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22B1 -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722B1
KR102032722B1 KR1020180105112A KR20180105112A KR102032722B1 KR 102032722 B1 KR102032722 B1 KR 102032722B1 KR 1020180105112 A KR1020180105112 A KR 1020180105112A KR 20180105112 A KR20180105112 A KR 20180105112A KR 102032722 B1 KR102032722 B1 KR 10203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flying object
central server
image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석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8010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722B1/ko
Priority to PCT/KR2019/000361 priority patent/WO20200504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태양광 패널 그룹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태양광 패널의 ID(identification)를 할당하는 중앙 서버; 및 태양광 패널 그룹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와 촬영 결과 획득된 영상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비행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AMINING SOLAR PANEL BY USING DRONE}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의 검사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패널과 축전지, 전력변환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태양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광 패널로 인가되면 태양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광 패널에서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한다.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태양광 발전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소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운용 중인 발전소의 발전 효율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태양광 패널에서의 국소적인 불량 발생은 발전 효율을 낮출 뿐 아니라, 주위 패널에 영향을 미치므로 발견과 동시에 신속한 교체가 요구된다.
최근, 태양광 패널이 수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수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은 그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드론과 같은 비행 물체가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나, 태양광 패널의 정확한 측위 방안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검사의 애로가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그룹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에 ID를 할당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불량이 발생한 태양광 패널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관리자가 직접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위치를 방문하여 사진 촬영 등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identification)를 할당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로 비행하여, 상기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비행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모서리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모서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전체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비행 물체의 비행 가능 시간 내 검사가 가능한 면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식별된 모서리들에 대응하는 GPS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모서리들을 연결한 윤곽선들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전체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복수의 웨이 포인트 각각과 충전 기기 사이의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웨이 포인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을 식별하고, 식별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비행 코스 정보를 상기 비행 물체로 전송하고, 상기 비행 물체는, 상기 비행 코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비행 물체의 충전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비행 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비행 물체는 복수 개이되,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검사 명령을 상기 복수 개의 비행 물체 각각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비행 물체 각각은, 자신에게 수신된 검사 명령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비행하여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과 관련되어 설치된 센서로부터 태양광 패널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결정하고, 상기 비행 물체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로 비행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카메라로 상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비행 물체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제 1 카메라로 상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상가 중앙 서버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제 2 카메라로 상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하는 ID 지정부; 및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비행 물체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상기 비행 물체가 상기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촬영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그룹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에 ID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불량이 발생한 태양광 패널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은 관리자가 직접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위치를 방문하여 사진 촬영 등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태양광 패널 그룹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에 대해 ID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그룹 내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비행 코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행 물체가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그룹으로 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비행 물체에 의해 촬영되는 가시광선 영상, 적외선 영상 및 EL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은 중앙 서버(100), 비행 물체(200), 태양광 패널 그룹(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그룹(300)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광 패널 그룹(300)은 강, 호수 등의 수상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과 관련되어 설치된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와 센서(500), 중앙 서버(100)와 비행 물체(200) 및 중앙 서버(100)와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불량 판정을 위해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를 미리 수집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센서(5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 및 비행 물체(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수집된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와 비교하여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비행 물체(200)는 중앙 서버(100)의 제어 하에 태양광 패널 그룹(300)으로 비행하여 태양광 패널의 사진을 촬영한다. 비행 물체(200)는 촬영된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하여 중앙 서버(100)가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량이 발생한 태양광 패널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비행 물체(200)에 의해 획득 가능하므로 관리자가 직접 사진 촬영을 위해 태양광 패널 그룹(300)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210 단계에서, 센서(5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센서(50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500) 각각이 복수의 태양광 패널 각각에 설치되어 각 태양광 패널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500)가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는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태양광 패널로의 일사량, 태양광 패널의 온도 및 태양광 패널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싱 데이터는 하나의 센서(500)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500)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
S22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센서(5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결정한다.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란, 불량의 발생이 의심되는 태양광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미리 수집된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소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소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서버(100)는 불량이 발생한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와 정상 상태의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를 미리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학습시킨 후, 학습된 알고리즘에 센싱 데이터를 입력하여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 불량이 의심되는 태양광 패널을 결정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ID (identification)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ID 정보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속한 영역의 위치 정보와 해당 영역 내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에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들의 ID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즉,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지점)를 결정하고, 결정된 목적지로 비행을 한다. 비행 물체(200)가 중앙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ID 정보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위치로 비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S250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에 도착한 뒤,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카메라로 촬영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는 예를 들어, 가시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EL(electro luminescence) 카메라 중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복수의 카메라 각각으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할 수 있고, 또는 비행 물체(200)는 하나의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가시광선 촬영 모드, 적외선 촬영 모드 또는 EL 촬영 모드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할 수도 있다.
비행 물체(200)는 가시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EL 카메라의 순서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시광선 영상(600a), 적외선 영상(600b) 및 EL 영상(600c)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EL 카메라의 촬영 순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하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물체(200)가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카메라로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이유는, 어느 하나의 종류의 영상만으로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불량 상태의 태양광 패널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 시, 주변 정상 패널과는 다른 색깔(온도 차이 발생하여 다른 색으로 표시)로 나타난다. 다만 적외선 카메라가 찾지 못하는 불량 유형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먼지나 오물이 태양광 패널 위에 존재하는 경우 햇빛과의 접촉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적외선 카메라보다는 가시광선 카메라가 효율적이다. 또한, 태양광 패널의 내부의 미세한 크랙이 발생한 경우는 EL 카메라의 EL 영상을 통해 검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세 종류의 카메라를 항상 검사에 이용하면 신속한 검출이 가능할 수는 있지만, 특히 EL 영상은 고해상도로 촬영해야 하고, 비행 물체(200)가 빠르게 이동할 수 없는 촬영 조건을 가지므로 짧은 시간에 넓은 발전소를 검사하는 경우에는 역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불량 가능 패널을 검출하고, 검출된 불량 가능 패널로 비행 물체(200)를 이동시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게 하는 것이다.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S260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복수의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S27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수신된 복수의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미리 수집된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와 수신된 영상을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8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불량 판정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100)는 불량 판정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때 불량으로 판정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GPS 좌표 등)를 관리자 단말(4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불량이 발생한 패널로 이동하여 패널 교체, 패널 검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최종적으로 정상으로 판정되었더라도, 불량이 의심되는 것으로 1차적으로 판단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불량이 의심되는 것으로 1차적으로 판단되었다는 것은, 실제 불량 상태에 있으나 영상으로 그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불량 의심 상태로 판단된 태양광 패널의 정보가 중앙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면,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직접 점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S305 단계 내지 S320 단계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S210 단계 내지 S24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325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로 비행한 후, 복수의 카메라 중 제 1 카메라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후, S330 단계에서, 제 1 카메라로 촬영된 제 1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제 1 영상은 예를 들어, 적외선 영상일 수 있다.
S335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제 1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S340 단계에서, 제 1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상태가 불량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중앙 서버(1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재촬영 요청을 비행 물체(200)로 전송한다.
제 1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상태가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S36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불량 판정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비행 물체(200)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재촬영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복귀 위치(예를 들어, 최초 출발 위치)로 비행한다.
상기 S340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로부터 재촬영 요청이 수신된 경우, S345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이한 제 2 카메라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다. 제 2 카메라는 예를 들어 가시광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비행 물체(200)는 제 2 카메라로 촬영된 제 2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한다.
S355 단계에서, 중앙 서버(100)는 제 2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다시 판정하고, S360 단계에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판정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만약, S355 단계에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비행 물체(200)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재촬영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복귀 위치(예를 들어, 최초 출발 위치)로 비행할 수 있다.
그러나, S355 단계에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정상으로 판정되었고, 비행 물체(200)가 제 3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경우, 중앙 서버(100)는 비행 물체(200)로 재촬영 요청을 다시 할 수 있다. 비행 물체(200)는 재촬영 요청에 따라 제 3 카메라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하여 제 3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영상은 예를 들어, EL 영상일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제 3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불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중앙 서버(100)는 해당 태양광 패널의 상태를 최종적으로 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비행 물체(200), 예를 들어, 드론의 경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통해 비행을 하기 때문에 비행 시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행 물체(200)의 영상 촬영 횟수를 최소로 하여 비행 물체(200)의 배터리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영상으로부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불량으로 판정되었다면, 비행 물체(200)는 추가 촬영없이 비행을 중단할 수 있으며, 제 1 영상으로부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정상으로 판정되었다면 제 2 카메라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재촬영한다. 그리고,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영상으로부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불량으로 판정되었다면, 비행 물체(200)는 추가 촬영없이 비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행 물체(200)가 복수의 카메라 각각으로 복수 회의 촬영을 한 후, 복수의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하지만,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행 물체(200)가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이후 재촬영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재촬영을 진행하므로, 비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에 대해 ID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행 물체(200)는 각 태양광 패널의 ID를 기반으로 비행을 하여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서버(100)는 비행 물체(200)가 촬영하여야 할 태양광 패널의 ID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여 비행 물체(200)가 해당 태양광 패널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비행 물체(200)가 주기적으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검사를 진행하면서 획득한 영상을 태양광 패널의 ID와 함께 중앙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비행 물체(200)가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검사를 완료하지 못하고 배터리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 등을 위해 충전 기기 또는 비행 물체 기지로 복귀한 경우,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 중 비행 물체(200)의 검사(또는 촬영)가 완료된 태양광 패널을 제외하고, 다시 검사를 시작하여야 할 태양광 패널의 ID를 충전이 완료된 또는 배터리가 교체된 비행 물체(200), 또는 다른 비행 물체(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대해 촬영된 영상(40)으로부터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모서리들(P1 내지 P14)을 식별한다. 중앙 서버(100)는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40) 내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모서리들(P1 내지 P14)을 식별할 수 있다. 모서리를 식별하는 기술로서, C. Harris and M. Stephens, 'A combined corner and edge detector', Alvey Vision Conference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영상(40)은 관리자 등에 의해 촬영되어 중앙 서버(100)로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비행 물체(200)에 의해 촬영되어 중앙 서버(100)로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100)는 식별된 각 모서리(P1 내지 P14)의 GPS 좌표를 획득한다. 일 예로, 영상(40)이 드론에 의해 촬영된 경우, 드론의 카메라를 기준점으로 하였을 때의 각 모서리(P1 내지 P14)의 좌표 정보와, 드론의 GPS 좌표를 이용하여 각 모서리(P1 내지 P14)별 GPS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의 GPS 좌표가 (1,1)이고, 드론의 카메라를 기준점으로 하였을 때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의 좌표가 (1,1)이라면, 어느 하나의 모서리의 좌표는 (2,2)가 될 것이다. 드론의 GPS 좌표를 획득하기 위해 드론에는 GPS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영상(40)에서 식별된 모서리들(P1 내지 P14)을 연결하는 경계선(E)을 검출하고, 검출된 경계선(E)들의 실제 거리를 산출한다. 각 모서리(P1 내지 P14)의 GPS 좌표가 식별된 상태이므로, 두 모서리 사이를 잇는 경계선(E)의 실제 거리는 두 모서리의 GPS 좌표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경계선(E)의 실제 거리를 통해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전체 면적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비행 물체(200)의 비행 가능 시간 내 검사가 가능한 면적에 대응하는 영역들(R1 내지 R4)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 물체(200)의 배터리 용량으로 10분의 비행이 가능하다면, 10분 이내로 검사가 가능한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들(R1 내지 R4)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구분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R1 내지 R4) 각각의 모서리의 GPS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 영역에 대응하여 5개의 모서리의 GPS 좌표들을 저장하고, R2 영역에 대응하여 4개의 모서리의 GPS 좌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들(R1 내지 R4)로 구분하는데 있어,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복수의 웨이 포인트(waypoint)를 설정하고, 복수의 영역들이 태양광 패널 그룹(300)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설정된 웨이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영역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웨이 포인트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넓이가, 비행 물체(200)의 비행 가능 시간 내 검사가 가능한 면적보다 크다면, 중앙 서버(100)는 해당 영역을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어느 하나의 영역의 웨이 포인트를 시작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을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검사 종료 후 다른 영역의 웨이 포인트로 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비행 물체(200)의 비행 가능 시간 이내가 되도록 복수의 영역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위치한 충전 기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3개의 충전 기기가 위치할 때, 각 영역(R1 내지 R4)을 검사(또는 촬영)한 후, 최단 시간으로 충전 기기로 비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기기는 급속 충전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 기기는 무선의 급속 충전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위치한 충전 기기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웨이 포인트에 대응하는 영역의 넓이를, 충전 기기로부터 멀리 위치한 웨이 포인트에 대응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충전 기기와 웨이 포인트 사이의 비행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충전 기기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웨이 포인트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검사를 위한 비행 유지 시간이 더 짧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충전 기기에서 배터리를 충전한 비행 물체(200)는 충전 기기와 인접한 영역에서 오랜 시간 비행하면서 검사가 가능하지만, 충전 기기와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만 비행하면서 검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위치한 비행 물체 기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도 있다. 비행 물체(200)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 비행 물체 기지로 복귀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적어도 하나의 비행 물체 기지가 위치할 때, 각 영역(R1 내지 R4)을 검사(또는 촬영)한 후, 최단 시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비행 물체 기지로 비행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위치한 비행 물체 기지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웨이 포인트에 대응하는 영역의 넓이를, 비행 물체 기지로부터 멀리 위치한 웨이 포인트에 대응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태양광 패널 그룹(300)이 복수의 영역(R1 내지 R4)들로 구분되면, 중앙 서버(100)는 복수의 영역(R1 내지 R4) 각각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어느 하나의 영역(350)에 대응하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는데, 중앙 서버(100)는 비행 물체(200) 또는 관리자에 의해 촬영된 영역(350)의 영상을 수신한 후, 수신된 영상에서 각각의 태양광 패널(310)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비행 물체(200)는 각 영역의 웨이 포인트들을 비행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중앙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영상에서 영역(350)은 각 태양광 패널(310) 사이의 경계선(3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중앙 서버(100)는 경계선(320)을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식별한 후, 경계선(320)에 인접하여 위치한 태양광 패널(310)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310) 각각에 ID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D는 영역(350)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310)의 행과 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의 영역(350)이 A 영역이라 할때, 태양광 패널(310a)은 A 영역의 3번째 행 및 1번째 열에 위치하므로 ID로서 A(3, 1)이 할당될 수 있고, 태양광 패널(310b)은 A 영역의 5번째 행 및 3번째 열에 위치하므로 ID로서 A(5, 3)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태양광 패널이 K 영역에 속하고, K 영역 중 m 번째 행 및 n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태양광 패널의 ID는 K(m, n)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K는 영역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고, 비행 물체(200)는 수신된 ID 정보에 따라 태양광 패널로 비행할 수 있다. 비행 물체(200)는 ID 정보에 포함된 영역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의 모서리의 GPS 좌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행 물체(200)는 GPS 좌표 값으로 특정된 영역 내에서 ID 정보에 포함된 행 값과 열 값에 기초하여 영역 내에서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행 물체(200)는 영역을 특정한 후, 특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ID 정보에 포함된 행 값과 열 값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영역의 식별 정보 대신 영역의 각 모서리의 GPS 좌표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고, 추가적으로, 해당 영역 내 태양광 패널의 행 값과 열 값을 비행 물체(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GPS 좌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면적,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모서리들의 GPS 좌표,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포함된 영역들의 모서리들의 GPS 좌표,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의 행 값 및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의 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검출하고, 이의 ID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여 비행 물체(200)를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로 비행시킬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태양광 패널 그룹(300) 전체를 검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 서버(100)는 비행 물체(200)로 비행 코스 정보를 전송하여, 비행 물체(200)가 비행 코스에 따라 비행하면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검사하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0)는 비행 코스를 결정하는데 있어, 비행 물체의 충전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예를 들어, 충전 기기를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비행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비행 코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 그룹(300)이 제 1 영역(R1), 제 2 영역(R2), 제 3 영역(R3) 및 제 4 영역(R4)으로 구분되고,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충전 기기 1, 충전 기기 2 및 충전 기기 3이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비행 물체(200)가 충전 기기 1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첫 번째 경로(f1)는, 충전 기기 1로부터 제 1 영역(R1)의 제 1 웨이 포인트(w1)로의 비행 경로이다. 그리고, 두 번째 경로(f2)는, 제 1 영역(R1)의 검사(또는 촬영)가 완료된 후, 제 1 웨이 포인트(w1) 또는 검사 종료 지점으로부터 충전 기기 1로의 비행 경로이다. 충전 기기 1에서 충전이 완료된 후, 세 번째 경로(f3)는, 충전 기기 1에서 제 2 영역(R2)의 제 2 웨이 포인트(w2)로의 비행 경로이다. 제 2 영역(R2)의 검사(또는 촬영)이 완료된 후, 네 번째 경로(f4)는, 제 2 웨이 포인트(w2) 또는 검사 종료 지점으로부터 충전 기기 2로의 비행 경로이다. 충전 기기 2에서 충전이 완료된 후, 다섯 번째 경로(f5)는, 충전 기기 2로부터 제 3 영역(R3)의 제 3 웨이 포인트(w3)로의 비행 경로이다. 제 3 영역(R3)의 검사(또는 촬영)이 완료된 후, 여섯 번째 경로(f6)는, 제 3 웨이 포인트(w3) 또는 검사 종료 지점으로부터 충전 기기 3으로의 비행 경로이다. 충전 기기 3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일곱번 째 경로(f7)는, 충전 기기 3으로부터 제 4 영역(R4)의 제 4 웨이 포인트(w4)로의 비행 경로이다. 여기서, 충전 기기 3으로부터 가까운 제 4 영역(R4)의 넓이가 충전 기기 3으로부터 먼 제 3 영역(R3)의 넓이보다 크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제 4 영역(R4)의 검사(또는 촬영)이 완료되면, 여덟 번째 경로(f8)는 제 4 웨이 포인트(w4) 또는 검사 종료 지점으로부터 충전 기기 3으로의 비행 경로이다.
이후, 비행 물체(200)는 충전 기기 3에서 대기하게 되고, 중앙 서버(1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의 비행 경로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여 비행 물체(200)가 반대의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인근에 충전 기기가 위치하지 않고, 대신 비행 물체(200)의 배터리 교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행 물체 기지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 서버(10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 내 복수의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비행 물체 기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비행 코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의 배터리의 방전 속도는 외부 온도 등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비행 물체(200)는 비행 코스에 따라 비행하면서 검사를 하던 중 자신의 배터리의 전력 잔여량이 기준 값 미만인 경우,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충전 기기로 이동하면서 중앙 서버(100)로 복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복귀한 비행 물체(200)가 마지막에 촬영하였던 영상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의 ID를 확인하고, 연속하여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를 다른 비행 물체(200)로 전송하여, 다른 비행 물체(200)가 릴레이 방식으로 태양광 패널을 검사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비행 물체(200)의 동시 운용이 가능한 경우, 중앙 서버(100)는 복수의 비행 물체(200) 각각으로 서로 다른 영역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비행 물체(200) 각각이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으로 비행하여 해당 영역의 태양광 패널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비행 물체(200)에게는 제 1 영역으로의 비행 명령을 전송하고, 제 2 비행 물체(200)에게는 제 2 영역으로의 비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 1 비행 물체(200)는 제 1 영역으로 비행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하고, 제 2 비행 물체(200)는 제 2 영역으로 비행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중앙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비행 물체(200)가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그룹으로 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태양광 패널 그룹(300a), 제 2 태양광 그룹(300b) 및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이 위치하고,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이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에 포함된 경우, 비행 물체(200)는 중앙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으로 비행할 수 있다. 비행 물체(20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와 함께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그룹의 식별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행 물체(200)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에 기초하여 비행을 하므로 비행 물체(200)의 배터리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는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에 도착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사진 촬영을 완료한 후 또는 사진 촬영을 하기 전에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과 연결된 충전 설비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후, 사진 촬영 및 충전이 완료되면 비행 물체(200)는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이 설치된 위치에서 대기하면서 다음 목적지로의 비행 명령을 기다리거나, 또는 비행 물체(200)의 출발지로 복귀하여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비행 물체(200)는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으로 비행하는 중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량이 소정 기준량 미만이 되거나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량으로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인접 태양광 패널 그룹(300), 예를 들어, 제 2 태양광 패널 그룹(300b)으로 비행하여 제 2 태양광 패널 그룹(300b)에 설치된 충전 설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한 후, 제 3 태양광 패널 그룹(300c)으로 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메모리(710), 통신부(730), ID 지정부(750) 및 제어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1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면적,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모서리들의 GPS 좌표 정보, 태양광 패널 그룹(300)에 포함된 영역들의 식별 정보, 영역들의 모서리의 GPS 좌표 정보 및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들의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10)는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결정 내지 최종 불량 판정을 위해 미리 수집된 태양광 패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710)는 비행 물체(200)의 비행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비행 코스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730)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과 관련되어 설치된 센서(500), 비행 물체(200) 및 관리자 단말(400)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D 지정부(750)는 태양광 패널 그룹(300)의 영상에 기초하여, 태양광 패널 그룹(30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센서(5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태양광 패널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을 결정하고, 비행 물체(200)로부터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70)는 통신부(730)를 통해 검사가 필요한 불량 가능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비행 물체(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50)는 비행 물체(200) 또는 관리자에 의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의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중앙 서버
200: 비행 물체
300: 태양광 패널 그룹
400: 관리자 단말
710: 메모리
730: 통신부
750: ID 지정부
770: 제어부

Claims (11)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identification)를 할당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로 비행하여, 상기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비행 물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과 관련되어 설치된 센서로부터 태양광 패널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태양광 패널의 불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불량 가능 여부가 판단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상기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상기 비행 물체를 상기 ID 정보에 해당하는 태양광 패널로 비행시키며,
    상기 비행 물체에 탑재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내지 제3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태양광 패널을 단계적으로 촬영하게 하되,
    어느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다음 단계의 촬영을 중단시키고 상기 비행 물체를 복귀시키고,
    상기 비행 물체는,
    비행 코스에 따라 비행하면서 검사를 하던 중 자신의 배터리의 전력 잔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충전기기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앙 서버로 복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귀한 비행 물체가 마지막에 촬영하였던 영상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의 ID를 확인하고, 연속하여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를 다른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다른 비행 물체가 릴레이 방식으로 상기 태양광 패널을 검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모서리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모서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전체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비행 물체의 비행 가능 시간 내 검사가 가능한 면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식별된 모서리들에 대응하는 GPS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모서리들을 연결한 윤곽선들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의 전체 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복수의 웨이 포인트 각각과 충전 기기 사이의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웨이 포인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을 식별하고, 식별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비행 코스 정보를 상기 비행 물체로 전송하고,
    상기 비행 물체는,
    상기 비행 코스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비행 물체의 충전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비행 코스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물체는 복수 개이되,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검사 명령을 상기 복수 개의 비행 물체 각각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비행 물체 각각은, 자신에게 수신된 검사 명령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비행하여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불량 검출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태양광 패널 그룹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각 영역에 포함된 태양광 패널에 ID를 할당하는 ID 지정부; 및
    태양광 패널을 촬영한 영상을 비행 물체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상기 비행 물체가 상기 ID 정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의 영상을 촬영하게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 그룹과 관련되어 설치된 센서로부터 태양광 패널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태양광 패널의 불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불량 가능 여부가 판단된 태양광 패널의 ID 정보를 상기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상기 비행 물체를 상기 ID 정보에 해당하는 태양광 패널로 비행시키며,
    상기 비행 물체에 탑재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내지 제3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태양광 패널을 단계적으로 촬영하게 하되,
    어느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다음 단계의 촬영을 중단시키고 상기 비행 물체를 복귀시키고,
    상기 비행 물체는,
    비행 코스에 따라 비행하면서 검사를 하던 중 자신의 배터리의 전력 잔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충전기기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어부로 복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귀한 비행 물체가 마지막에 촬영하였던 영상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의 ID를 확인하고, 연속하여 검사가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ID를 다른 비행 물체로 전송하여, 다른 비행 물체가 릴레이 방식으로 상기 태양광 패널을 검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장치.
KR1020180105112A 2018-09-04 2018-09-04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03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12A KR102032722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9/000361 WO2020050461A1 (ko) 2018-09-04 2019-01-10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12A KR102032722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722B1 true KR102032722B1 (ko) 2019-10-16

Family

ID=6842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12A KR102032722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2722B1 (ko)
WO (1) WO2020050461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42B1 (ko) 2020-06-17 2020-10-06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태양광 패널 검사용 고품질 영상 획득을 위한 무인 비행체 및 그의 비행 제어 방법
KR20210067158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태양광 발전모듈 구조물
KR20210115432A (ko) 2020-03-13 2021-09-27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7859B1 (ko) * 2021-10-28 2022-03-23 극동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관리 시스템.
KR102441465B1 (ko) 2021-08-11 2022-09-0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드론 기반의 태양광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726B1 (ko) * 2021-12-21 2022-10-14 주식회사 에스테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6771A (ko) * 2021-04-26 2022-1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6765A (ko) * 2021-04-26 2022-1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상태 진단 시스템 및 그 상태 진단 방법
KR102525249B1 (ko) 2023-01-06 2023-04-25 (주)스카이런 인공지능 기반 영상 처리를 통한 태양광 발전소 이상 모니터링 및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79919A (ko) 2021-11-29 2023-06-07 (주)탑인프라 드론의 자동비행 영역설정 및 비행패턴 방향설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7115A (zh) * 2021-09-28 2021-12-24 上海翼枭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屋面太阳能识别方法与系统
CN113867400B (zh) * 2021-10-28 2024-05-03 中电(沈阳)能源投资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光伏发电设备巡查处理方法和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456B1 (ko) * 2016-06-08 2016-09-28 (주)대연씨앤아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감시 장치
KR101664909B1 (ko) * 2014-10-22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의 형상을 활용한 태양광 패널 감시용 무인 비행체 및 그의 자세 제어 방법
KR20180032075A (ko) * 2016-09-21 2018-03-29 한국전력공사 무인항공기용 충전장치 및 제어방법
KR101832454B1 (ko) * 2017-01-24 2018-04-13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셀 발열 위치 분석 방법
JP6337226B1 (ja) * 2018-03-02 2018-06-06 株式会社エネルギ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異常箇所検出システム
KR20180082258A (ko) * 2017-01-10 2018-07-1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검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7009A (ja) * 2012-10-05 2013-02-21 Horon:Kk 輪郭線抽出方法、輪郭線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面積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09B1 (ko) * 2014-10-22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광 패널의 형상을 활용한 태양광 패널 감시용 무인 비행체 및 그의 자세 제어 방법
KR101660456B1 (ko) * 2016-06-08 2016-09-28 (주)대연씨앤아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감시 장치
KR20180032075A (ko) * 2016-09-21 2018-03-29 한국전력공사 무인항공기용 충전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082258A (ko) * 2017-01-10 2018-07-18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검사 시스템
KR101832454B1 (ko) * 2017-01-24 2018-04-13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셀 발열 위치 분석 방법
JP6337226B1 (ja) * 2018-03-02 2018-06-06 株式会社エネルギ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異常箇所検出システ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158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태양광 발전모듈 구조물
KR20210115432A (ko) 2020-03-13 2021-09-27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2342B1 (ko) 2020-06-17 2020-10-06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태양광 패널 검사용 고품질 영상 획득을 위한 무인 비행체 및 그의 비행 제어 방법
KR102560261B1 (ko) 2021-04-26 2023-07-27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상태 진단 시스템 및 그 상태 진단 방법
KR102574002B1 (ko) 2021-04-26 2023-09-04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6771A (ko) * 2021-04-26 2022-1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6765A (ko) * 2021-04-26 2022-1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상태 진단 시스템 및 그 상태 진단 방법
KR102441465B1 (ko) 2021-08-11 2022-09-0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드론 기반의 태양광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77859B1 (ko) * 2021-10-28 2022-03-23 극동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관리 시스템.
KR20230079919A (ko) 2021-11-29 2023-06-07 (주)탑인프라 드론의 자동비행 영역설정 및 비행패턴 방향설정 방법
WO2023120977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에스테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454726B1 (ko) * 2021-12-21 2022-10-14 주식회사 에스테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525249B1 (ko) 2023-01-06 2023-04-25 (주)스카이런 인공지능 기반 영상 처리를 통한 태양광 발전소 이상 모니터링 및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461A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722B1 (ko)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101998241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불량 검출 시스템
CN111966129B (zh) 一种光伏巡检无人机及其仿地飞行方法
US20210009266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atrol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patrol method
JP2019052954A (ja) 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01722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n installation with operating means
JP6569114B2 (ja) 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KR10194334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468918A (zh) 一种线路巡检的标准化数据采集方法及系统
KR101985019B1 (ko) 드론과 gis를 사용한 이상 발열 태양광 모듈 검출 방법
CN113311861B (zh) 光伏组件隐裂特性的自动化检测方法及其系统
CN110750107A (zh) 一种基于光学标识的光伏电站无人机巡检方法
CN106356765A (zh) 一种多任务载荷输电线路巡检机器人及系统
KR20220055082A (ko) 열화상 이미지의 태양광 모듈 단위 데이터 학습을 통한 딥러닝 기반 결함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64909B1 (ko) 태양광 패널의 형상을 활용한 태양광 패널 감시용 무인 비행체 및 그의 자세 제어 방법
CN114020039A (zh) 无人机巡检杆塔自动对焦系统及方法
CN108366229B (zh) 一种定点设备智能化巡检方法
WO2021168707A1 (zh) 对焦方法、装置及设备
CN115617080B (zh) 一种变电站无人机巡检系统及方法
JP2019164551A (ja) 管理装置及び飛行装置管理方法
WO2023120977A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3520A (ko) 교량 점검용 드론 시스템
CN116430894A (zh) 基于无人机的光伏电站智能巡检系统
CN112683881A (zh) 一种利用无人机进行大规模光伏组件隐裂检测的方法
Shao et al. Three-dimensional trajectory design for post-disaster UAV video insp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