pulled to move the holding box 2. The brake release state is maintained without going, and the holding box 2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is completed,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is no longer pulled out.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provided,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automatically inflated and restor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The brake is operated as the 573 is automatically lifted up, and the holding box 2 remains stationary on the ropeway.

필요에 따라서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이 연장되는 제1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홀딩박스(2)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또다른 홀딩박스 견인줄과,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은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는 반대쪽에서부터 수평하게 진행해 와서 상부 도르래(576)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한 후 하부 도르래(577)을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573)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제2방향(도면에서 왼쪽으로)으로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If necessary, a second brake tow line 579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extends may be further installed, and furthermore, the holding box 2 may be provided. Another holding box tow line for moving the vehicl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for operating the brake device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proceeds horizontally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turns downward through the upper pulley 576, and then turns upward again through the lower pulley 577.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573. Accordingly, when the second brake pull cord 579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left to left in the draw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lowered, and the brake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경우,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의 팽창 복원에 의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다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 마찬가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 역시 홀딩박스(2)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홀딩박스 견인줄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제2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부는 회전 바(571)를 따라서만 움직이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계속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어 브레이크 해제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홀딩박스(2)는 제2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홀딩박스(2)의 이동이 완료되고,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되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상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줄을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과 제2방향 홀딩박스 견인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양쪽으로 연장된 2개의 브레이크 견인줄(578, 579)이 구비되고 2개의 브레이크 견인줄이 각각 홀딩박스를 횡이동시키기 위한 홀딩박스 견인줄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당겨서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이 자연스럽게 풀려져야 하고, 이와 반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이 당겨질 때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이 풀려야 한다. When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provided, when releasing the pulled state of the second brake traction line 579,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573 is automatically raised upward by the expansion and restora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and the brake is applied. Will work again. Accordingly, when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like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also serves as a holding box tow line necessary to move the holding box 2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also function. When the second brake pull cord 579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descends to release the brake. Sinc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move only along the rotation bar 571, when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is pulled continuously,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does not go down any more and the brake release state is maintained. The holding box 2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holding box 2 is completed and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is no longer pulled out,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is automatically inflated and restored,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573 is automatically raised upward to brake the brake. The holding box 2 is kept stationary on the ropeway. As such, one string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second brake tow line 579 and the second direction holding box tow line. When two brake tow lines 578 and 579 extending on both sides are provided and the two brake tow lines also function as holding box tow lines for lateral movement of the holding box, respectively, the first brake tow line 578 is pulled out and held. When the box 2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brake tow 579 should naturally be released, and conversely, when the second brake tow 579 is pulled, the first brake tow 578 should be rel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에서는, 홀딩박스(2)에 매달린 외벽작업장치(600)가 하향 이동되는 동안에, 외벽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그리고 외벽작업장치(600)가 다시 인상되는 동안에는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하게 되며, 해당 작업폭의 외벽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홀딩박스의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여 홀딩박스를 수평하게 횡이동시킨 후, 다시 브레이크 견인줄의 인장력을 풀어주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가 다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홀딩박스(2)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하향으로의 외벽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바, 홀딩박스를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횡이동시키면서 외벽작업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매우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er wall working system of the ae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suspended in the holding box 2 is moved downward, while the outer wall work is in progress, and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pulled up again. During operation, the brake is operated so that the holding box 2 stops on the ropeway cable 1, and after the outer wall work of the corresponding working width is completed, the brake box of the holding box is released to horizontally move the holding box and then again. When the tension of the brake traction line is released, the brake is automatically operat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member 580, so that the holding box 2 is stopped and the outer wall work downward is repeated. The transverse movement along the ropeway cable is effective for continuous and very smooth exterior wall work.

도 36에는 로프웨이 시스템(100)에 구비된 홀딩박스(2)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되는 홀딩박스(2)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재로서, 그 내부 공간에는 연직와이어(3)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권양장치(551)가 구비된다. 외벽작업에 필요한 전선, 세척수 호스, 고압공기선 등의 각종 작업선들이 홀딩박스(2)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와서 관통공(572)을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홀딩박스(2)에는 작업선의 인입을 위한 인입구(570)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박스(2)의 바닥판에는 연직와이어(3)가 아래로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572)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3)가 관통공(572)을 지나서 승하강할 때 와이어(3)가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연직와이어가 통과하게 되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와이어 지지대(552)가 홀딩박스(2)의 내부 공간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FIG. 3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lding box 2 provided in the ropeway system 100. The holding box 2 which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ropeway cable 1 is a member having an inner space, and a lifting device 551 for winding and releasing the vertical wire 3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Various work lines such as electric wires, washing water hoses, high pressure air lines, etc. required for external wall work may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holding box 2 and pass down through the through-hole 572, for which the holding box 2 In the inlet 570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orking ship is formed. The bottom plate of the holding box 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572 through which the vertical wire 3 penetrates downward.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3 from excessively shaking when the wire 3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572, a wire support 552 having a small hole through which the vertical wire passes is provided in the holding box ( I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2).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로프웨이 시스템은 고소 구조물의 개방창의 벽체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평배치될 수 있는 바, 개방창의 벽체가 형성된 위치나 옥상의 벽체가 있는 위치라면 고소 구조물의 어떤 높이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벽작업 영역이 고소 구조물의 높이 중간이나 저층에 위치하더라도, 와이어를 옥상에서부터 길게 늘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외벽작업 영역 인근에서부터 늘어뜨릴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벽작업장치(600)가 매달려야 할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게 되어 그만큼 외벽작업장치(600)가 승하강해야 할 거리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외벽작업장치(600)가 매달리는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바람 등에 의해 외벽작업장치(600)가 흔들리는 등의 위험이 감소하게 되어, 작업안전성도 증대되고 작업효율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로프웨이 시스템은 개방창의 벽체 뿐만 아니라 옥상의 벽체에도 똑 같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ropeway system as described above can be horizontally arranged very simply and firmly using the wall of the open window of the aerial structure, easily at any height of the aerial structure if the location of the wall of the open window is formed or the roof wall is located. Can be installed. Therefore, even if the outer wall work area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aerial structure or the lower floor, it is possible to hang the wires from the vicinity of the outer wall work area, rather than extending the wires from the rooftop, and thus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to hang is relatively. It is reduced to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s exhibit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distance to be raised and lowered.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is reduced, the risk of shaking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600 by the wind or the like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work safety and greatly improving work efficiency. Ropeway systems can be applied to rooftop walls as well as walls of open windows in the same way.

또한 초고층 건물과 같은 매우 높은 고소 구조물인 경우에도, 외벽작업장치(600)의 수평이동수단으로서 "개방창이나 옥상의 벽체를 이용한 로프웨이 시스템"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높이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로프웨이 시스템(100)에서는 홀딩박스가 수평하게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하게 되므로, 외벽작업장치(600)를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쉽게 횡이동시켜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외벽작업의 진행 속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even in a very high height structure such as a high-rise building, since the "ropeway system using an open window or a roof wall" can be easily applied as a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even for any height height structure It is effective to perform various exterior wall works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Furthermore, in the ropeway system 100, since the holding box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ropeway cable arranged horizontally, the outer wall work device 600 is easily horizontal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the outer wall work. Being able to perform the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gress and work efficiency of the exterior wall work.

1: 로프웨이 케이블
2: 홀딩박스
3: 와이어
100: 로프웨이 시스템
600: 외벽작업장치
700: 구동모듈
712: 수납프레임
800: 작업모듈
810: 회전형 청소드럼
815: 모듈프레임
1: ropeway cable
2: holding box
3: wire
100: ropeway system
600: exterior wall work equipment
700: drive module
712: storage frame
800: work module
810: rotary cleaning drum
815: module frame

Claims (7)

상자 형태의 부재의 수납프레임(712)으로 이루어져서 와이어(3)에 의해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 전방에 매달리는 구동모듈(700)과, 외벽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작업모듈(800)을 포함하며;
작업모듈(800)은 수납프레임(712)의 후방 측면에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수납프레임(712)에는 작업모듈(800)을 외벽을 향하여 진퇴시키는 진퇴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수납프레임(712)에는, 회전에 의해 바람을 일으켜서 구동모듈(700)을 외벽을 향하여 후방으로 밀어주는 추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프로펠러(750)가 장착되어 있어서;
진퇴유닛에 의한 작업모듈(800)의 진퇴 및 프로펠러(750)의 작동에 의한 추력 발생을 통해서, 외벽작업에 맞추어서 작업모듈(800)이 외벽(900)에 밀착되거나 또는 외벽(900)과 최적간격을 유지한 채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데;
진퇴유닛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수납프레임(712)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전후방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 수평신축빔(911) 및 하부 수평신축빔(912)와, 수납프레임(712)에 각각 연직 상향 및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상부 연직레일(915) 및 하부 연직레일(916)과, 상부 연직레일(915)과 상부 수평신축빔(911) 사이 및 하부 연직레일(916)과 하부 수평신축빔(912)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부 경사빔(913) 및 하부 경사빔(9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업모듈(800)은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가 서로에게 가까워지도록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면,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경사진 정도가 감소하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가 동시에 외벽을 향하여 움직이게 되어 작업모듈(800)이 외벽을 향하여 진출하게 되며;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가 각각 서로 멀어지도록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면,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경사진 정도가 증가하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의 후방단부가 동시에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되어 작업모듈(800)이 외벽으로부터 후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
It comprises a drive module 700 consisting of a receiving frame 712 of the box-shaped member to be suspend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by the wire 3, and a work module 800 for directly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The work module 800 is mounted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frame 712. The storage frame 712 is provided with a retreat unit for advancing and working the work module 800 toward the outer wall;
The storage frame 712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750 that generates a thrust to cause the wind by the rotation to push the drive module 700 toward the outer wall to the rear;
Through the retraction of the work module 800 by the retreat unit and the thrus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750, the work module 8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900 or the optimum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900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wall work. To perform the exterior wall work while maintaining the;
Advancing unit is arranged to extend in front and rear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orage frame 712 to move horizontally forward and rearward 911 and the lower horizontal expansion beam 912, and the storage frame 712 The upper vertical rail 915 and the lower vertical rail 916 and the vertical vertical rail 915 and the upper horizontal stretch beam 911 and the lower vertical rail 916 and the lower horizontal, respectively install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and vertical downward. A top inclined beam 913 and a bottom inclined beam 914 inclin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tretching beams 912, respectively;
The work module 800 is coupled to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When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respectively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move upward.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are simultaneously moved toward the outer wall while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is reduced, so that the work module 800 moves toward the outer wall;
When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and lower oblique beams 913 and 914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respectively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so as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As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lower oblique beams 913 and 914 increases,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telescopic beams 911 and 912 are simultaneously moved away from the outer wall so that the work module 800 is retracted from the outer wall. Exterior wall w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 수평신축빔(911, 912)과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며;
진퇴유닛에는, 수납프레임(712)의 위쪽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부 경사빔(913)의 제2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수평봉(921) 및 수납프레임(712)의 아래쪽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하부 경사빔(914)의 제2단부와 결합되는 하부 수평봉(922)과, 중앙회전모터(923)를 구비하여 연직하게 배치되며 중앙회전모터(923)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상부 회전봉과 하부 회전봉으로 구분되는 중앙회전봉(920)을 포함하며;
상부 수평봉(921)에는 상부 너트 결합부(923)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 수평봉(922)에는 하부 너트 결합부(924)가 장착되어 있고, 상,하부 너트 결합부(923, 924)는 각각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에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중앙회전모터(923)에 의해 중앙회전봉(920)의 상,하부 회전봉이 회전하게 되면, 상,하부 결합부(923, 924)가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하부 수평봉(921, 922)도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서로에게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복수개의 상,하부 경사빔(913, 914)의 제2단부가 각각 동시에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에게 가까워지도록 상,하부 연직레일(915, 916)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이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etching beams 911 and 912 and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and 916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respectively;
In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unit,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and the lower horizontally disposed below the receiving frame 712 are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receiving frame 712 and coupled to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inclined beams 913. A lower horizontal rod 922 coupled to the second ends of the two lower oblique beams 914 and a central rotating motor 923 and vertically arranged, and the upper and lower upper rotating rods relative to the central rotating motor 923. A central rotating rod 920 divided into a lower rotating rod;
The upper horizontal bar 921 is equipped with an upper nut coupling part 923, the lower horizontal bar 922 is equipped with a lower nut coupling part 924, and the upper and lower nut coupling parts 923 and 924 are respectively centered. It is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 of the rotary rod 920;
When the upper and lower rotary rods of the central rotary rod 920 are rotated by the central rotary motor 923,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ortions 923 and 924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r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The lower horizontal rods 921 and 922 als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r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inclined beams 913 and 91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simultaneously. Exterior wall wor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o move vertically along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rails (915, 916) to be close to.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배치된 모듈프레임(815),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모듈프레임(8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외벽의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닦아내어 제거하는 회전형 청소드럼(8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벽의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work module 800 is composed of a module frame 815 disposed toward the outer wall, and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dule frame 815 and removed or wiped off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wall by rot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ry cleaning drum 810,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cleaning of the outer wall.
제4항에 있어서,
모듈프레임(815)에는, 외벽에 세척수를 살포하기 위한 세척수 살포장치(820) 및 작업모듈(800)이 외벽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돕는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외벽을 보호하는 완충재로서도 기능하는 바퀴(8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dule frame 815 has a wheel functioning as a cushioning material for protecting the outer wall while at the same time helping to move the washing water spraying device 820 and the work module 800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on the outer wall. 830)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작업모듈(800)은 외벽을 향하여 배치된 모듈프레임(815), 및 외벽(600)을 향하여 유체분사노즐부(8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모듈프레임(815)에 설치되어 있는 유체공급파이프(86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공급파이프(861)와 유체분사노즐부(860)를 통해서 외벽(600)으로 도장 페인트를 분사함으로써, 외벽의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work module 800 has a module frame 815 disposed toward the outer wall, and a fluid spray nozzle part 860 toward the outer wall 600, and is installed on the module frame 815 in a lateral direction. A fluid supply pipe 861;
Outer wall wor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of the outer wall by spraying the coating paint to the outer wall 600 through the fluid supply pipe 861 and the fluid injection nozzle unit 860.
외벽작업장치를 고소 구조물의 외벽 전방에 배치하여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외벽작업 시스템으로서,
외벽작업장치는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외벽작업장치이고; 외벽작업장치를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수평하게 횡이동시키기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더 포함하는데;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900)에 형성된 개방창(910)의 벽체 또는 옥상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며 케이블 행거(400)가 구비된 벽체걸이 후크장치(10)와, 벽체걸이 후크장치(10)의 케이블 행거(400)에 관통하여 매달린 형태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로프웨이 케이블(1)과, 권양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510)를 구비하고 있는 홀딩박스(2)와, 상기 홀딩박스(2)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외벽작업장치가 매달려 설치되는 연직한 와이어(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장치가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한 후, 홀딩박스(2)가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하고 다시 홀딩박스(2)가 정지된 상태에서 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장치가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작업 시스템.
As an exterior wall work system that performs exterior wall work by placing the exterior wall work device in front of the exterior wall of the aerial structure,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is an outer wall wor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a ropeway system 100 for elevating the outer wall work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ly moving it horizontally;
The ropeway system 100 is fixed to a wall or roof wall of the open window 910 formed on the outer wall 900 of the aerial structure, and a wall hook hook device 10 having a cable hanger 400 and a wall hanger. Ropeway cable (1) and horizontally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suspended through the cable hanger 400 of the hook device 10, the hoisting device is mounted and ca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ropeway cable (1) It is connected to the holding box (2) having a cable coupling portion 510 is coupled to the ropeway cable (1), and the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holding box (2), and the outer wall working device is suspended It comprises a vertical wire 3;
In the state where the holding box 2 is stopped on the ropeway cable 1, after the outer wall work devic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3, the outer wall work is performed, and then the holding box 2 is moved horizontally. And again the outer wall 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3)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 box (2) is stopped again while performing the outer wall work as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is repeatedly performed.
KR1020190069456A 2019-06-12 2019-06-12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KR102034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56A KR102034006B1 (en) 2019-06-12 2019-06-12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56A KR102034006B1 (en) 2019-06-12 2019-06-12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006B1 true KR102034006B1 (en) 2019-10-18

Family

ID=6846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456A KR102034006B1 (en) 2019-06-12 2019-06-12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006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226A (en) * 2020-02-27 2020-05-19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High-rise window wiping equipment
CN112127650A (en) * 2020-08-09 2020-12-25 杭州旭京装饰工程有限公司 Height-adjustable's wall skin cleaning equipment
CN113323368A (en) * 2021-04-21 2021-08-31 成都嘉泽正达科技有限公司 Lifting construction method for external protection hanging frame of assembled building
CN113550619A (en) * 2021-07-13 2021-10-26 张海勇 Outer wall spraying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CN113788121A (en) * 2021-10-28 2021-12-14 申锡机械集团有限公司 Marine window cleaning machine
CN114176452A (en) * 2021-09-23 2022-03-15 上海工程技术大学 High-rise curtain wall cleaning robot
KR20220049229A (en) * 2020-10-14 2022-04-21 이영태 Robot for wall climbing
CN114569022A (en) * 2022-03-09 2022-06-03 提文 High altitude is clean with mansion side wall washing ca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falling
CN114790871A (en) * 2022-06-23 2022-07-26 广东佳华铝业有限公司 High-altitude aluminum alloy window adaptive to outdoor cleaning opera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CN116220431A (en) * 2023-04-26 2023-06-06 山西路桥景泰房地产开发有限公司 Building roof beam strutting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302A (en) * 1998-07-15 2000-02-02 Kajima Corp Gondola fitting type outer wall surface coating robot
JP2001046290A (en) * 1999-08-09 2001-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wall washing of high building
KR20170043379A (en) * 2015-10-13 2017-04-21 한국기계연구원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KR101804229B1 (en) 2015-10-21 2017-12-06 (주)알에프 Cleaning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302A (en) * 1998-07-15 2000-02-02 Kajima Corp Gondola fitting type outer wall surface coating robot
JP2001046290A (en) * 1999-08-09 2001-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wall washing of high building
KR20170043379A (en) * 2015-10-13 2017-04-21 한국기계연구원 An Operation Tool for Outer Walls of a Building and Gondola Unit Comprising the Operation Tool
KR101804229B1 (en) 2015-10-21 2017-12-06 (주)알에프 Cleaning robo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226B (en) * 2020-02-27 2024-04-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Window cleaning equipment for high building
CN111166226A (en) * 2020-02-27 2020-05-19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High-rise window wiping equipment
CN112127650A (en) * 2020-08-09 2020-12-25 杭州旭京装饰工程有限公司 Height-adjustable's wall skin cleaning equipment
CN112127650B (en) * 2020-08-09 2021-11-16 江苏倍科装饰材料科技有限公司 Height-adjustable's wall skin cleaning equipment
KR102468007B1 (en) * 2020-10-14 2022-11-17 이영태 Robot for wall climbing
KR20220049229A (en) * 2020-10-14 2022-04-21 이영태 Robot for wall climbing
CN113323368A (en) * 2021-04-21 2021-08-31 成都嘉泽正达科技有限公司 Lifting construction method for external protection hanging frame of assembled building
CN113550619A (en) * 2021-07-13 2021-10-26 张海勇 Outer wall spraying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CN114176452A (en) * 2021-09-23 2022-03-15 上海工程技术大学 High-rise curtain wall cleaning robot
CN114176452B (en) * 2021-09-23 2022-11-29 上海工程技术大学 High-rise curtain wall cleaning robot
CN113788121A (en) * 2021-10-28 2021-12-14 申锡机械集团有限公司 Marine window cleaning machine
CN114569022A (en) * 2022-03-09 2022-06-03 提文 High altitude is clean with mansion side wall washing ca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falling
CN114569022B (en) * 2022-03-09 2023-08-11 易安达(湖北)新能源汽车有限公司 Building side wall cleaning vehicle with anti-falling function for high-altitude cleaning
CN114790871A (en) * 2022-06-23 2022-07-26 广东佳华铝业有限公司 High-altitude aluminum alloy window adaptive to outdoor cleaning opera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CN116220431A (en) * 2023-04-26 2023-06-06 山西路桥景泰房地产开发有限公司 Building roof beam strutting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006B1 (en) Apparatus for Surface Works of High-rise Buildings and Tall Structures, and Surface Working System with Such Apparatus
US8434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US20170145705A1 (en)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CN202104868U (en) Glass curtain wall cleaning system
US9689170B1 (en)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US20180055299A1 (en) Semi-automatic system for washing a building
US8347900B2 (en) Wind turbine fluid application apparatus
US3497902A (en) Building cleaning apparatus
CN109804160B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oving along a tower structure
CN111247335B (en) Application tool, application of application tool, robot system, operation site and method
CN105880239A (en) Bucket opening suspension type spray outer washing device
CN111263856B (en) Dispensing tool, use of a dispensing tool, robot system, operating site and method
JP2001046290A (en) Method and device for external wall washing of high building
CA2730790C (en) Top-down hydro-demolition system with rigid support frame
KR102011392B1 (en) Ropeway System for Horizontal Moving of Surface Working Module for Tall Structures, and Methods of Moving with Such System
WO2001017698A1 (en) Automated building facade cleaning apparatus
KR20140095830A (en) Cleaning apparatus for exterior walls of the building and roof suspension apparatus thereof
CN208808341U (en) High building cleaning device
KR20130084438A (en) Apparatus for cleaning exterior wall of building
CN214717747U (en) Tower section of thick bamboo mopping frock
WO2009116031A1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EP03061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surfaces of elongated objects
CN215519791U (en) Wall spraying and painting device
CN214724196U (en) Telescopic robot
JP2929817B2 (en) Cleaning robot for membrane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