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288B1 -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 Google Patents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288B1
KR102028288B1 KR1020180074557A KR20180074557A KR102028288B1 KR 102028288 B1 KR102028288 B1 KR 102028288B1 KR 1020180074557 A KR1020180074557 A KR 1020180074557A KR 20180074557 A KR20180074557 A KR 20180074557A KR 102028288 B1 KR102028288 B1 KR 10202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
housing
discharge
pl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식 김
Original Assignee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식 김 filed Critical 식 김
Priority to KR102018007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72Fluidi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를 이용하여 사일로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의 배출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CLOGGINESS PREVENTION APPARATUS FOR SILO AND SILO APPARATUS}
본 발명은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를 이용하여 사일로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의 배출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일로(Silo)는 대량의 원료, 재료, 곡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로 사용되며,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사일로는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내용물이 하부의 배출구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부의 면적은 넓고 하부의 면적은 좁게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배출구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이룬다.
사일로는 상술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경사면에 내용물이 부착되면서 배출구로 향하는 내용물의 배출 흐름에 방해를 받고, 경사면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 현상이 심화되면서 경사면을 중심으로 하부가 막혀 내용물을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일로의 경사면에 부착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주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인력 및 비용 소모로 이어지는 동시에 해당 작업 중에는 사일로의 사용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이유들로 인해, 사일로의 내용물 배출 시 그 경사면을 중심으로 해당 사일로의 하부를 진동시키는 기술이 제공되기도 했지만, 경사면이 흔들리면서 마찰에 의해 발화되기 쉽고 폭발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화학 물질 등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910호(2018.01.10.) '막힘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사일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를 이용하여 사일로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의 배출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사일로(10)에 구비되어 분체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막힘 방지장치로써,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사일로(10)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출구(11)를 밀폐하는 하우징(110); 상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분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과의 사이로 유로공간(A)을 형성하는 토출관(120); 일단부가 상기 유로공간(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130); 및 개방된 상기 유로공간(A)의 상부를 차단하면서 분체가 상기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유로공간(A)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하면서 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130)의 일단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에어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에어가 상기 유로공간(A)을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흐름유도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유도체(140)는, 상기 토출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내부링(141);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외부링(142); 및 상기 내,외부링(141,142) 간에 구비되며, 다수의 구멍(143a)을 갖는 플레이트(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143)는, 복수의 플레이트유닛(144)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내,외부링(141,14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유도체(140)는, 이웃하는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유닛(14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a)은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b)보다 구멍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장치(100);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1)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사일로(10); 및 상기 토출관(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출밸브(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일로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의 배출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에서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태의 사일로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이하 "막힘 방지장치"라 한다)(100)는 하부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사일로(10)에 구비되어 분체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막힘 방지장치(100)로써, 상부가 개방되며 사일로(10)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배출구(11)를 밀폐하는 하우징(110), 상부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가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분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면과의 사이로 유로공간(A)을 형성하는 토출관(120), 일단부가 유로공간(A)과 연통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130) 및 개방된 유로공간(A)의 상부를 차단하면서 분체가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유로공간(A)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하면서 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체(140)를 포함한다.
사일로(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분체가 배출구(11)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부의 면적은 넓고 하부의 면적은 좁게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배출구(11)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이룬다. 이와 같은 사일로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체는 석회석 분말이나 밀가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플랜지(111)가 형성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11a)와 볼트,너트 등으로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의, 외부플랜지(111)는 볼트,너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공급관(130)은 일단부가 하우징(110)의 일측 하부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외부로부터 에어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는 압축공기가 될 수 있으며, 에어컴프레셔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다른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에어는 외부공기가 될 수 있으며, 팬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다른 흡인장치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다.
에어공급관(130)을 통해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에어는 배출유도체(140)를 통과하여 토출관(120)으로 유도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에어공급관(130)을 통해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에어는 유로공간(A)의 둘레를 따라 선회하는 한편, 배출유도체(140)를 통과하여 상방향으로 분사되면서 배출유도체(140)로 안착되는 분체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유도체(140)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상승하는 분체는 토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분체 흐름에 포함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힘 방지장치(100)는 분체가 배출유도체(140)에 적체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막힘 방지장치(100)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관(130)의 일단부와 대향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면서 에어가 유로공간(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흐름유도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유로공간(A)을 이루는 둘레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흐름유도부재(150)는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연결되는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과의 사이로 전,후가 개방되는 흐름유도통로(B)를 형성한다.
막힘 방지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검부(160)는 일단부가 하우징(110)의 타측 하부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점검관(161), 점검관(161)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개방된 점검관(161)의 타단부를 밀폐하는 점검커버(162) 및 점검커버(162)에 구비되는 가시창(163)을 포함한다.
점검부(160)는 에어공급관(130)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가시창(163)을 통한 하우징(110)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점검과 함께 점검커버(162)의 분리에 따라 하우징(110)이나 배출유도체(140)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다.
토출관(120)은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토출관(120)은 상부로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분체가 유입되고, 하부로 유입되는 분체가 배출되면서 분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20)은 하부에 로터리밸브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배출밸브(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밸브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막힘 방지장치(100)는 사일로(10)와 배출밸브(20) 간을 연결하면서 사일로장치(1)를 이룰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20)은 상부가 하우징(110)의 상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면서 배출유도체(140)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토출관(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분체가 배출유도체(140)를 통해 토출관(12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출유도체(140)를 통과하는 에어가 배출유도체(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토출관(12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분체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배출유도체(140)는 개방된 유로공간(A)의 상부 즉, 하우징(110)과 토출관(120)의 상부 간을 차단하면서 분체가 토출관(120)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유도체(14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내부링(141), 하우징(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외부링(142), 내,외부링(141,142) 간에 구비되며 다수의 구멍(C)을 갖는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외부링(14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일로(10)의 플랜지(11a)와 하우징(110)의 외부플랜지(122) 간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링(142)은 내주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외부돌기(142a)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링(14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토출관(120)의 상부와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토출관(120)은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플랜지(121)가 형성되면서 내부링(141)과 볼트 등으로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링(141)과 내부플랜지(121)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부링(1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관(120)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내부돌기(141a)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43)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C)을 가지며, 외측 둘레가 외부링(142)에 고정되고 내측 둘레가 내부링(141)에 고정되면서 내,외부링(141,142) 간을 연결하는 한편, 내,외부링(141,142) 간을 차단한다.
플레이트(143)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유닛(144)으로 분기되면서 내,외부링(141,14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유도체(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레이트유닛(144)은 복수로 이루어져 내,외부링(141,14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지지부재(145)는 복수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한편, 플레이트유닛(144)의 강성을 보강한다.
지지부재(145)는 양단부가 내,외부링(141,14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46) 및 지지판(146)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바(147)를 포함한다.
지지판(146)은 양단부가 내,외부링(141,142)에 연결되면서 이웃하는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한편, 플레이트유닛(144)의 강성을 보강하여 변형 등을 방지한다.
보강바(147)는 양단부가 지지판(14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부가 지지판(146)의 중앙부에 연결되면서 지지판(146)을 강성보강한다.
보강바(147)는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유로공간(A)을 흐르는 에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유닛(14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a)은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구멍이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b)의 구멍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유도체(140)에 안착되는 분체가 플레이트(143)를 통과하면서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플레이트(14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막힘 방지장치(100)는 에어를 이용하여 사일로(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의 배출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사일로장치 10 : 사일로
11 : 배출구 20 : 밸브
100 : 막힘 방지장치 110 : 하우징
111 : 외부플랜지 120 : 토출관
130 : 에어공급관 140 : 배출유도체
141 : 내부링 142 : 외부링
143 : 플레이트 144 : 플레이트유닛
145 : 지지부재 146 : 지지판
147 : 보강바 150 : 흐름유도부재
160 : 점검부 161 : 점검관
162 : 점검커버 163 : 가시창

Claims (7)

  1. 하부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사일로(10)에 구비되어 분체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막힘 방지장치로써,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사일로(10)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출구(11)를 밀폐하는 하우징(110);
    상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분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과의 사이로 유로공간(A)을 형성하는 토출관(120);
    일단부가 상기 유로공간(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130);
    개방된 상기 유로공간(A)의 상부를 차단하면서 분체가 상기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유로공간(A)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하면서 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체(14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 하부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점검관(161);
    상기 점검관(161)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개방된 상기 점검관(161)의 타단부를 밀폐하는 점검커버(162); 및
    상기 점검커버(162)에 구비되는 가시창(163)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도체(140)는,
    상기 토출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내부링(141);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외부링(142); 및
    상기 내,외부링(141,142) 간에 구비되며, 다수의 구멍(143a)을 갖는 플레이트(143)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43)는,
    복수의 플레이트유닛(144)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내,외부링(141,14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유도체(140)는,
    이웃하는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상기 플레이트(143)는,
    복수의 플레이트유닛(144)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내,외부링(141,14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유도체(140)는,
    이웃하는 상기 플레이트유닛(144) 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45)는 양단부가 상기 내부링(141) 및 상기 외부링(142)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46) 및 상기 지지판(146)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바(1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130)의 일단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에어공급관(130)을 통해 상기 유로공간(A)으로 유입되는 에어가 상기 유로공간(A)을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흐름유도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14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a)은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유닛(144b)보다 구멍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7.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막힘 방지장치(100);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1)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사일로(10); 및
    상기 토출관(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출밸브(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장치.
KR1020180074557A 2018-06-28 2018-06-28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KR10202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57A KR102028288B1 (ko) 2018-06-28 2018-06-28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57A KR102028288B1 (ko) 2018-06-28 2018-06-28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288B1 true KR102028288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557A KR102028288B1 (ko) 2018-06-28 2018-06-28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5555A (zh) * 2022-06-27 2022-08-30 纽普兰能源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正负一体化多功能泵用的仓泵灰斗结构及使用方法
WO2023182734A1 (ko) * 2022-03-23 2023-09-28 (주)이노스페이스 와류 방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단열탱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884A (ja) * 1994-08-16 1996-03-05 Nippon Flour Mills Co Ltd 布製サイロからの粉粒体排出方法及び布製サイロ
JPH1149284A (ja) * 1997-08-07 1999-02-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粉粒体収容タンクのエアスライド装置
JPH11139491A (ja) * 1997-11-04 1999-05-25 Lion Corp 粉粒体投入装置
JP2002346929A (ja) * 2001-05-21 2002-12-04 Ishizuka Glass Co Ltd 粉粒体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816910B1 (ko) 2017-03-28 2018-01-10 경성디. 에스(주) 막힘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사일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884A (ja) * 1994-08-16 1996-03-05 Nippon Flour Mills Co Ltd 布製サイロからの粉粒体排出方法及び布製サイロ
JPH1149284A (ja) * 1997-08-07 1999-02-23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粉粒体収容タンクのエアスライド装置
JPH11139491A (ja) * 1997-11-04 1999-05-25 Lion Corp 粉粒体投入装置
JP2002346929A (ja) * 2001-05-21 2002-12-04 Ishizuka Glass Co Ltd 粉粒体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816910B1 (ko) 2017-03-28 2018-01-10 경성디. 에스(주) 막힘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사일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34A1 (ko) * 2022-03-23 2023-09-28 (주)이노스페이스 와류 방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단열탱크
CN114955555A (zh) * 2022-06-27 2022-08-30 纽普兰能源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正负一体化多功能泵用的仓泵灰斗结构及使用方法
CN114955555B (zh) * 2022-06-27 2023-11-21 纽普兰能源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正负一体化多功能泵用的仓泵灰斗结构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288B1 (ko) 사일로용 막힘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일로장치
ES2147999T5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nsportar neumaticamente materias pulverulentas.
US6883737B2 (en) Device for processing materials
JP5580290B2 (ja) コンテナライナ及びコンテナライナの排出方法
US6666628B1 (en) Pneumatic tank for storage and high volume discharge of pulverulent materials
EP0054340A1 (en) Particulate solid storage container
US4913321A (en) Bulk particulate solids transport bag with gas assist unloading feature
KR20100138983A (ko) 미립자로 된 또는 먼지 형태의 고체를 컨테이너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US20090107329A1 (en) Jet hopper
JP5415667B2 (ja) 粉粒体の循環装置
JP4750338B2 (ja) 可燃性塵物用の収容サイロ装置
JP2006219270A (ja) 気体輸送装置における粉粒体投入装置
AU2016302330A1 (en) Flexible liner system for discharging and aerating dry materials in a storage bin
US3460869A (en) Air lock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JPS5869632A (ja) 自動落下しない穀倉物品を排出する装置を備えた気密な高サイロ
US2941842A (en) Unloader for grain elevators, etc.
US2665949A (en) Tilted container
KR102318671B1 (ko) 듀얼 챔버 타입의 진공 이송 장치
JP6881834B2 (ja) 空気輸送装置
US20150308265A1 (en) Device for excavating a shaft
US20060054639A1 (en) Improvements in the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dry materials from storage vessels
CN109466875A (zh) 一种可折叠周转集装箱吨袋
US20140110333A1 (en) Solid from liquid separation apparatus
JP2018510827A (ja) 物質用の圧空パイプ搬送システム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廃棄物用の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