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396B1 -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396B1
KR102032396B1 KR1020130097604A KR20130097604A KR102032396B1 KR 102032396 B1 KR102032396 B1 KR 102032396B1 KR 1020130097604 A KR1020130097604 A KR 1020130097604A KR 20130097604 A KR20130097604 A KR 20130097604A KR 102032396 B1 KR102032396 B1 KR 10203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mounting lug
mounting
compress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764A (ko
Inventor
임승택
이창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3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된 마운팅 러그의 일측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몸체부와 부쉬 헤드부를 구비한 부쉬를 포함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DEVICE FOR MOUNTING COMPRESSOR IN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공조장치를 구동시키는 압축기를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차량용 압축기는 엔진의 회전축과 벨트 및 풀리로 연결되어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는데, 엔진에 장착되는 이어 마운팅(Ear mounting) 타입 압축기(1)는 마운팅장치를 통해 엔진측에 장착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는 엔진측에 구비된 브라켓(1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1마운팅 러그(120) 및 제2마운팅 러그(120'), 상기 제2마운팅 러그(120')과 제1마운팅 러그(120) 및 엔진측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10)과 제1마운팅 러그(120) 및 제2마운팅 러그(120')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 풀리(2)의 진동으로 인해 벨트가 이탈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상기 체결부재(140)를 심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브라켓(110)이나 제1마운팅 러그(120) 및 제2마운팅 러그(120')에 피로가 가해져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마운팅장치는 압축기(1)측 제1마운팅 러그(120)에 부쉬(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쉬(130)는 몸체부(131)와 헤드부(132)로 구성되고, 그 몸체부(131)와 헤드부(132)에는 상기 체결부재(140)가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체결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마운팅 러그(120)의 일측에는 부쉬(130)가 끼워지는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121)의 일측에는 부쉬(130)의 헤드부(132)가 안착되는 헤드 안착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 안착홈(122)의 일측에는 부쉬 헤드부(132)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쉬(130)의 몸체부(131)는 제1마운팅 러그(120)의 관통공(121)에 압입되어 끼워지되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부쉬(130)의 헤드부(132)는 제1마운팅 러그(120)의 헤드 안착홈(122)에 안착된다.
상기 부쉬(130)는 그 헤드부(132)에 스토퍼부(132a)가 형성되어 상기 제1마운팅 러그(120)의 걸림턱(12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쉬(130)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40)를 부쉬(130)의 체결공(131a)에 끼워 조이게 되면 그 부쉬(130)가 엔진측 브라켓(110)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운팅 러그(120)가 브라켓(110)에 체결되기 전에 상기 부쉬(130)의 몸체부(131)는 제1마운팅 러그(120)의 관통공(121)에 압입되어 끼워져 있고 부쉬 헤드부(132)는 헤드 안착홈(122)에 안착되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제1마운팅 러그(120)와 제2마운팅 러그(120') 및 브라켓(110)에 상기 체결부재(140)를 끼우고 부쉬(130)의 체결공(131a)에 나사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상기 부쉬(130)가 제1마운팅 러그(120)의 관통공(121)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빠져 나오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130)의 헤드부(132)가 브라켓(110)의 외측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하여 조립이 완성된다.
그러나, 위의 부쉬 체결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압축기(1)가 엔진과 별도로 제작되어 운반과정을 거쳐 엔진에 장착되는 ㄱ경우 통상 압축기(1)의 생산과정에서 부쉬(130)를 끼워 운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부쉬(130)의 몸체부(131)가 제1마운팅 러그(120)의 관통공(121)에 압입되어 끼워지기는 하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므로 압축기의 운송시 진동으로 인해 부쉬(130)가 제1마운팅 러그(120)로부터 일부 이탈되거나 완전히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부쉬(130)의 헤드부(132)는 몸체부(131)와는 달리 제1마운팅 러그(120)의 헤드 안착홈(122)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도 아니므로 부쉬(130)를 제1마운팅 러그(120)에 고정시키는 데 전혀 기여하지 못하여 제1마운팅 러그(120)의 이탈을 저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쉬(130)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부쉬(130)의 몸체부(131)와 제1마운팅 러그(120)의 관통공(121)의 공차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엔진으로의 압축기 마운팅시 부쉬(130)의 슬라이드 동작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압축기의 운송시 진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공차조건을 찾기가 어렵고 그 공차조건대로 가공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쉬를 압축기에 조립할 때 압입에 의한 마찰력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부쉬가 압축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쉬의 조립 토크를 저감시켜 부쉬를 압축기의 제1마운팅 러그에 용이하게 압입시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제1마운팅 러그를 엔진에 체결할 때 부쉬가 엔진측 브라켓쪽으로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부쉬를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의 일측에 부쉬 헤드부를 수용하는 헤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안착홈의 일측에는 부쉬 헤드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마운팅 러그, 상기 제1마운팅 러그와 상기 엔진측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마운팅 러그, 상기 제1마운팅 러그의 관통공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몸체부를 구비하고 그 부쉬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마운팅 러그의 헤드 안착홈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쉬 헤드부의 일측에 상기 제1마운팅 러그의 걸림턱과 접촉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부재를 수용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부쉬, 및 상기 엔진측 브라켓과 제1마운팅 러그, 제2마운팅 러그, 및 부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쉬의 외주면에 그루브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쉬의 그루브는 상기 부쉬 몸체부와 부쉬 헤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부쉬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다수개가 부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부쉬 몸체부의 외주면 표면적 대비 3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쉬와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부쉬의 체결공 내측벽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의하면, 부쉬를 압축기에 조립할 때 압입에 의한 마찰력을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부쉬가 압축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쉬의 조립 토크를 저감시켜 부쉬를 압축기의 제1마운팅 러그에 용이하게 압입시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제1마운팅 러그를 엔진에 체결할 때 부쉬가 엔진측 브라켓쪽으로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쉬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서용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는, 엔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10),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측의 브라켓(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운팅 러그(20) 및 제2마운팅 러그(20'),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일측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몸체부(31)와 부쉬 헤드부(32)를 구비한 부쉬(30), 및 상기 엔진측 브라켓(10)과 제1마운팅 러그(20), 제2마운팅 러그(20'), 및 부쉬(3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은 엔진측에 구비되되 압축기측의 제1마운팅 러그(20) 및 제2마운팅 러그(20')의 사이에 끼워지고, 그 제1마운팅 러그(20) 및 제2마운팅 러그(20')와 체결부재(40)로 결합됨으로써 압축기가 엔진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와 제2마운팅 러그(20')는 압축기(1)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엔진측의 브라켓(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일측에는 체결부재(40)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체결 몸체부(41)와 체결 헤드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 몸체부(41)는 상기 제2마운팅 러그(20'), 브라켓(10), 제1마운팅 러그(20) 및 부쉬(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브라켓(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부쉬(30)의 체결공(31a)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 헤드부(42)는 상기 체결 몸체부(41)가 상기 제2마운팅 러그(20'), 브라켓(10), 제1마운팅 러그(20) 및 부쉬(30)에 결합되면 상기 제2마운팅 러그(20)의 외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는 일측에 부쉬(30) 및 체결부재(40)를 수용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공(21)의 일측에 부쉬 헤드부(32)를 수용하는 헤드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마운팅 러그(20')의 일측에도 체결부재(40)를 관통되게 수용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드 안착홈(22)은 상기 관통공(21)의 양쪽 선단 중 브라켓(10)과 마주보는 쪽 선단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부쉬(30)가 제1마운팅 러그(20)쪽에서 브라켓(10)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헤드 안착홈(22)의 일측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쉬 헤드부(32)의 일측에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걸림턱(23)에 접촉되는 스토퍼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32a)는 체결부재(40)의 조임에 의해 상기 부쉬(30)에 모멘트가 가해질 때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걸림턱(23)에 부딪혀 상기 부쉬(3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쉬(30)는 스토퍼부(32a)와 걸림턱(2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부쉬(30)는 체결부재(40)를 수용하는 체결공(31a)이 형성된 원통형의 부쉬 몸체부(31)와, 그 부쉬 몸체부(31)의 선단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환형의 부쉬 헤드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부쉬 몸체부(31)는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끼워지고, 상기 부쉬 헤드부(32)는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헤드 안착홈(22)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부쉬 몸체부(31)와 부쉬 헤드부(32)는 모두 압입 방식에 의해 제1마운팅 러그(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부쉬 몸체부(31)는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압입되어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부쉬 헤드부(32)도 헤드 안착홈(22)에 압입되어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부쉬(30)의 일부분, 즉 부쉬 몸체부(31)만 제1마운팅 러그(20)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부쉬 헤드부(32)를 포함한 부쉬(30)의 외주면 전체가 제1마운팅 러그(20)에 압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부분 압입시 보다 부쉬(30)와 제1마운팅 러그(20)의 결속력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부쉬(30)가 압축기(1)의 제1마운팅 러그(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쉬(30)와 제1마운팅 러그(20)와의 결속력을 높이게 되면 부쉬(30)의 외측면과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 및 헤드 안착홈(22) 내측벽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체결부재(40)의 조임시 부쉬(30)의 슬라이딩 동작이 어렵게 되어 부쉬(30)의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부쉬(30)의 외주면에 그루브(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쉬(30)의 그루브(31b)는 그 부쉬 몸체부(31)의 외주면에 함입되어 형성되고 부쉬(3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그루브(31b)는 원통형 부쉬 몸체부(31)의 외주면에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은 반원형상의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루브(31b)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상 뿐만 아니라 'V'자형, 'ㄷ'자형 등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요홈의 형태를 띠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 그루브(31b)는 다수개가 부쉬(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다수개의 그루브(31b)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루브(31b)의 갯수는 적어도 1개 이상이어야 하지만 지나치게 많을 경우 부쉬 몸체부(31)의 강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6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그루브(31b)는 상기 부쉬 몸체부(31)의 외주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그 외주면 전체 표면적의 3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부쉬 몸체부(31) 외주면에 그루브(31b)가 형성되는 경우 그렇치 않은 경우에 비해 상기 부쉬(30)를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압입하여 끼우거나 뺄 때 소요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그루브(31b)로 인해 상기 부쉬(30)를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압입하여 끼워 넣을 때 조립토크를 저감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40)의 조임시 상기 부쉬(30)가 브라켓(10)쪽으로 빠져 나오려고 할 때 부쉬(30)가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쉬(30)와 상기 체결부재(4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부쉬(30)의 체결공(31a) 내측벽에 나사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쉬(30)는 스토퍼부(32a)와 걸림턱(2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므로, 부쉬(30)가 너트의 역할을 하여 상기 체결부재(40)가 부쉬(30)의 체결공(31a)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0)가 부쉬(30)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40)를 조이게 되면 상기 부쉬(30)는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와는 별개로 브라켓(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30)가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압입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0)를 부쉬(30)의 체결공(31a)에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부쉬(30)는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빠져 나오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30)가 브라켓(10)의 외측에 접촉되면 정지하게 된다. 상기 부쉬(30)가 브라켓(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0)가 부쉬(30)를 관통할 때까지 체결부재(40)를 계속해서 조이게 되면 조립이 완성된다.
여기서, 압축기(1)의 외측에는 그 회전축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제1마운팅 러그(20)와 제2마운팅 러그(20')가 구비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제1마운팅 러그(20)에만 부쉬(30)가 채용되는 것은 물론, 제2마운팅 러그(20')에 부쉬(30)가 각각 채용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제2마운팅 러그(20')는 부쉬(30) 없이 곧바로 체결부재(40)에 의해 브라켓(10)과 결합되고, 제1마운팅 러그(20)만이 부쉬(30)와 함께 체결되는데, 이는 압축기(1)의 결합시 브라켓(10)과 제1마운팅 러그(20) 및 제2마운팅 러그(20') 사이의 유격이 압축기(1)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제1마운팅 러그(20)나 제2마운팅 러그(20) 중 어느 하나에만 부쉬(30)를 채용하더라도 하나의 부쉬(30)만으로도 그 유격을 메우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 : 브라켓 11 : 결합공
20 : 제1마운팅 러그 21 : 관통공
22 : 헤드 안착홈 23 : 걸림턱
20' : 제2마운팅 러그 21' : 관통공
30 : 부쉬 31 : 부쉬 몸체부
31a : 체결공 31b : 그루브
31c : 나사부 32 : 부쉬 헤드부
32a : 스토퍼부 40 : 체결부재
41 : 체결 몸체부 42 : 체결 헤드부
1 : 압축기 2 : 풀리

Claims (5)

  1. 차량의 공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기를 엔진에 장착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엔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10);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부쉬(30)를 수용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21)의 일측에 부쉬 헤드부(32)를 수용하는 헤드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안착홈(22)의 일측에는 부쉬 헤드부(32)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된 제1마운팅 러그(20);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와 상기 엔진측 브라켓(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마운팅 러그(20');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관통공(21)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몸체부(31)를 구비하고, 그 부쉬 몸체부(31)의 일측에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헤드 안착홈(22)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부쉬 헤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부쉬 헤드부(32)의 일측에 상기 제1마운팅 러그(20)의 걸림턱(23)과 접촉하는 스토퍼부(32a)가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부재(40)를 수용하는 체결공(31a)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31a) 내측벽에 체결부재(4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1c)가 형성된 부쉬(30); 및
    상기 엔진측 브라켓(10)과 제1마운팅 러그(20), 제2마운팅 러그(20'), 및 부쉬(3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부쉬(30)의 외주면에 그루브(31b)가 함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30)의 그루브(31b)는 상기 부쉬 몸체부(31)의 외주면에 부쉬(3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30)의 그루브(31b)는 다수개가 부쉬(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30)의 그루브(31b)는 상기 부쉬 몸체부(31)의 외주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그 외주면 표면적의 30%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KR1020130097604A 2013-08-19 2013-08-19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KR10203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604A KR102032396B1 (ko) 2013-08-19 2013-08-19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604A KR102032396B1 (ko) 2013-08-19 2013-08-19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64A KR20150020764A (ko) 2015-02-27
KR102032396B1 true KR102032396B1 (ko) 2019-10-15

Family

ID=5257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604A KR102032396B1 (ko) 2013-08-19 2013-08-19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5923A1 (fr) * 2022-05-30 2023-12-01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e fixation entre deux composa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8916A (ja) * 1988-02-29 1989-09-01 Sanden Corp 車輌用空調装置の圧縮機取付機構
KR960011092B1 (ko) * 1993-06-30 1996-08-20 제일모직 주식회사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KR0138017Y1 (ko) * 1995-12-30 1999-03-20 박상록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체결장치
KR101427246B1 (ko) * 2008-07-11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64A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479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used for vibration-damping connecting rod, vibration-damping connecting rod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ibration-damping connecting rod
US8714943B2 (en) Mounting and damping system for a compressor
US995804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0563680B2 (en) Dampened fastener assembly
US8978201B2 (en) Anti-rattle sleeve for a hinge joint
JP2007016993A (ja) ハブを介してモータ軸とギアとを連結するクランプ
US7125191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1243260A (zh) 公差补偿连接件
JP2003161333A (ja) トルク伝達装置
US20180331592A1 (en) Methods and systems to mount a rotor to a shaft
CN110050144B (zh) 配备有振动阻尼构件的空调装置压缩机
KR102032396B1 (ko)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KR20150021640A (ko)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US20230173864A1 (en) Bushing assembly for vehicles
JP5860501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865948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EP3034875B1 (en) Refrigerant compressor
US10415650B2 (en) Device for transmitting a torque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an auxiliary unit
CN103851051A (zh) 传动销组件
US10352341B2 (en) Fastening mechanism
KR100793070B1 (ko) 자동차 압축기용 클러치의 디스크 허브조립체
JP2003322173A (ja) 動力伝達装置
US20220305886A1 (en) Vehicle electric fluid machine
JP2008014364A (ja) マウント
EP1888926B1 (en) Fasten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