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40B1 - 보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보틀 고정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40B1
KR102031940B1 KR1020180022872A KR20180022872A KR102031940B1 KR 102031940 B1 KR102031940 B1 KR 102031940B1 KR 1020180022872 A KR1020180022872 A KR 1020180022872A KR 20180022872 A KR20180022872 A KR 20180022872A KR 102031940 B1 KR102031940 B1 KR 10203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upport
unit
driv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460A (ko
Inventor
한현용
박지호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한 손으로 편리하게 보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한 보틀 고정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틀 고정 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일부는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의 보틀(Bottle)을 압박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보틀과 분리되는 조임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보틀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보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이동하거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로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틀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BOTT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보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정적으로 보틀을 고정시켜 편리하게 보틀의 뚜껑을 개봉할 수 있는 보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 사회는 고령사회에 진입하여 현재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14%이고 고령질환의 증가 및 근력 약화에 의해 대부분의 고령층은 거동이 불편한 상태로 생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고령층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지속하도록 편의성이 개선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고, 특히 고령층의 경우 양손으로 보틀(Bottle)의 뚜껑을 안전하게 개봉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449호는 소형 용기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0710호는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이 한손으로 편리하게 보틀의 뚜껑을 안정적으로 개봉할 수 있도록 보틀을 고정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 손으로 편리하게 보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한 보틀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틀 고정 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일부는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의 보틀(Bottle)을 압박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보틀과 분리되는 조임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보틀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보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이동하거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로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에 맞물린 기어들이 회전하고, 상기 기어들 각각을 관통하며 상기 조임부와 연결되는 로드들 각각은 외측에 상기 기어들 각각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부와 결합되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로드들 각각은 상기 이동판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틀의 후방에서 상기 보틀의 양측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보틀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압로드들 각각의 타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하부 일부분은 상기 가압로드들의 타단 상하부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되는 모터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스위치들 각각의 구동을 통해 상기 구동기어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보틀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보틀에 냉기 또는 열기를 전달하고, 중량센서가 형성되어 상기 보틀의 중량을 감지하면 작동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부 및 가압로드들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판 및 일단은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틀의 전방을 향해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틀 상부의 경사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틀 고정 장치는 테이블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및 상기 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테이블 하부에 형성되는 조임유닛을 통해 상기 지지부를 상기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마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플렉서블 샤프트를 통해 상기 테이블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조임부로 전달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관통하며 상하부로 이동하는 조임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테이블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틀 고정 장치는 한 손으로 편리하게 지정된 위치에 놓인 보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틀 고정 장치는 별도의 마운트를 통해 테이블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뚜껑을 개봉하기 위해 높은 힘이 필요한 경우 보틀 고정 장치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틀 고정 장치는 단일의 모터를 통해 안정적으로 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보틀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해 마운트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스위치 조작만으로 보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틀 고정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틀 고정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4는 도 1의 조임부에 결합되는 탄성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들.
도 8은 도 7의 보틀 고정 장치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보틀 고정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보틀 고정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고정 장치(100)는 지지부(200), 구동부(400), 제어장치(500) 및 조임부(600)를 포함한다.
보틀 고정 장치(100)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병의 뚜껑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500)의 조작을 통해 보틀(20)을 고정시켜 병따개를 통해 편리하게 보틀(20)의 뚜껑을 보틀(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지지부(2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소정 이상의 중량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보틀(20)의 뚜껑을 오픈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틀(20)을 고정시킨다.
구동부(400)는 지지대(410), 구동기어(430), 제1 기어(440), 제1 로드(445), 제2 기어(450), 제2 로드(455) 및 모터(470)를 포함한다.
구동부(400)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부는 구동기어(4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 형성되는 조임부(600)와 연결된다.
지지대(410)의 일단은 지지부(20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기어(430), 제1 기어(440) 및 제2 기어(450)들은 지지대(410)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동기어(430)는 지지대(410)의 전방 중앙에 배치되고, 지지대(41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모터(470)의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은 지지대(410)를 관통하여 구동기어(430)와 결합된다.
제1 및 제2 기어(440, 450)들 각각은 구동기어(430)의 양측에 각각 맞물리고 지지대(410)와 밀착하도록 배치되며, 별도의 지지부재들이 전방에서 지지부(200)와 결합되어 제1 및 제2 기어(440, 450)들 각각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로드(445)의 일단은 지지대(410)의 후방에 위치하고, 타단은 지지대(410) 및 제1 기어(440)를 관통하여 조임부(600)와 결합되며, 외측면은 제1 기어(44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된다.
제1 로드(445)는 구동기어(430)의 정회전으로 제1 기어(4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기어(44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고, 구동기어(430)의 역회전으로 제1 기어(440)가 상기 정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2 로드(455)의 일단은 지지대(410)의 후방에 위치하고, 타단은 지지대(410) 및 제2 기어(450)를 관통하며 조임부(600)와 결합되며, 외측면은 제2 기어(45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된다.
제2 로드(455)는 구동기어(430)의 정회전을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2 기어(45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고, 구동기어(430)의 역회전으로 제2 기어(450)가 상기 정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즉, 제1 및 제2 기어(440, 450)들 각각은 구동기어(430)의 정회전을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430)의 역회전을 통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은 제1 및 제2 기어(440, 450)들 각각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모터(470)는 지지대(410)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200)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해 구동기어(430)와 결합되어 구동기어(4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장치(500)는 제1 스위치(520) 및 제2 스위치(54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500)는 모터(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배터리가 형성되며, 사용 용도나 환경에 따라 전원코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스위치(520)는 제어장치(5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 스위치(520)를 누르는 동안에는 모터(470)가 작동하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430)가 정회전을 하고,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은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1 스위치(520)를 가압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모터(470)의 구동은 중단되고,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은 정지한다.
제2 스위치(540)는 제1 스위치(5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어장치(5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스위치(540)를 누르는 동안에는 모터(470)가 작동하면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430)가 역회전을 하고,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은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2 스위치(540)를 가압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모터(470)의 구동은 중단되고,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은 정지한다.
조임부(600)는 이동판(620), 가압로드(630)들 및 고정유닛(640)을 포함한다.
조임부(600)는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과 결합되고,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보틀(20)을 지지부(200) 상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보틀(20)의 바닥이 밀착되는 지지부(200)의 저면에는 제어장치(500)와 연결되는 중량센서 또는 광센서가 내장되어 보틀(20)의 중량을 감지하면 구동부(400)를 구동시켜 조임부(600)를 통해 보틀(20)을 지지부(200)에 자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보틀(20)의 중량을 감지하여 조임부(600)가 보틀(2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보틀(20)을 잡고 하강시키면, 상기 중량센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중량을 감지하여 제어장치(500)를 통해 구동부(400) 및 조임부(600)를 구동시켜 보틀(2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보틀(20)의 뚜껑을 분리하면 보틀(20)을 잡고 하강시켜 제2 스위치(540)의 구동이 필요없이 보틀(20)을 보틀 고정 장치(100)와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 및 3들을 참조하면, 이동판(620)은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의 이동에 따라 지지부(2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의 타단 일부는 이동판(6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판(62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 각각의 타단 일부는 이동판(620)의 배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이동판(620)의 내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판(62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가압로드(630)들은 이동판(620)의 전방에 각각의 일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판(620) 및 고정유닛(640)의 사이에서 지지부(200) 상에 배치되는 보틀(20)의 양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로드(630)들 각각의 일단 상부 및 하부에는 가압로드(630)들 각각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지지대(410)와 결합되고 가압로드(630)들 각각의 타단을 향해 가압로드(630)들과 평행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보틀(20)의 후방을 지지하는 돌출부들이 형성된다.
고정유닛(640)은 보틀(20)의 전방에 형성되고, 일단은 지지부(200)에 결합되며, 타단은 보틀(20)의 양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상하부 일부분이 가압로드(630)들 각각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어 타단 일부분에는 가압로드(63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가압로드(630)들 각각은 전방을 향한 이동으로 타단 일부가 상기 홈을 지나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보틀(20)의 경우에도 상기 홈을 지나 보틀(20)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제1 스위치(520)를 누르면 구동기어(430)의 정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로드(445, 455)들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지지대(410) 및 가압로드(630)들을 보틀(20)을 향해 이동시킨다.
가압로드(630)들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보틀(20)을 고정유닛(640)과 밀착시키고, 가압로드(630)들 각각의 타단 일부분은 상기 홈을 지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보틀(20)을 압박하여 보틀(20)을 지지부(200) 상에 고정시킨다.
지지부(200) 상에 고정된 보틀(20)은 고정유닛(640) 및 가압로드(630)들 사이에 고정되고, 해당 사용자는 병따개(10)를 통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보틀(20)의 뚜껑을 보틀(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보틀 고정 장치(100)의 지지부(200), 구동부(400), 제어장치(500) 및 조임부(600)들 각각은 3D 프린터를 통해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용이하거나 일반적으로 조달이 용이하므로 고령층이 손쉽게 낮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조임부에 결합되는 탄성고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600)는 탄성고정부(700)를 더 포함한다.
탄성고정부(700)는 이동판(6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동판(620)의 전방을 향한 이동에 의해 보틀(20)의 상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보틀(20)과 밀착된다.
탄성고정부(700)는 가압판(720), 수축부(730)들 및 고정판(740)을 포함한다.
가압판(720)은 이동판(62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저면은 스프링을 통해 제작된 수축부(730)를 통해 이동판(620)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수축부(730)들 각각은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수축부(730)들 각각의 일단은 이동판(620)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가압판(720)의 저면과 결합된다.
수축부(730)들 각각에 형성된 스프링은 일단이 이동판(62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판(720)과 고정되므로 가압판(720)은 수축부(730)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가압판(720)을 상부를 향해 당겨서 상승시키면 상기 스프링들이 늘어나며 가압판(720)을 하부를 향해 끌어당기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가압판(720)을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가압판(720)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한다.
고정판(740)의 일단은 가압판(720)의 전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반구 형태로 보틀(20)의 후방 양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보틀(20)과 밀착되는 타단의 전면은 보틀(20)의 상단 곡면과 밀착되도록 곡면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판(62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고정판(740)의 전면은 보틀(20)과 밀착되고, 고정판(740)이 보틀(20)과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판(620)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수축부(730)가 변형되며 가압판(720) 및 고정판(740)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때 가압판(720)을 잡고 상승시킨 후 다시 하강시키면 고정판(740)은 보틀(20)의 상단에 위치한 경사면과 밀착되며 보틀(20)이 지지부(200) 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보틀(20)을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120)는 구동부(800) 및 조임부(85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보틀 고정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고정 장치(120)는 구동부(800) 및 조임부(850)를 포함한다.
구동부(800)는 프레임(810), 구동기어(820), 웜휠(830), 로드(840)를 포함하고, 조임부(850)는 이동판(852), 가압로드(854), 고정유닛(856), 홀더(857) 및 모터(858)를 포함한다.
프레임(810)은 일단이 지지부(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구동부(800)의 일부분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동기어(820)는 웜기어로써, 프레임(810)의 후방에서 지지부(200)와 결합되는 모터(858)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웜휠(830)은 구동기어(820)의 상부에서 웜휠(830)과 맞물린 상태로 양측을 관통하는 축이 프레임(81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모터(858)의 구동으로 상기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구동기어(820) 역시 정회전하고, 웜휠(830)은 프레임(810)에 결합된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단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로드(840)는 나사산이 저면에 형성되는 랙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프레임(810)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날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로드(840)는 제1 스위치(520)의 구동으로 구동기어(820)가 정회전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웜휠(83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스위치(540)의 구동으로 구동기어(820)가 역회전하면 역방향을 회전하는 웜휠(830)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한편, 구동기어(820)의 하부에는 보조휠이 구동기어(820)의 하부에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휠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보조축이 프레임(810)과 결합되어, 구동기어(820)의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웜휠(8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하면서 구동기어(820)를 지지한다.
이동판(852)은 로드(840)의 전방에 전면 및 후면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가압로드(854)들의 일단은 이동판(852)에 서로 상하부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보틀(20)의 양측을 향해 곡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유닛(856)은 보틀(20)의 바닥을 둘러싸는 홀더(857)를 사이에 두고 가압로드(854)와 마주하도록 지지부(200) 상에 형성되고, 일단은 지지부(2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일부는 보틀(20)의 전방을 둘러싸는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홀더(857)는 가압로드(854) 및 고정유닛(856)의 사이에서 저면이 지지부(200)와 결합되고,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홀더(857)는 펠티어(Peltier) 소자가 하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제어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홀더(857)의 저면에 형성된 중량센서 또는 고정유닛(856)에 내장된 광센서를 통해 보틀(20)을 감지하면 작동되어 보틀(20)에 냉기 또는 열기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보틀(20)의 중량을 감지하면 조임부(850)가 보틀(20)을 고정시키고, 해당 사용자가 보틀(20)을 잡고 하강시키면, 상기 중량센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중량을 감지하여 제어장치(500)를 통해 구동부(800) 및 조임부(850)를 구동시켜 보틀(2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보틀(20)의 뚜껑을 분리하면 보틀(20)을 잡고 하강시켜 제2 스위치(540)의 구동이 필요없이 보틀(20)을 보틀 고정 장치(120)에서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홀더(857)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열기는 홀더(857)에 별도로 설치되는 스위치를 통해 전환이 가능하고, 지지부(2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보틀(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홀더(857)를 탈착시켜 보틀(20)의 고정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140)는 지지부(220), 플렉서블 샤프트(870) 및 마운트(920)를 제외하면, 도 5의 보틀 고정 장치(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고정 장치(140)는 지지부(220) 및 구동부(900)를 포함한다.
지지부(220)는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테이블(5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중앙부의 절곡된 부분을 펼쳐서 평면상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220)가 절곡되어 테이블(50)의 측면을 둘러싸는 경우, 일단은 테이블(5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테이블(50)의 측면을 둘러싸며 테이블(50)의 저면과 밀착된다.
지지부(220)는 지지부(220)의 일측면을 둘러싸며 테이블(50)에 밀착 고정시키는 마운트(920)를 통해 벤딩 된 상태를 유지하며 테이블(50)에 고정될 수 있고, 마운트(920)를 분리시켜 평면상에서 지지부(220)를 펼친 후 사용할 수 있다.
마운트(920)는 브라켓(922) 및 조임유닛(924)을 포함한다.
마운트(920)는 지지부(220)와 달리 'U'자 형태로 고정되도록 제작되고, 일부가 테이블(50)의 상부면 및 지지부(220)와 밀착된 상태에서 테이블(50)의 하부에 형성된 조임유닛(924)의 작동을 통해 조임유닛(924)의 일부가 테이블(50)의 저면을 압박하면 마운트(920)가 테이블(50)과 고정된다.
브라켓(922)은 지지부(220)가 테이블(50)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일단이 지지부(220)의 일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지지부(2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테이블(50)의 상부면,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테이블(50)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922)의 일부는 테이블(50)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조임유닛(924)의 승강구동을 통해 테이블(50)과 고정된다.
조임유닛(924)은 브라켓(922)의 타단 저면을 관통하여 테이블(50)의 저면과 밀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구동하며 브라켓(922)의 타단을 테이블(50)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킨다.
구동부(900)는 플렉서블 샤프트(870)를 더 포함한다.
플렉서블 샤프트(870)(Flexible shaft)는 일반적으로 전동공구와 작업날을 연결하는 어댑터로 주로 사용되고,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면서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상기 작업날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샤프트(870)의 일단은 지지부(220)의 타단과 결합되는 모터(858)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부(22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810) 내부의 구동기어(820)와 결합된다.
플렉서블 샤프트(870)는 지지부(220)가 테이블(5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운트(920)에 의해 테이블(50)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부(220)와 함께 절곡된 상태에서도 모터(858)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플렉서블 샤프트(870)를 통해 구동기어(820)에 전달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스위치(520)를 눌러 모터(858)를 구동시키면, 플렉서블 샤프트(870)에 의해 구동기어(820)는 정회전을 하고, 로드(840)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가압로드(854)는 보틀(20)을 압박하여 지지부(220)상에 보틀(20)을 고정시킨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제2 스위치(540)를 눌러 모터(858)를 구동시키면, 플렉서블 샤프트(870)에 의해 구동기어(820)가 역회전을 하고, 로드(84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보틀(20)은 보틀 고정 장치(120)와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보틀 고정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틀 고정 장치(160)는 지지부(240) 및 마운트(880)를 제외하면, 도 6의 보틀 고정 장치(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고정 장치(160)는 지지부(240) 및 구동부(950)를 포함하고, 구동부(950)는 마운트유닛(880)을 더 포함한다.
지지부(240)는 일단은 테이블(5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테이블(50)의 측면을 둘러싸며 테이블(50)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240)는 'U'자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되고, 구동부(950)에 형성되는 마운트유닛(880)을 통해 테이블(50)과 고정되거나 분리되며, 테이블(50)에 고정되는 경우 보틀(20)의 뚜껑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한다.
구동부(950)는 마운트유닛(880)을 더 포함한다.
마운트유닛(880)은 구동축(882), 웜기어(884), 웜휠(886) 및 조임유닛(888)을 포함한다.
마운트유닛(880)은 모터(858) 및 플렉서블 샤프트(87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고, 모터(858)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884) 및 웜휠(886)이 회전하며 조임유닛(888)의 일부를 테이블(50)의 저면을 향해 상승시켜 지지부(240) 및 테이블(50)을 서로 고정시킨다.
조임유닛(888)은 웜휠(886)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부(240)를 관통하며 테이블(50)의 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부에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으로 구성되며, 웜휠(88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구동을 통해 상기 원판이 테이블(50)의 저면과 밀착되거나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모터(858)는 지지부(240)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모터(858)의 구동축은 테이블(5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테이블(50)의 저면에서 플렉서블 샤프트(870)의 일단과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플렉서블 샤프트(870)의 일단은 상기 구동축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테이블(50)의 측면을 지나 절곡되며 테이블(50)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810) 내부에 형성되는 구동기어(8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520)의 구동을 통해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면 플렉서블 샤프트(870)를 통해 구동기어(820)가 정회전하고, 조임부(850)는 보틀(20)을 지지부(240)와 고정시킴과 동시에 마운트유닛(880)은 지지부(240) 및 테이블(50)을 서로 고정시키므로 단일의 동력을 통해 보틀(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모터(858)는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865)를 통해 지지부(240)의 양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해당 사용자는 조임유닛(888)이 테이블(50)과 밀착하여 지지부(240) 및 테이블(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상태에서 조임부(850)의 보틀(20)에 대한 압박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구동축(882) 및 모터(858)를 조임유닛(888)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웜기어(884) 및 웜휠(886)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조임부(850)가 충분히 보틀(20)을 압박하여 지지부(240)와 보틀(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240) 및 테이블(50) 간의 고정이 더 필요한 경우, 구동축(882) 및 플렉서블 샤프트(870)를 수동으로 분리시켜 지지부(240) 및 테이블(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보틀 고정 장치 200, 220, 240: 지지부
400, 800, 900, 950: 구동부 500: 제어장치
600, 850: 조임부 700: 탄성고정부
920: 마운트

Claims (5)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일부는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의 보틀(Bottle)을 압박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보틀과 분리되는 조임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보틀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상기 보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이동하거나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가압로드들, 상기 구동부의 일부와 상기 가압로드들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판 및 일단은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틀의 전방을 향해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틀 상부의 경사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되는 모터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스위치들 각각의 구동을 통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상기 구동기어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맞물린 기어들 각각을 관통하며 상기 가압로드들과 연결되는 로드들 각각은 외측면에 상기 기어들 각각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보틀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보틀에 냉기 또는 열기를 전달하고, 중량센서가 형성되어 상기 보틀의 중량을 감지하면 작동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고정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플렉서블 샤프트를 통해 상기 테이블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기어로 전달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관통하며 상하부로 이동하는 조임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테이블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고정 장치.















KR1020180022872A 2018-02-26 2018-02-26 보틀 고정 장치 KR10203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72A KR102031940B1 (ko) 2018-02-26 2018-02-26 보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72A KR102031940B1 (ko) 2018-02-26 2018-02-26 보틀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60A KR20190102460A (ko) 2019-09-04
KR102031940B1 true KR102031940B1 (ko) 2019-10-14

Family

ID=6795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72A KR102031940B1 (ko) 2018-02-26 2018-02-26 보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282A (ja) * 2001-03-12 2001-10-10 Media Tsusho:Kk 容器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898A (en) * 1993-11-01 1995-03-21 Bever; Damon S. Holding device
KR101482267B1 (ko) * 2008-07-17 2015-01-14 주식회사 포스코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282A (ja) * 2001-03-12 2001-10-10 Media Tsusho:Kk 容器固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60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1324U (ja) 瓶用開蓋装置
CN106744586B (zh) 全自动多功能开瓶机
US7024965B2 (en) Semi-automatic jar opener
KR102031940B1 (ko) 보틀 고정 장치
CN210620607U (zh) 一种覆膜玻璃生产用的裁剪装置
CN209756559U (zh) 一种英语教学用白板的调节机构
CN204986305U (zh) 螺纹锁紧夹持底座及具有该夹持底座的电子产品支架
US4230000A (en) Automatic gripper for caps to be removed from jars
JP3103926U (ja) 自動開蓋装置
CN110028028A (zh) 一种适应各种饮料瓶口径的多功能起瓶器
CN212722385U (zh) 一种床垫生产用抗压检测装置
CN211457173U (zh) 一种齿轮传动机构及三轴联动式手机支架
JP2000051292A (ja) 片手機能障害者用食事補助具
CN211355842U (zh) 一种骨科临床用新型取钉器
CN210043550U (zh) 一种英语教学用白板的调节机构
CN114568801B (zh) 一种适用于圆柱中空伞柄的加装手柄
CN110994883A (zh) 一种具有断电应急功能的电动推杆
CN111772522A (zh) 一种操作方便的湿巾加热器
CN204554257U (zh) 平板电脑支架夹持机构
CN212187484U (zh) 一种儿童黄疸蓝光治疗仪
CN213075719U (zh) 一种医用采尿装置
CN209739285U (zh) 一种船用固定杯架
CN215111507U (zh) 一种光学相机调节支架
CN211429368U (zh) 一种方位可调式夹持机构及手机支架
CN213800019U (zh) 一种飞旋踏板开关机构和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