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85B1 - 원형침전장치 - Google Patents

원형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85B1
KR102033285B1 KR1020190063607A KR20190063607A KR102033285B1 KR 102033285 B1 KR102033285 B1 KR 102033285B1 KR 1020190063607 A KR1020190063607 A KR 1020190063607A KR 20190063607 A KR20190063607 A KR 20190063607A KR 102033285 B1 KR102033285 B1 KR 10203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ifying
treated water
turbidity
outflow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충기
남윤수
황두균
신상훈
Original Assignee
류충기
남윤수
황두균
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충기, 남윤수, 황두균, 신상훈 filed Critical 류충기
Priority to KR102019006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2Density control of clear liquid or sediment, e.g. optical control ;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처리수로부터 불순물의 응집 및 침전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원형침전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침전장치는 종래 원형침전장치의 정류통(A10) 외면 하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콘형태의 정류외통(10); 상기 정류외통(1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 침전조(A)의 하부에 설치되는 탁도측정센서(20);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물과 불순물의 입자가 혼재된 혼탁층(30)의 하부에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침전장치{Circular precipitator}
본 발명은 원형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형침전장치란, 도1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침전조(A); 상기 침전조(A)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릿지(A1); 상기 브릿지(A1)의 저부 중간으로부터 침전조(A)의 바닥 중앙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주관(A2); 상기 지주관(A2)의 상부에 개구되어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공(A3); 상기 지주관(A2)의 저부로 연결되어 지주관(A2)으로 처리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A4); 상기 침전조(A)의 바닥 중앙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처리수로부터 침전되는 슬러지를 수집하는 호퍼(A5); 상기 호퍼(A5)에 연결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관(A6); 상기 지주관(A2)의 외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센터케이지(A7); 상기 브릿지(A1)로부터 센터케이지(A7)에 연결설치되어 센터케이지(A7)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M); 상기 센터케이지(A7)의 하부로부터 침전조(A)의 바닥으로 연결설치되어 처리수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A8); 상기 블레이드(A8)의 하단에 설치되어 침전조(A)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스크레퍼(A9); 상기 센터케이지(A7)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출공(A3)으로 유출된 처리수를 하방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정류통(A10);으로 이루어진 원형침전장치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원형침전장치는 유입관으로 처리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처리수는 유출공과 정류통을 통해 중앙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유출되며, 유출된 처리수는 블레이드의 교반에 따라 혼합되어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끼리 응집되어 바닥에 슬러지형태로 침전되고,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조의 경사진 바닥형상과 스크레퍼에 의해 호퍼로 수집되며, 수집된 슬러지는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원리로 정수처리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원형침전장치는 도1과 같이 브릿지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브릿지(A1)가 침전조(A)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지주관(A2)까지만 이어지게 설치되며, 지주관(A2)과 브릿지(A1)에 일체로 연결되고, 브릿지(A1)의 끝단에 구동장치(M)가 설치되어 침전조(A)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브릿지회전형 원형침전장치 또는 상기 센터케이지(A7)가 존재하지 않은 대신 블레이드(A8)가 지주관(A2)에 연결설치되고, 지주관(A2)에 구동장치(M)가 설치되어 지주관(A2)이 회전하는 지주관회전형 원형침전장치도 있다.
종래의 원형침전장치는 모두 처리수의 중앙 상부로부터 유출되어 하중에 의해 낙하는 침강력과 블레이드의 교반에 의한 혼합에만 의존하여 처리수를 응집 및 침전시킴으로써 그 처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림은 물론 처리수의 불순물 응집력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원형침전"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5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등록공보: 1019157110000, 1018694740000, 1018870410000, 1018135460000, 1018375750000.
본 발명은 종래의 원형침전장치에 비해 처리수로부터 분술물의 응집 및 침전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 원형침전장치의 구성 중 정류통 외면 하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콘형태의 정류외통; 상기 정류외통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탁도측정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정류외통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탁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물과 불순물의 입자가 혼재된 혼탁층의 하부에 유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혼탁층 하부로 유출된 처리수는 침전지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상승하는 수류에 의해 혼탁층에 이미 응집된 응집입자와 처리수의 불순물이 서로 충돌 및 혼합되고, 이에 의해 불순물 간의 응집능력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응집물의 침전속도가 상당히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처리수로부터 불순물의 응집 및 침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회유관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된 수류유도판의 확대도
도 6은 도 3에 일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부 사시도
도 9는 도 3에 적용된 유출유도판의 사시도(a) 및 그 평면 단면도(b)
도 10은 도 3에 적용된 정류통의 일부 단면 사시도(a) 및 그 평면 결합 단면도(b)
도 11은 도 3에 적용된 정류통의 회전수단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
도 12는 도 3에 적용된 정류외통의 단면 사시도(a) 및 그 저부 사시도(b)
도 13은 도 3에 적용된 정류외통의 정면 단면도(a) 및 그 평면도(b)
도 14는 도 3에 적용된 유도함체의 평면 단면도(a) 및 그 사시도(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으로 형성된 침전조(A); 상기 침전조(A)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릿지(A1); 상기 브릿지(A1)의 저부 중간으로부터 침전조(A)의 바닥 중앙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주관(A2); 상기 지주관(A2)의 상부에 개구되어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공(A3); 상기 지주관(A2)의 저부로 연결되어 지주관(A2)으로 처리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A4); 상기 침전조(A)의 바닥 중앙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처리수로부터 침전되는 슬러지를 수집하는 호퍼(A5); 상기 호퍼(A5)에 연결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관(A6); 상기 지주관(A2)의 외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센터케이지(A7); 상기 브릿지(A1)로부터 센터케이지(A7)에 연결설치되어 센터케이지(A7)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M); 상기 센터케이지(A7)의 하부로부터 침전조(A)의 바닥으로 연결설치되어 처리수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A8); 상기 블레이드(A8)의 하단에 설치되어 침전조(A)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스크레퍼(A9); 상기 센터케이지(A7)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출공(A3)으로 유출된 처리수를 하방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정류통(A10);으로 이루어진 브릿지고정형 원형침전장치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브릿지(A1)가 침전조(A)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지주관(A2)까지만 이어지게 설치되며, 지주관(A2)과 브릿지(A1)에 일체로 연결되고, 브릿지(A1)의 끝단에 구동장치(M)가 설치되어 침전조(A)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는 브릿지회전형 원형침전장치 또는 상기 센터케이지(A7)가 존재하지 않은 대신 블레이드(A8)가 지주관(A2)에 연결설치되고, 지주관(A2)에 구동장치(M)가 설치되어 지주관(A2)이 회전하는 지주관회전형 원형침전장치를 기초로 한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원형침전장치의 구성 중 정류통(A10)의 외면 하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콘형태의 정류외통(10); 상기 정류외통(1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 침전조(A)의 하부에 설치되는 탁도측정센서(20);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물과 불순물의 입자가 혼재된 혼탁층(30)의 하부에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혼탁층(30) 하부로 유출된 처리수는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상승하는 수류에 의해 혼탁층(30)에서 처리수의 불순물이 충돌 및 혼합되고, 이에 의해 불순물 간의 응집력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침전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처리수로부터 불순물의 응집 및 침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처리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작용효과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A)의 처리수는 크게 불순물은 거의 응집 및 침전되고 맑은 물만 존재하는 침전조(A) 상부의 맑은층; 맑은 물과 불순물의 입자가 혼재된 침전조(A) 하부의 혼탁층(30); 침전조(A)의 바닥에 불순물이 응집되어 완전하게 침전되어서 슬러지를 이루는 침전조(A) 바닥의 침전층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혼탁층(30)은 불순물이 입자형태로 떠다니면서 서로 간에 출동과 혼합을 통해 서로 응집되고, 그러한 응집에 의해 중량이 증가하여 하중에 의해 침강되게 되는데,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이러한 혼탁층(30)의 하부로 유출되게 하면,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상승하는 수류에 의해 처리수의 불순물이 혼탁층(30)에서 응집되고 있는 불순물과 서로 충돌 및 혼합이 일어나게 되고, 그러한 충돌과 혼합속에서 입자 간의 응집능력이 향상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만약, 종래와 같이 정류외통(10)이 존재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정류외통(10) 출구를 혼탁층(30)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처리수는 혼탁층(30)의 상부에서부터 하강하여 혼탁층(30)을 통과할 때만 응집능력이 향상되고, 이러한 응집능력의 향상은 평면상 지주관(A2)의 주변에만 일어나게 되므로 응집능력의 향상이 전체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에 처리수의 공급위치가 혼탁층(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처리수가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상승하는 수류의 형성은 침전층 상부의 응집물을 부상시켜 혼탁층(30)에서 한번 더 응집시키는 효과가 있고, 혼탁층(30)의 혼탁활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혼탁활성도가 향상될수록 입자간의 충돌 가능성과 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응집 및 침전력에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류외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비되는 원통부(101); 그 원통부(101)의 하부에 구비되는 콘부(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외통(10) 승강수단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외통(10)의 상부의 장착되는 브라켓(10a); 상기 브라켓(10a)과 연결되도록 브릿지(A1)의 상면에 설치되는 실린더(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정류외통(10)의 고정 및 승강이 가능함은 물론 그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승강수단은 정류외통(10)의 상부의 장착되는 고리; 상기 고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할 수 있도록 브릿지(A1)의 상면에 연결설치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승강수단은 기계적인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도3~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출관(A6)으로부터 침전조(A)의 혼탁층(30)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회유관(40);을 포함하고, 상기 회유관(40)은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혼탁층(30)의 탁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때, 유출관(A6)으로 배출되는 침전슬러지를 혼탁층(30)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혼탁층(30)의 위치가 하강하거나, 혼탁층(30)의 혼탁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류외통(10)의 승강이 필요없어짐은 물론 처리수의 응집 및 침전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회유관(40) 구동수단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유관(40)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는 밸브(V); 및 입구의 밸브(V) 후측에 설치되는 펌프(P); 상기 유출관(A6)의 회유관(40) 후측부분에 설치되는 밸브(V);를 구성하여서,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혼탁층(30)의 탁도에 따라 유출관(A6)의 밸브(V)를 차단한 후, 회유관(40)의 밸브(V)를 개방하여 펌프(P)에 의해 유출관(A6)의 침전슬러지를 혼탁층(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3,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조(A)의 혼탁층(30) 상부에 침전조(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류외통(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가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상승하는 수류를 다시 하방 중앙으로 수류의 방향을 유도되게 할 수 있는 수류유도판(50); 상기 수류유도판(5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수류유도판(50)은 승강장치에 의해 혼탁층(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상승하는 수류의 높이를 제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혼탁층(30)이 형성되는 위치를 구획할 수 있으며, 혼탁층(30)에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혼탁층(30)의 혼탁활성도를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처리수의 응집 및 침전능력을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수류유도판(50)의 승강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외통(10)의 승강수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도3, 도6~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관(A2)의 유출공(A3)에 형성되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유출방향을 평면상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유출유도판(A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가 회전을 하면서 유출되고, 이로 인해 처리수의 하강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출공(A3)의 하부에서부터 불순물의 충돌 및 혼합에 대한 활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수의 응집 및 침전능력을 처리과정의 초반부터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출유도판(A31) 형성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A3)을 절개한 주벽의 일단을 경사지게 절곡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유출유도판(A31)은 유출공(A3)을 형성한 다음 그 유출공(A3)의 일측면에 별개의 덮개를 힌지결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힌지결합을 채용할 경우, 힌지부로부터 유출유도판(A31)의 각도가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3, 도6~도8, 도10~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류통(A1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침강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침강지연판(A101); 및 그 침강지연판(A101)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정류통(A10) 내부의 처리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출구멍(A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가 정류통(A10) 내에 가둬진 채로 충돌 및 혼합되는 작용이 일어나고, 이렇게 충돌 및 혼합되어 응집된 응집물을 정류통(A10)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류통(A10) 내부의 응집능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처리수의 처리과정에 대한 초반 활성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통(A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지주관(A2)의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류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펜 날개 형태의 수유충돌유도판(A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정류통(A10) 내의 충돌 및 혼합활성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처리수의 응집능력이 더욱더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수유충돌유도판(A1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및 혼합활성도를 위해 유출공(A3)의 유출유도판(A3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통(A10)이 센터케이지(A7)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수단;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유충돌유도판(A103)이 유출공(A3)의 유출유도판(A31)으로부 유출되는 수류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양측 수류가 만나는 지점에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정류통(A10) 내의 충돌 및 혼합활성도가 더욱더 향상되고, 이로 인해 처리수의 응집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류통(A10) 회전수단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통(A10)의 상단을 브릿지(A1)의 저부에 장착되어 베어링유닛(A104a)으로 정류통의 외측 상단을 고정 및 회전되게 하는 고정플랜지(A104); 상기 정류통(A10)의 상단 내측에 설치되는 내접기어(A105); 상기 내접기어(A105)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A106); 상기 구동기어(A106)를 브릿지(A1)의 상면으로부터 구동되게 구동장치(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3, 도6~도8, 도12~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류통(A10)과 마찬가지로 정류외통(1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정류통(A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침강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침강지연판(103); 및 그 침강지연판(103)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정류외통(10) 내부의 처리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출구멍(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정류통(A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가 정류외통(10) 내에 가둬진 채로 충돌 및 혼합되는 작용이 일어나고, 이렇게 충돌 및 혼합되어 응집된 응집물을 정류외통(10)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류외통(10) 내부의 응집능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침강지연판(103) 및 유출구멍(104)은 정류통(A10)의 침강지연판(A101) 및 유출구멍(A102)과 형성원리가 동일하되, 수류진행의 원활성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외통(10)의 유출구멍(104)을 정류통(A10)의 유출구멍(A102)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외통(10)의 유출구멍(104)을 따라 저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유출구멍(104)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류가 양측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양측면이 개방된 유도함체(105); 상기 유도함체(105)의 양측면 개방부에 형성되어 인근의 함체 개방부로부터 유출되는 수류와 충돌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확산유도판(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도함체(105)에 의해 정류외통(10)의 유출구멍(A102)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유출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고, 정류외통(10)의 유출구멍(104)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가 양갈래로 갈라져 수류의 방향을 확산시킬 수 있으며, 그렇게 확산된 수류가 인근의 함체 개방부로부터 유출되는 수류와 정면으로 충돌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류외통(10)의 하단에 처리수의 충돌 및 혼합이 활성되고, 이에 의해 정류외통(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는 불순물의 응집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출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응집입자가 혼탁층(30)에 출동하게 되면, 혼탁층(30)의 입자 응집능력 및 그 응집에 의한 침전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유도함체(1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되어 침강지연판(103)의 유출구멍(104)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확산유도판(106)은 원호형태로 되어 유도함체(105)의 개방부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도3에 부가된 정류통(A10)의 추가구성 및 정류외통(10)의 추가구성은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가급적 저속으로 유출되면서 확산성을 가지도록 하고, 정류외통(10)으로부터 유출되기 전 처리수의 응집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출되게 하여 혼탁층(30)을 더욱더 활성활 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응집으로 인한 침전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브릿지고정형 원형침전장치 또는 지주관회전형 원형침전장치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센터케이지(A7)가 없는 지주관회전형 원형침전장치에 구성할 경우, 침강지연판이 지주관까지 도달할 수 있어, 침강지연이 더욱더 향상됨은 물론 지주관의 회전에 따라 소용돌이가 더욱더 크게 일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원형침전장치의 정류통(A10) 외면 하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콘형태의 정류외통(10); 상기 정류외통(1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 침전조(A)의 하부에 설치되는 탁도측정센서(20);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외통(10)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물과 불순물의 입자가 혼재된 혼탁층(30)의 하부에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침전장치에서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관(A6)으로부터 침전조(A)의 혼탁층(30)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회유관(40);을 포함하고, 상기 회유관(40)은 탁도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혼탁층(30)의 탁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때, 유출관(A6)으로 배출되는 침전슬러지를 혼탁층(30)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
    상기 원형침전장치의 침전조(A) 혼탁층(30) 상부에 침전조(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류외통(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가 침전조(A) 바닥으로부터 반사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상승하는 수류를 다시 하방 중앙으로 수류의 방향을 유도되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류유도판(50); 상기 수류유도판(5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수류유도판(50)은 승강장치에 의해 혼탁층(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원형침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장치의 지주관(A2)에 형성되어 처리수를 유출하는 유출공(A3)에 형성되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유출방향을 평면상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유출유도판(A31);
    상기 정류통(A1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침강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침강지연판(A101); 및 그 침강지연판(A101)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정류통(A10) 내부의 처리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출구멍(A102);
    상기 정류통(A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지주관(A2)의 유출공(A3)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류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펜 날개 형태의 수유충돌유도판(A103);
    상기 정류통(A10)을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수단;
    상기 정류외통(1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정류통(A10)으로부터 유출되는 처리수의 침강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침강지연판(103); 및 그 침강지연판(103)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정류외통(10) 내부의 처리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출구멍(104);
    상기 정류외통(10)의 유출구멍(104)을 따라 저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유출구멍(104)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류가 양측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양측면이 개방된 유도함체(105); 상기 유도함체(105)의 양측면 개방부에 형성되어 인근의 함체 개방부로부터 유출되는 수류와 충돌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확산유도판(106);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원형침전장치.
  3. 삭제
KR1020190063607A 2019-05-30 2019-05-30 원형침전장치 KR10203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07A KR102033285B1 (ko) 2019-05-30 2019-05-30 원형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07A KR102033285B1 (ko) 2019-05-30 2019-05-30 원형침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285B1 true KR102033285B1 (ko) 2019-10-16

Family

ID=6842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07A KR102033285B1 (ko) 2019-05-30 2019-05-30 원형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823B1 (ko) * 2019-11-26 2020-09-25 경기도 성남시 원형 침전지의 스컴 제거장치
KR102166169B1 (ko) * 2020-06-09 2020-10-15 (주)에스에스에코텍 이동식 저류판이 구비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288702B1 (ko) 2021-04-09 2021-08-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원형침전지의 블레이드 가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46B1 (ko) * 2013-03-12 2013-04-16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원형침전지
KR101581707B1 (ko) * 2015-06-03 2015-12-31 (주)효성엔바이로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1698870B1 (ko) * 2016-02-03 2017-01-24 (주)천둥 슬러지 수집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69474B1 (ko) * 2018-03-22 2018-07-19 (주)가온텍 원형 침전조의 슬러지 침전을 위한 텔레스코픽 센터 월을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KR101915711B1 (ko) 2018-04-27 2018-11-06 주식회사 송림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46B1 (ko) * 2013-03-12 2013-04-16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원형침전지
KR101581707B1 (ko) * 2015-06-03 2015-12-31 (주)효성엔바이로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1698870B1 (ko) * 2016-02-03 2017-01-24 (주)천둥 슬러지 수집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69474B1 (ko) * 2018-03-22 2018-07-19 (주)가온텍 원형 침전조의 슬러지 침전을 위한 텔레스코픽 센터 월을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
KR101915711B1 (ko) 2018-04-27 2018-11-06 주식회사 송림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823B1 (ko) * 2019-11-26 2020-09-25 경기도 성남시 원형 침전지의 스컴 제거장치
KR102166169B1 (ko) * 2020-06-09 2020-10-15 (주)에스에스에코텍 이동식 저류판이 구비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288702B1 (ko) 2021-04-09 2021-08-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원형침전지의 블레이드 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285B1 (ko) 원형침전장치
US7906018B2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RU2316483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осажд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взвесей
KR101673668B1 (ko) 원형 슬러지 수집기
CA2866481C (en) Ring grit remover with vanes
WO2006036014A1 (ja) 凝集分離装置
JP2006263670A (ja) 固液分離装置
CN109607724A (zh) 一种一体化絮凝沉淀装置
CN210885460U (zh) 带搅拌器的污水絮凝装置
CN111672166B (zh) 一种旋流浮选器
CN106345149A (zh) 一种浓缩机絮凝反应装置
CN208081936U (zh) 一种污水旋流沉砂池
JP3409036B2 (ja) 強制循環式分離装置
CN203565466U (zh) 蒸煮釜
JP2002058912A (ja) 旋回流式凝集分離装置
CN206940514U (zh) 一种新型的固液分离装置
CN105771337B (zh) 一种高效的固液分离装置及其应用
CN211310979U (zh) 絮凝装置
CN209128239U (zh) 一种节能型磁介质解絮分离一体机
CN105904589A (zh) 一种搅拌装置及其搅拌系统
KR100772121B1 (ko) 원형 침전지
JP2006095494A (ja) 凝集分離装置
CN205668325U (zh) 一种搅拌装置及其搅拌系统
JP3676658B2 (ja) 循環流式凝集分離装置
JPS60232214A (ja) 固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