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642B1 -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642B1
KR102031642B1 KR1020180013825A KR20180013825A KR102031642B1 KR 102031642 B1 KR102031642 B1 KR 102031642B1 KR 1020180013825 A KR1020180013825 A KR 1020180013825A KR 20180013825 A KR20180013825 A KR 20180013825A KR 102031642 B1 KR102031642 B1 KR 10203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outrigger
power pack
electro
hydraul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554A (ko
Inventor
최명현
김성곤
한근우
이충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1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6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 등을 하는 경우 크레인이 작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가 상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트리거; 및 상기 크레인부의 붐대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으로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배터리를 수용하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이 상기 아우트리거에 결합되는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고, 상기 아우트리거에는 복수의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아우트리거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인가받아 상기 아우트리거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TRANSPORTABLE CRANE HAVING ELECTRO-HYDRAULIC POWER PACK}
본 발명은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 등을 하는 경우 크레인이 작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크레인이란 원동기를 내장하고 불특정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으로, 화물 차량 또는 특수 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 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식 크레인은 이동식 차량에 크레인 장비가 탑재되어 붐을 인출하여 고소 작업을 하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시설물의 설치 정비 등에 사용된다.
이때, 인출된 붐에 의해서 차량이 쉽게 전복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차량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아우트리거가 장착된다.
그러나, 작업 고소차 또는 카고 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크레인은 고소 작업 또는 화물 운반 작업 등에서 그 작업 반경이 넓을 경우 차량 전복의 위험성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이동식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물의 무게를 포함한 전체의 무게 중심이 지면에 지지하고 있는 아우트리거의 접지 점들을 연결한 구획 내에 위치하여야 하며, 이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전복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복 사고 방지를 위해 이동식 크레인에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 붐 각도를 제한하는 로드 제한(Load Limit) 장치가 설치되기도 하는 등 무게 중심의 위치 변경을 제한하는 다양한 전복 방지 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게 중심은 아우트리거가 지지하고 있는 지면의 침하나 환경적 요인인 바람에 의해서 발생되는 풍하중에 의하여 변화하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는데, 로드 제한 장치와 같은 전복 방지 장치들은 이동식 크레인의 지오메트리(geometry)만 반영되었을 뿐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동되는 무게 중심에 대해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전복 위험을 충분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600629 B1 (2006.07.1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 등을 하는 경우 크레인이 작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가 상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트리거; 및 상기 크레인부의 붐대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으로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배터리를 수용하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이 상기 아우트리거에 결합되는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고, 상기 아우트리거에는 복수의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아우트리거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인가받아 상기 아우트리거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트리거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수단에는 동력전달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기유압 파워팩을 크레인부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기 위해 아우트리거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 등을 하는 경우 크레인이 작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서 차량으로부터 크레인부, 아우트리거, 전기유압 파워팩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서 아우트리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기유압 파워팩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서 차량으로부터 크레인부, 아우트리거, 전기유압 파워팩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부(10), 아우트리거(20), 전기유압 파워팩(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크레인부(10)는 하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붐대(12)가 연결되어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크레인부(10)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크레인부(10)의 붐대(12)에는 IP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IP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는 이동식 크레인과 원거리에 위치한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보면서 크레인부(10)를 원격조종할 수 있다.
아우트리거(2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상측에 크레인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양측 다리부는 지면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서, 주로 차량에 탑재된다.
이때, 아우트리거(20)의 좌우 양측 다리부에는 기울기 센서를 설치하여 아우트리거(20)의 기울기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기울기값은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어부는 소정의 기울기 보정수단에 신호를 전송하여 아우트리거(20)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유압 파워팩(30)은 크레인부(10)의 붐대(12)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아우트리거(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크레인부(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600kg 이상인 고중량의 배터리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에서 아우트리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기유압 파워팩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기유압 파워팩(30)은 아우트리거(20)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방향(Y방향) 및 좌우방향(X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아우트리거(20)에 결합되는 이동수단(미도시)에 탑재되어 크레인부(10)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수단은 아우트리거(20)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트리거(2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의 구성은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전기유압 파워팩(30)에는 링크부재 등과 같은 동력전달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3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기구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기유압 파워팩(30)에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등의 동력전달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는 전기유압 파워팩(3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공압펌프 또는 유압펌프 등과 같은 동력발생기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아우트리거(20)에는 복수의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아우트리거(20)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인가받아 아우트리거(20)가 균형을 이루도록 전기유압 파워팩(30)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전기유압 파워팩(30)이 탑재된 이동수단을 크레인부(10)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기 위해 아우트리거(2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 등을 하는 경우 크레인이 작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크레인부 12 : 붐대
20 : 아우트리거 30 : 전기유압 파워팩

Claims (3)

  1. 하물을 들어올려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가 상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트리거; 및
    상기 크레인부의 붐대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으로서,
    상기 크레인부의 붐대 상에는 IP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IP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는 상기 이동식 크레인과 원격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전송되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정보를 통해서 상기 크레인부의 원격조종을 수행하고,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배터리를 수용하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이 상기 아우트리거에 결합되는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상기 크레인부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고,
    상기 아우트리거의 좌우 양측 다리부에는 복수의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아우트리거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인가받아 상기 아우트리거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을 상기 아우트리거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 운반 작업을 하는 경우에 상기 크레인부의 작업 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아우트리거의 일측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아우트리거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는 동력전달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는 상기 전기유압 파워팩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KR1020180013825A 2018-02-05 2018-02-05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KR10203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25A KR102031642B1 (ko) 2018-02-05 2018-02-05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25A KR102031642B1 (ko) 2018-02-05 2018-02-05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54A KR20190094554A (ko) 2019-08-14
KR102031642B1 true KR102031642B1 (ko) 2019-10-14

Family

ID=6762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25A KR102031642B1 (ko) 2018-02-05 2018-02-05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6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72B1 (ko) * 2002-11-05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견인차량의 크레인 밸런싱 시스템
KR100600629B1 (ko) 2004-10-11 2006-07-13 대호 (주) 차량에 장착되는 상하차용 미니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54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725B2 (en) Display apparatus for traveling cranes and synchronizing aparatus for traveling cranes
ES2675331T3 (es) Dispositivo para izar y controlar cargas
CN105143088A (zh) 远程控制的起重机
CN101292072A (zh) 尤其用于大型机械手和移动式混凝土泵的作业杆
CN102530751A (zh) 移动作业机器
ES2758128T3 (es) Disposición de un dispositivo de control y un módulo de control móvil
CN102849624A (zh) 操作起重机的方法和起重机
JP2018095376A (ja) クレーン
US20190382252A1 (en) Lifting Device, Such as a Forklift Truck and Pallet Truck, Provided with a Sensor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6111435A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JP2018095366A (ja) 移動式クレーンの共吊り制御システム
US1012499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and crane
KR102031642B1 (ko) 전기유압 파워팩을 구비한 이동식 크레인
KR102012705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170118338A (ko) 이동식 크레인 차량의 전복 방지 장치
CN109562813B (zh) 在海上作业期间传送人员和/或货物的系统
KR20150110884A (ko) 크레인
US10093217B2 (en) Movable frame including gantry
CN105403991A (zh) 一种可移动式望远镜
KR20210063279A (ko) 쇼벨, 정보처리장치
US20200055711A1 (en) Lifting Shipping Containers
KR102474680B1 (ko) 골리앗 크레인의 이동대상물 흔들림 측정장치
KR20160043875A (ko) 크레인 모니터링 장치
KR20210059617A (ko) 작업차
CN214935863U (zh) 移动发电系统的箱体的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