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294B1 -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294B1
KR102029294B1 KR1020190085800A KR20190085800A KR102029294B1 KR 102029294 B1 KR102029294 B1 KR 102029294B1 KR 1020190085800 A KR1020190085800 A KR 1020190085800A KR 20190085800 A KR20190085800 A KR 20190085800A KR 102029294 B1 KR102029294 B1 KR 10202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rame
scale
buried pipe
underground buried
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김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석 filed Critical 김은석
Priority to KR102019008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1Cleaning pipe ends or pipe fittings, e.g. before soldering
    • B08B1/005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5Closing devices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단수 차단공법을 이용하여 제수밸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수밸브가 접촉하게 되는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케일 및 녹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할정자관에 조립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상하 이송기구; 상기 상하 이송기구에 설치된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스케일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케일 제거기구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설치된 원통형의 체인 가이드;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스프라켓과 체인 가이드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체인; 및 상기 체인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다수의 가공툴;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부는 반달형의 구조로 둥글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동프레임의 상류측 전면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배출구가 상류측 전면 또는 하류측 배면에 형성되고, 스케일 및 녹의 제거과정에서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급수관로가 이동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Scale removing device for installing resilient seated gate valve}
본 발명은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매설관에 설치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설치되며,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체인의 외측에 스케일의 제거를 위한 다수의 가공툴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제수밸브를 설치 전 이루어지는 스케일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밸브는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이 지중에 매설되어 유체의 수송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지중매설관에 설치되어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로서, 지중매설관의 청소나 수리 또는 급수관이나 하수관의 분기 공사 시 지중매설관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수밸브는 지중매설관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좌우 양측에 구비되고 좌우 양측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로를 개폐하는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밸브하우징과 디스크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형태의 제수밸브를 지중매설관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당 구간에 대한 단수가 요구됨에 따라 단수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단수하지 않고 제수밸브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차단공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부단수 차단공법은 지중매설관에 부단수 할정자관을 설치하고, 부단수 할정자관에 천공기를 설치하여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한 다음 부단수 할정자관에 마련된 밸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 상태에서 천공기를 부단수 할정자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천공기가 분리된 위치에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부단수 차단공법을 이용하여 단수없이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중매설관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즉, 유체가 이송하는 지중매설관의 내부에는 유체 내에 존재하는 양이온, 음이온, 용존산소 등의 물질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침전물이 점착되면서 스케일(scale)이 형성되고 부식이 진행된다.
이처럼 지중매설관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과 녹은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불규칙한 형태로 돌출되므로, 지중매설관에 형성된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수밸브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경우,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므로 유로의 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공기를 분리하고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회전축의 끝단에 장착된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를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시켜 스케일을 제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는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구형으로 이루어진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는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매우 작고, 정해진 규칙없이 작업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가 이동하면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게 되므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제거하기 어려우며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스케일과 녹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스케일 제거용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스케일과 녹이 지중매설관을 유동하는 물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일부 스케일과 녹이 유체와 함께 흘러가 수용가로 공급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7077호(2012.06.2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단수 차단공법을 이용하여 제수밸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수밸브가 접촉하게 되는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케일 및 녹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거된 스케일과 녹이 유체와 함께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기의 지지를 위하여 지중매설관에 설치된 할정자관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상하 이송기구; 상기 상하 이송기구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지중매설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하 이송기구에 설치된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의 하강에 의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케일 제거기구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체인 지지용 홈이 외면의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체인 가이드;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 무한궤도의 형태로 상기 스프라켓과 체인 가이드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스프라켓과 체인 가이드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긴 체인의 외측에 서로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며, 이동프레임의 하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구성되어 체인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다수의 가공툴;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부는 반달형의 구조로 둥글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동프레임의 상류측 전면 하단부는 지중매설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의 전면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이동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및 지중매설관으로부터 제거되는 스케일과 녹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류측 전면 또는 하류측 배면에 형성되고, 스케일 및 녹의 제거과정에서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급수관로가 이동프레임을 관통하여 상류측 전면으로부터 하류측 배면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류측 배면과 지중매설관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며, 이동프레임과 스케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누수방지고무가 하류측 배면의 하단부 원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공툴 중 일부는 체인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돌출 높이가 낮은 가공툴이 우선적으로 스케일 및 녹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송기구는, 서로 이격되며 수직한 자세를 갖도록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2개의 상하 이송스크류; 상기 두 상하 이송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 상기 두 상하 이송스크류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기어에 연결된 핸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하강하여 지중매설관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동프레임과 지중매설관의 접촉 그리고 가공툴과 스케일 및 녹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상하 이송스크류의 하단부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며, 제1확장부와, 상기 제1확장부의 바로 아래 위치하면서 제1확장부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확장부가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지지공; 상기 제1확장부의 내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하 이송스크류에 결합된 이동링; 상기 이동링의 하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하 이송스크류에 고정되게 형성 또는 설치된 고정링; 상기 이동링과 고정링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하 이송스크류에 설치된 압축스프링; 및 상기 고정링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지지공의 제2확장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가공툴이 체인의 궤적을 따라 일정한 경로를 지나면서 지중매설관 내부의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게 되므로,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접촉하는 영역의 스케일 및 녹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툴은 이동프레임의 내측에서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게 되며,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스케일 및 녹이 이동프레임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스케일 및 녹이 유체와 함께 수용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 그리고 가공툴에 의해 스케일 및 녹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여 지중매설관이나 스케일 제거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정면 기준 내부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측면 기준 내부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기구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의 내부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정면 기준 내부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면 기준 내부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정면 기준 내부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측면 기준 내부구성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기구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의 내부구성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정면 기준 내부구성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지중매설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면 기준 내부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지지프레임(100), 상하 이송기구(200), 이동프레임(300), 스케일 제거기구(4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기본적인 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0)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상기 상하 이송기구(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은 할정자관(10)에 형성된 플랜지(11)에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플랜지부(110)와, 상기 상하 이송기구(200)를 지지하도록 플랜지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체(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20)는 플랜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자세로 입설되어 후술될 상하 이송스크류(210) 및 기어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기어 서포트(121)와, 상기 기어 서포트(12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기어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안전커버(122)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이송기구(200)는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동프레임(300)과 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면서 이동프레임(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송스크류(210), 종동기어(220), 구동기어(230), 핸들(2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이송스크류(2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2개의 상하 이송스크류(210)는 서로 이격되며 수직한 자세를 갖도록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이처럼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상하 이송스크류(210)의 하단부는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지지공(510)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기어 서포트(121)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안전커버(1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220)는 두 상하 이송스크류(210)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하 이송스크류(2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어(230)는 두 종동기어(22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기어 서포트(121) 상단에 설치된다.
이처럼 기어 서포트(12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20)와 구동기어(230)는 안전커버(1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 노출이 방지되며, 상기 안전커버(122)는 종동기어(220)와 구동기어(230)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40)은 구동기어(230)와 연결되어 구동기어(23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되, 안전커버(12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핸들(24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기어(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스케일 제거기구(400)를 지지하며 상하 이송기구(200)에 결합되어 상하 이송기구(20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케일 제거기구(400)를 지중매설관(P)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케일 제거기구(4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두 상하 이송스크류(210)와 결합되어 상하 이송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플레이트(310)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프레임(300)의 하단부는 개방되며, 반달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지중매설관(P)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와 마주하는 상류측 전면(300a)의 하단부는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300)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이동프레임(300)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구(E)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하류측 배면(300b) 하단부에는 이동프레임(300)이 하강하여 지중매설관(P) 또는 스케일이나 녹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과 함께 스케일이나 녹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누수방지고무(3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고무(320)는 반달형의 구조로 형성된 하류측 배면(300b) 하단부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300)에는 스케일 및 녹의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정상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관로(330)와, 스케일 및 녹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0)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로(330)는 이동프레임(300)의 상류측 전면(300a)으로부터 하류측 배면(300b)으로 연장되어 이동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40)는 상류측 전면(300a)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출구(340)는 하류측 배면(30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340)에는 미도시된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은 펌프와 연결되어 이동프레임(300) 내부의 유체와 스케일 및 녹을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케일 제거기구(400)는 이동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300)의 하강에 의해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중매설관(P) 내부의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는 것으로, 스프라켓(410), 체인 가이드(420), 구동모터(430), 체인(440), 가공툴(45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라켓(410)은 이동프레임(300)의 내측 상단부에서 수평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평축(411)은 급수관로(330)와 평행하며, 이동프레임(3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체인 가이드(420)는 제1스프라켓(410)과 함께 체인(4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급수관로(330)의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체인(44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체인 지지용 홈(421)이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인 지지용 홈(421)은 체인 가이드(42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30)는 스프라켓(410)으로부터 이동프레임(3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축(411)과 연결되어 수평축(411)의 회전을 통해 스프라켓(410)을 회전시키도록 이동프레임(300)의 외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30)는 감속기(431)를 포함하며, 수평축(411)과 커플링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2개의 이상의 기어 또는 체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체인(440)은 무한궤도의 형태로 스프라켓(410)과 체인 가이드(4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라켓(410)의 회전에 의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공툴(450)은 체인(44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체인(440)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체인(440)을 따라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외측단에 날카로운 절삭날이 형성되어 체인(440)과 함께 이동하면서 스케일 및 녹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체인(44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가공툴(450)은 체인(44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가공툴(450) 중 일부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부 가공툴(450)이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 높이가 낮은 가공툴(450)이 우선적으로 스케일 및 녹과 접촉하면서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체인(440)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가공툴(450)의 돌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다수의 가공툴(450)을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가공툴(450)을 이용하여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할 경우, 스케일 및 녹을 단계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지반 거동이나 압력에 의해 지중매설관(P)이 변형된 경우, 상하 이송기구(200)에 의해 이동프레임(300)이 하강하여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동프레임(300)과 지중매설관(P)이 충돌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이동프레임(300) 또는 지중매설관(P)이 손상되거나 이동프레임(300)이 지중매설관(P)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공툴(450)이 스케일 및 녹과 제거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가공툴(450)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동프레임(300)과 지중매설관(P)의 충돌 및 스케일과 녹의 제거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500)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수단(500)은 지지공(510), 이동링(520), 고정링(530), 압축스프링(540), 고정부재(5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공(510)은 지지프레임(100)의 플랜지부(11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 이송스크류(210)가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지지공(510)이 플랜지부(110)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공(510)의 내부에는 제1확장부(511)와 제2확장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확장부(511)는 지지공(510)의 내경 보다는 크고 제2확장부(512)의 내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제1확장부(511)가 제2확장부(512)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지지공(510)의 내측 상단에는 제1확장부(511)가 형성되고, 제1확장부(511)의 바로 아래에는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확장부(512)가 형성되어 지지공(510)은 다단계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링(520)은 제1확장부(511)의 내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210)를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결합된다.
이처럼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결합된 이동링(520)은 지지공(510)과 제1확장부(511)의 내경차로 인해 형성되는 단턱에 걸림으로써 지지공(510)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530)은 이동링(52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하 이송스크류(210)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고정되게 형성 또는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링(530)은 제1확장부(511)와 제2확장부(512)의 내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2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링(530)은 스냅링을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설치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54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40)은 코일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 이송스크류(210)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설치되되, 이동링(520)과 고정링(5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고정링(530)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지지공(510)의 제2확장부(512)에 설치되며, 나사결합에 의해 제2확장부(512)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완충수단(500)은 이동프레임(3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스크류(2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하 이송스크류(21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게 되므로, 변형된 지중매설관(P)과 이동프레임(300)의 충돌이나 스케일 및 녹의 제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지중매설관(P)의 내부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부단수 차단 공법에 따라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고,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0)에 설치되어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천공기에 의한 지중매설관(P)의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천공기가 분리된 자리에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설치는 지지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플랜지부(110)가 할정자관(10)에 구비된 플랜지(11)와 마주한 채로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때 이동프레임(300)은 할정자관(10)에 형성된 통로 및 지중매설관(P)에 가공된 구멍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구동모터(430)를 작동시켜 체인(440)을 회전시키고, 핸들(240)을 조작하여 이동프레임(300)을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300)은 지중매설관(P)에 가공된 구멍을 통해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프레임(300)은 가장 먼저 하류측 배면(300b)의 하단부에 설치된 누수방지고무(320)가 스케일이나 녹 또는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며, 누수방지고무(320)는 이동프레임(300)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지중매설관(P)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대부분은 이동프레임(300)에 형성된 급수관로(330)를 통해 그대로 유동하여 수용가로 전달되며, 일부 유체는 이동프레임(300)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E)를 통해 이동프레임(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프레임(300)의 하강에 의해 누수방지고무(320)가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체인(440)에 설치되어 체인(440)과 함께 움직이는 다수의 가공툴(450)은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케일 및 녹을 절삭하여 제거하게 되며, 제거되는 스케일 및 녹은 유입구(E)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흐름을 따라 이동프레임(300)에 형성된 배출구(340)로 유동하게 되며, 배출구(340)로부터 연장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이동프레임(300)의 하류측 배면(300b)을 이용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고, 제거된 스케일이나 녹이 유체의 흐름을 따라 배출구(340)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제거된 스케일 및 녹이 수용가로 공급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인(440)을 따라 움직이는 다수의 가공툴(450)은 항상 일정한 경로를 따라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게 되므로, 적어도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닿은 영역에 대해서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스케일 및 녹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케일 및 녹에 의해 제수밸브가 불안정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프레임 200: 상하 이송기구
210: 상하 이송스크류 220: 종동기어
230: 구동기어 240: 핸들
300: 이동프레임 300a: 상류측 전면
300b: 하류측 배면 310: 이동플레이트
320: 누수방지고무 330: 급수관로
340: 배출구 400: 스케일 제거기구
410: 스프라켓 420: 체인 가이드
421: 체인 지지용 홈 430: 구동모터
440: 체인 450: 가공툴
500: 완충수단 510: 지지공
511: 제1확장부 512: 제2확장부
520: 이동링 530: 고정링
540: 압축스프링 550: 고정부재

Claims (6)

  1.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기의 지지를 위하여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0)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상하 이송기구(200);
    상기 상하 이송기구(20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지중매설관(P)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하 이송기구(200)에 설치된 이동프레임(300); 및
    상기 이동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300)의 하강에 의해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중매설관(P) 내부의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기구(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케일 제거기구(400)는,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내측 상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스프라켓(410);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체인 지지용 홈(421)이 외면의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체인 가이드(420); 상기 스프라켓(410)과 연결되어 스프라켓(410)을 회전시키도록 이동프레임(300)에 설치된 구동모터(430); 무한궤도의 형태로 상기 스프라켓(410)과 체인 가이드(4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라켓(410)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440); 및 상기 스프라켓(410)과 체인 가이드(420)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긴 체인(440)의 외측에 서로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며, 이동프레임(300)의 하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구성되어 체인(44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중매설관(P) 내부의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다수의 가공툴(45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하단부는 반달형의 구조로 둥글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동프레임(300)의 상류측 전면(300a) 하단부는 지중매설관(P)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300)의 전면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유입구(E)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E)를 통해 이동프레임(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및 지중매설관(P)으로부터 제거되는 스케일과 녹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0)가 상류측 전면(300a) 또는 하류측 배면(300b)에 형성되고, 스케일 및 녹의 제거과정에서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급수관로(330)가 이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상류측 전면(300a)으로부터 하류측 배면(300b)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하류측 배면(300b)과 지중매설관(P)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며, 이동프레임(300)과 스케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누수방지고무(320)가 하류측 배면(300b)의 하단부 원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공툴(450) 중 일부는 체인(440)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돌출 높이가 낮은 가공툴(450)이 우선적으로 스케일 및 녹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송기구(200)는,
    서로 이격되며 수직한 자세를 갖도록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2개의 상하 이송스크류(210);
    상기 두 상하 이송스크류(2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종동기어(220);
    상기 두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설치된 종동기어(22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구동기어(230); 및
    상기 구동기어(2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기어(230)에 연결된 핸들(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00)이 하강하여 지중매설관(P)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동프레임(300)과 지중매설관(P)의 접촉 그리고 가공툴(450)과 스케일 및 녹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완충수단(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500)은,
    상기 상하 이송스크류(210)의 하단부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10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며, 제1확장부(511)와, 상기 제1확장부(511)의 바로 아래 위치하면서 제1확장부(511)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확장부(512)가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지지공(510);
    상기 제1확장부(511)의 내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21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결합된 이동링(520);
    상기 이동링(520)의 하부에서 상하 이송스크류(210)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고정되게 형성 또는 설치된 고정링(530);
    상기 이동링(520)과 고정링(5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하 이송스크류(210)에 설치된 압축스프링(540); 및
    상기 고정링(530)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지지공(510)의 제2확장부(512)에 체결되는 고정부재(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20190085800A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202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0A KR102029294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0A KR102029294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94B1 true KR102029294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00A KR102029294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353A (zh) * 2021-03-19 2021-07-30 唐山哈船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可升降海洋勘测仪器的固定装置及其方法
KR102299922B1 (ko) * 2021-03-23 2021-09-09 주식회사 바론스 부단수 천공방식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탐사 시스템
CN116274193A (zh) * 2023-04-18 2023-06-23 江苏麦科特种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采油阀门的防锈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201U (ko) * 1989-12-27 1991-09-11
JPH07256226A (ja) * 1994-03-25 1995-10-09 Cosmo Koki Co Ltd 流水管の夾雑物排出装置及びその排出方法
JP2000144671A (ja) * 1998-11-04 2000-05-26 Niigata City Shinshohin Kaihatsu Kyodo Kumiai ビーチクリーナー
JP2007146502A (ja) * 2005-11-29 2007-06-14 Kubota Corp 管路内面の洗浄装置
KR100927460B1 (ko) * 2009-02-03 2009-11-19 이정임 제수밸브 설치용 기설관 천공장치
KR101157077B1 (ko) 2012-03-23 2012-06-21 김제현 부단수 밸브 시공 장치
KR101365680B1 (ko) * 2013-08-16 2014-02-20 최재현 상, 하수도 노후관의 도막 제거장치 및 공법
KR101545548B1 (ko) * 2015-06-03 2015-08-20 (주)효성엔바이로 평면 스크린 장치
JP2018034127A (ja) * 2016-09-01 2018-03-08 東京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錆取り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201U (ko) * 1989-12-27 1991-09-11
JPH07256226A (ja) * 1994-03-25 1995-10-09 Cosmo Koki Co Ltd 流水管の夾雑物排出装置及びその排出方法
JP2000144671A (ja) * 1998-11-04 2000-05-26 Niigata City Shinshohin Kaihatsu Kyodo Kumiai ビーチクリーナー
JP2007146502A (ja) * 2005-11-29 2007-06-14 Kubota Corp 管路内面の洗浄装置
KR100927460B1 (ko) * 2009-02-03 2009-11-19 이정임 제수밸브 설치용 기설관 천공장치
KR101157077B1 (ko) 2012-03-23 2012-06-21 김제현 부단수 밸브 시공 장치
KR101365680B1 (ko) * 2013-08-16 2014-02-20 최재현 상, 하수도 노후관의 도막 제거장치 및 공법
KR101545548B1 (ko) * 2015-06-03 2015-08-20 (주)효성엔바이로 평면 스크린 장치
JP2018034127A (ja) * 2016-09-01 2018-03-08 東京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錆取り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5353A (zh) * 2021-03-19 2021-07-30 唐山哈船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可升降海洋勘测仪器的固定装置及其方法
CN113195353B (zh) * 2021-03-19 2022-07-22 唐山哈船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可升降海洋勘测仪器的固定装置及其方法
KR102299922B1 (ko) * 2021-03-23 2021-09-09 주식회사 바론스 부단수 천공방식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탐사 시스템
CN116274193A (zh) * 2023-04-18 2023-06-23 江苏麦科特种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采油阀门的防锈装置
CN116274193B (zh) * 2023-04-18 2023-10-20 江苏麦科特种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采油阀门的防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294B1 (ko)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JP5026387B2 (ja) 遠心分離装置
KR20130112149A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JP464251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仕切弁設置方法及び仕切弁設置装置
KR102002402B1 (ko) 유체가속 스마트펌프
TW201942498A (zh) 不斷流工法及裝置
JP3963909B2 (ja) 既設管の弁設置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切断装置
US6416263B1 (en) Piping structure, existing pipe cutting method and fluid supply suspension-free method
KR200471865Y1 (ko) 배관차단용 플러깅머신의 피스톤로드 휨 방지장치
KR200488498Y1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JP6118881B2 (ja) 取付構造
JP5275845B2 (ja) 制水体設置装置及び制水体設置方法
JP5611890B2 (ja) 不断水切削における切屑回収方法及び切屑回収装置
JP3963902B2 (ja) 既設管の弁設置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弁
KR101434504B1 (ko) 구동축 보호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4541909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5813492B2 (ja) 防錆装置
KR20220078237A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유체탱크 청소 및 유체 여과 및 재활용시스템
JP5484758B2 (ja) 管切断装置
JP5845074B2 (ja) 弁筐体設置方法
JP5843389B2 (ja) 取付構造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CN117090961B (zh) 一种用于钢材铸造的冷却水阀系统
KR100450285B1 (ko) 수도관로용 공기밸브의 무단수 스케일 제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