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73B1 - 제품 안착 블럭 - Google Patents

제품 안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73B1
KR102031073B1 KR1020180027147A KR20180027147A KR102031073B1 KR 102031073 B1 KR102031073 B1 KR 102031073B1 KR 1020180027147 A KR1020180027147 A KR 1020180027147A KR 20180027147 A KR20180027147 A KR 20180027147A KR 102031073 B1 KR102031073 B1 KR 10203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usher
air
base body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130A (ko
Inventor
유병운
이승진
이세영
Original Assignee
디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플러스(주) filed Critical 디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18002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0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안착 블럭은 제품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 오목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수납홈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품 노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품 노출부에 배치되며, 노출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사이드 푸셔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안착 블럭{PRODUCT SUPPORT BLOCK}
본 발명은 제품 안착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파손 없이 제품을 빠르게 수납 및 수납된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빠르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는 제품 안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과 같은 초소형 전자제품은 스마트폰, CCTV 및 자동차용 주차 보조 장치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과 같이 불량률이 낮아야 하는 전자제품은 일반적으로 부품 조립이 완료된 후, 전수 검사가 진행되어 불량 여부 및 성능 검사가 수행된다.
카메라 모듈을 전수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품을 안착 블럭에 임시적으로 고정한 후, 안착 블럭에 고정된 제품에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여 제품의 양부, 성능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안착 블럭은 금속 블럭의 상면에 오목한 수납홈을 형성하고, 수납홈 내부에 제품을 수납한 후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진공압으로 흡착하여 제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를 수행한다.
특히 종래 안착 블럭은 수납홈 및 수납홈에 수납된 카메라 모듈 사이의 갭을 최대한 좁게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수납홈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도록 한다.
그러나, 수납홈 및 카메라 모듈 사이의 상기 갭이 좁을 경우 카메라 모듈을 수납홈에 수납하기 어렵고 카메라 모듈을 수납홈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모듈과 안착 블럭이 충돌하여 카메라 모듈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납홈 및 카메라 모듈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갭을 증가 시킬 경우, 카메라 모듈의 파손 빈도는 크게 감소되지만 수납홈 내에 수납된 카메라 모듈이 지정된 위치에 정렬되지 않아 카메라 모듈의 검사 불량이 빈번히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과 같은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홈 및 제품 사이의 갭을 증가시켜 제품을 수납홈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켜 제품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제품 안착 블럭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제품 안착 블럭은 제품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 오목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수납홈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품 노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품 노출부에 배치되며, 노출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사이드 푸셔 유닛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품 노출부는 상기 제품의 인접한 한 쌍의 측면들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를 노출시킨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상기 푸셔 몸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제공되는 에어 포트, 상기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제품을 향해 변위를 발생시키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에 장착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과 접촉되는 푸셔 및 상기 푸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푸셔는 상기 제품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품의 일측면과 연결된 타측면에 접촉되는 제2 푸셔부를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2 푸셔부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셔부가 상기 일측면에 먼저 접촉된 후 상기 제2 푸셔부가 상기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킨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제품의 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1 진공홀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된 단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2 진공홀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1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압 및 상기 제2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압은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을 작동시키는 상기 공기압과 연동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및 상기 푸셔 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 몸체에는 상기 에어 포트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직접 상기 제품의 한 쌍의 측면들로 각각 제공하기 위해 Y 자 형태를 갖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제품 안착 블럭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안착 블럭은 제품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 오목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수납홈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품 노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품 노출부에 배치되며, 노출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사이드 푸셔 유닛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품 노출부는 상기 제품의 인접한 한 쌍의 측면들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를 노출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상기 푸셔 몸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제공되는 에어 포트, 상기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제품을 향해 변위를 발생시키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에 장착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과 접촉되는 푸셔 및 상기 푸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푸셔는 상기 제품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품의 일측면과 연결된 타측면에 접촉되는 제2 푸셔부를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2 푸셔부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셔부가 상기 일측면에 먼저 접촉된 후 상기 제2 푸셔부가 상기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킨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제품의 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1 진공홀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된 단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2 진공홀을 포함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제1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압 및 상기 제2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압은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을 작동시키는 상기 공기압과 연동된다.
제품 안착 블럭의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및 상기 푸셔 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 몸체에는 상기 에어 포트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직접 상기 제품의 한 쌍의 측면들로 각각 제공하기 위해 Y 자 형태를 갖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제품 안착 블럭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안착 블럭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푸셔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셔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포함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제품"은 조립 후 검사가 진행되는 카메라 모듈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 "제품"은 단지 카메라 모듈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품"은 조립 후 검사가 수행되는 다양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안착 블럭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품 안착 블럭(400)에 수납되는 제품(10)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생성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품(10)인 카메라 모듈은 2 개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들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듀얼 카메라 모듈은 2 개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는 본체(2), 2 개의 이미지 센서들에 각각 형성된 렌즈(3,4) 및 2개의 이미지 센서들과 각각 연결된 2 개의 단자부(5,6)를 포함한다.
듀얼 카메라 모듈의 본체(2)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2)에는 다수개의 측면(2a)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품(10)인 카메라 모듈이 듀얼 카메라 모듈이고, 본체(2)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카메라 모듈은 1개의 이미지 센서, 1개의 렌즈 및 1개의 단자부를 갖는 싱글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품 안착 블럭(400)은 베이스 몸체(100) 및 사이드 푸셔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품 안착 블럭(400)은 가이드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00)는, 앞서 설명된 제품(10)을 수납 및 수납된 제품(10)을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몸체(100)는 외부 충격에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가공성이 풍부하여 지정된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금속 소재 또는 합금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00)의 상면(110)에는 상면(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120)이 형성된다.
수납홈(120)에 배치된 제품(10)을 고정하기 위해서, 베이스 몸체(100)에는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100)에 형성된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에는 각각 제품(10)을 임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100)에 형성된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의 단부에는 각각 에어 포트(150)가 연결되고, 에어 포트(150)에는 진공압이 형성된 진공 배관(미도시)이 연결된다.
수납홈(120)은, 예를 들어, 제품(10)의 본체(2) 및 단자부(5,6)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형상 및 깊이로 형성되며, 수납홈(120)에 제품(1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120)의 사이즈는 제품(10)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납홈(120)의 사이즈가 제품(10)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품(10) 및 수납홈(120)에 의하여 형성된 측벽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갭은 제품(10)을 수납홈(120)에 삽입할 때 제품(10)이 베이스 몸체(100)에 충돌하지 않기에 충분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품(10)과 베이스 몸체(100)가 상호 충돌하지 않기에 충분한 갭이 수납홈(120)에 의하여 형성된 측벽 및 제품(10) 사이에 형성될 경우, 제품(10)은 지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홈(120)의 내부에 배치된 제품(10)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경우, 제품(10)을 검사할 때 검사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난 제품(10)을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이드 푸셔 유닛(200)이 베이스 몸체(100)에 배치된다.
사이드 푸셔 유닛(200)을 베이스 몸체(100)에 설치하기 위하여 베이스 몸체(100)에는 제품 노출부(160)가 형성된다.
제품 노출부(160)는 베이스 몸체(100)의 수납홈(120)에 수납된 제품(10)의 본체(2)의 측면(2a)의 일부가 수납홈(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품 노출부(160)는 제품(10)의 측면(2a)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베이스 몸체(100)를 절개 또는 절단하여 형성된다.
제품 노출부(160)는, 예를 들어, 베이스 몸체(100) 중 제품(10)의 본체(2) 중 인접한 한 쌍의 측면(2a)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를 노출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품 노출부(160)가 형성된 베이스 몸체(100)에는 사이드 푸셔 유닛(200)이 배치된다.
사이드 푸셔 유닛(200)은 베이스 몸체(100)의 수납홈(120)에 수납된 제품(10)을 특정 방향으로 밀어 제품(10)이 수납홈(120) 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푸셔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이드 푸셔 유닛(200)은 푸셔 몸체(210), 에어 포트(220), 에어 실린더(230), 푸셔(240) 및 스프링(250)을 포함한다.
푸셔 몸체(210)는, 예를 들어, 금속 소재 또는 합성 수재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푸셔 몸체(210)는 에어 포트(220), 에어 실린더(230), 푸셔(240) 및 완충 스프링(250)등이 고정되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푸셔 몸체(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푸셔 몸체(210)의 내부에는 에어 실린더(230)가 장착된다. 에어 실린더(230)는 외부에서 제공된 공기압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한다.
푸셔 몸체(210)에는 에어 실린더(230)와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230)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포트(220)가 연결된다. 에어 포트(2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제공되는 공기 배관(미도시)이 연결된다.
푸셔(240)는 에어 시린더(230)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며, 푸셔(240)는 노출된 제품(10)의 모서리를 밀어 제품(10)이 수납홈(120)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한다.
푸셔(240)는 몸체부(242),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240)의 몸체부(242)는 제품(10)의 측면(2a)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242)는 에어 실린더(230)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몸체부(242)는 실린더 로드의 변위에 따라 이동된다.
제1 푸셔부(244)는 몸체부(242)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푸셔부(244)는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2a)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푸셔부(246)는 몸체부(242)의 전면에 제1 푸셔부(244)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푸셔부(246)는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2a)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는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2a)들을 밀어 제품(10)을 제품(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품(10)을 수납홈(120)의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품(10)이 대칭 형상,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경우,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는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가 제품(10)에 접촉되면서 제품(10)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을 갖고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가 제품(10)을 밀면서 제품(10)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은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품(10)의 형상에 따라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의 형상 또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푸셔부(244) 및 제2 푸셔부(246)이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푸셔부(244)가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먼저 접촉되어 제품(10)을 일측 방향으로 밀고, 이어서 제2 푸셔부(246)가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들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어 제품(10)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 제품(10)을 수납홈(120) 내의 지정된 위치에 정렬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푸셔(240)가 제품(10)을 밀어 수납홈(120)의 지정된 위치에 제품(10)을 정렬시킬 때, 푸셔(240)에 의하여 제품(10)에 가해지는 힘이 지나치게 클 경우, 제품(10)의 일부가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몸체(100)에 형성된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에 인가된 진공압에 의하여 제품(10)을 고정하는 흡입력 및 푸셔(240)가 제품(10)을 밀기 위해 에어 실린더(230)에 인가되는 공기압을 연동시켜 제품(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230)로 공기압이 인가되어 푸셔(240)가 작동 될 때,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에 지정된 진공압을 인가하여 진공압으로 제품(10)을 흡입함으로써 푸셔(240)가 제품(10)을 미는 힘을 감소시켜 제품(10)이 지정된 위치로 밀려나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품(10)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에 제공된 진공압의 세기보다 에어 실린더(230)로 인가되는 공기압의 세기를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품(10)이 지정된 위치에 도달할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1 진공홀(130) 및 제2 진공홀(140)에 인가되는 진공압의 세기를 증가시켜 제품(10)이 지정된 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진공홀(130), 제2 진공홀(140)에 인가된 진공압 및 사이드 푸셔 유닛(200)의 에어 실린더(230)로 제공된 공기압을 연동하여 제품(10)을 손상 및 파손 없이 지정된 위치에 정렬하는 기술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사이드 푸셔 유닛(200)의 에어 실린더(230)로 제공되기 이전에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유닛 및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 조절 유닛을 통해 최적화한 후 에어 실린더(230)로 제공함으로써 제품(10)의 손상 없이 제품(10)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300)는 베이스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수납홈(120)에 수납된 제품(1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 부재(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부재(300)에는 가이드 부재(30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정렬홀이 형성되고, 정렬홀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300)와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정렬부재가 배치되어 정렬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가이드 부재(300)는 검은색 소재로 제작되고, 정렬 부재는 가이드 부재(300)와 대비되는 흰색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 푸셔 유닛(200)은 푸셔 몸체(210) 및 에어 포트(2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푸셔 몸체(210)에는 에어 포트(220)와 연결되어 제품(10)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유로(270)가 형성되며, 공기 유로(270)는, 예를 들어, 제품(10)의 한 쌍의 측면(2a)에 각각 분사되어 제품(10)을 수납홈(120)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Y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공기 유로(270)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제품(10)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유로(270)는 분사된 공기가 제품(10)의 측면(2a)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홈 및 제품 사이의 갭을 증가시켜 제품을 수납홈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켜 제품 검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베이스 몸체 200...사이드 푸셔 유닛
300...가이드 부재 400...제품 안착 블럭

Claims (11)

  1. 제품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 오목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수납홈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품 노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몸체;
    상기 제품 노출부에 배치되며, 노출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사이드 푸셔 유닛; 및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제품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정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홀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정렬마크가 형성된 제품 안착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노출부는 상기 제품의 인접한 한 쌍의 측면들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를 노출하는 제품 안착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상기 푸셔 몸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제공되는 에어 포트, 상기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제품을 향해 변위를 발생시키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에 장착되어 상기 제품의 측면과 접촉되는 푸셔 및 상기 푸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품 안착 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품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품의 일측면과 연결된 타측면에 접촉되는 제2 푸셔부를 포함하는 제품 안착 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셔부 및 상기 제2 푸셔부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셔부가 상기 일측면에 먼저 접촉된 후 상기 제2 푸셔부가 상기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시키는 제품 안착 블럭.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제품의 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1 진공홀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된 단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를 흡착하는 진공압이 형성된 제2 진공홀을 포함하는 제품 안착 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진공홀 및 상기 제2 진공홀에 인가된 진공압에 의하여 제품을 고정하는 흡입력 및 상기 푸셔가 제품을 밀기 위해 상기 에어 실린더에 인가된 공기압은 연동되고,
    상기 제품이 상기 푸셔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진공압의 세기를 증가시켜 상기 제품을 고정하는 제품 안착 블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푸셔 몸체 및 상기 푸셔 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 몸체에는 상기 에어 포트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직접 상기 제품의 한 쌍의 측면들로 각각 제공하기 위해 Y 자 형태를 갖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제품 안착 블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검은색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정렬 마크는 흰색 소재로 제작된 제품 안착 블럭.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셔 유닛은 상기 제품의 손상 없이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정렬하기 위해 상기 에어 실린더로 제공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유닛 및 상기 에어 실린더로 제공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품 안착 블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제품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 유로는 분사된 공기가 제품의 측면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게 배치된 제품 안착 블럭.
KR1020180027147A 2018-03-07 2018-03-07 제품 안착 블럭 KR10203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7A KR102031073B1 (ko) 2018-03-07 2018-03-07 제품 안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7A KR102031073B1 (ko) 2018-03-07 2018-03-07 제품 안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30A KR20190106130A (ko) 2019-09-18
KR102031073B1 true KR102031073B1 (ko) 2019-10-11

Family

ID=6807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47A KR102031073B1 (ko) 2018-03-07 2018-03-07 제품 안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915B1 (ko) * 2021-09-17 2024-02-28 디플러스(주) 제품 검사 소켓용 제품 마운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47B1 (ko) * 2012-11-19 2013-02-06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KR101504961B1 (ko) * 2014-08-20 2015-03-24 프라임텍 주식회사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73375B1 (ko) * 2015-07-07 2016-11-09 디플러스(주) 모듈 테스트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81A (ko) * 2007-10-23 2009-04-28 권기영 커넥터 검사장치
KR20160043236A (ko) * 2014-10-10 2016-04-21 엔엠시스템(주) 카메라용 렌즈모듈 외관 검사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47B1 (ko) * 2012-11-19 2013-02-06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KR101504961B1 (ko) * 2014-08-20 2015-03-24 프라임텍 주식회사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73375B1 (ko) * 2015-07-07 2016-11-09 디플러스(주) 모듈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30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414B2 (ja) 基板搬送装置
KR101673375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US7618277B2 (en) Method of mounting and de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device for mounting and de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socket for a semiconductor device
KR10246422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US8955735B2 (en) Method for enhancing the yield rate of ball implanting of a substrate of an integrated circuit
US20180024307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31073B1 (ko) 제품 안착 블럭
CN108604056B (zh) 相机模块检验设备
CN104965167A (zh) 电路板自动检测设备
KR20230054803A (ko) 전자부품 적재상태 점검장치
US20200049942A1 (e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a cable end of a cable and a method for cleaning
WO2018047413A1 (ja) 光学部品搭載装置、およびセンサー装置の製造方法
JP6987239B2 (ja) バックアップピンセット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自動交換システム
CN113120596B (zh) 物料移载状态侦测系统及方法
KR102090583B1 (ko) 제품 안착 블럭
JP2017514306A (ja) 基板に電子部品を載置するための境界限定
JP3042190B2 (ja) 電子部品吸着ノズルの位置ずれ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KR101944398B1 (ko) 반도체패키지용 자재정렬장치
US9062968B2 (en) PCB load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printed circuit board stack
KR101970805B1 (ko) 정밀성을 향상시킨 핀블럭
JP200929439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組立用治具とこ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KR102039303B1 (ko) 카메라 모듈의 위치결정장치
CN111468939A (zh) 阀轴安装方法及设备
KR10174366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장착 가이더
CN204036305U (zh) 一种用于镜头模组质量检测的固定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