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339B1 -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339B1
KR102030339B1 KR1020180125932A KR20180125932A KR102030339B1 KR 102030339 B1 KR102030339 B1 KR 102030339B1 KR 1020180125932 A KR1020180125932 A KR 1020180125932A KR 20180125932 A KR20180125932 A KR 20180125932A KR 102030339 B1 KR102030339 B1 KR 10203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film
antistatic
film
fluori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이재흥
김성현
박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시 소자에 있어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를 구현함은 물론 영구 대전방지 효과의 구현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기재에 대한 접착력 저하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색상구현에 불리함이 없으며, 온도 및 습도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유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Antistatic transparent protection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편광판을 액정셀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점착제층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하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정전기는 액정 표시 장치 내부의 액정 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유발시키고,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액정셀과 점착제층 사이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공정 중 유기용매를 사용하게 되면, 인화의 위험성이 크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정전기 문제의 해결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대전방지는 절연체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를 적절한 방법으로 방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전방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표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표면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시키도록 유도 해야 한다.
이러한 대전방지층 형성을 포함한 공지의 대전방지 기술로는 유기 술포네이트 및 유기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 화합물을 이용한 내부첨가법, 금속 화합물을 표면에 증착하는 방법, 도전성 무기입자를 도포하는 방법, 저분자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위 방법 중 내부첨가법은 비용이 저렴하고, 경시변화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필름 지지체 고유의 특성을 저해하는 단점과 대전방지 효과의 한계, 브리드 아웃(bleed out)으로 인한 필름과 적층제 사이의 접착성 저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금속 화합물을 표면에 증착하는 방법은 대전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최근에는 도전성 필름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제조단가가 높고 투명 필름에의 적용이 불가하여 특정의 용도에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저분자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한 도포법은 대전방지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고 제조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대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해 대기 중의 수분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대전방지 효과가 크게 저하되며, 반대면으로의 전사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 때문에 적용이 제한된다.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비롯한 각종 기재에 코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의 방법은 적당한 바인더를 함께 용해시켜 코팅층의 접착력 또는 표면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의 경우 필름 연신에 따른 표면저항 변화가 크고 대전방지 효과의 폭간 편차가 현저한 문제점을 가지며, 아직까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전방지 필름이 제품에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대전방지 필름 기술의 개발이 여전히 필요하다.
(특허문헌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1982호 (특허문헌2)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10842호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과 방오성을 동시에 갖는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금속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광투과율을 구현하는 투명한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고,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인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대전방지층은 불소계고분자,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를 포함한다.
[관계식]
2.5 ≤ (M"+C")/F" ≤ 3.5
1.9 ≤ R"/R' ≤ 2.6
(상기 관계식에서,
M"는 필름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필름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필름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는 필름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가 1 내지 1.3미만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금속원소가 60원소%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101Ω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수접촉각이 90°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550nm 파장의 빛에서 투과율이 85%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일면에, 불소계고분자,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성형체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0.95 ≤ (M+C)/F ≤ 1.5
1.35 ≤ R/R' ≤ 1.65
상기 관계식에서,
M은 성형체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성형체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성형체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은 성형체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60중량%이하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MF전력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DC전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대전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 관련 기기의 적정 수준의 표면저항(105~1015Ω/sq )을 확보하여, 목적하는 대전방지성의 구현과 함께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에 어려움이 따르지 않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전방지성과 방오성을 동시에 가지며,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경시변화가 작은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경시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영구 대전방지 효과의 구현으로 재사용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투명성으로 다양한 양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에 있어 색상구현에 불리함이 없으며, 필름 반대면으로의 전사 문제를 최소화하고, 온도 및 습도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유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전력 조건(예, 파워 및 파워밀도)을 적절하게 조절함에 따라 목적하는 표면저항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시간 내에 대면적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롤투롤 공정의 구현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성 또한 우수하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적 필름 제조시에도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고품질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경시변화에도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대전방지성은 물론 우수한 방오성을 동시에 갖는 대전방지 필름을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품질의 투명 대전방지 필름을 요구하는 다양한 표시 장치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관계식"에 대한 보다 명확한 표기를 위해, 이하 관계식1은 "(M"+C")/F""을 의미하고, 관계식2는 "R"/R'"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관계식3은 "(M+C)/F"을 의미하고, 관계식4는 "R/R'"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경시변화"는 소정의 시간경과에 따른 물성의 변화 또는 필름에 대한 소정의 처리 전·후 물성의 변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경시변화는 대전방지 필름의 세정 전·후의 물성의 변화, 즉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원소%"는 성형체 또는 필름 내 포함된 탄소원소, 불소원소, 금속원소 등의 총 원소의 갯수에 대한 해당 원소만의 원소 갯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각 성형체 또는 필름 내 불소원소, 탄소원소 및 금속원소의 원소% 합은 100원소%이하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소%는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XIS NOVA, Kratos 사)를 이용하여 원소분석 (EA)을 통해 수치화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함량비" 또는"원소비"는 각 원소의 함량(원소%)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종래 대전방지 필름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와 동시에 높은 발수성을 갖는 대전방지 필름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금속입자, 카본입자 및 불소계고분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성형체를 이용함으로써, 상술된 효과를 동시에 갖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체가 소정의 함랑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대전방지성은 물론 내수성을 나타내고, 경시변화에 대한 안정성에 탁월함을 보여 향상된 재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세정한 전·후의 경시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탁월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높은 금속 함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대전방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방지층은 불소계고분자,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1과 관계식2를 만족하며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인 것일 수 있다.
[관계식1]
2.5 ≤ (M"+C")/F" ≤ 3.5
[관계식2]
1.9 ≤ R"/R' ≤ 2.6
상기 관계식1 및 관계식2에서,
M"는 필름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필름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필름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는 필름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일반적으로, 불소원소를 포함하는 필름(박막)은 표면저항이 높다. 특히, 이러한 불소원소를 포함하는 필름은 우수한 발수 및 발유 특성으로 방오성이 탁월하지만 특유의 절연특성으로 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여, 대전방지 필름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필름의 경우, 절연특성의 불소원소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정전기에 의해 축적된 전하를 효과적으로 방전시켜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의 결과는 표시 장치 분야에 적합한 대면적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단일공정을 통해 발수성 및 대전방지성을 동시에 가지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정전기에 의해 축적된 전하를 효과적으로 방전시켜 우수한 대전방지성은 물론 세정에 대한 표면저항 변화의 차이가 10배 이하로 유지되고, 내습성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균일하고 얇은 박막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후속될 수 있는 필름 연신에도 표면저항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외부 환경변화와 다양한 후속공정을 통한다 하여도 폭간 편차가 거의 없는 고품질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에 어려움이 따르지 않으면서도 발수성 및 방오성이 탁월하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단일층 필름으로 대전방지 필름에서 요구하는 표면저항 특성을 만족시키고, 이에 대한 우수한 경시안정성과 방오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에 주목된다.
상기 관계식1 및 관계식2를 만족하는 대전방지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기계적 물성 및 대전방지성을 극대화함으로써, 표면이 직접 노출되는 경우는 물론 다른 기능성층이 합지되거나 증착된 경우에도 우수한 물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의 흡착에너지가 낮아 우수한 방오성을 가지며, 기재와의 우수한 접착성으로 물이나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 의한 세정시, 탈락이나 용해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필름 연신은 물론 세정에 의한 효과의 저하없이 안정적으로 대전방지성 및 방오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이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목적하는 표면저항을 구현하지 못하거나 경시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일 예로, 관계식1이 2.5미만인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상승하게 되며 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 발생량도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 예로, 관계식1이 3.5초과인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의 표면저항이 극히 낮아(104 이하), 오히려 터치에 의한 신호구분에 어려움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 예로, 관계식2가 1.9미만인 성형체 또는 2.6초과인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은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경시변화가 커 바람직하지 않았다.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이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 관련 기기의 적정 수준의 표면저항의 구현과 경시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차이가 10배 이하로 유지되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관계식1은 구체적으로 2.6 내지 3.5 범위이고 상기 관계식2는 2.0 내지 2.5범위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계식1은 2.65 내지 3.35범위이고 상기 관계식2는 2.1 내지 2.4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통해, 상술된 효과에 탁월함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상기 성형체는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카본입자와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카본입자가 성형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시변화에 대한 표면저항의 변화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았다. 더불어, 이의 경우 극히 향상된 경도특성으로 후속되는 필름 연신 공정에서 폭간 편차를 야기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에, 상기 성형체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5중량%의 카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도성 물질의 사용량을 높이면 손쉽게 대전방지 필름에서 요구하는 표면저항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금속입자와 같은 전도성 물질이 과량 포함되는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의 투명한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대전방지층 내 60원소%에 달하는 과량의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경우더라도 색상구현에 불리함이 없이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 예로, 60원소%의 구리원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을 갖는 대전방지 필름은 85%이상의 투과율(T550nm,%)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을 만족하는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필름은 종래 어떠한 발명에서도 인식되지 않았던 물성의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성형체의 용도에 해당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구성은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이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 관련 기기에서 목적하는 물성의 구현에 탁월함을 보인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대전방지 필름의 경우,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이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한 표면저항(105~1015Ω/sq)의 구현이 어렵고 필름의 경시변화가 커 상용화에 어려움이 따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필름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가 1.0 내지 1.3 미만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함량비(C"/F")가 1.05 내지 1.25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량비(C"/F")가 1.05 내지 1.23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비를 만족하는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이고, 세정에 대한 표면저항 변화의 차이가 10배 이하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이고,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절대값)가 101Ω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0.01 내지 5Ω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0.01 내지 3Ω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0.01 내지 1Ω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필름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 60원소%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필름 내 60원소%에 달하는 금속원소의 함량에도 불구하고, 85%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투명한 대전방지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이고, 수접촉각이 90°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수접촉각이 90 내지 130°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수접촉각이 95 내지 120°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수접촉각이 100 내지 110°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이고, 투과율(T550nm,%)이 85%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투과율이 85 내지 99%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투과율이 90 내지 99%범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금속입자, 카본입자 및 불소계고분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성형체를 이용하여 스퍼터링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대면적 필름 제조시에도 표면저항의 위치별 편차 없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금속원소, 탄소원소 및 불소원소를 동시에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3 및 관계식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다양한 양태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상술된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대전방지 필름 모두가 본 발명의 양태일 수 있으나, 이하 후술되는 성형체를 이용하여 스퍼터링되어 형성된 대전방지 필름이 최적의 양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금속입자, 카본입자 및 불소계고분자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3 및 관계식4를 만족하는 성형체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3]
0.95 ≤ (M+C)/F ≤ 1.5
[관계식4]
1.35 ≤ R/R' ≤ 1.65
(상기 관계식3 및 관계식4에서,
M은 성형체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성형체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성형체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은 성형체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이 상기 관계식3 및 관계식4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목적하는 표면저항을 구현하지 못하거나 경시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일 예로, 관계식3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필름은 표면저항이 상승하게 되며 마찰 등에 의해 정전기 발생량도 증가하게 되어 목적하는 대전방지 특성을 구현하기 어렵거나 표면저항이 극히 낮아(104 이하), 오히려 터치에 의한 신호구분에 어려움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 예로, 관계식4가 1.35미만인 성형체 또는 1.65초과인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필름은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경시변화가 커 바람직하지 않았다.
터치에 의한 신호 구분이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 관련 기기의 적정 수준의 표면저항의 구현과 경시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차이가 10배 이하로 유지되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관계식3은 구체적으로 0.95 내지 1.5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관계식4는 1.35 내지 1.60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계식3은 0.98 내지 1.47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관계식4는 1.35 내지 1.60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하는 성형체를 통해, 상술된 효과에 탁월함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상기 성형체는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카본입자와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카본입자가 성형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시변화에 대한 표면저항의 변화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았다. 더불어, 이의 경우 극히 향상된 경도특성으로 후속되는 필름 연신 공정에서 폭간 편차를 야기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에, 상기 성형체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5중량%의 카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도성 물질의 사용량을 높이면 손쉽게 대전방지 필름에서 요구하는 표면저항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금속입자와 같은 전도성 물질이 과량 포함되는 경우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의 투명한도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체 내 60중량%에 달하는 과량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경우더라도 색상구현에 불리함이 없이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단계는 RF(radio-frequency), MF(mid-range frequency) 또는 DC(direct current) 전원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단시간 내에 대면적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롤투롤 공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MF(mid-range frequency) 또는 DC(direct current) 전원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계는 상술된 전원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목적하는 표면저항을 구현하도록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MF전력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DC전력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1.85, 2.46, 3.07, 3.69 또는 4.31 W/㎠의 파워밀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인가 파워밀도가 증가될수록 대전방지성, 즉 필름의 표면저항이 향상되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체는 금속입자, 카본입자 및 불소계고분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가 불소계고분자 매트릭스 내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가 불소계고분자 매트릭스 내 다양한 양태의 구배를 갖도록 분산된 형태일 수 있고, 서로 상이한 함량의 성형체가 접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배는 전극면을 향하여 입자성분(예,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의 함량이 높고, 피착체의 방향으로는 입자성분의 함량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배는 피착체의 방향으로는 입자성분(예,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의 함량이 높고, 전극면을 향하여 입자성분의 함량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입자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금(Au), 텅스텐(W), 마그네슘(Mg), 니켈(Ni), 몰리브덴(Mo), 바나듐(V), 나이오븀(Nb), 티타늄(Ti), 백금(Pt), 크롬(Cr), 탄탈(Ta)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구리(Cu)인 것이 좋다.
상기 카본입자는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카본나노섬유 (Carbon nano fiber), 카본블랙(Carbon black), 그래핀(Graphene), 그라파이트(Graphite), 탄소섬유(Carbon fiber)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고분자는 불소를 함유하는 올레핀을 중합시킨 합성수지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플로린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ETF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 공중합체 (ECTFE, 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copolymer), 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PFA, perfluoroalkoxy copolymer) 등의 불소계고분자; 비닐플루오라이드 단일중합체 고무, 비닐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고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일중합체 고무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고무 등의 불소고무;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가 0.4 내지 0.6범위의 불소계고분자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것이 좋다.
상기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의 크기 및 형태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는 평균직경(D)이 10 nm 내지 1,000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nm 내지 500 nm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10 nm 내지 300 nm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본입자는 카본나노튜브일 수 있으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길이/직경(L/D) 값이 50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105~1015Ω/sq 범위의 표면저항을 만족하고, 경시변화에 따른 표면저항의 안정성이 탁월한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관계식3의 범위를 벗어나는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필름은 표면저항이 상승하게 되어 대전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없거나 극히 낮은 표면저항의 구현으로 터치에 의한 신호구분에 어려움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 예로, 상술된 관계식3의 범위를 만족하여 목적하는 표면저항(105~1015Ω/sq)을 나타내는 경우더라도 관계식4의 범위를 벗어나는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통해 제조된 필름은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경시변화가 커 바람직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구체적으로 상기 관계식3은 0.95 내지 1.5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관계식4는 1.35 내지 1.60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계식3은 0.98 내지 1.47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관계식4는 1.35 내지 1.60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으며, 우수한 대전방지성 및 방오성은 물론 투명성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10 내지 500nm,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nm의 두께로 증착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시 장치의 기재층 일면에 증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시 장치의 기재층 양면에 증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필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한층 이상의 기능성층이 증착된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증착되거나 합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은 무기증착층, 수지필름층, 금속필름층, 하드코팅층, 점착제층, 광확산층 및 인쇄층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대전방지 필름의 경우, 기재층의 표면에 코팅되기 때문에 발수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소재가 선호되지만, 발수성을 가지면서 대전방지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란 쉽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와 동시에 높은 발수성을 갖는 대전방지 필름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놀랍게도 금속입자, 카본입자 및 불소계고분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성형체를 이용함으로써, 이들 효과를 동시에 갖는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이고,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101Ω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의 구현으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이 직접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형태로 표시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우수한 발수성과 대전방지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에 대한 경시변화가 적고, 내습성, 방오성 등에 탁월하며, 투명성이 우수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중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디스플레이 소재의 생산성 및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대전방지성 및 방오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재의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신뢰성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투명한 외관으로 제공되어 표시 장치의 광학특성 저하 없는 탁월한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재의 일 양태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원소의 함량 측정
성형체 및 필름의 원소 함량(원소%)은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XIS NOVA, Kratos 사)를 이용하여 원소분석 (EA)을 실시하여 계산하였다.
2. 접촉각 측정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의 수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PHOEIX 300 TOUCH, SEO 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에 Spectrophotometer(U-4100, Hitachi사)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여 가시광선(T550nm)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4. 표면저항 측정
제조된 대전방지 필름의 표면저항은 4-point probe (MCP-T610,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를 이용하여 상온 상습 환경(온도: 20도; 습도: 75%) 하에서 측정되었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의 세정 후 표면저항은 각 대전방지 필름을 물에 3회 세정한 후 상술된 상온 상습 환경 하에서 측정되었다.
(실시예1)
분말PTFE(polytetrafluoroethylene, DuPont 7AJ) 35 wt%, 구리분말(평균입경 25um) 60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2.2 원소%, F 40.5 원소%, Cu 27.3 원소%)를 금형(가로 120 mm, 세로 55mm, 두께 30 mm)에 투입하고, 300 kgf/㎠, 370℃ 조건에서 용융 압축성형 후 서서히 냉각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1.47, R/R'=2.53)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M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F magnetron sputtering) 전원 방식으로 파워 200W, 파워밀도 2.46W/㎠ 조건으로 스퍼터링하였다. 구체적으로, 기판은 1 X 2 ㎠ 크기의 Si wafer 기판을 아세톤과 알코올로 각각 5분간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기판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기판 홀더(holder)에 내열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하였고, 기판홀더를 챔버내의 기판 스테이지(stage)에 거치한 후 챔버를 닫고 로터리(rotary)펌프(pump)로 50 mtorr까지 진공(vacuum)을 배기하였고, 저진공 작업을 완료한 후 cryogenic 펌프로 고진공을 형성하였다. 상온(25 ℃)에서 기판과 타겟 사이의 거리를 24 ㎝로 고정하고, 상술된 전원방식의 파워 및 파워밀도 조건에서, 가스(gas, Ar) 분압을 10 mtorr로 고정하여,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 내지 4에 도시하였다.
(실시예2)
분말PTFE 45 wt%, 구리분말 50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3.7 원소%, F 46.1 원소%, Cu 20.2 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1.17, R/R'=2.31)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실시예3)
분말PTFE 55 wt%, 구리분말 40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4.9 원소%, F 50.6 원소%, Cu 14.5 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0.98, R/R'=2.18)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대전방지 필름을 제조하되, M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의 파워밀도의 조건을 1.85 W/㎠로 변경하여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실시예5)
상기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대전방지 필름을 제조하되, M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의 파워밀도의 조건을 3.07 W/㎠로 변경하여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실시예6)
상기 실시예1의 방법과 동일하게 대전방지 필름을 제조하되, M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의 파워밀도의 조건을 4.31 W/㎠로 변경하여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비교예1)
분말PTFE 60 wt%, 구리분말 35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5.0원소%, F 52.2원소%, Cu 12.8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0.92, R/R'=2.12)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비교예2)
분말PTFE 65 wt%, 구리분말 30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5.8원소%, F 54.3원소%, Cu 9.9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0.84, R/R'=2.09)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비교예3)
분말PTFE 30 wt%, 구리분말 65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2.1원소%, F 37.4원소%, Cu 30.5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1.67, R/R'=2.71)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비교예4)
분말PTFE 25 wt%, 구리분말 70 wt% 및 탄소나노튜브 5 wt% (함량: C 30.4원소%, F 33.1원소%, Cu 36.5원소%)을 사용하여, 성형체(직경 4인치, 두께 6 mm, (M+C)/F =2.02, R/R'=2.91)를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체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방법으로 100 nm 두께의 대전방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대전방지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8103925104-pat00001
Figure 112018103925104-pat00002
Figure 112018103925104-pat00003
Figure 112018103925104-pat00004
상기 표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시 소자에 적합한 표면저항을 구현함은 물론 경시변화(예, 세정 후 표면저항)에 따른 표면저항의 변화율이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표면저항이 105~1015Ω/sq 범위를 만족함과 동시에 우수한 발수 및 발유 특성으로 방오성이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필름은 고함량의 금속원소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투명도가 높은 투명 대전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대전방지 필름에서 목적하는 표면저항을 구현할 수 없어, 대전방지에 효과가 미미하거나 높은 절연성으로 표시 소자에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고함량의 금속원소 함량을 가지는 경우 표면저항이 너무 낮아 표시 신호의 구분에 어려움을 초래할 뿐 아니라 발수 및 발유 특성이 미미하고, 불투명한 외관을 제공하여 투명 필름을 요구하는 표시 소자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필름으로서, 상기 대전방지층은 불소계고분자,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며,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인, 대전방지 필름:
    [관계식]
    2.5 ≤ (M"+C")/F" ≤ 3.5
    1.9 ≤ R"/R' ≤ 2.6
    상기 관계식에서,
    M"는 필름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필름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필름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는 필름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가 1 내지 1.3미만인, 대전방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금속원소가 60원소%이하인, 대전방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물로 세정한 전·후의 표면저항 변화가 101Ω이하인, 대전방지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수접촉각이 90°이상인, 대전방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550nm 파장의 빛에서 투과율이 85%이상인, 대전방지 필름.
  7. 기재층 일면에,
    불소계고분자, 금속입자 및 카본입자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성형체에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저항이 105~1015Ω/sq 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관계식]
    0.95 ≤ (M+C)/F ≤ 1.5
    1.35 ≤ R/R' ≤ 1.65
    상기 관계식에서,
    M은 성형체 내 금속원소의 함량(원소%)이고,
    C는 성형체 내 탄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F는 성형체 내 불소원소의 함량(원소%)이고,
    R은 성형체 내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고,
    R'는 불소계고분자의 탄소원소와 불소원소의 함량비(C'/F')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5중량%이하의 카본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60중량%이하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MF전력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100 내지 500W 파워 및 1.5 내지 4.5W/㎠파워밀도 조건을 만족하는 DC전력인, 대전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대전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80125932A 2018-10-22 2018-10-22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932A KR102030339B1 (ko) 2018-10-22 2018-10-22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932A KR102030339B1 (ko) 2018-10-22 2018-10-22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339B1 true KR102030339B1 (ko) 2019-10-10

Family

ID=6820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932A KR102030339B1 (ko) 2018-10-22 2018-10-22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33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842A (ko) 1995-08-16 1997-03-27 박홍기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30077676A (ko) * 2002-03-26 2003-10-04 한국화학연구원 내부진입형 대전방지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대전방지성 필름
KR100701843B1 (ko) * 1999-05-12 2007-03-30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반전도성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KR20110007477A (ko) * 2009-07-16 2011-0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KR101081988B1 (ko) * 2008-11-27 2011-1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도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코팅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물품
KR20120131982A (ko) 2011-05-27 2012-12-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9787A (ja) * 2013-03-28 2014-10-06 Nitto Denko Corp 帯電防止性粘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6166318A (ja) * 2015-03-03 2016-09-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842A (ko) 1995-08-16 1997-03-27 박홍기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701843B1 (ko) * 1999-05-12 2007-03-30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반전도성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계 수지 조성물
KR20030077676A (ko) * 2002-03-26 2003-10-04 한국화학연구원 내부진입형 대전방지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대전방지성 필름
KR101081988B1 (ko) * 2008-11-27 2011-1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도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코팅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물품
KR20110007477A (ko) * 2009-07-16 2011-0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KR20120131982A (ko) 2011-05-27 2012-12-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9787A (ja) * 2013-03-28 2014-10-06 Nitto Denko Corp 帯電防止性粘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6166318A (ja) * 2015-03-03 2016-09-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86484A1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06301B1 (ko) 증착용 불소계고분자 복합 타겟
JP6637528B2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および調光フィルム
JP2525475B2 (ja) 透明導電性積層体
WO2017082229A1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および調光フィルム
JPWO2004065656A1 (ja) Ito薄膜、その成膜方法、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6490262B2 (ja) 光透過性導電層付きフィルム、調光フィルムおよび調光装置
KR102030339B1 (ko) 대전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3364B1 (ko) 발수성을 가지는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
KR102361083B1 (ko) 탄화불소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JPH09226046A (ja)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3674A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従って製造される透明導電膜
KR20170026985A (ko) 탄화불소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JP3654841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207622A1 (ja) 光透過性導電層付きフィルム、調光フィルムおよび調光装置
KR102043305B1 (ko) 발수 발유 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9520B1 (ko) 탄화불소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845B1 (ko) NiTe계 박막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전도성 기판
WO2020031632A1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および調光フィルム
KR101791983B1 (ko) 고경도 특성을 가지는 하드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5624A (ko) 발수 발유 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6278A (ko) 고경도 특성을 가지는 하드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107542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結晶性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20180045499A (ko) NiTe계 박막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전도성 기판.
KR20170099053A (ko) 발수 발유 코팅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