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159B1 -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2159B1 KR102032159B1 KR1020160088254A KR20160088254A KR102032159B1 KR 102032159 B1 KR102032159 B1 KR 102032159B1 KR 1020160088254 A KR1020160088254 A KR 1020160088254A KR 20160088254 A KR20160088254 A KR 20160088254A KR 102032159 B1 KR102032159 B1 KR 102032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fixing member
- spring fixing
- fixing bar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소파나 쿠션 의자 등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잡아 주는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미끄러지게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종래 나사못 등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보다 높은 작업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고정부재의 취약부가 없도록 설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비용을 낮추는 스프링 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 끝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어 쿠션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 끝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어 쿠션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원발명은 안락하고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소파 또는 쿠션 의자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소파나 쿠션 의자 등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잡아 주는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미끄러지게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종래 나사못 등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보다 높은 작업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고정부재의 취약부가 없도록 설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관련 비용을 낮추는 스프링 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거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소파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부와 이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로 구성되며, 이러한 소파의 좌판부는 프레임의 상단 부분에 쿠션장치(스프링 좌판 등)를 설치하고, 그 위에 좌판매트(쿠션)를 올려서 이용자가 좌판매트 위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쿠션장치에는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 파도 모양의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인장 스프링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은 '탄력 스프링' 또는 '탄성 스프링' 등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상기 스프링 중에 인장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쿠션장치는,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양 끝단에 걸이를 걸어 허공에 띄워 쿠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스프링 고정부재에 대한 관련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370호(2012. 07. 25) 소파의 스프링걸이 고정대'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485호(2015. 12. 15)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소파용 쿠션좌판'이 개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좌판에 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 는 기존의 상기 스프링 좌판의 사시도 및 분해결합도이고, 도 1c는 기존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프레임 본체(10)의 상단에 나사못(40) 등을 이용하여 스프링 고정부재(20)를 고정하고, 다수개의 스프링(30) 양 끝을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에 연결하여 스프링 좌판을 만들게 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는 상기 스프링(30)의 양 끝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걸이부(22)와 상기 프레임 본체(10)에 고정을 위한 고정바 연결부(21)사이에 절곡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의 스프링 걸이부(22)의 경우 상기 프레임 본체(10)보다 위쪽으로 노출될 경우 그 위에 놓이는 쿠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걸이부(22)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어 파손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본체(10)보다 아래쪽에 스프링 걸이부(22)를 위치시켜 스프링 걸이부(22)에 직접적인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상부에서 나사못(40)로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를 고정하는 선행기술의 경우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에 절곡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 연결부(22)가 상기 프레임 본체(10)의 상부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절곡부(23)에는 스프링(3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가해질 때 스프링 고정부재에 걸리는 부하가 집중될 뿐만 아니라 휨 모멘트(moment), 즉 휨 응력(bending stress)이 발생하여 절곡부의 잦은 파손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발명은 기존 스프링 고정부재의 잦은 파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소파를 사용할 때 소파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이 처지지 않고 안정감 있게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의 프레임 본체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고정할 때 나사못을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스프링 좌판을 제작할 때 구성되는 스프링의 결합을 용이하게 위한 것이며,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 끝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어 쿠션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일부분이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내측 공간인 고정부재 삽입부를 가지는 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스프링 고정바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바 연결부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개방부인 고정부재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 연결부는 고정바 연결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연결바 몸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에 삽입되는 이동통로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와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절곡된 부분 없이 연결되어 취약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는'ㄱ'자 단면이 대칭되는 형상이며,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는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 끝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이홈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상기 고정바 연결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를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하며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중앙부인 가로지지대 중앙부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쿠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로지지대 중앙부는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에 아래 방향으로 꺾이는 가로지지대 절곡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 끝단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미끄러짐에 간섭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가로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만큼 상기 가로지지대가 연장되고 상기 가로지지대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대가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미끄러짐에 간섭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상기 스프링 좌판 및 상기 스프링 좌판 상부에 배치하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및 스프링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스프링 좌판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하던 기존의 스프링 고정부재를 스프링 좌판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스프링 고정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스프링 고정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은 나사못 등의 고정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을 고정함으로써 스프링 고정에 관한 번거로운 절차를 제거하여, 스프링 좌판을 제작하는데 드는 소요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은 기존 스프링 고정부재의 취약 부분인 절곡되는 부분을 제거하여 스프링 고정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상기 선행상표에 따른 스프링 고정부재 및 스프링 좌판에 대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 는 상기 기존의 스프링 좌판의 사시도 및 분해결합도이다. 도 1c는 상기 기존 스프링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 및 쿠션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고정부재 및 스프링 고정바의 연결을 보인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스프링 좌판 분해결합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 및 쿠션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분해결합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고정부재 및 스프링 고정바의 연결을 보인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스프링 좌판 분해결합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 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상술했듯이 도 1a 내지 도 1c는 기존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스프링 좌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스프링 고정부재(20)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은 프레임 본체(10)의 상부에 절곡부를 가지는 직각 형태의 스프링 고정부재(20)를 나사못(40) 등의 연결구로 고정하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가 아래로 꺾이는 절곡부를 둘 수밖에 없는 이유는 스프링 등이 상기 프레임 본체 상부로 노출되면 상기 프레임 본체(10) 위에 놓이게 되는 쿠션과 간섭이 되기 때문이다.
도 1c는 상기 기존의 스프링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고정형태로 인하여 기존의 스프링 고정부재(20)는 구조상 절곡부(23)를 구비하게 되며, 스프링에 가해지는 당겨지는 부하가 상기 절곡부(23)에 휨 응력으로 집중되고, 상기 절곡부(23)를 중심으로 잦은 파손이 일어나게 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는 일측에서 아래로 꺾인 후 돌출 형성되어 안쪽에 상기 스프링의 일측 끝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이홈을 갖는 스프링 연결부(22)와 상기 스프링 연결부(22)의 타측으로 위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의 스프링 고정바 상단에 부착되어 나사못 등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22)와 상기 고정바 연결부(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곡부(23)에는 상기 스프링(3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20)에 걸리는 부하가 휨 응력으로 작용되며, 집중되는 상기 부하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에 잦은 파손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 및 쿠션의 분해결합도이다. 본 실시 예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바(111)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110);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 사이에 배치되며, 양 끝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고정되어 쿠션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30); 및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130)의 양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스프링(130)이 상기 스프링 고정(111)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스프링 좌판(110)에 관한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는 쿠션 전체를 받쳐주는 쿠션 지지대(100a)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쿠션 지지대(100a)의 상부에 위치하는 본 실시 예는, 스프링이 고정되는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프레임 본체(110)에 스프링을 고정시켜줄 수 있는 스프링 고정부재(120)와; 상기 프레임 본체(110)에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좌판(1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좌판(110)의 상부에 쿠션(100b)이 배치되면 본원발명에 따른 소파(sofa) 또는 의자가 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는 스프링 고정바(111)와 가로지지대(11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길이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제작된다.
상기 가로지지대(115)는 양쪽 끝부분이 꺾이도록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고정되며, 이 꺾이는 부분을 가로지지대 절곡부(116)라 한다.
상기 가로지지대(115)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 상기 가로지지대 절곡부(116)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지지대 부분을 가로지지대 중앙부(117)라 한다. 상기 스프링(130)이 정상적으로 작동, 즉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상부에 놓이는 상기 쿠션(100b)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가로지지대 중앙부(117)는 상기 스프링(130)보다 높이가 낮아야 한다. 상기 가로지지대 절곡부(116)와 상기 가로지지대 중앙부(117)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상기 가로지지대(115)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 사이를 가로지르며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추가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편의에 따라 2개의 가로지지대(115)를 구비한 스프링 좌판(110)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스프링 좌판은 도 2의 스프링 좌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스프링 좌판(100)은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2열의 스프링 고정바(111)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끝단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를 고정하는 가로지지대(115)로 구성된 프레임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종 방향은 소파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우로 이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횡 방향은 상기 종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말한다.
또한, 2열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여러 개의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에 상기 스프링(130)이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좌판(100)이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일부분이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내측 공간인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가지는 바 형태이다.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112)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위치한다(도면에는 한 쪽만 보이게 도시됨).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어느 측면으로도 삽입이 가능하며, 삽입된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하단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의 분해결합도이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인 스프링 좌판(100)의 결합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프링 좌판(1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프레임 본체(110) 중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바(111) 측면의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삽입한다(도 4의 STEP 1).
이때, 2열의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 연결부(122)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대칭되게 삽입한다.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삽입한 후 횡 방향의 가로지지대(115)의 일측 및 타측을 상기 스프링 고정바(120)에 부착 고정한다(도 4의 STEP 2).
그 후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에 상기 스프링(130)의 양 끝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130)을 상기 스프링 좌판(100)에 결합한다(도 4의 STEP 3).
이러한 결합 순서는 상기 가로지지대(115)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이동(슬라이딩)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가로지지대(115)의 높이가 상기 스프링(130)의 높이와 같거나 높을 경우 상기 스프링 좌판(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가로지지대(115)로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가로지지대(115)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130)의 높이보다 낮아야 한다. 그래야만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의 위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지지대(115)는 양 끝 부분에 가로지지대 절곡부(116)를 가지며, 상기 가로지지대 절곡부(116)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해하게 될 수 있는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결합한 후 상기 가로지지대(115)를 부착 고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프링 고정부재 및 스프링 고정바의 연결을 보인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는 바 형태이며 비어있는 공간을 통하여 복수개의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112)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위치한다. 즉,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어느 측면으로도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개방부인 고정부재 이동통로(113)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는 상술했듯이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하단은 일부분 뚫려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스프링 고정바(111)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 이동통로(113)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 하단의 일측으로부터 및 타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하단 전체에 걸쳐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고정부재 삽입부(112)에 삽입되어 스프링 고정바(111)에 연결되는 고정바 연결부(121)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연결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와 스프링 연결부(122)는 절곡된 부분 없이 일자로 연결된다. 즉, 본원발명의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121b)와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는 절곡된 부분 없이 연결되어 취약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는 고정바 연결부 몸체(121b)와 상기 고정부 연결바 몸체(121b)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에 삽입되는 이동통로 삽입부(121a)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는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121b)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가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측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선행기술과 같은 절곡부 없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121a)는'ㄱ'자 단면이 대칭되는 형상이며,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121a)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112)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121a)는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113)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는 'ㄱ'자 모양의 고정부가 대칭되는 형상도 가능하지만 'ㅜ'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는 상기 스프링(130)의 일측 끝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이홈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가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쿠션을 사용할 때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에 직접적인 압력이 가해져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는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에는 'ㄱ'자 모양의 고정부가 대칭되는 형상의 고정바 연결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130)의 끝단이 걸리도록 고리모양의 스프링 연결부(122)를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바 연결부(121)와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는 절곡되는 부위 없이 평행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구성으로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취약부인 절곡부를 제거하여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파손되지 않게 한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 예의 스프링 좌판 분해결합도이다.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가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하며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로지지대(115)이다. 상기 가로지지대의 중앙부인 가로지지대 중앙부(117)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쿠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로지지대 중앙부는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단에 아래 방향으로 꺾이는 가로지지대 절곡부(116)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로지지대(115)의 양 끝단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12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미끄러짐에 간섭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지지대(115)의 끝단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가 통과할 수 있는 만큼 상기 가로지지대(115)가 연장되고 상기 가로지지대 절곡부(116)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대(115)가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미끄러짐에 간섭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와 상기 가로지지대(115)가 결합 된 상태에서도 프레임 본체(110)에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4 및 도 6의 구성의 차이로 인하여 제작자의 편의에 따라 스프링 고정바(111)와 가로지지대(115)의 고정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삽입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가로지지대 절곡부(116)를 가진 가로지지대(115)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의 이동을 방해하는 가로지지대 절곡부(116)를 가진 가로지지대(115)의 경우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결합 한 후 상기 가로지지대(115)를 상기 스프링 고정바(111)에 용접 등을 통하여 부착 고정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본체
20: 스프링 고정부재
21: 고정바 연결부
22: 스프링 연결부
23: 절곡부
30: 스프링
40: 나사못
100a: 쿠션 지지대
100b: 쿠션
100: 스프링 좌판
110: 프레임 본체
111: 스프링 고정바
112: 고정부재 삽입부
113: 고정부재 이동통로
115: 가로지지대
116: 가로지지대 절곡부
117: 가로지지대 중앙부
120: 스프링 고정부재
121: 고정바 연결부
121a: 이동통로 삽입부
121b: 고정바 연결부 몸체
122: 스프링 연결부
130: 스프링
20: 스프링 고정부재
21: 고정바 연결부
22: 스프링 연결부
23: 절곡부
30: 스프링
40: 나사못
100a: 쿠션 지지대
100b: 쿠션
100: 스프링 좌판
110: 프레임 본체
111: 스프링 고정바
112: 고정부재 삽입부
113: 고정부재 이동통로
115: 가로지지대
116: 가로지지대 절곡부
117: 가로지지대 중앙부
120: 스프링 고정부재
121: 고정바 연결부
121a: 이동통로 삽입부
121b: 고정바 연결부 몸체
122: 스프링 연결부
130: 스프링
Claims (12)
-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바(111),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 끝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연결되는 스프링(130), 및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결합하되,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연결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 고정바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일부분이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내측 공간인 고정부재 삽입부(112)를 가지는 바 형태이며,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스프링 고정바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는 고정바 연결부(121)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연결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개방부인 고정부재 이동통로(113)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 연결부는 고정바 연결부 몸체(121b)와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되 측면에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에 삽입되는 이동통로 삽입부(121a)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연결부가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바 연결부 몸체와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절곡된 취약 부분 없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바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하며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고정바 사이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가로지지대(11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 끝단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미끄러짐에 간섭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는'ㄱ'자 단면이 대칭되는 형상이며,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로 삽입부는 상기 고정부재 이동통로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 이동통로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 끝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이홈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는 상기 고정바 연결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를 상기 스프링 고정바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고정바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좌판.
- 삭제
- 삭제
- 제1 항의 스프링 좌판 및 상기 스프링 좌판 상부에 배치하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254A KR102032159B1 (ko) | 2016-07-12 | 2016-07-12 |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254A KR102032159B1 (ko) | 2016-07-12 | 2016-07-12 |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7254A KR20180007254A (ko) | 2018-01-22 |
KR102032159B1 true KR102032159B1 (ko) | 2019-10-15 |
Family
ID=6109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8254A KR102032159B1 (ko) | 2016-07-12 | 2016-07-12 |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21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3753B1 (ko) * | 2018-04-30 | 2020-09-08 | 김덕호 |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571B1 (ko) * | 2015-10-15 | 2015-12-22 | (주)신원알텍 | 공구 진열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5370U (ko) | 2011-01-17 | 2012-07-25 | 김성숙 | 쇼파의 스프링걸이 고정대. |
KR20150004485U (ko) | 2014-06-05 | 2015-12-15 | 박문석 |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
-
2016
- 2016-07-12 KR KR1020160088254A patent/KR1020321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571B1 (ko) * | 2015-10-15 | 2015-12-22 | (주)신원알텍 | 공구 진열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7254A (ko) | 2018-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30046B2 (ja) | 腰部支持組立体および対応する座席構造体 | |
CN111182816B (zh) | 用于排架的承载结构 | |
KR200462232Y1 (ko) |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 |
US10470582B2 (en) | Adjustable furniture frame system | |
JP2015227144A (ja) | 乗物シート用緩衝体 | |
JP2008543397A (ja) | トラクション・ワイヤ取付具およびトラクション・ワイヤ取付具を用いた調整可能な支持組立体 | |
KR102032159B1 (ko) | 슬라이딩 가능한 스프링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프링 좌판 및 소파 | |
KR20150004485U (ko) |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 |
CN105739610A (zh) | 一体机 | |
US10631654B2 (en) | Adjustable modular frame system | |
US10674818B2 (en) | Automobile door hanger apparatus | |
JP6024627B2 (ja) | コネクタ付電線配列用具 | |
KR20200071963A (ko) | 쿠션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한 하단 매트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 |
KR101183896B1 (ko) |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 |
JP6177470B1 (ja) | ベルト用吊下げ具、及び、ベルト用吊下げ具を用いたベルト吊下げ構造 | |
US2560880A (en) | Suspension frame for shelves | |
CN218792152U (zh) | 一种餐具支撑结构、餐篮及餐具清洁设备 | |
JP5979106B2 (ja) | コネクタ付電線配列用具 | |
JP6197435B2 (ja) | ソケット及びハンガーラック | |
JP2006198244A (ja) | パイプ棚用ホルダー | |
AU2011218657B2 (en) | A Side Rack and Attachment | |
KR200222781Y1 (ko) | 소파용 스프링구조 | |
US3008555A (en) | Coupling attachment of wire structure to frame rail | |
CN212661477U (zh) | 一种沙发弹簧的连接结构 | |
JP2014114611A (ja) | 天井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