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742B1 -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742B1
KR102028742B1 KR1020180087607A KR20180087607A KR102028742B1 KR 102028742 B1 KR102028742 B1 KR 102028742B1 KR 1020180087607 A KR1020180087607 A KR 1020180087607A KR 20180087607 A KR20180087607 A KR 20180087607A KR 102028742 B1 KR102028742 B1 KR 10202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water
unit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현
Original Assignee
기림에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림에어테크(주) filed Critical 기림에어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08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Abstract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식 제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은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탑재되도록 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 상단에 마련되되, 상기 흡기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분사된 물에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유동적인 배치가 가능하여,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가 필요한 지역에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배치함으로써, 최소한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로 전체 지역의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Movable fine dust remov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식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실제 세계 보건기구인 WHO에서는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가 사회적인 문제로 제기되면서, 미세먼지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가정 및 사무실은 물론, 아파트 단지, 공원과 같은 생활공간에도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는 기상 등의 원인에 의해 가변성이 높기 때문에, 미세먼지에 관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모든 생활공간에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이는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부 지역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가동이 필요할 만큼,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날의 비율이 낮아,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실제 사용되는 횟수가 적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3239 "미세먼지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 가능한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미세먼지 제거에 사용되는 물이 순환되어 재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력의 추가 충전 및 물의 추가 공급 없이도 장시간 사용 가능한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은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탑재되도록 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 상단에 마련되되, 상기 흡기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분사된 물에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일단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거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급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된 물이 상기 제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1 펌프가 마련되는 공급부; 상기 흡기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오염된 물이 상기 제거부로부터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흘러내려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오염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오염된 물이 미세먼지가 침전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을 제외한 제2층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분리된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면, 상기 배출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오염된 물을 저장하는 분리탱크; 일단이 상기 분리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2 공급관; 상기 제2 공급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펌프; 및 상기 분리된 제2층의 하측으로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공급관, 상기 제거부, 상기 흡기부, 상기 분리탱크 및 상기 제2 공급관을 거쳐, 다시 물탱크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부는, 몸체를 이루어, 상기 흡기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거부로 향하도록 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몸체를 이루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의 중심에 위치하되,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1 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제2 경로에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관;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사관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유입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상기 유입관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사관을 향하는 복수의 제2 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제2 경로에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관; 상기 제1 공급관 및 상기 제1 분사관 및 상기 제2 분사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면,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1 분사관 및 제2 분사관에 각각 공급되도록 중계하는 중계관; 및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이송경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운행을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탑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측면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개방되어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하우징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흡기창; 상기 제1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물탱크에 물을 추가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분리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분리가 이루어진 정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물탱크에 물을 추가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제3 도어; 상기 배출부가 수납되어, 상기 수납된 배출부가 상기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배출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차량의 운행에 의해 자가충전되는 제2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 중 하나의 전원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전원부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부 및 상기 공급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상기 분리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분리부의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펠러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임펠러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경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되, 동작하는 임펠러의 수가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경로 상에서 상기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거되는 미세먼지의 양이 증가하도록 하고,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을수록,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시간당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운전석에 위치하되, 복수의 색의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복수의 소리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알람부가 상기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기설정된 미세먼지의 농도별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의 공기의 등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색의 빛 또는 기설정된 종류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유동적인 배치가 가능하여,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가 필요한 지역에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배치함으로써, 최소한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로 전체 지역의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 사용되는 물이 순환되어 재사용되고,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물과 전력의 추가 공급 없이도, 장시간 운행 가능한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서의 공기의 경로 및 물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동작하는 임펠러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미세먼지의 농도 등급에 따라, 구분되는 빛 또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부(1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서의 공기의 경로 및 물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이하,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이라 한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본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의 전력 사용을 최소하 하고, 물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력의 추가 충전과 물의 추가 공급 없이도 장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 및 차량(200)을 포함한다.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흡기부(110), 제거부(120), 공급부(130), 분리부(140), 배출부(150), 제1 전원부(160), 제어부(170) 및 감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부(110)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흡기부(110)는 몸체를 이루는 제1 하우징(111)과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흡기부(110)에 유입된 공기가 제거부(120)로 향하도록 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111)은 제1 유입공(111a) 및 제1 배출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공(111a)은 제1 하우징(111)의 정면 또는 배면에 타공되어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배출공(111b)은 제1 하우징(111)의 상면에 타공되어 마련되되, 제거부(1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1 유입공(111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추가로 유입되면, 추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제1 경로 상의 공기가 가압됨으로써 제거부(12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12)는 제1 하우징(111)의 정면(正面) 또는 배면(背面)에 위치하되, 전력이 공급되면,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임펠러(112)는 제1 유입공(111a)에 위치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임펠러(112)가 정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임펠러(112)의 수와, 제1 하우징(111) 상에서 위치하는 면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차량(200)에 탑재되는 방식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임펠러(112)가 복수로 마련되되, 제1 하우징(111)의 정면(正面)과 배면(背面)에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경우,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차량(200)에 탑재되면, 제1 하우징(111)의 정면에 위치하는 임펠러(112)는 차량(200)의 일측면을 향하여 노출되고, 제1 하우징(111)의 배면에 위치하는 임펠러(112)는 차량(200)의 타측면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거부(120)는, 흡기부(110) 상단에 마련되어, 흡기부(1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거부(120)는 제2 하우징(121), 제1 분사관(122), 유입관(123), 제2 분사관(124), 중계관(125) 및 이송 스크류(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1)은 제거부(120)의 몸체를 이루되, 하측면이 제1 하우징(111)의 상단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2 하우징(121)은 제2 유입공(121a), 제2 배출공(121b), 및 제1창(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입공(121a)은, 제2 하우징(121)의 하측면에 타공되어 마련되되, 제1 배출공(111b)과 연결되어, 제1 배출공(111b)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제2 하우징(12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배출공(121b)은 제2 하우징(121)의 상면에 타공되어 마련되어, 제2 유입공(121a)을 통해 공기가 추가로 유입되면, 추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제2 경로 상의 공기가 가압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2 경로 상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이다.
제1창(121c)은 제2 하우징(121)의 정면 또는 배면에 위치되되 투명하게 마련되어 제2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관(122)은 제2 하우징(121)의 내부의 중심에 위치하되,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타공된 복수의 제1 분사노즐(122a)이 마련되어, 물이 공급되면, 제1 분사노즐(122a)을 통해 제2 경로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은, 제2 하우징(12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타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며, 제1 분사관(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유입관(123)은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중공원통 형성으로 형성되어, 제1 분사관(122)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외주면을 따라 타공된 복수의 유입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사관(124)은 복수로 마련되고,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유입관(123)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환위하도록 유입관(123)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사관(124)은 외주면에 타공되어 마련되되, 제2 하우징(121)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마련된 제2 분사노즐(124a)이 포함되어, 물이 공급되면 제2 분사노즐(124a)을 통해 제2 하우징(121)의 중심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분사관(122), 제2 분사관(124)은 지면의 수직방향인 길이를 갖는 관 형태이고, 유입관(123)은 지면의 수직방향인 길이를 갖는 중공원통의 형상이며, 제1 분사관(122)은 유입관(123)의 내부에 위치하되, 복수의 제2 분사관(124)은 유입관(123)의 둘레에 위치하여, 제1 분사관(122)은 유입관(123)의 내주연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고, 제2 분사관(124)은 유입관(123)의 외주연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이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면, 분사된 물이 제2 경로 상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흡착함으로써, 제2 경로 상의 공기는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서 분사된 물은 유입관(123)을 타고 흘러내리되, 일부가 유입홀(123a)에 맺히게 되고, 유입홀(123a)에 맺힌 물은, 제2 경로 상의 공기가 유일홀을 통해 유입관(123) 내외로 드나드는 과정에서, 유입관(123) 내외로 드나드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중계관(125)은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 연결되어, 공급부(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면, 공급받은 물을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 각각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이송 스크류(126)는 유입관(123)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유입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제2 이송경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2 이송경로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26)에 의해 제2 이송경로가 연장되는 경우, 제2 경로 상의 공기는 제2 경로 상에서 물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시간이 연장되고, 이로 인해, 제거부(120)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2 경로 상에서 충분히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경로 내에 분사된 물은 이송 스크류(126)의 경사진 면을 따라 하측의 제1 하우징(1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이송 스크류(126)에는 배출홀(미도시)이 타공되어, 배출홀(미도시)을 통해 경사진 면을 따라 흘러내리던 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급부(130)는 외부로부터 물을 보충받아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제거부(120)에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공급부(130)는 물탱크(131), 제1 공급관(132), 제1 펌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31)는, 외부로부터 물을 보충받아 물을 저장하고, 제1 공급관(132)은 일단이 물탱크(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계관(125)에 연결되어,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중계관(125)에 공급될 수 있는 연결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펌프(133)는, 제1 공급관(132)과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제1 공급관(132)을 통해 중계관(125)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부(140)는, 제거부(120)에서 제2 경로 상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오염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오염된 물이 미세먼지가 침전된 제1층과, 제1층을 제외한 제2층으로 분리되도록 하되, 제1층을 이루는 물은 배출하고, 제2층을 이루는 물은 공급부(130)로 다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분리부(140)는 분리탱크(141), 배수관(142), 제2 공급관(143), 제2 펌프(144) 및 밸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탱크(141)는, 분리부(140)의 몸체를 이루되, 제1 하우징(111)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2 하우징(121)에서 흘러내린 오염된 물이, 제1 하우징(111)을 통과하여 저장되고, 저장된 오염된 물이 제1층과 제2층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탱크(141)는, 배수관(142)에 의해 제1 하우징(111)의 하측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제1 하우징(111)의 하측에 상측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분리탱크(141)에 저장된 오염된 물은 비중 차에 의해 미세먼지가 침전된 제1층과,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제2층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1층과 제2층의 분리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탱크(141)가 원심분리기로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저장된 물이 강제적으로 제1층 및 제2층으로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리탱크(141)에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탱크(141)는, 하측에 위치하되 개방되어, 제1층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공(141a) 및 분리탱크(141) 외부에서도, 저장된 오염된 물이 충분히 분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리탱크(141) 정면에 투명하게 마련되는 제2창(141b)이 마련될 수 있다.
배수관(142)은 일측이 제1 하우징(11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리탱크(141)의 상측에 연결되어, 제거부(120)에서 흡기부(110)로 흘러내린 오염된 물이 분리부(140)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탱크(141)가 제1 하우징(111) 하단에 직접 연결된 경우, 배수관(142)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공급관(143)은, 일측이 분리탱크(141)에 연결되고, 타측이 물탱크(131)에 연결되어 제2층을 이루는 물이 분리탱크(141)로부터 물탱크(131)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펌프(144)는 제2 공급관(143)에 연결되어,분리탱크(141) 내에서 오염된 물이 제1층과 제2층으로 분리되고, 전력이 공급되면,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제2 공급관(143)을 통해 물탱크(13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밸브(145)는 배수공(141a)에 연결되어, 배수공(141a)의 개폐를 결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분리탱크(141)에 저장된 오염된 물이 제1층 및 제2층으로 분리되기 전에는 배출되지 않고, 제1층 및 제2층이 분리된 후에 하측에 위치한 제1층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공급관(132), 배수관(142), 제2 공급관(143)에는 각각 밸브(145)가 마련되어, 물의 공급과 배수 여부가 결정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부(150)는 분리부(140)의 하측에 위치되어, 분리된 제2층을 이루는 물이 분리부(140)로부터 배출되면, 상기 배출된 제2층을 이루는 물을 수용하며,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원부(160)는 임펠러(112), 제1 펌프(133), 제2 펌프(144), 제어부(170) 및 감지부(1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충전되어 사용되는 발전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전원부(160)와 후술 될 제2 전원부(230) 중 하나의 전원부가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감지부(180)는,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차량(200)의 외부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감지부(18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차량(200)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탑재되도록 하고,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탑재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차량(200)은, 구동부(210), 적재부(220), 제2 전원부(230) 및 알람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는 차량(200)의 운행을 위해 마련되며, 엔진 등의 차량(200)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이에 속한다.
적재부(220)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차량(200)에 탑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도어(221), 흡기창(222), 제2 도어(223), 제3 도어(224), 수납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221)는 적재부(220)의 측면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도어(2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20) 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창(222)은 제1 도어(221)에 타공되어 개방되도록 마련되되, 제1 도어(221)가 닫힌 상태에서 임펠러(112)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1 도어(221)가 닫힌 상태에서도 임펠러(112) 및 제1 유입공(11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임펠러(11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제1 유입공(111a) 및 흡기창(222)도 임펠러(112)에 맞추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223)는 제1 도어(221)의 하측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물탱크(131)가 외부에 노출되어,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물탱크(131)에 물을 추가 공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도어(223)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차량(200)에 탑재될 때, 물탱크(131)가 탑재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수납부(225)는, 배출부(150)가 수납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탑재된 분리부(14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부착된 배출부(150)가 분리부(14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원부(230)는 구동부(2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임펠러(112), 제1 펌프(133), 제2 펌프(144) 및 감지부(1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전원부(230)는 차량(200)의 운행에 의해 자가충전되며, 제어부(170)의 제어와 무관하게 구동부(210)에는 상시 전력을 공급하되, 제어부(170)에 의해, 임펠러(112), 제1 펌프(133), 제2 펌프(144) 및 감지부(180)에는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알람부(240)는, 차량(200)의 운전석 내부에 위치되어,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마련된다.
알람부(240)는, 숫자를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의 수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지만, 운전자가 외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색의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복수의 소리를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유입되어 정화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유입공(111a)을 통해 제1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 경로를 통해 제1 배출공(111b)으로 배출되며, 제1 배출공(111b)으로 배출된 공기는 제2 유입공(121a)을 통해 제2 하우징(121)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 하우징(12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경로 상에서 물에 의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제2 배출공(12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를 순환하여 다시 물탱크(131)에 저장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펌프에 의해 제1 공급관(132)을 통해 중계관(125)에 공급되며, 중계관(125)을 통해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 공급되어, 제1 분사노즐(122a) 및 제2 분사노즐(124a)을 통해 제2 경로에 분사되고, 제2 경로에 분사된 물은 미세먼지를 흡착하며,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오염된 물은 중력에 의해 제2 하우징(121) 내부에서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되며, 제1 하우징(111) 내부에 유입된 오염된 물은 분리탱크(141)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분리탱크(141)에 저장된 물은 제1층 및 제2층으로 분리되어 제1층을 이루는 물은 배출부(150)로 배출되며, 제2층을 이루는 물은 제2 펌프(144)에 의해 제2 공급관(143)을 거쳐 물탱크(131)로 다시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가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가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전원부(160) 및 제2 전원부 중 하나의 전원부가 선택적으로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구성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차량(200)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제1 전원부(160)가 임펠러(112), 제1 펌프(133), 제2 펌프(144) 및 감지부(18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되, 차량(200)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제2 전원부(230)가 임펠러(112), 제1 펌프(133), 제2 펌프(144) 및 감지부(18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전원부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어 구동부(210)에 공급될 전력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200)의 시동이 켜져 제2 전원부(230)가 자가충전되는 상황에서는 제1 전원부(16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제1 전원부(160)의 추가 충전 없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장시간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부(160)는 제2 전원부(230)와 연결되어, 제2 전원부(230)에 의해 충전이 이뤄지로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차량(200)의 시동이 꺼지면, 임펠러(112) 및 제1 펌프(133)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유입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배출되도록 하되, 제2 펌프(144)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미세먼지 제거에 사용된 물이 다시 물탱크(131)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200)의 시동이 켜지면, 제2 펌프(144)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분리부(140)의 제2층을 이루는 물이 물탱크(131)에 공급되어 차량(200)이 이동하는 동안에 물탱크(131)에 물이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40)가 전력을 이용하여 제1층과 제2층을 분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분리부(14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분리부(14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전원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고,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2 전원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일 수 있다.
도 7을 통해 제어부(170)가 제1 전원부(160) 및 제2 전원부(230) 중 전력 공급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의 동작이 요청되고(S710), 제어부(170)는 차량(200)의 시동이 꺼져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20).
차량(200)의 시동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720-Y), 제1 전원부(160)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730).
만약, 차량(200)의 시동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720-N), 제2 전원부(230)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740).
제1 전원부(160) 또는 제2 전원부(230)가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동작될 수 있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가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동작하는 임펠러(112)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가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구분되는 빛 또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제어부(17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일 경우에만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동작한다는 의미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미세먼지 제거를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배출되도록 하기위한 동작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미세먼지 정도를 기설정된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70)는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50㎍/m³ 이상일 경우,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하되, 미세먼지의 농도가 51~75㎍/m³구간에 해당하는 1등급, 76~100㎍/m³구간에 해당하는 2등급, 101~150㎍/m³ 구간에 해당하는 3등급, 151㎍/m 이상에 해당하는 4등급을 설정하여, 감지된 미세먼지가 50㎍/m³ 이상일 경우, 어느 등급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1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임펠러(112)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하우징(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2 경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되, 동작하는 임펠러(112)의 수가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반비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임펠러(112)가 마련되고, 상술한 예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 구간이 4등급로 설정되면,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일 경우, 임펠러(112) 및 제1 펌프(133)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되,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1등급에 속하는 경우, 4개의 임펠러(112)가 모두 동작하도록 하고,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4등급에 속하는 경우, 4개의 임펠러(112) 중 1개의 임펠러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2 경로 상의 공기의 유속이 느려지게 함으로써, 유입된 공기는 제2 경로 상에서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연장되고, 이로 인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충분히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제1 경로 및 제2 경로 상의 공기의 유속을 상승시켜, 시간당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동작하는 임펠러(112)의 수가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80)가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고(S810), 제어부(170)는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고(S820),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아니라 판단되는 경우(S820-N),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될 때까지, 감지부(180)가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820-Y),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등급 중 어느 등급에 속하는지 판단하고(S830), 제어부(170)는 판단된 등급에 따라 동작하는 임펠러(112)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S840).
한편, 제어부(170)는, 감지된 외부의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알람부(240)가, 다른 색의 빛을 출력하거나, 다른 종류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70)는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50㎍/m³ 이상일 경우, 알람부(240)가 빛을 출력하도록 하되, 미세먼지의 농도가 51~75㎍/m³구간에 해당하는 1등급인 경우, 노란색 빛이 출력되도록 하고, 76~100㎍/m³구간에 해당하는 2등급인 경우, 주황색 빛이 출력되도록 하며, 101~150㎍/m³ 구간에 해당하는 3등급인 경우, 붉은색 빛이 출력되도록 하고, 151㎍/m³ 이상인 구간에 해당하는 4등급인 경우, 보라색 빛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의 등급에 따라, 알람부(240)로부터 각 등급를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2등급에 해당할 경우, 알람부(240)로부터 "현재 미세먼지의 농도는 2등급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미세먼지의 농도 등급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색깔 또는 소리의 종류가 선택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80)가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고(S910), 제어부(170)는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고(S920),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아니라 판단되는 경우(S920-N),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될 때까지, 감지부(180)가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920-Y),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등급 중 어느 등급에 속하는지 판단하고(S930), 제어부(170)는 판단된 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색의 빛 또는 기설정된 종류의 소리가 알람부(240)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940).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상술한 흡기부(110), 제거부(120), 공급부(130), 분리부(140), 배출부(150), 제1 전원부(160), 제어부(170) 및 감지부(180) 외에도, LED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LED부(미도시)는, 흡기부(110), 제거부(120), 공급부(130), 분리부(140), 배출부(150)의 개별적인 동작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LED부(미도시)는, 제1 LED(미도시), 제2 LED(미도시), 제3 LED(미도시) 및 제4 LE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미도시)는 흡기부(110)에 위치되어, 임펠러(112)가 동작하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임펠러(112)가 동작하면, 제1 LED(미도시)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흡기부(110)가 동작되는 상태임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제2 LED(미도시)는 제거부(120)에 위치되어,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서 물이 분사되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관(125) 내측에 압력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 수압을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기설정된 값 이상의 수압이 감지되면, 제1 분사관(122) 및 제2 분사관(124)에서 물이 분사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LED(미도시)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제거부(120)가 동작되는 상태임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제3 LED(미도시)는 공급부(130)에 위치되어, 제1 펌프(133)가 동작하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LED(미도시)는 제1 공급관(132)에 위치되고, 제어부(170)는 제1 펌프(133)가 동작하면, 제3 LED(미도시)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공급부(130)가 동작하여, 제거부(120)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임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제4 LED(미도시)는 분리부(140)에 위치되어, 제2 펌프(144)가 동작하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LED(미도시)는 제2 공급관(143)에 위치되고, 제어부(170)는 제2 펌프(144)가 동작하면, 제4 LED(미도시)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여, 분리부(140)가 동작하여, 공급부(130)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임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LED(미도시) 내지 제4 LED(미도시)가 RGB LED로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임펠러(112)가 동작하면, 제1 LED(미도시)가 적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하되, 기설정된 제1 기간이 경과 하면, 제1 LED(미도시)가 소등되고, 제2 LED(미도시)가 적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LED(미도시)가 적색의 빛을 방출하고 기설정된 제2 기간이 경과 하면, 제3 LED(미도시)가 청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3 LED(미도시)가 청색의 빛을 방출하고 기설정된 제3 기간이 경과 하면, 제3 LED(미도시)가 소등되고, 제2 LED(미도시)가 청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LED(미도시)가 청색의 빛을 방출하고 제4 기간이 경과하면, 제2 LED(미도시)가 소등되고, 제4 LED(미도시)가 적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LED(미도시) 내지 제4 LED(미도시)의 점등 순서를 통해, 미세먼지 제거장치(100)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과정이 효과적으로 설명되도록 하여, 관찰자가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이 생활공간에서 운행되는 경우, 발생 가능한 거부감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미세먼지 제거장치 110: 흡기부 111: 제1 하우징
111a: 제1 유입공 111b: 제1 배출공 112: 임펠러
120: 제거부 121: 제2 하우징 121a: 제2 유입공
121b: 제2 배출공 121c: 제1창 122: 제1 분사관
122a: 제1 분사노즐 123: 유입관 123a: 유입홀
124: 제2 분사관 124a: 제2 분사노즐 125: 중계관
126: 이송 스크류 130: 공급부 131: 물탱크
132: 제1 공급관 133: 제1 펌프 140: 분리부
141: 분리탱크 141a: 배수공 141b: 제2창
142: 배수관 143: 제2 공급관 144: 제2 펌프
145: 밸브 150: 배출부 160: 제1 전원부
170: 제어부 180: 감지부 200: 차량
210: 구동부 220: 적재부 221: 제1 도어
222: 흡기창 223: 제2 도어 224: 제3 도어
225: 수납부 230: 제2 전원부 240: 알람부

Claims (8)

  1.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탑재되도록 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 상단에 마련되되, 상기 흡기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물을 분사하여, 상기 분사된 물에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일단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거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급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된 물이 상기 제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1 펌프가 마련되는 공급부;
    상기 흡기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오염된 물이 상기 제거부로부터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흘러내려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오염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오염된 물이 미세먼지가 침전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을 제외한 제2층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분리된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면, 상기 배출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오염된 물을 저장하는 분리탱크;
    일단이 상기 분리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제2 공급관;
    상기 제2 공급관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펌프; 및
    상기 분리된 제2층의 하측으로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공급관, 상기 제거부, 상기 흡기부, 상기 분리탱크 및 상기 제2 공급관을 거쳐, 다시 물탱크로 공급되어 순환되며,
    상기 흡기부는,
    몸체를 이루어, 상기 흡기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거부로 향하도록 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몸체를 이루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의 중심에 위치하되,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1 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제2 경로에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관;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사관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유입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경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되, 상기 유입관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사관을 향하는 복수의 제2 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제2 경로에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관;
    상기 제1 공급관 및 상기 제1 분사관 및 상기 제2 분사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면,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1 분사관 및 제2 분사관에 각각 공급되도록 중계하는 중계관; 및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제2 이송경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은,
    운행을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탑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측면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개방되어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하우징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흡기창;
    상기 제1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물탱크에 물을 추가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되,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개방되면 상기 분리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분리가 이루어진 정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물탱크에 물을 추가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제3 도어;
    상기 배출부가 수납되어, 상기 수납된 배출부가 상기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배출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차량의 운행에 의해 자가충전되는 제2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 중 하나의 전원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원부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전원부가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부 및 상기 공급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상기 분리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분리부의 제2층을 이루는 물이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펠러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임펠러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경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되,
    동작하는 임펠러의 수가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경로 상에서 상기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거되는 미세먼지의 양이 증가하도록 하고,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을수록,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시간당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운전석에 위치하되, 복수의 색의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복수의 소리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알람부가 상기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감지된 미세먼지의 농도와 기설정된 미세먼지의 농도별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의 공기의 등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색의 빛 또는 기설정된 종류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KR1020180087607A 2018-07-27 2018-07-27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KR10202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07A KR102028742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07A KR102028742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742B1 true KR102028742B1 (ko) 2019-11-04

Family

ID=6857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07A KR102028742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7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9567A (zh) * 2020-11-17 2021-03-05 郭涵鑫 一种用于水泥防尘雾化水喷洒设备
KR102232950B1 (ko) * 2019-10-06 2021-03-26 (주)평화엔지니어링 차량탑재형 도로변 대기오염원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84717A (ko) * 2019-12-27 2021-07-08 (주) 코스텍 노면 전기 청소차 제어장치
KR20210085357A (ko) 2019-12-30 2021-07-08 (주)에너스 차량 탑재 방식의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탑재한 차량
CN113577953A (zh) * 2021-08-23 2021-11-02 湖南城市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的环保除尘设备
CN114602274A (zh) * 2022-03-31 2022-06-10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路面桥梁施工用环保降尘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62B1 (ko) * 2006-01-10 2008-04-21 쯔루미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가스 제거 장치
KR20110030800A (ko) * 2009-09-18 2011-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KR101638803B1 (ko) * 2015-02-13 2016-07-12 디에스마린테크(주)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746305B1 (ko) * 2015-12-30 2017-06-12 정세영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이 용이한 엔진 직기동 방식의 일체형 터널공사 중 집진장치
KR101803239B1 (ko) 2017-06-23 2017-11-29 조석현 미세먼지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62B1 (ko) * 2006-01-10 2008-04-21 쯔루미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가스 제거 장치
KR20110030800A (ko) * 2009-09-18 2011-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KR101638803B1 (ko) * 2015-02-13 2016-07-12 디에스마린테크(주)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746305B1 (ko) * 2015-12-30 2017-06-12 정세영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이 용이한 엔진 직기동 방식의 일체형 터널공사 중 집진장치
KR101803239B1 (ko) 2017-06-23 2017-11-29 조석현 미세먼지 제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50B1 (ko) * 2019-10-06 2021-03-26 (주)평화엔지니어링 차량탑재형 도로변 대기오염원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84717A (ko) * 2019-12-27 2021-07-08 (주) 코스텍 노면 전기 청소차 제어장치
KR102392623B1 (ko) * 2019-12-27 2022-05-03 (주)코스텍 노면 전기 청소차 제어장치
KR20210085357A (ko) 2019-12-30 2021-07-08 (주)에너스 차량 탑재 방식의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탑재한 차량
CN112439567A (zh) * 2020-11-17 2021-03-05 郭涵鑫 一种用于水泥防尘雾化水喷洒设备
CN113577953A (zh) * 2021-08-23 2021-11-02 湖南城市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的环保除尘设备
CN114602274A (zh) * 2022-03-31 2022-06-10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路面桥梁施工用环保降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742B1 (ko) 이동식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EP2993420B1 (en) Air washer
JPS62291485A (ja) エンジンの燃料ポンプ装置
JP4916433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TWI612203B (zh) 便器洗淨水箱
CN101171069A (zh) 具有安全特征和可拆卸过滤器的水清洁系统
JPH02167936A (ja) 給水及び排泄物処理システム
US10293387B2 (en) Self-cleaning water pipe
EP1142593A1 (en) Aromatizer
KR102114239B1 (ko) 휴대용 산소마스크장치
KR101470837B1 (ko) 수분배출구조를 갖는 원심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퓨리파이어 시스템
JP200912566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浄水器
CN107847842A (zh) 油分离器
CN105190013B (zh) 燃料供给装置
KR101588128B1 (ko) 가습기
EP0267697A2 (en) Air cleaner
KR102099930B1 (ko)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JP6966388B2 (ja) ポンプ
US7334847B2 (en) Single line remote purge air dryer
JP2008062196A (ja) 散気装置、活性汚泥式水処理施設、及び散気装置の配管洗浄方法
CN114845744A (zh) 除臭装置
KR102047834B1 (ko) 교육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JPS62173357A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ウオツシヤ装置
JP2556097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KR102305507B1 (ko) 무시동 도어 개폐 및 방역이 가능한 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