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190B1 -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190B1
KR102031190B1 KR1020190051723A KR20190051723A KR102031190B1 KR 102031190 B1 KR102031190 B1 KR 102031190B1 KR 1020190051723 A KR1020190051723 A KR 1020190051723A KR 20190051723 A KR20190051723 A KR 20190051723A KR 102031190 B1 KR102031190 B1 KR 10203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bric
coating
weft
fabric portion
molte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9005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토지의 사막화를 방지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 및 경사가 상호 교차 이격되어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 및 상기 밴드형 위사 및 경사가 교차 이격된 간격이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점적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되, 양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코팅라인으로 형성되는 보강코팅부를 포함하는 황사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dust cov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지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은 강수량에 반하여 증발량이 커서 초목이 거의 자랄 수 없는 토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은 현재 지구상에서 전 육지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과도한 경작 및 관개, 산림벌채, 환경오염에 의한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중국과 몽골 내륙에서 발생한 미세한 모래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날아오는 황사현상은 국내에서 주로 봄철에 발생하였다. 그러나, 급격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황사현상은 실질적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결막염, 피부염, 호흡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반도체나 항공기와 같은 정밀기계 작동에 문제를 야기시켜 많은 경제적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모래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의 토양 위에 비닐시트 또는 부직포시트를 덧씌우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비닐시트의 경우 실질적으로 비투과성 재질이므로, 비가 오더라도 수분이 토양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토양의 건조화 및 사막화를 해소하지 못하며, 장기적으로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불모지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닐시트의 경우 얇고 과도하게 경량으로 제작되므로 바람에 쉽게 날리며, 내구성이 낮아 외부 충격 또는 마찰 등으로 인하여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비닐시트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며, 폐기량이 증가하면서 부수적인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시트의 경우, 상기 비닐시트보다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질 자체의 흡습성으로 인하여 주변의 수분이 토양으로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어렵다.
더불어, 사막화된 토양을 고화시키는 도포액을 살포하거나, 우수를 가둘 수 있는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들도 일부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고가이며, 시공방법에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므로 광범위한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5376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지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 및 밴드형 경사가 상호 교차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 및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상기 위사 및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경사의 일면을 동시에 일체로 커버하여 교차 이격된 간격이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점성에 의해 점적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되, 비코팅면이 확보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코팅라인으로 형성되는 보강코팅부를 포함하는 황사커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측에 적층되되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보강코팅부로 경화되면서 접착되는 보강 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원단부는 부직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 및 밴드형 경사가 상호 교차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가 수용되는 저장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일측 상단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점성에 의해 점적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시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어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상기 위사 및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경사의 일면을 동시에 일체로 커버하여 교차 이격된 간격을 고정하되 비코팅면이 확보되도록 양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코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수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각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협소화되는 복수개의 안내팁부가 양측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된 도포부;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황사커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상호 교차 이격된 상기 밴드형 위사 및 경사의 일면을 사선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만곡구간을 포함하는 와인딩 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와인딩 이송부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베이스 원단부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밴드형의 위사 및 경사가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이격 교차되어 형성됨에 따라 토지의 표면을 커버하여 모래먼지의 비산 및 확산이 방지되면서도 커버된 토지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되므로 토지의 건조화/사막화 및 이로 인한 황사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보강코팅부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용융수지가 점적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을 통해 상호 이웃하도록 교차된 상기 밴드형 위사 및 경사가 직조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외력에 의한 풀림, 찢어짐이 최소화되도록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측에 미세한 투수공극을 포함하는 부직포로 구비되는 보강 원단부가 상기 보강코팅부에 의해 일체로 적층됨에 따라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대기 중으로 비산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대기오염 및 토양오염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베이스 원단부와 상기 보강코팅부가 동일한 올레핀계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호간의 고도의 융착력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직조된 상태를 고정하되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 사이로 상기 투수공극이 개구된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토지로 유입되는 수분량이 현저히 증가하므로 토지의 건조화/사막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다섯째,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가 이격 배치된 상기 도포부가 상기 와인딩 이송부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됨에 따라 복수개의 코팅라인이 사선 또는 곡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면서 최소한의 코팅량으로 상호 교차된 위사 및 경사를 동시에 고정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생산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제조장치의 구동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제조장치의 구동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가 실제로 제조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제조장치의 구동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제조장치의 구동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여기서, 도면에서 m1로 표시된 화살표는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표시한 것이고, m2로 표시된 화살표는 도포부의 왕복 이송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는 이송컨베이어(10), 저장조(20), 도포부(30) 및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는 황사커버(1)를 제조하기 위해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복수개의 코팅라인(5a)으로 형성되는 보강코팅부(5)를 적층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는 후술되는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따른 황사커버에 상기 보강코팅부를 적층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원단부(2)는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밴드형 위사(도 4a의 3) 및 경사(도 4a의 4)가 상호 이격 교차되어 투수공극(도 4a의 2a)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코팅부(5)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용융수지가 도포 및 경화되면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이송컨베이어(10)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펼쳐져 안착된 상태로 일방향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10)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이송되는 방향(m1)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후술되는 구동부(40)와 연결된다.
상기 저장조(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상기 용융수지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일측에 별도의 수용함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도포부(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도포부(30)의 내측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조(20)에는 상기 용융수지의 경화를 방지하는 온도유지수단 또는 교반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포부(3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m1) 일측 상단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안내팁부(31)가 양측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31)가 양측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된다 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m1)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도포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격 구비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31)가 배치된 방향과 상기 이송컨베이어(10)가 배치된 방향은 실질적으로 직교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31)는 각 단부(31a)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접촉 또는 인접하도록 연장되되, 단부(31a)로 갈수록 두께가 협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조(20)로부터 각 상기 안내팁부(31)의 단부측으로 이어지는 안내유로(32)를 따라 상기 용융수지가 유도된다.
이때, 상기 안내유로(32)를 따라서 유도된 상기 용융수지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점성에 의해 점적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0)를 통해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이송됨에 따라 점적된 상기 용융수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팁부(31)는 단부(31a)로 갈수록 두께가 협소화되어 구비됨에 따라 만년필의 펜촉과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장조(20)로부터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압출 또는 토출수단 없이도 상기 용융수지의 누출량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최대한 얇으면서도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재의 사용량이 최소화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제조장치의 구성품이 단순화되고 컴팩트화되므로 제조설비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제반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물론, 각 상기 안내팁부(31)는 상기 용융수지를 얇은 두께로 압출하는 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용융수지의 흐름을 진행하기 위한 매니폴드 등의 구성부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31)는 각각의 바디가 개별 구비되어 상기 도포부(30)에 체결되되, 각 상기 안내팁부(31) 사이의 간격(k)이 조절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 간의 이격간격(도 4a의 D4)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호 이웃하는 안내팁부(31)를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함에 따라 상기 코팅라인(5a)의 도포 너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각 상기 안내팁부(31)는 상기 도포부(30)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안내유로(32)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의 개수까지 조절 가능하므로 활용성의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구동을 제어하며, 복수개의 상기 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운동/정지, 이송속도 그리고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를 통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코팅부(5)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양측방향으로 이격 적층된다.
이때, 각 상기 코팅라인(5a)은 상호 교차된 상기 밴드형 위사(도 4a의 3) 및 경사(도 4a의 4)의 일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연결되어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형 위사(도 4a의 3) 및 경사(도 4a의 4)가 교차된 간격이 실질적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투수공극(도 4a의 2a)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느슨하게 직조되더라도 상기 밴드형 위사(도 4a의 3) 및 경사(도 4a의 4)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는 와인딩 이송부(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와인딩 이송부(50)는 상기 도포부(30)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도포부(3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만곡구간을 포함하는 와인딩 궤적(w)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인딩 궤적(w)은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10)가 구동시 상기 와인딩 이송부(50)의 이송속도 및 이송폭에 대응하여 피치간격(w1) 및 만곡폭(w2)이 설정된다. 즉, 상기 와인딩 이송부(50)가 왕복 이송되는 이송속도가 빠르면 상기 와인딩 궤적(w)의 피치간격(w1)이 좁게 형성되며, 이송속도가 느리면 상기 피치간격(w2)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딩 이송부(50)가 왕복 이송되는 이송폭이 크면 상기 만곡폭(w2)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폭이 작으면 상기 만곡폭(w2)도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인딩 이송부(50)의 이송속도 및 이송폭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와인딩 궤적(w)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인딩 궤적(w)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이 다양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가 실제로 제조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4a 및 도 4b,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1)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 및 상기 보강코팅부(5)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원단부(2)는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상기 밴드형 위사(3, 이하 위사) 및 밴드형 경사(4, 이하 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되되, 상호 이웃하는 위사(3,3a) 및 상호 이웃하는 경사(4,4a)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이격된 상기 밴드형 위사(3) 및 경사(4) 사이에 우수 등의 물이 통과되는 상기 투수공극(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밴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황사커버(1)로 토지 표면을 커버하면 모래먼지의 비산 및 확산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가 교차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상기 투수공극(2a)을 통해 우수와 같은 수분이 통과될 수 있는 투수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황사커버(1)에 의해 커버된 토지에 수분은 공급되면서도 증발량은 감소되므로 토지의 건조화 및 사막화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는 각각의 너비(D1,D2)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의 각 너비(D1,D2)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위사(3,3a) 사이 및 이웃하는 상기 경사(4,4a) 사이가 기설정된 간격(D3)에 대응하여 이격되도록 교차됨에 따라 상기 투수공극(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원단부(2)는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를 헐겁게 직조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상기 투수공극(2a)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등의 올레핀계 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사(3) 및 경사(4)는 폴리에틸렌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경량이면서도 저렴한 소재로 제품의 제조시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방습성, 내한성, 내수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산/알칼리 및 햇빛에 강한 물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황사커버(1)가 사막화 또는 건조화된 토지를 커버하도록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부식되거나 변성/변색됨이 방지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 자체는 공기/모래먼지/수분의 투과가 제한되므로 모래먼지의 비산 및 제품 자체에 수분이 흡습됨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투수공극(2a)을 통하여 우수 등의 수분이 토양으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래먼지의 비산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토양으로 수분이 통과될 수 있어 토지의 건조화 및 사막화의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다. 이와 동시, 토양측으로 공급된 수분이 증발됨을 방지하므로 토양의 수분저장량이 증가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됨에 따라 황사 및 미세먼지 발생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코팅부(5)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 및 경화되어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코팅부(5)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양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은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위사(3) 및 상호 이웃하는 경사(4)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도포된다. 이를 통해, 잡아당김, 마찰, 바람에 의한 날림 등의 외력에 의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의 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투수공극(2a)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코팅부(5)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동일한 재질간의 고도의 융착력으로 인한 고정력이 개선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코팅부(5)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로부터 박리됨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재활용을 위한 처리가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보강코팅부(5)가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이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전체적인 면적을 덮지 않으면서도 직조된 상태를 고정한다. 따라서, 모래먼지의 비산은 방지하면서도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투수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보강코팅부(5)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b)은 상호 교차 이격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의 일면을 사선방향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만곡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와인딩 궤적(도 3의 w)에 대응하여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곡구간이라 함은 상기 와인딩 이송부(도 3의 50)가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됨에 따라 각 상기 코팅라인(5b)의 도포방향이 반대측으로 변경되는 구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와인딩 이송부(도 3의 50)의 양측방향 이송속도 및 이송폭에 따라 상기 와인딩 궤적(w)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 궤적(도 3의 w)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b)은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위사(3,3a) 및 상호 이웃하는 경사(4,4a)를 연장방향이 변경되는 사선 또는 곡선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코팅라인(5b)이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를 동시에 커버하면서 고정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b)이 상기 만곡구간을 포함면서 상기 위사(3) 및 상기 경사(4)를 사선방향으로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황사커버(1A)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되므로 대각선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늘어나거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원단부(6)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황사커버(1B)는 보강 원단부(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원단부(6)는 부직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부직포는 섬유를 방적, 제직, 편조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펠트 모양으로 제조한 것으로, 섬유가 비정형으로 엉키면서 이격된 사이로 투수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와 대응하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섬유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천연모 또는 통상의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사용 가능한 섬유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 원단부(6)가 부직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직조되면서 형성되는 투수공극(2a)보다 조밀한 간격의 미세 투수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에 형성되는 투수공극(2a)이 3㎛ 이상으로 형성되면, 부직포로 구비되는 상기 보강 원단부(6)에 형성되는 미세 투수공극은 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양이 건조화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공기 중으로 비산되거나, 빗물에 포함된 미세한 오염물질이 상기 황사커버(1B)를 통하여 상기 토양으로 흡수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 원단부(6)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측에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미세 오염물질의 비산 또는 토양으로의 투입을 방지하는 여과(filt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토양의 오염을 동시에 감소시킴에 따라 청정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더욱이, 부직포로만 구비되거나 직조로만 구비되는 종래의 커버용 시트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직조와 부직포가 적층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부직포를 통하여 미세 이물질의 여과효율을 향상되면서도, 수분의 과도한 흡습이 방지되므로 토양의 건조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 원단부(6)는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7) 및 경사(8)가 상호 교차 이격되어 투수공극(6a)이 형성되도록 직조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 원단부(6)를 제조하기 위한 위사(7) 및 경사(8)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제조하기 위한 위사(3) 및 경사(4)와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제조하기 위한 위사(3) 및 경사(4)보다 작거나 큰 너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원단부(6)에 형성된 투수공극(6a)의 크기는 사이 베이스 원단부(2)에 형성된 투수공극(2a)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상기 용융수지가 복수개의 와인딩 궤적(도 3의 w)에 대응하여 도포되되, 상기 용융수지가 완전 경화되어 상기 보강코팅부(5)로 형성되기 전 상기 보강 원단부(6)를 적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보강코팅부(5)를 통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와 상기 보강 원단부(6)가 일체로 용이하게 적층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황사커버(1B)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 및 상기 보강 원단부(6)가 포개어지되 상기 보강코팅부(5)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는 이중의 원단부로 형성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공극(2a)이 상기 보강 원단부(6)의 투수공극(6a) 또는 미세투수공극과 교차 배치됨에 따라 모래먼지가 비산됨은 더욱 방지되면서도 우수 등의 수분은 토양측으로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 원단부(6), 상기 보강코팅부(5) 그리고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모두 동일한 올레핀계 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동일한 재질간의 고도의 융착력을 통하여 상호간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공시트부(9)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는 필름형상으로 구비되되 복수개의 관통공(9a)이 형성된 타공시트부(9)가 더 적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타면측에 상기 보강코팅부(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타공시트부(9)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도포/코팅되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관통공(9a)이 상기 투수공극(2a)과 랜덤하게 연통됨에 따라 우수 등의 수분이 토양측으로 통과될 수 있는 투수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시트부(9)의 전체적인 면적에 복수개의 상기 관통공(9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직조되어 형성되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을 통해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황사커버(1C)의 전후좌우 및 대각선방향으로의 늘어남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므로 상기 황사커버(1C)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황사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코팅부(5)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코팅부(5)는 직선형의 코팅라인(5a)과 만곡구간을 갖는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교번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황사커버(1D)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전후좌우 및 대각선방향으로의 늘어남 또는 찢어짐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직선형의 코팅라인(5a)과 곡선형의 코팅라인(5b) 사이에 'D'자형으로 더욱 넓은 면적의 비코팅면이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비코팅면을 통해 상기 투수공극(2a)이 개방되는 면적이 현저히 증가하므로 수분의 투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코팅부(5)가 직선형의 코팅라인(5a)과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을 동시에 포함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다단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도포부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용융수지가 토출되어 직선형의 코팅라인(5a)이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도포부는 상기 와인딩 이송부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면서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토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포부가 다단 배치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의 와인딩 궤적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다단 배치된 상기 도포부에 상기 와인딩 이송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의 이송을 통해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코팅부(5)가 더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황사커버(1D)의 내구성 및 인장강도, 인열강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부가 다단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면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1회 이송되는 것만으로도 직선형의 코팅라인(5a)과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황사커버(1D)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동일 시간에 제조되는 황사커버(1D)의 제조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반복 이송시킴에 따라 상기 보강코팅부(5)가 직선형의 코팅라인(5a) 및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을 동시에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1회 이송시 직선형의 코팅라인(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직선형의 코팅라인(5a)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원단부(2)를 다시 이송시키되, 상기 와인딩 이송부를 통해 상기 도포부가 좌우로 이송됨에 따라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후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반복 이송시키면서 상기 코팅보강부를 형성시키면,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컴팩트화될 수 있으며, 제조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이 절감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직선형의 코팅라인(5a)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에 배치되는 안내팁부와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에 배치되는 안내팁부가 각 코팅라인의 개수 및 면적에 대응하여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선형의 코팅라인(5a)과 곡선형의 코팅라인(5b)이 서로 과도하게 겹치지 않고 형성되므로 용융수지의 낭비가 최소화되며 제품의 완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사커버(1,1A,1B,1C,1D)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밴드형 위사(3) 및 경사(4)를 투수공극(2a)이 형성되도록 이격 교차시켜 형성된다. 따라서, 토지의 표면을 커버하여 모래먼지의 비산 및 확산이 방지되면서도 커버된 토지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되므로 토지의 건조화/사막화 및 이로 인한 황사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코팅부(5)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일면에 용융수지가 점적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을 통해 상호 이웃하도록 교차된 상기 밴드형 위사(3) 및 경사(4)가 직조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한 상기 황사커버(1,1A,1B,1C,1D)의 풀림, 찢어짐이 최소화되도록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2)와 상기 보강코팅부(5)가 동일한 올레핀계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호간의 고도의 융착력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원단부(2)의 직조된 상태를 고정하되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 사이로 상기 투수공극(2a)이 개구된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토지로 유입되는 수분량이 현저히 증가하므로 토지의 건조화/사막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안내팁부(31)가 이격 배치된 상기 도포부(30)가 상기 와인딩 이송부(50)에 의해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5a)이 사선 또는 곡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코팅부(5)는 최소한의 코팅량으로 상호 교차된 밴드형 위사(2) 및 경사(3)를 동시에 고정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생산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사커버(1,1A,1B,1C,1D)는 모래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지역 및 사막지역의 토지를 커버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모종을 양생하는 등의 농업용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황사커버(1,1A,1B,1C,1D)는 토양을 커버하면서도 수분의 투수가 확보되어야 하는 분야에 적용되는 덮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100)는 상술한 황사커버(1,1A,1B,1C,1D)뿐만 아니라 직조로 형성되되 소정의 투수 또는 통기면적을 확보하면서도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직물지 또는 시트지를 제조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분체류 등을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를 제조시에도 상기 황사커버 제조장치(100)가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A,1B,1C: 황사커버 2: 베이스 원단부
2a: 투수공극 5: 보강코팅부
5a: 코팅라인 6: 보강 원단부
10: 이송컨베이어 20: 저장조
30: 도포부 31: 안내팁부
40: 구동부 50: 와인딩 이송부
100: 황사커버 제조장치

Claims (5)

  1.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 및 밴드형 경사가 상호 교차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 및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상기 위사 및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경사의 일면을 동시에 일체로 커버하여 교차 이격된 간격이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점성에 의해 점적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되, 비코팅면이 확보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코팅라인으로 형성되는 보강코팅부를 포함하는 황사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측에 적층되되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보강코팅부로 경화되면서 접착되는 보강 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원단부는 부직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커버.
  4.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밴드형 위사 및 밴드형 경사가 상호 교차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투수공극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원단부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원단부를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가 수용되는 저장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일측 상단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점성에 의해 점적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시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면서 적층되어 상호 교차된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상기 위사 및 상호 이웃하는 상기 경사의 일면을 동시에 일체로 커버하여 교차 이격된 간격을 고정하되 비코팅면이 확보되도록 양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코팅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수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각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협소화되는 복수개의 안내팁부가 양측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된 도포부;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황사커버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코팅라인이 상기 베이스 원단부의 상호 교차 이격된 상기 밴드형 위사 및 경사의 일면을 사선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만곡구간을 포함하는 와인딩 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와인딩 이송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커버 제조장치.
KR1020190051723A 2019-05-02 2019-05-02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KR10203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723A KR102031190B1 (ko) 2019-05-02 2019-05-02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723A KR102031190B1 (ko) 2019-05-02 2019-05-02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190B1 true KR102031190B1 (ko) 2019-10-11

Family

ID=6821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723A KR102031190B1 (ko) 2019-05-02 2019-05-02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52A (ko) * 2002-04-22 2003-10-30 기영상 고강도 피이 타포린의 제조방법
JP2005534464A (ja) * 2002-05-29 2005-11-17 シュミット リナー アーゲー 表面にコーティングを塗布する方法
JP2008069487A (ja) * 2006-09-14 2008-03-27 Japan Gore Tex Inc 耐摩耗性に優れた布帛、複合布帛、および、繊維製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90053763A (ko) 2009-04-29 2009-05-27 김덕섭 황사방지 또는 사막녹지용 친환경도포제와 이의 조성방법
KR20120091333A (ko) * 2009-11-09 2012-08-17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텍스타일 복합재 물품
KR20150020991A (ko)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352A (ko) * 2002-04-22 2003-10-30 기영상 고강도 피이 타포린의 제조방법
JP2005534464A (ja) * 2002-05-29 2005-11-17 シュミット リナー アーゲー 表面にコーティングを塗布する方法
JP2008069487A (ja) * 2006-09-14 2008-03-27 Japan Gore Tex Inc 耐摩耗性に優れた布帛、複合布帛、および、繊維製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90053763A (ko) 2009-04-29 2009-05-27 김덕섭 황사방지 또는 사막녹지용 친환경도포제와 이의 조성방법
KR20120091333A (ko) * 2009-11-09 2012-08-17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텍스타일 복합재 물품
KR20150020991A (ko) *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807B1 (en) Integral lofty polymer grid and fiber web matrix turf reinforcement mats
CN104995446A (zh) 绝热可伸缩羽绒片材及其制造方法
DE2625236A1 (de) Stoff aus faservlies
DE2036417A1 (de) Faservlies
JP2005281924A (ja)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
KR102031190B1 (ko) 황사커버 및 그의 제조장치
JP6715612B2 (ja) ジョイント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塗膜防水工法
KR20130138772A (ko) 부직포용 다층직물
CN1348748A (zh) 弹性伸缩性复合片料及其制造方法
USRE47697E1 (en) Irrigation pipe
CA2162381A1 (en) Stabilized fabrics and reinforced products containing them
US10501889B2 (en) Extruded paper machine cloth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A2702176A1 (en) Antislip sheet material with twisted tapes
US20210238784A1 (en) Industrial fabric
CA2842456A1 (en)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fabric and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using the same
US10232585B2 (en) Antislip sheet material with twisted tapes
JP2014023477A (ja) 農業用トンネル被覆資材
JPH09275821A (ja) ネット状の農業用資材
CN1490086A (zh) 制造复合带的方法
EP1106739A3 (en) Combined soil reinforcement and drainage grid
JPH09157992A (ja) 農業用シ−ト
JP3591063B2 (ja) 透水性土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3965B2 (ja) 被覆材
CN216457486U (zh) 一种沥青拌合站用耐酸除尘滤料
JPH05117955A (ja) 筒状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