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175B1 -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175B1
KR102032175B1 KR1020190010476A KR20190010476A KR102032175B1 KR 102032175 B1 KR102032175 B1 KR 102032175B1 KR 1020190010476 A KR1020190010476 A KR 1020190010476A KR 20190010476 A KR20190010476 A KR 20190010476A KR 102032175 B1 KR102032175 B1 KR 10203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uid
storage tank
discharge
car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호
Original Assignee
송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호 filed Critical 송창호
Priority to KR102019001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or viscos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05Bypass pressure relie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23Electric mot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의한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는, 유체를 저장하고,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저장탱크; 세차 차량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상기 저장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을 갖는 토출 유로; 상기 토출 유로의 분기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 상기 토출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급 펌프;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유체가 상기 회수 유로를 따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FREEZE-BURST OF CAR WASH EQUIPMENT}
본 발명은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차를 위한 시설로서는 세차할 차량이 진입하면 물과 세제 분사와 같은 세척수단의 작동과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분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세차기와, 사용자가 차량을 진입시킨 후 세척작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셀프 세차기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세차기는 자동과 셀프에 관계없이 이물질 제거를 위해 다수의 분사 노즐을 통하여 차량에 세제수를 분사하고,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작업을 완료한 후, 이물질이 제거된 차량의 표면에 광택을 위한 왁스 등을 분사한다.
그러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환경에서는 다수의 분사 노즐에 잔류하는 물과 세제가 동결되고, 배관 또는 분사 노즐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세차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사 노즐을 통해 외부로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분사 노즐을 통하여 낙하되는 세척수가 바닥에 결빙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실시 예는, 토출 유로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회수 유로를 통하여 내부에서 순환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영하의 기온에서도 다수의 분사 노즐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는, 유체를 저장하고,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저장탱크; 세차 차량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상기 저장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을 갖는 토출 유로; 상기 토출 유로의 분기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 상기 토출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급 펌프;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유체가 상기 회수 유로를 따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 유로 상에서 상기 분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개폐 밸브; 및 상기 회수 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2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 밸브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개폐 밸브는 밀폐되고, 상기 제2 개폐 밸브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회수 유로와 연통하는 제1 분기관; 및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1 분기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제2 분기관을 연결하는 분기 유로; 및 상기 분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회수 유로로 토출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제2 분기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 펌프에서 토출된 유체가 상기 순환 펌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펌프의 토출 압력은 상기 순환 펌프의 토출 압력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세척수 및 세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펌프는, 플런저 펌프(plunger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유로 상에 배치되어, 회수 유로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 펌프의 토출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왁스 및 휠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펌프는, 인버터 펌프(inverter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로 중 상기 분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동절기와 같이 영하의 기온에서 다수의 분사 노즐 또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여 세차기의 수명과 내구성을 높이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외부로 낙하된 세척수로 인하여 바닥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본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파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에서 세차 모드와 휴지 모드 시, 배출 또는 순환되는 제1 유체의 유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를 이용한 세차기의 동파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에서 세차 모드와 휴지 모드 시, 배출 또는 순환되는 제2 유체의 유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를 이용한 세차기의 동파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방지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차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차기(1)는 동파 방지장치(10), 동파 방지장치(1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동파 방지장치(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레일(20), 및 동파 방지장치(10)와 한 쌍의 레일(20)이 고정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동파 방지장치(10)는 세척수, 세제수, 왁스 등의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부(100), 유체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체의 유량 내지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 공급부(200), 유체 공급부(200)로부터 압송된 유체를 차량에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300), 외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400),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한 쌍의 레일(20)을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이송 모듈(600), 및 차량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고압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 모듈(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분사부(300)는 차량에 세척수와 세제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 모듈(310)과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해서 광택을 내도록 왁스 등을 분사하는 제2 분사 모듈(320)을 포함하고, 유체 저장부(100)와 제1 및 제2 분사모듈(310, 320)사이에는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20)은 각각 내부에 동파 방지장치(10)의 이동공간이 마련되도록, 단면이 '∩' 형상인 복수 개의 프레임(30)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차량의 세차영역(A)이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30)에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1)가 구비되고, 감지센서(31)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동파 방지장치(10)는 세차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파 방지장치(10)는 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휴지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단계 별로(예컨대, 물세차-거품세차-왁싱-건조 등) 차량의 세차 작업을 수행하는 세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차 모드의 작업 절차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차기(1)는, 동절기와 같이 외부 공기(이하, 편의상 "외기"라 칭함)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유로(미도시)에 잔존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순환 및 가열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유로(미도시) 및 분사 모듈(310, 320)의 동결 내지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동파 방지장치(10)를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 도 2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파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동파 방지장치(10)는 유체 저장부(100), 적어도 하나의 유로(미도시) 상에 배치되는 유체 공급부(200), 유체 분사부(300), 외기 온도센서(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저장부(100)는 고압 분사 여하에 따라 유체를 저장하는 제1 저장 탱크(110), 제2 저장 탱크(120), 및 각 저장 탱크(110, 120)에 저장된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 탱크(110)는 고압 분사가 요구되는 세척수 및 세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저장 탱크(120)는 점도가 높은 균질의 왁스, 발수 코팅제, 및 휠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주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 수단(130)은 제어부(500)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작동하고, 제1 및 제2 저장 탱크(110, 120)에 저장된 세척수, 세제수, 왁스, 및 휠 클리너 등이 일정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할 수 있다.
즉, 가열 수단(130)은 외기 온도센서(400)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임계치-예컨대, 3℃- 이하일 경우 그에 의한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유체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되, 외기 온도센서(400)에서 기준치-예컨대, 30℃- 이상의 온도를 검출할 경우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수단(130)의 일 예로 저장 탱크(110, 120)의 외측-예컨대, 바닥 또는 전체-을 감싸는 형태로 권회된 자력선 코일(coil) 또는 저장 탱크(110, 120)의 내측에 실장된 방수 히터(heater)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가열 수단(130)에 의하여 가열된 유체를 유로(미도시)로 흘려보내 동파 방지장치(10)의 내부를 순환시킴으로써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120)는 각 저장 탱크(110, 120)에 저장된 유체를 각 분사 모듈(310, 320)로 압송하기에 충분한 토출 압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210),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미도시) 상에 구비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밸브(22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미도시)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 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개폐 밸브(2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바꾸는 전자기력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을 전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유체 분사부(300)는 제1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 세제수 등을 세차 차량에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 모듈(310), 제2 저장 탱크(120)에 저장된 왁스, 발수 코팅제, 휠 클리너 등을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분사하는 제2 분사 모듈(320), 및 각 분사 모듈(310, 3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단열 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 수단(130)의 일 예로, 분사 모듈(310, 320)의 외부 표면에 단열재로 피복 보호된 열선, 분사 모듈(310, 320)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형상의 권선을 권취시켜 형성된 히팅 코일(heating coil), 또는 분사 모듈(310, 3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발열체가 구비된 히팅 자켓(heating jacke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단열 수단(330)이 구비될 경우, 분사 모듈(310, 320)에 잔존하는 세척수, 세제수, 왁스, 또는 휠 클리너 등이 영하의 기온에 의해 동결되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분사 모듈(310, 320) 내 분사 노즐(미도시) 및/또는 유로(미도시)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400)는 저장 탱크(110, 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또는 감지)하고, 동파가 예상되는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외기 온도센서(400)의 측정 주기는 계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동절기(예컨대, 11월 내지 2월)에는 상기 측정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센서(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외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임계치는 대략 3℃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3℃ 이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센서(400)에서 감지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로(미도시)에 잔존하는 유체가 저장 탱크(110, 120)로 회수(또는 동파 방지장치(10)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유체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유체 공급부(200)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유체 저장부(100)의 가열 수단(130) 및/또는 유체 분사부(300)의 단열 수단(33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그 작동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동파 방지장치(10)는 고압 분사가 요구되는 제1 동파 방지장치(11)와 고압 분사가 요구되지 않는 제2 동파 방지장치(13)로 양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동파 방지장치(11, 13)는 동파 방지를 위하여 그 내부에서 유체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동파 방지장치(11)는 유입구(111) 및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3)를 갖는 제1 저장 탱크(110), 세차 차량에 제1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 모듈(310), 제1 저장 탱크(110)와 제1 분사 모듈(3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610, 620, 630),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400), 및 소정의 제어 신호(cs1, cs2, cs3, cs4)를 생성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체는 세차 차량에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세척수 및 세제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유로(610, 620, 630)는, 제1 저장 탱크(110)의 제1 토출구(113a)와 제1 분사 모듈(3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체의 토출 경로를 형성하고 복수의 분기관(640a, 640b)를 갖는 토출 유로(610), 토출 유로(610)의 제1 분기관(640a)과 제1 저장 탱크(110)의 유입구(111)를 연결하고 제1 유체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620), 및 제1 저장 탱크(110)의 제2 토출구(113b)와 토출 유로(610)의 제2 분기관(640b) 사이에 배치되는 분기 유로(6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610)는 제1 분기관(640a) 및 제2 분기관(640b)을 기점으로 구획된 구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유로(611, 612, 6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 유로(610)는 제1 저장 탱크(110)과 제2 분기관(640b) 사이의 제1 유로(611), 제2 분기관(640b)과 제1 분기관(640a) 사이의 제2 유로(613), 및 제1 분기관(640a)과 제1 분사 모듈(310) 사이의 제3 유로(613)를 포함한다.
토출 유로(610) 상에는, 제1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제1 유체를 제1 분사 모듈(310)로 토출하는 공급 펌프(211a), 제1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대, 슬러지, 스케일 등)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S), 및 소정의 제어 신호(cs1)에 따라 개폐되어 제1 유체의 토출 흐름을 제어하는 제1 개폐 밸브(2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급 펌프(211a), 스트레이너(S), 및 제1 개폐 밸브(211)는 제1 유체의 토출 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펌프(211a, P1), 스트레이너(S), 및 제1 개폐 밸브(221) 각각은 제1 유로(611), 제2 유로(612), 및 제3 유로(613)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회수 유로(620)와 분기 유로(630)는 토출 유로(610)로부터 분기되어 제1 저장 탱크(110)의 유입구(111) 및 제2 토출구(113b) 각각과 연통할 수 있다.
회수 유로(620) 상에는, 소정의 제어 신호(cs1)에 따라 개폐되어 제1 유체의 순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개폐 밸브(2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폐 밸브(223)는, 제1 개폐 밸브(221)와 서로 교번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분기 유로(630) 상에는, 소정의 제어 신호(cs2)에 따라 제1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제1 유체를 회수 유로(620)로 토출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213, P2) 및 공급 펌프(211a)에서 토출된 제1 유체가 순환 펌프(2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C)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펌프(211a)의 토출 압력은 순환 펌프(213)의 토출 압력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공급 펌프(211a)는 제1 분사 모듈(310)을 통해 제1 유체를 고압 분사하기 위하여 충분한 토출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공급 펌프(211a)의 일 예로 플런저 펌프(plunger pump)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순환 펌프(213) 및 체크 밸브(C)는 제1 유체의 순환 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C)는 순환 펌프(213)의 하류(downstream)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분사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11) 및 제3 유로(613)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11)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파이프(313)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11)과 공급 파이프(313)는 제3 유로(613)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도 1에서 전술한 감지센서(31)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1 동파 방지장치(11)를 세차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세차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전환 시, 제1 동파 방지장치(11)가 작동되는 일 예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에서 세차 모드와 휴지 모드 시, 배출 또는 순환되는 제1 유체의 유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세차 모드 시,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개방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밀폐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유체가 토출 유로(610)를 따라 제1 분사 모듈(310)로 배출될 수 있다.
휴지 모드 시, 제어부(500)는 제1 저장 탱크(110)의 일측에 설치된 외기 온도센서(400)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임계치-예컨대, 3℃-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이하, 편의상 "동파 방지모드"라 칭함), 제1 개폐 밸브(221)는 밀폐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개방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유체가 회수 유로(620)를 통해 제1 저장 탱크(1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의 개폐 동작을 전환함과 동시에, 순환 펌프(213)의 구동을 실행시켜 제1 유체가 분기 유로(630), 제2 유로(612), 및 회수 유로(620)를 따라 순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동파 방지장치(11)는, 동파 방지모드 시 토출 유로(610)에 잔존하는 제1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회수 유로(620)를 따라 제1 저장 탱크(110)로 순환시키는데 있다. 이로 인하여, 토출 유로(610)가 동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동파 방지장치(11)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가 바닥-예컨대, 세차 영역(A)-에 유출되지 아니하여 결빙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세차 모드 시에는 토출 압력이 상대적으로 큰 공급 펌프(211a)를 구동시켜 제1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되, 동파 방지모드 시에는 토출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순환 펌프(213)를 구동시켜 제1 유체를 내부에서 순환함에 따라, 제1 동파 방지장치(11)의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전기세, 수도세 등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 탱크(110)는 제1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수단(130)의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 탱크(110)의 내측에 실장된 방수 히터(heater)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저장 탱크(110)의 외측-예컨대, 바닥 또는 전체-을 감싸는 형태로 권회된 자력선 코일(coil)이 적용될 수도 있다.
가열 수단(130)은 동파 방지모드 시, 제어부(500)가 인가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cs3)에 따라 작동하여 제1 유체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동파 방지장치(11)는 가열 수단(130)에 의하여 가열된 제1 유체를 회수 유로(620)로 흘려보내 내부를 순환시킴으로써 동파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토출 유로(610)의 제3 유로(613)는 외주면에 단열 수단(3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3 유로(61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단열 수단(330)의 일 예로, 제3 유로(613)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형상의 권선을 권취시켜 형성된 히팅 코일(330a) 또는 제3 유로(613)의 외주면에 발열체가 구비된 히팅 자켓(330b)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히팅 코일(330a)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일 형상의 권선과 제3 유로(613) 사이에는 열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열 전달 물질(미도시)이 충진될 수도 있다.
단열 수단(330)은 동파 방지모드 시, 제어부(500)가 인가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cs4)에 따라 작동하여 제3 유로(613)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토출 유로(610)의 제3 유로(613)에 단열 수단(330a, 330b)이 구비될 경우, 제3 유로(613) 내지 제1 분사 모듈(310)에 잔존하는 세척수, 세제수, 왁스, 또는 휠 클리너 등이 영하의 기온에 의해 동결되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3 유로(613) 및/또는 제1 분사 모듈(310)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제1 동파 방지장치(11)를 이용한 세차기(1)의 동파 방지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동파 방지장치를 이용한 세차기의 동파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500)는 세차기(1)가 휴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여기서, 휴지 모드는 세차기(1)의 프레임(30)에 구비된 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현재 세차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만일, 휴지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510 단계의 No 경로), 제어부(500)는 세차기(1)가 세차 모드인 것으로 간주하고(S520), 공급 펌프(211a)를 구동한다(S522).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개방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밀폐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한다(S524).
이후, 제1 유체는 토출 유로(610)를 따라 제1 분사 모듈(310)로 배출된다(S526).
한편, S510 단계에서 휴지 모드라고 판단되면(S510 단계의 Yes 경로), 제1 저장 탱크(110)의 일측에 설치된 외기 온도센서(400)는 외기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S530).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센서(400)로부터 외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예컨대, 3℃-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만일,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S540 단계의 No 경로), S530 단계로 회귀한다.
반대로,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S540 단계의 Yes 경로), 제어부(500)는 순환 펌프(213)를 구동한다(S542). 이때, 순환 펌프(213)의 토출 압력은 세차 모드시 구동되는 공급 펌프(211a)의 토출 압력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밀폐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개방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한다(S544).
이후, 제1 유체는 회수 유로(620)를 따라 제1 저장 탱크(110)로 회수되고, 순환 펌프(213)의 구동에 따라 제1 유체가 분기 유로(630), 제2 유로(612), 및 회수 유로(620)를 따라 순환된다(S546).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저장 탱크(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된 가열 수단(130)과 토출 유로(610)에 구비된 단열 수단(330)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유체 내지 토출 유로(610)를 가열 또는 단열한다(S548). 이때, 단열 수단(330)이 구비된 토출 유로(610)는 제1 분사 모듈(3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유로(613)를 의미한다.
이처럼, 세차 모드 시에는 토출 압력이 큰 공급 펌프(P1)를 통해 제1 유체를 세차 차량에 분사하되, 휴지 모드 시에는 토출 압력이 작은 순환 펌프(P2)를 통해 제1 유체를 제1 동파 방지장치(11)의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130)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제1 유체를 회수 유로(610)를 따라 제1 저장 탱크(110)의 내부로 순환시키되, 단열 수단(330)을 통해 제1 분사 모듈(310)에 인접한 토출 유로(613)를 단열함으로써, 제1 저장 탱크(110)와 제1 분사 모듈(310) 사이에 배치된 토출 유로(610) 및 회수 유로(620)의 동결을 방지하고, 종국적으로 한파로 인하여 세차기(1)가 동파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동파 방지장치(13)는 유입구(121) 및 토출구(123)를 갖는 제2 저장 탱크(120), 세차 차량에 제2 유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모듈(320), 제2 저장 탱크(120)와 제2 분사 모듈(3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610', 620'),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400), 및 소정의 제어 신호(cs1', cs2', cs3')를 생성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체는 점도가 높은 균질의 왁스, 발수 코팅제, 및 휠 클리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유로(610', 620')는, 제2 저장 탱크(120)의 토출구(123)와 제2 분사 모듈(3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유체의 토출 경로를 형성하고 분기관(640c)를 갖는 토출 유로(610') 및 토출 유로(610')의 분기관(640c)과 제2 저장 탱크(120)의 유입구(121)를 연결하고 제2 유체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6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유로(620')는, 토출 유로(610')로부터 분기되어 제2 저장 탱크(120)의 유입구(121)와 연통할 수 있다.
토출 유로(610')는 분기관(640c)을 기점으로 구획된 구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2 유로(611', 6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 유로(610')는 제2 저장 탱크(120)과 분기관(640c) 사이의 제1 유로(611') 및 분기관(640c)과 제2 분사 모듈(320) 사이의 제2 유로(612')를 포함한다.
토출 유로(610') 상에는, 제2 저장 탱크(120)에 저장된 제2 유체를 제2 분사 모듈(320)로 토출하는 공급 펌프(211b, P), 제2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대, 슬러지, 스케일 등)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S), 및 소정의 제어 신호(cs1')에 따라 개폐되어 제2 유체의 토출 흐름을 제어하는 제1 개폐 밸브(221')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급 펌프(211b)는, 그 토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작동이 정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유량을 펌핑하여 토출 유로(610') 및/또는 회수 유로(620') 측으로 제2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 펌프(211b)의 일 예로 인버터 펌프(inverter pump)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동파 방지장치(13)의 공급 펌프(211b)은 제1 동파 방지장치(11)의 공급 펌프(211a) 보다 그 토출 압력이 작게 설정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 동파 방지장치(13)의 공급 펌프(211b)와 달리, 제1 동파 방지장치(11)의 공급 펌프(211a)는 제1 분사 모듈(310)을 통해 제1 유체를 고압 분사하기 위하여 충분한 토출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급 펌프(211a), 스트레이너(S), 및 제1 개폐 밸브(211)는 제2 유체의 토출 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펌프(211b)와 스트레이너(S)는 제1 유로(611') 상에 구비되고, 제1 개폐 밸브(221')는 제2 유로(61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수 유로(620') 상에는, 소정의 제어 신호(cs1')에 따라 개폐되어 제2 유체의 순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개폐 밸브(223') 및 회수 유로(620')에 흐르는 제2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제어 밸브(2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폐 밸브(223')는, 제1 개폐 밸브(221')와 서로 교번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2 분사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21) 및 제2 유로(612')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21)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파이프(323)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321)과 공급 파이프(323)는 제2 유로(612')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도 1에서 전술한 감지센서(31)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2 동파 방지장치(13)를 세차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세차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전환 시, 제2 동파 방지장치(13)가 작동되는 일 예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에서 세차 모드와 휴지 모드 시, 배출 또는 순환되는 제2 유체의 유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세차 모드 시,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개방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밀폐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유체가 토출 유로(610')를 따라 제2 분사 모듈(320)로 배출될 수 있다.
휴지 모드 시, 제어부(500)는 제2 저장 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된 외기 온도센서(400)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임계치-예컨대, 3℃-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이하, 편의상 "동파 방지모드"라 칭함), 제1 개폐 밸브(221')는 밀폐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개방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유체가 회수 유로(620')를 통해 제2 저장 탱크(1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의 개폐 동작을 전환함과 동시에, 유량 제어 밸브(23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공급 펌프(211b)의 토출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제2 유체가 제1 유로(611') 및 회수 유로(620')를 따라 순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동파 방지장치(13)는, 동파 방지모드 시 토출 유로(610')에 잔존하는 제2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회수 유로(620')를 따라 제2 저장 탱크(120)로 순환시키는데 있다. 이로 인하여, 토출 유로(610')가 동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동파 방지장치(13)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유체가 바닥-예컨대, 세차 영역(A)-에 낙하되지 아니하여 결빙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유량 제어 밸브(230)의 개도율을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제2 유체의 유량을 가변함으로써 공급 펌프(211b)의 구동을 유지하고, 이를 통하여 제2 유체가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흡입 펌프 등이 요구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저장 탱크(120)는 제2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130)을 포함하고, 토출 유로(610')의 제2 유로(612')는 외주면에 단열 수단(3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는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제2 동파 방지장치(13)를 이용한 세차기(1)의 동파 방지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동파 방지장치를 이용한 세차기의 동파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500)는 세차기(1)가 휴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여기서, 휴지 모드는 세차기(1)의 프레임(30)에 구비된 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현재 세차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만일, 휴지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810 단계의 No 경로), 제어부(500)는 세차기(1)가 세차 모드인 것으로 간주하고(S820), 공급 펌프(211b)를 구동한다(S822).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개방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밀폐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한다(S824).
이후, 제2 유체는 토출 유로(610')를 따라 제2 분사 모듈(320)로 배출된다(S826).
한편, S810 단계에서 휴지 모드라고 판단되면(S810 단계의 Yes 경로), 제2 저장 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된 외기 온도센서(400)는 외기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S830).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센서(400)로부터 외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예컨대, 3℃-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40).
만일,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S840 단계의 No 경로), S830 단계로 회귀한다.
반대로,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S840 단계의 Yes 경로), 제어부(500)는 공급 펌프(211b)를 구동한다(S842).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개폐 밸브(221')는 밀폐하되, 제2 개폐 밸브(223')는 개방되도록 제1 및 제2 개폐 밸브(221', 223')를 서로 교번적으로 제어한다(S844).
제어부(500)는, 유량 제어 밸브(230)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공급 펌프(211b)의 토출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지한다(S846).
이후, 제2 유체는 회수 유로(620')를 따라 제2 저장 탱크(120)로 회수되고, 유량 제어 밸브(230)의 개도율을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제2 유체의 유량을 가변함으로써 공급 펌프(211b)의 구동을 유지하므로 제2 유체가 제1 유로(611') 및 회수 유로(620')를 따라 순환된다(S848).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2 저장 탱크(12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된 가열 수단(130)과 토출 유로(610')에 구비된 단열 수단(330)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유체 내지 토출 유로(610')를 가열 또는 단열한다(S850). 이때, 단열 수단(330)이 구비된 토출 유로(610')는 제2 분사 모듈(3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유로(612')를 의미한다.
이처럼, 가열 수단(130)에 의해 제2 유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함과 동시에 유량 제어 밸브(230)의 개도율을 조절하고 공급 펌프(211b)의 토출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유지하여 가열된 제2 유체를 회수 유로(620')를 따라 제2 저장 탱크(120)의 내부로 순환시키되, 단열 수단(330)을 통해 제2 분사 모듈(320)에 인접한 토출 유로(610')를 단열함으로써, 제2 저장 탱크(120)와 제2 분사 모듈(310) 사이에 배치된 토출 유로(610') 및 회수 유로(620')의 동결을 방지하고, 종국적으로 한파로 인하여 세차기(1)가 동파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유체를 저장하고,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저장탱크;
    세차 차량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상기 저장탱크의 토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분기관을 갖는 토출 유로;
    상기 토출 유로의 제1 분기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
    상기 토출 유로의 제2 분기관과 상기 저장탱크의 토출구를 연결하되, 상기 토출 유로와 병렬 접속되는 분기 유로;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유체가 상기 회수 유로를 따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로 상에는, 상기 유체를 상기 분사 노즐로 토출시키는 공급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 유로 상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체를 상기 회수 유로로 토출시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 및
    상기 순환 펌프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공급 펌프에서 토출된 유체가 상기 순환 펌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공급 펌프와 병렬 연결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개폐 밸브; 및
    상기 회수 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2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 밸브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개폐 밸브는 밀폐되고, 상기 제2 개폐 밸브는 개방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펌프의 토출 압력은 상기 순환 펌프의 토출 압력 보다 큰,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8.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세척수 및 세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펌프는, 플런저 펌프(plunger pump)를 포함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유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로 중 상기 제1 분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KR1020190010476A 2019-01-28 2019-01-28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KR10203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76A KR102032175B1 (ko) 2019-01-28 2019-01-28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476A KR102032175B1 (ko) 2019-01-28 2019-01-28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175B1 true KR102032175B1 (ko) 2019-10-16

Family

ID=6842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476A KR102032175B1 (ko) 2019-01-28 2019-01-28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1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096B1 (ko) 2020-08-24 2022-02-07 이문숙 동파방지용 가열압축공기 자동분사 장치
KR102591272B1 (ko) 2023-07-27 2023-10-19 유한회사명지엔지니어링 세차 부스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KR102619240B1 (ko) 2023-07-27 2023-12-29 유충범 바닥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583B2 (ja) * 1998-04-01 2008-07-02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浄装置における凍結防止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1689689B1 (ko) * 2015-09-16 2016-12-27 주식회사 세진디테일링 셀프 세차장용 세제발포 및 왁스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583B2 (ja) * 1998-04-01 2008-07-02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浄装置における凍結防止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1689689B1 (ko) * 2015-09-16 2016-12-27 주식회사 세진디테일링 셀프 세차장용 세제발포 및 왁스분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096B1 (ko) 2020-08-24 2022-02-07 이문숙 동파방지용 가열압축공기 자동분사 장치
KR102591272B1 (ko) 2023-07-27 2023-10-19 유한회사명지엔지니어링 세차 부스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KR102619240B1 (ko) 2023-07-27 2023-12-29 유충범 바닥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노 브러시 자동세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75B1 (ko) 세차기의 동파방지장치
KR100530190B1 (ko) 윈드실드 디아이싱
KR100628959B1 (ko) 차량 윈도우를 세척하거나 제빙하기 위한 장치
CN105352192B (zh) 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US8157924B2 (en) Warewasher including heat recovery system with hot water supplement
CN109772792A (zh) 一种用于清洁激光雷达的伸缩式清洁装置
US20090056757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and dishwasher
KR100486559B1 (ko) 스팀 청소기의 유도 가열 장치
KR101912877B1 (ko) 균등온도 맞춤식 능동형 개폐 제어밸브와 역류 방지용 제어밸브를 갖는 좌우 분리식 물 매트의 순환수 제어방법
ES2360138T3 (es) Descongelación de parabrisas.
CA2946439A1 (en) Self-maintaining automatic flushing valve with internal freeze protection
JP4586947B2 (ja) 人体洗浄装置
KR101267336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JP2012241361A (ja) 温水洗浄装置
KR100943772B1 (ko) 식기 세척기용 온수공급장치의 세정장치 및 방법
JP2002067893A (ja) 洗車装置
CN211749414U (zh) 一种适用于洗碗机的水路系统
JP4131198B2 (ja) 浴槽の内壁面の防汚装置
CN215444368U (zh) 液化气生产线上防冻结系统
KR102478216B1 (ko) 농산물 건조장치
JP2006160103A (ja) 車両用クリーナ装置
CN221657447U (zh) 一种清洗水箱及玻璃清洗机
KR102576436B1 (ko) 쿨링미스트 분사장치 및 시스템
KR0157581B1 (ko) 식기세척기의 펌프동결방지방법
JP3097945U (ja) 温水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