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423B1 -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423B1
KR102032423B1 KR1020180020904A KR20180020904A KR102032423B1 KR 102032423 B1 KR102032423 B1 KR 102032423B1 KR 1020180020904 A KR1020180020904 A KR 1020180020904A KR 20180020904 A KR20180020904 A KR 20180020904A KR 102032423 B1 KR102032423 B1 KR 10203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andle
garnish
shape
hemi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27A (ko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2018002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4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 케이크, 쵸콜릿 등 디저트 모양의 캔들과 이에 부가적으로 장식하는 캔들가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캔들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복잡한 형상의 캔들가니쉬 및 향료를 첨가할 수 있고 높은 색채·형태 유지력을 지니며 다채로운 표면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CANDLE AND CANDLE GARNISH}
본 발명은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빵, 케이크, 쵸콜릿 등 다양한 디저트 모양의 캔들과 이를 장식하기 위한 캔들가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들은 파라핀이나 밀랍 등으로 된 고체 연료와 심지로 이루어져 빛을 발하는 광원인 양초에 향기를 발하는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양초의 의미로 사용되며, 최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확대되며 방향제 뿐 아니라 인테리어 용도 또는 치료요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인테리어 용도로서 빵, 케이크, 쵸콜릿 등 디저트 모양의 캔들이 소비자들의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러한 캔들을 제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수종의 소이 왁스를 적층하여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이 선행기술문헌(공개특허 제10-2017-0048255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장식용 캔들은 원통형 틀체(2) 내부에 복수의 소이왁스층(10,11,12,13)을 형성하여 케이크 형태를 구현하고, 상부에 과일 형태의 장식물(20)을 올려놓아 케이크를 장식하는 형태로 장식용 캔들이 제조되어, 서로 다른 색상의 수종의 소이 왁스를 적층하여 케이크 형태의 캔들 본체를 구성할 수 있으나, 장식부의 경우에는 소이왁스를 압출기구에 넣어 짜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만 제조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제조할 때 케이크의 형태와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수에탄올을 첨가하고 있는데, 무수에탄올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아로마캔들의 주재료인 향료 첨가가 불가능하고 에탄올의 화학작용으로 인해 적층면의 과도한 이염 및 표면 변색이 심하며, 유광 표면을 표현할 수 있는 젤왁스의 첨가가 불가능하여 무광의 표면만 구현이 가능하고, 제조 과정에서 형태변형이 심하고, 제조 후 에탄올이 휘발되면 공기가 유입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48255호 (2017.05.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의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형틀로는 제작이 불가능한 얇고 복잡한 형상의 캔들용 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니쉬 디저트 캔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캔들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제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복잡한 형상의 캔들가니쉬 및 향료를 첨가할 수 있고 높은 색채·형태 유지력을 지니며 다채로운 표면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들 제조 방법은, 필라용 소이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이는 필라용 소이 왁스 용융 단계; 탈거용 가틀을 형틀의 측면에 넣어 옆면의 틀을 만드는 측면 틀 형성 단계; 시럽과 유사한 제형이 될 때까지 녹인 왁스를 저어주며 제형을 만드는 시럽 제형 형성 단계; 시럽제형으로 만들어진 왁스를 형틀에 부어주는 형틀 투입 단계; 1개의 레이어를 형성한 후 왁스를 다시 부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형성 단계; 왁스가 어느 정도 굳은 후 탈거용 가틀을 잡고 캔들을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및 조색된 젤 왁스를 완성된 캔들의 상부에 부어주는 젤왁스 코팅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 제조 방법은, 비즈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조색하는 비즈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를 원하는 형태의 형틀에 투입하는 형틀 투입 단계; 왁스가 굳은 후 형틀에서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표면에 광택을 내기 위해 젤 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탈형된 캔들 위로 녹인 젤 왁스를 부어주는 젤 왁스 코팅 단계; 및 젤 왁스가 굳은 후에 흘러내린 단면을 정리하는 단면 정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은,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즈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를 필름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밀어주는 용융 왁스 스크레이핑 단계; 스크레이핑된 왁스 필름을 필요한 사이즈로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가니쉬 형상을 만드는 형상 구현 단계;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혀주는 냉각 단계; 및 완성된 가니쉬를 필름에서 떼어내는 가니쉬 탈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정제 비즈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무수에탄올을 첨가하는 무수 에탄올 투입 단계; 왁스의 위 표면이 굳어 들어갈 때 왁스를 저어 시럽 제형을 만드는 시럽 제형 형성 단계; 짤주머니안에 시럽 제형의 왁스를 넣고 필름지 위에 모양을 잡아 뿌려주는 패턴 형성 단계; 왁스가 뿌려진 필름지를 필요한 모양으로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가니쉬 형상을 구현하는 필름지 형상 구현 단계; 형상이 구현된 필름지를 냉장고에 넣어 굳히는 냉각 단계; 및 완전히 굳은 가니쉬에서 필름지를 제거하는 필름지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정제 비즈 왁스 용융 단계; 용융된 왁스를 평판 작업판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밀어주는 용융 왁스 스크레이핑 단계; 다른 색이 교번되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핑 된 왁스 위에 다른 색의 왁스를 부은 후 스크래퍼로 윗 표면을 밀어주는 스프레딩 단계; 및 작업판 위에서 일정 정도 경화된 왁스를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주는 형상 구현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는 비정제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을 넣어 조색한 후 형틀에 부어주는 형틀 투입 단계; 왁스가 일정 경화된 후 형틀에서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탈형된 왁스를 제면기에 넣고 얇게 펴는 제면기 투입 단계; 및 얇게 펴진 왁스를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은, 정제용 비즈왁스와 필라용 소이왁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녹이는 정제 비즈 왁스 및 필라용 소이 왁스 용융단계; 녹인 왁스를 아크릴 반구에 소량 부어준 후 반구를 돌려가며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도록 하는 아크릴 반구상 스프레딩 단계; 아크릴 반구 내에서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면, 모양깍지를 반구 안쪽에 투입시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 형성 단계; 아크릴 반구를 냉장고에 넣어 일정 시간 경과시켜 반구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 및 또 하나의 반구를 제조한 뒤 서로 결합하는 반구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캔들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캔들에 전술한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캔들가니쉬를 장식하여 캔들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캔들가니쉬 및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 제조 방법은 위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의 캔들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형상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 조건과 도구, 방법 등을 안내하여, 초보자도 실패없이 복잡한 모양의 캔들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모양의 캔들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장식용 캔들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캔들의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캔들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캔들 제조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캔들가니쉬 제조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캔들가니쉬와 디저트 케이크 모양 캔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핫플레이트, 비커, 저울, 온도계, 힛건, 베이킹용 모양스크래퍼, 스텐스크래퍼, 형태를 만들기 위한 형틀(몰드), 평면 작업판(대리석판, 포세린타일판 등 사용), 아크릴판, 등의 도구가 필요하고, 정제용 비즈왁스, 비정제용 비즈왁스, 필라용 소이왁스, 젤왁스(HP, SHP), 심지, 테이프, 코팅필름(OHP, 코팅용지 등), 종이, 나무젓가락, 나무헤라 등 니들링용 스틱, 염료 등의 재료를 준비해야 한다.
디저트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고체형태의 필라용 소이왁스를 형틀의 가용 용량에 맞춰 계량하여 녹이고, 종이, 필름 등으로 형성된 탈거용 가틀을 형틀의 외측으로 밀착해 넣어 측면 틀을 형성한다. 이때 탈거용 가틀의 높이는 형틀의 높이보다 높아야 한다. 다음으로 녹인 왁스의 윗면이 경화되기 시작하면 일정한 속도로 저어 균일하게 경화시킨다. 용기에 담긴 필라용 소이왁스는 하단-상단-측면-내측 순으로 경화되며 젓는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시럽과 같은 제형을 만들 수 없으므로, 시럽과 같은 제형으로 균일하게 경화될 때까지 저어 작업 제형을 만든다.
다음으로 시럽 제형으로 만들어진 필라용 소이왁스를 형틀에 부어준다. 이 때, 윗면을 힛건으로 살짝 녹여주면 왁스의 횡단면을 반듯하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 제조 방법의 경우 무수에탄올을 사용하기 때문에 힛건을 사용하게 되면 에탄올과 왁스의 분리 및 휘발로 인해 제형을 유지할 수 없어 힛건을 이용하여 횡단면을 반듯하게 형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없다.
앞선 단계를 반복하여 원하는 수의 레이어를 형성하고, 왁스가 어느 정도 굳으면 탈거용 가틀을 잡고 캔들을 형틀에서 탈형한다. 이때 액체 상태의 면은 남아있지 않아야 하고 측면이 니들링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 경화되지는 않은 상태에서 탈형하는 것이 좋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레이어(110), 제2 레이어(120)를 갖는 캔들(100)을 도시하였다. 탈형된 캔들의 겉면을 빵 재질이 표현 되도록 나무젓가락, 나무 헤라등으로 만든 니들링 스틱을 이용하여 두드려준다.
다음으로 젤 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원하는 색으로 조색하고. 완성된 캔들의 상부에 캔들의 외경보다 큰 종이컵을 올려 틀을 만든 후, 젤왁스를 완성된 캔들 위에 부으면 캔들의 상부에 젤왁스 코팅층(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2에서와 같은 케이크 형태의 캔들(100)이 완성된다.
젤 왁스를 상단에 코팅하지 않고 형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탈형이 불가능하거나, 탈거시 심한 표면 파손이 발생하고 유광질감 및 투명도가 현저히 저하되며, 특히, 종래 제조방법의 경우 젤왁스 코팅층 형성시 에탄올 화학작용으로 인해 유광 질감과 투명도가 현저히 저하되거나 젤왁스 코팅층이 쉽게 박리되어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다.
디저트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만드는 다른 방법으로 유광 글레이즈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유광 글레이즈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비즈왁스를 형틀의 용량에 맞춰 계량하여 녹인 후 원하는 색으로 조색 한 후 형틀에 부어준다. 비즈왁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글레이즈 층 코팅시 기포가 발생하여 매끈한 표면을 구현할 수 없고 코팅층이 쉽게 박리되므로, 유광 글레이즈 케이크를 제조할 때에는 비즈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반구형태의 형틀을 사용하여 광택이 있는 반구 형상의 글레이즈 케이크 캔들(200)을 구현하였다. 왁스가 완전히 굳으면 형틀에서 탈형 하고, 표면에 광택층을 코팅하기 위해 HP, 혹은 SHP 젤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탈형된 캔들 위로 부어주면 광택 젤왁스 코팅층이 만들어진다. MP 젤왁스를 사용할 경우 경도가 낮아 쉽게 파손 또는 박리되어 글레이즈 형상을 유지하기 힘드므로 HP, 혹은 SHP 젤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젤 왁스의 온도는 70~85도가 바람직하며, 70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표면에 자연스럽게 부착되지 않고 기포발생으로 깨끗한 표면을 만들 수 없고, 85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 표면에 밀착되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어 적절한 형태와 광택을 구현할 수 없으며, 오히려 높은 온도로 인해 비즈왁스층이 코팅되지 않고 녹게 된다. 젤 왁스가 굳은 후에 흘러내린 단면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유광의 글레이즈 케이크 캔들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형태의 캔들가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300)는 도 2에서와 같이 표면에 광택이 있고 얇고 길게 꼬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3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을 넣어 조색한다. 비정제 비즈왁스를 녹일 때 화이트 고체 염료를 같이 넣고 녹이면 비정제 비즈왁스 특유의 황색을 탈색시켜 조색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비정제 비즈왁스 대신 밀랍 또는 비즈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녹인 왁스의 온도를 70~90도 사이로 유지하고, 녹인 왁스를 필름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재빠르게 밀어준다. 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스크래퍼로 얇게 밀린 가니쉬 형태가 유지되고 필름 제거 후 표면의 광택감을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왁스가 스크레이핑된 필름을 원하는 사이즈와 모양으로 자르거나 말아서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혀준다. 왁스를 냉각시키지 않으면 필름이 잘 분리되지 않고 표면의 광택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냉장고에서 완전히 굳은 후 꺼내 필름지를 제거하면 탄성이 있고 광택감이 감돌며 가늘고 길게 꼬인 형태의 슬림트위스트 가니쉬(300)를 완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캔들가니쉬의 제2실시예인 색이 교번되는 스트라이프 가니쉬(400)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트라이프 가니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게 된다. 이 때, 화이트 고체 염료를 같이 넣고 녹여주면 비정제 비즈왁스 특유의 황색을 탈색시켜 조색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을 넣어 조색 한 후 대리석판, 포세린 타일판 등을 이용한 작업판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재빠르게 밀어준다. 이 때, 왁스를 판 위에 부을 때의 온도는 75~90도가 바람직하며, 왁스의 온도가 75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크래퍼로 밀 때 일부가 먼저 경화되어 얇게 펴지지 않고, 90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경화가 늦게 진행되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 다른 색이 교번되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먼저 홈이 형성된 모양 스크래퍼로 밀어 얇게 편다. 왁스가 경화되면 다른 색의 왁스를 부은 후 스크래퍼로 윗 표면을 밀어 교번되는 패턴을 만들어준다. 다음으로, 작업판 위에서 일정 정도 경화된 왁스를 원하는 사이즈와 모양으로 자른 후 필요한 경우 스크래퍼(스텐)를 이용하여 밀면서 말아준다. 이때 작업판 위에 미리 필름을 깔고 작업하면 자르거나 마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는 직사각형으로 필름을 자른 후 원통형으로 말았을 때의 형상이다. 비정제 비즈왁스가 아닌 다른 왁스를 사용할 경우 말거나 자르는 과정에서 휘지 않고 파손되므로, 반드시 비정제 비즈왁스를 사용해야 한다. 그 후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겨 왁스가 완전히 경화된 후 냉장고에서 꺼내면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색이 교번되는 모양의 가니쉬가 만들어진다.
캔들가니쉬의 제3실시예로 도 4에서와 같은 롤링메쉬 가니쉬(5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롤링메쉬 가니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정제 비즈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녹인 왁스에 무수에탄올을 3~5%로 계량하여 넣는다. 무수에탄올을 이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는 이유는 원하는 모양으로 균일하게 뿌릴 수 있는 시럽 상태의 제형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 때 무수에탄올의 비율이 3%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균일한 형상을 구현할 수 없고, 5%를 초과할 경우 비정제 비즈왁스 특유의 탄성 저하로 작업시 쉽게 파손된다. 또한, 무수에탄올 첨가시 넣는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왁스의 온도를 70~78도로 유지해야 한다. 왁스의 온도가 70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왁스가 에탄올과 제대로 혼합되지 않고 부분 경화되어 짤주머니의 입구를 막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78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탄올의 휘발로 시럽 상태의 제형 유지가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왁스의 위 표면이 경화되기 시작하면 저어주면서 시럽 상태의 제형으로 만들어 주고, 일회용 짤주머니에 금속팁을 끼워 준비한다. 작업 전에 원하는 사이즈와 모양으로 필름지를 재단하여 준비해둔다. 짤주머니안에 시럽 형태의 제형으로 완성된 왁스를 넣고 필름지 위에 모양을 잡아 뿌려준다. 왁스가 뿌려진 필름지를 원하는 사이즈와 모양으로 자른 후 필요한 경우 원하는 형태로 말아준 뒤 냉장고에 넣고 차갑게 냉각시킨다. 예시는 직사각형으로 필름을 자른 후 원통형으로 말았을 때의 형상이다. 비정제 비즈왁스가 아닌 다른 왁스를 사용할 경우 필름을 말거나 자르는 과정에서 휘지 않고 파손되므로 반드시 비정제 비즈왁스를 사용해야 한다. 다음으로, 완전히 굳은 왁스에서 필름지를 제거하면, 도 5와 같이 원통으로 롤링된 메쉬 형태의 가니쉬를 완성할 수 있다.
캔들가니쉬의 제4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은 판형 스트랩 가니쉬(6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판형 스트랩 가니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게 된다. 이 때, 화이트 고체 염료를 같이 넣고 녹여주면 비정제 비즈왁스 특유의 황색을 탈색시켜 조색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의 염료를 넣어 조색한 후 실리콘 형틀에 부어준다. 왁스의 표면이 완전히 굳으면 탈형 한 후 제면기에 넣어 얇게 펴준다. 비정제 비즈왁스가 아닌 다른 왁스를 사용할 경우 경도가 높거나 연성이 낮아 제면기 작업이 불가능하다. 제면기에 넣는 고화된 비정제 비즈왁스는 10~20도 사이를 유지한다. 10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지나치게 경화되어 얇게 펴지지 않고 깨질 수 있으며 20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왁스층이 박리되어 제면기에 달라붙어 매끈한 표면이 유지되기 힘들다. 제면기에 넣고 2~3번 작업하여 왁스를 얇게 편 후 원하는 모양과 사이즈로 자르면 판형 스트랩 가니쉬가 완성되고, 판형 스트랩을 말아 장식해주면 도 3에서와 같이 원통으로 말린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캔들가니쉬의 제5실시예로 도 5에서와 같은 케이크의 상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구형 가니쉬(7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구형 가니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제용 비즈왁스와 필라용 소이왁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녹여준다. 바람직하게는 정제 비즈왁스와 필라용 소이왁스의 비율이 5:5일 때 가장 완성 품질이 우수하다. 비즈왁스의 비율이 높을 경우 구 형태가 왁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표면에 결이 형성된다. 또한 형상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고 작업중에 변형이 심하다. 필라용 소이왁스의 비율이 높을 경우 표면의 광택이 저하되고 경도가 낮아 작업시 쉽게 파손된다. 다음으로 아크릴 반구를 준비하고, 녹인 왁스를 아크릴 반구에 소량 부어준 후 반구를 돌려가며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도록 한다. 이 때, 녹인 왁스의 온도는 70~75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왁스의 온도가 70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아크릴 반구에서 부분적으로 먼저 고화되어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표면에 결이 형성되어 매끄러운 구 형상을 만들 수 없다. 왁스의 온도가 75도 이상인 경우에는 일정 두께가 만들어지지 않고 용융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아크릴 반구 내에서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면, 달궈진 모양깍지를 반구 안쪽에 투입시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모양과 크기의 구멍(710)을 형성하게 된다. 반구 내에서 고화된 왁스를 꺼내기 위해서는 반구를 바로 꺼내지 않고 냉장고에 넣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두게 된다. 반구를 더 차갑게 식혀 수축률을 높여주게 되면 왁스를 꺼낼 때 파손되거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의 긁힘없이 광택감을 유지할 수 있다. 반구형 왁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한 번 수행하고, 두 개의 반구를 결합하면 한 개의 구를 만들면 도 5와 같이 복수의 구멍(710)이 형성된 구형 캔들가니쉬를 완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캔들 제조 방법과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을 조합하면 다향한 형태의 캔들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캔들 상부에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를 장식하여 캔들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캔들은 필라용 소이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이는 필라용 소이 왁스 용융 단계; 탈거용 가틀을 형틀의 측면에 넣어 옆면의 틀을 만드는 측면 틀 형성 단계; 시럽과 유사한 제형이 될 때까지 녹인 왁스를 저어주며 제형을 만드는 시럽 제형 형성 단계; 시럽제형으로 만들어진 왁스를 형틀에 부어주는 형틀 투입 단계; 1개의 레이어를 형성한 후 왁스를 다시 부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형성 단계; 왁스가 어느 정도 굳은 후 탈거용 가틀을 잡고 캔들을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및 조색된 젤 왁스를 완성된 캔들의 상부에 부어주는 젤왁스 코팅 단계;를 통해 완성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는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즈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를 필름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밀어주는 용융 왁스 스크레이핑 단계; 스크레이핑된 왁스 필름을 필요한 사이즈로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가니쉬 형상을 만드는 형상 구현 단계;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혀주는 냉각 단계; 및 완성된 가니쉬를 필름에서 떼어내는 가니쉬 탈착 단계;를 통해 완성되며, 완성된 캔들 위해 완성된 가니쉬를 장식하면 도 2에서와 같은 형태의 캔들을 완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디저트 케이크 형태 캔들의 또 다른 실시예로 유광 글레이즈 케이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유광 글레이즈 케이크는 도 7에서와 같이, 비즈왁스를 원하는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조색하는 비즈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를 원하는 형태의 형틀에 투입하는 형틀 투입 단계; 왁스가 굳은 후 형틀에서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표면에 광택을 내기 위해 젤 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인 후 탈형된 캔들 위로 녹인 젤 왁스를 부어주는 젤 왁스 코팅 단계; 및 젤 왁스가 굳은 후에 흘러 내린 단면을 정리하는 단면 정리 단계;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캔들가니쉬의 제2실시예인 색이 교번되는 스트라이프 가니쉬는 도 8에서와 같이,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정제 비즈 왁스 용융 단계; 용융된 왁스를 평판 작업판 위에 소량 부어준 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밀어주는 용융 왁스 스크레이핑 단계; 다른 색이 교번되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핑 된 왁스 위에 다른 색의 왁스를 부은 후 스크래퍼로 윗 표면을 밀어주는 스프레딩 단계; 작업판 위에서 일정 정도 경화된 왁스를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주는 형상 구현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또한, 캔들가니쉬의 제3실시예인 롤링메쉬 가니쉬는 도 9에서와 같이,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정제 비즈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무수에탄올을 첨가하는 무수 에탄올 투입 단계; 왁스의 위 표면이 굳어 들어갈 때 왁스를 저어 시럽 제형을 만드는 시럽 제형 형성 단계; 짤주머니안에 시럽 제형의 왁스를 넣고 필름지 위에 모양을 잡아 뿌려주는 패턴 형성 단계; 왁스가 뿌려진 필름지를 필요한 모양으로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가니쉬 형상을 구현하는 필름지 형상 구현 단계; 형상이 구현된 필름지를 냉장고에 넣어 굳히는 냉각 단계; 및 완전히 굳은 가니쉬에서 필름지를 제거하는 필름지 제거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또한, 캔들가니쉬의 제4실시예인 판형 스트랩 가니쉬는 도 10에서와 같이,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는 비정제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을 넣어 조색한 후 형틀에 부어주는 형틀 투입 단계; 왁스가 일정 경화된 후 형틀에서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탈형된 왁스를 제면기에 넣고 얇게 펴는 제면기 투입 단계; 얇게 펴진 왁스를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또한, 캔들가니쉬의 제5실시예인 구형 가니쉬는 도 11에서와 같이, 정제용 비즈왁스와 필라용 소이왁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녹이는 정제 비즈 왁스 및 필라용 소이 왁스 용융단계; 녹인 왁스를 아크릴 반구에 소량 부어준 후 반구를 돌려가며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도록 하는 아크릴 반구상 스프레딩 단계; 아크릴 반구 내에서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면, 모양깍지를 반구 안쪽에 투입시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 형성 단계; 아크릴 반구를 냉장고에 넣어 일정 시간 경과시켜 반구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 및 또 하나의 반구를 제조한 뒤 서로 결합하는 반구 결합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캔들 제조 방법을 통해 디저트 케이크 형태의 캔들을 완성한 후 가니쉬 캔들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양한 형태의 가니쉬를 장식하면 다양한 질감과 형태를 갖는 가니쉬 디저트 캔들(1000)을 완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가니쉬 디저트 캔들
100 : 일실시예에 따른 캔들
110 : 제1 레이어 120 : 제2 레이어 130: 젤왁스 코팅층
20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
300 :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트위스트 가니쉬
400 :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프 가니쉬
500 : 제3실시예에 따른 롤링메쉬 가니쉬
600 : 제4실시예에 따른 판형 스트랩 가니쉬
700 : 제5실시예에 따른 구형 가니쉬
710 : 구멍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고 조색하는 비정제 비즈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무수에탄올을 첨가하는 무수 에탄올 투입 단계; 왁스의 위 표면이 굳어 들어갈 때 왁스를 저어 시럽 제형을 만드는 시럽 제형 형성 단계;
    짤주머니안에 시럽 제형의 왁스를 넣고 필름지 위에 모양을 잡아 뿌려주는 패턴 형성 단계;
    왁스가 뿌려진 필름지를 필요한 모양으로 자르거나 말아서 원하는 가니쉬 형상을 구현하는 필름지 형상 구현 단계;
    형상이 구현된 필름지를 냉장고에 넣어 굳히는 냉각 단계; 및
    완전히 굳은 가니쉬에서 필름지를 제거하는 필름지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5. 삭제
  6. 비정제 비즈왁스를 필요한 만큼 계량하여 녹이는 비정제 왁스 용융 단계;
    녹인 왁스에 원하는 색을 넣어 조색한 후 형틀에 부어주는 형틀 투입 단계;
    왁스가 일정 경화된 후 형틀에서 탈형하는 형틀 탈형 단계;
    탈형된 왁스를 제면기에 넣고 얇게 펴는 제면기 투입 단계; 및
    얇게 펴진 왁스를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를 포함하는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7. 정제용 비즈왁스와 필라용 소이왁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녹이는 정제 비즈 왁스 및 필라용 소이 왁스 용융단계;
    녹인 왁스를 아크릴 반구에 소량 부어준 후 반구를 돌려가며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도록 하는 아크릴 반구상 스프레딩 단계;
    아크릴 반구 내에서 왁스가 일정 두께를 가지고 고화되면, 모양깍지를 반구 안쪽에 투입시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 형성 단계;
    아크릴 반구를 냉장고에 넣어 일정 시간 경과시켜 반구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 및
    또 하나의 반구를 제조한 뒤 서로 결합하는 반구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180020904A 2018-02-22 2018-02-22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KR10203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04A KR102032423B1 (ko) 2018-02-22 2018-02-22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04A KR102032423B1 (ko) 2018-02-22 2018-02-22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78A Division KR102181180B1 (ko) 2019-10-07 2019-10-07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27A KR20190101027A (ko) 2019-08-30
KR102032423B1 true KR102032423B1 (ko) 2019-10-15

Family

ID=6777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04A KR102032423B1 (ko) 2018-02-22 2018-02-22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53B1 (ko) * 2019-09-19 2020-05-21 박진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6414A (zh) * 2000-06-30 2000-12-13 青岛金王轻工制品有限公司 水果罐头蜡烛的制造方法
JP3189070B2 (ja) * 1991-06-29 2001-07-16 バンティ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光重合性液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255A (ko) 2017-01-17 2017-05-08 최현정 캔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070B2 (ja) * 1991-06-29 2001-07-16 バンティ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光重合性液体組成物
CN1276414A (zh) * 2000-06-30 2000-12-13 青岛金王轻工制品有限公司 水果罐头蜡烛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27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095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fectionery article with an embossed decorative element
CA2578331C (en) Process for modified production of filled one-shot confectionery products
US4382968A (en) Process for molding chocolate to make chocolate block having ornamental pattern
KR102032423B1 (ko)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US615191A (en) Georg lembke
KR20190117449A (ko) 캔들 및 캔들가니쉬 제조 방법
JP3069966B2 (ja) 印刷模様付き装飾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
KR860000366B1 (ko) 장식 초콜렛의 성형방법
JP3010452B2 (ja) 印刷模様付き多色装飾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
KR20070015475A (ko) 한 접시내 다색화장품의 충전방법
KR20170027689A (ko) 초콜릿 재료로 이루어진 장식판의 제조방법
US9265271B2 (en) Method for decorating a cake with a cake coating
US8968810B2 (en) Mould and method for preparing a decorative cake coating
JPH0150376B2 (ko)
KR20080038003A (ko) 입체 디자인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얻어진입체 디자인 초콜릿
JP2006111673A (ja) 装飾用ろうそく成型品の製造方法
RU235412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околадных фигур
JP3010552B2 (ja) チョコレート被覆菓子の製造方法
KR101193711B1 (ko) 라떼 아트 기법을 이용한 고형 화장료의 무늬 형성 방법
JP2018177585A (ja) 陶磁器への加飾方法
JP3010451B2 (ja) 印刷模様付き装飾チョコ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37176A (ja) 多色表面をもつ平板状菓子の製造方法
CA1170504A (en) Process for molding chocolate to make chocolate block having ornamental pattern
TR201801226A2 (tr) Yapısında Asimetrik Desenli Birden Fazla Renk İhtiva Eden Mum Üretim Yöntemi
KR20050053801A (ko) 즉석 성형틀을 이용한 초콜렛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