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94B1 -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094B1
KR102028094B1 KR1020190097704A KR20190097704A KR102028094B1 KR 102028094 B1 KR102028094 B1 KR 102028094B1 KR 1020190097704 A KR1020190097704 A KR 1020190097704A KR 20190097704 A KR20190097704 A KR 20190097704A KR 102028094 B1 KR102028094 B1 KR 10202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ump
oil
trap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호전기
Priority to KR102019009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01F27/14Expansion chambers; Oil conservators; Gas cushions; Arrangements for purifying, drying, 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절연유가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유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히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펌프와 연결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진공트랩, 상기 진공트랩과 진공밸브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는 부스터펌프, 상기 부스터펌프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저장부의 절연유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출펌프들을 포함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저장부 및 진공트랩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유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유량센서가 상기 절연유를 감지하면 경보회로 작동으로 상기 부스터 펌프, 상기 진공펌프, 상기 흡입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의 작동이 중단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A TRANSFORMER VACUUM OIL FILT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진공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에 주입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진공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변압기로 충진되는 절연유의 절연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절연유에 잔존하는 고형물입자, 밀입자, 가스, 수분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기존의 진공 오일여과기는 절연유를 배유, 충유 또는 여과시 절연유 여과기의 오동작이나 사용자의 오조작 및 감지 측정 센서의 미동작으로 절연유가 저장부에서 넘쳐흐르면 진공펌프 및 부스터 펌프에 절연유가 유입되어 장비에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871호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23호는 오일여과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효과적으로 절연유의 펌프 유입을 방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87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23호
절연유가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절연유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히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펌프와 연결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진공트랩, 상기 진공트랩과 진공밸브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는 부스터펌프, 상기 부스터펌프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저장부의 절연유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출펌프들을 포함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저장부 및 진공트랩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유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유량센서가 상기 절연유를 감지하면 경보회로 작동으로 상기 부스터 펌프, 상기 진공펌프, 상기 흡입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의 작동이 중단된다.
또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진공트랩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트랩의 외부 및 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형태의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제거하는 미스트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진공트랩 및 진공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상기 진공트랩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상기 진공밸브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유량센서는 절연유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경보회로를 작동시키는 오일 이동 표시 릴레이(OIL FLOW INDICATOR RELA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절연유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뿐만 아니라 배관의 경사진 형태를 통해 절연유가 펌프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는 미스트트랩을 통해 펌프에서 배출되는 미스트 형태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어 대기 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공압밸브를 통해 안정적으로 절연유의 펌프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일부의 모식도.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일부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00)는 변압기로 충진되는 절연유(1)의 절연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절연유(1)에 잔존하는 고형물입자, 미세입자, 가스 및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00)는 유로(150), 여과필터(160), 흡입펌프(170), 저장부(175), 히팅부(180), 오일유량센서(185), 토출펌프(190), 진공트랩(200), 점검부(202), 공압밸브(208), 진공밸브(210), 부스터펌프(220), 진공펌프(230) 및 미스트트랩(240)들을 포함한다.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00)는 유로(150)를 통해 변압기와 연결되고, 흡입펌프(170)의 구동으로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1)를 저장부(175)를 향해 이동시켜 저장부(175) 내부에 절연유(1)를 보관한다.
유로(150)를 통해 이동하는 절연유(1)는 유로(150)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필터(160)들을 통과하면서 이물질들이 필터링되고, 히팅부(180)를 지나는 절연유(1)는 유동성이 개선되고 발생된 유증기를 통한 필터링 효과가 개선된다.
저장부(175)는 저장부(175) 내부로 유입된 절연유(1)를 보관하고, 절연유(1)의 수위를 내부에 설치된 작동제어부(176)를 통해 감지하여, 내부의 절연유(1)가 진공펌프(230)나 부스터펌프(220)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제어부(176)가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수위측정센서(177, 178, 179, 179a)들 각각은 저장부(175)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저장부(175) 내부에 유입되는 절연유(1)의 수위를 순차적으로 감지한다.
오일유량센서(185)는 진공트랩(200) 및 저장부(175)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또는 호스 사이에 형성되고, 절연유(1)의 이동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자체에서 경보를 작동하고, 흡입펌프(170), 토출펌프(190), 부스터펌프(220) 및 진공펌프(230)들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오일유량센서(185)에는 오일 이동 표시 릴레이(OIL FLOW INDICATOR RELAY)가 추가 설치될 있고, 이 경우, 오일 이동 표시 릴레이(OIL FLOW INDICATOR RELAY)는 절연유(1)가 흐를 경우에만 작동하여 경보회로를 작동시키고 부스터펌프(220), 진공펌프(230), 흡입펌프(170) 및 토출펌프(190)들을 작동 중지시키며, 오일유량센서(185)가 절연유(1)의 흐름을 감지하면, 공압밸브(208)가 신속하게 작동하여 절연유(1)의 이동을 차단한다.
진공트랩(200)은 점검부(202)를 포함한다.
진공트랩(200)은 진공트랩(200)으로 유입되는 유증기 또는 절연유(1)가 배관(204)을 통해 부스터펌프(220) 또는 진공펌프(23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에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점검부(202)가 형성되어 진공트랩(200) 내부의 절연유(1) 또는 유증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점검부(202)는 진공트랩(200)의 측면을 직사각 형태로 관통하여 점검부(202)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홈을 커버하는 투명한 고분자 또는 유리 소재로 제작되어 진공트랩(200)과 결합된다.
점검부(202)에는 게이지 표식이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진공트랩(200) 내부의 절연유(1) 또는 유증기의 양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배관(204)의 일단은 진공트랩(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공압밸브(208)와 연결되며, 진공트랩(200)에서 유출되어 배관(204)의 일단으로 유입되는 절연유(1) 또는 유증기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후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진공트랩(200)을 향해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공압밸브(208)는 공압식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하는 경우, 신속하고 강력한 힘으로 배관(204)을 진공밸브(210)를 향해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비상시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배관(204)을 폐쇄시키는 장점이 있다.
진공밸브(210)는 배관을 통해 공압밸브(208)와 연결되고, 구동을 통해 진공밸브(210)와 함께 부스터펌프(220) 및 진공트랩(200) 사이의 절연유(1) 또는 유증기의 이동을 제어한다.
진공밸브(210)는 배관을 통해 부스터펌프(220)와 연결되고, 부스터펌프(220)는 다시 배관을 통해 진공펌프(230)와 연결되고, 진공펌프(230)의 배기구에는 미스트트랩(240)(Mist trap)이 결합된다.
미스트트랩(240)은 진공펌프(230)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건강악화, 대기오염 및 작업구간의 화재발생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5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20)는 하부플레이트(300), 측면지지대(310)들,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상부프레임(360), 제어부(500) 및 가이드부(6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20)는 하부플레이트(300), 측면지지대(310)들,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상부프레임(360), 제어부(500) 및 가이드부(600)들을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30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꼭지점의 하부에 해당하는 저면에는 휠이 결합되어 지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300)를 지지한다.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일단은 하부플레이트(300)의 꼭지점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부면에 수직하게 절곡된 프레임 형태로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부프레임(360)의 저면에 결합된다.
측면프레임(32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결합되고, 타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일측에 위치한 측면지지대(310)를 향해 연장되어 타단면 및 외측면 일부분은 측면지지대(310)의 안쪽 내측면과 밀착된다.
측면프레임(33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프레임(320)의 타단 전면 일부분에 밀착 및 결합되고, 타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지지대(310)와 결합된다.
측면프레임(34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프레임(330)의 타단 일측면 일부분과 밀착 및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 밀착 및 결합된다.
측면프레임(350)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프레임(340)의 타단 배면 일부분에 밀착 및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프레임(320)의 일단 전면 일부분에 밀착 및 결합된다.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은 하부플레이트(30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해 배치되고,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의 모서리 및 하부플레이트(300)의 상부면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은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서 몸공의 짜맞춤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내측면은 측면프레임(320, 330)들이 서로 접하는 위치의 측면프레임(320, 330)들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측면프레임(320, 330)들의 결합력을 개선시키고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상부프레임(360) 및 측면프레임(320, 330)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은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서 몸공의 짜맞춤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내측면은 측면프레임(330, 340)들이 서로 접하는 위치의 측면프레임(330, 340)들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측면프레임(330, 340)들의 결합력을 개선시키고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상부프레임(360) 및 측면프레임(330, 340)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은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서 몸공의 짜맞춤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내측면은 측면프레임(340, 350)들이 서로 접하는 위치의 측면프레임(340, 350)들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측면프레임(340, 350)들의 결합력을 개선시키고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상부프레임(360) 및 측면프레임(340, 350)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320, 330, 340, 350)들 각각은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에서 몸공의 짜맞춤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내측면은 측면프레임(350, 360)들이 서로 접하는 위치의 측면프레임(350, 360)들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측면프레임(350, 360)들의 결합력을 개선시키고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상부프레임(360) 및 측면프레임(350, 360)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360)은 안쪽에 해당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직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의 저면에는 측면지지대(310)들 각각의 타단이 결합된다.
가이드부(600)는 가이드(610) 및 실린더(620)들을 포함한다.
가이드부(600)는 측면지지대(310)의 안쪽 내측면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진공밸브(210) 및 공압밸브(208)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어부(500)의 구동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측면지지대(310)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610)의 일단은 측면프레임(320)의 상부에서 안쪽 중공이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중공의 전방을 제외한 상하부 및 후방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되고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가이드(610) 일단의 후방 내측면은 아치 형태로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단면이 반원형인 제1접촉면이 형성되고, 공압밸브(208)의 일부분이 가이드(600)의 일단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1접촉면이 공압밸브(208)의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공압밸브(208)의 가이드(610)에 대한 결합력이 개선된다.
가이드(610) 타단의 일측 방향 내측면은 아치 형태로 일측을 향해 함몰되어 단면이 반원형인 제2접촉면이 형성되고, 진공밸브(210)의 일부분이 가이드(600)의 타단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2접촉면이 공압밸브(208)의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공압밸브(208)의 가이드(610)에 대한 결합력이 개선된다.
진공밸브(210) 및 공압밸브(208)들 각각이 가이드(610)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 또는 호스의 일단은 진공밸브(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6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및 절곡되어 공압밸브(208)와 연결된다.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가이드(610)의 외측면을 사이에 두고 측면지지대(3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612)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610)에 결합되어 가이드(610) 내부에 배치되는 배관 또는 호스가 가이드(6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린더(620)의 일단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지지대(310)의 안쪽에서 측면프레임(320)의 타단에 삽입되고, 실린더(620)의 타단은 실린더(62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 로드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가이드(61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실린더(620)는 공압밸브(208)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모터 또는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공압실린더로서 작동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동실린더로서 작동하여 가이드(610)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린더(620)는 공압밸브(208) 및 진공트랩(200) 사이에 형성되는 배관(204)의 타단 위치가 일단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진공밸브(210) 및 공압밸브(208)들 각각은 측면프레임(330, 320)들 각각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가이드(610)의 안쪽에서 서로 연결되어 공간확보가 난해한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120)에 가이드부(60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620)의 일단에 해당하는 실린더의 저면은 하부플레이트(300)에 밀착되어 구동 중 하부플레이트(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실린더(620) 자체가 측면지지대(310)의 안쪽에 배치되어 공간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측면지지대(310)의 내측면들과 밀착되는 가이드(610)의 일측 및 후방 외측면들 각각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롤러 및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롤러들 각각이 측면지지대(310)와 밀착되며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실린더(620)의 구동으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가이드(610)가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150: 유로
160: 여과필터 170: 흡입펌프
175: 저장부 180: 히팅부
185: 오일유량센서 190: 토출펌프
200: 진공트랩 202: 점검부
208: 공압밸브 210: 진공밸브
220: 부스터펌프 230: 진공펌프
240: 미스트트랩 300: 하부플레이트
600: 가이드부

Claims (6)

  1. 절연유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히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펌프와 연결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진공트랩, 상기 진공트랩과 진공밸브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는 부스터펌프, 상기 부스터펌프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저장부의 절연유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출펌프들을 포함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및 진공트랩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유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유량센서가 상기 절연유를 감지하면 경보회로 작동으로 상기 부스터 펌프, 상기 진공펌프, 상기 흡입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트랩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트랩의 외부 및 내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형태의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제거하는 미스트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트랩 및 진공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트랩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상기 진공밸브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량센서는,
    절연유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경보회로를 작동시키는 오일 이동 표시 릴레이(OIL FLOW INDICATOR RELA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20190097704A 2019-08-09 2019-08-09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202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04A KR102028094B1 (ko) 2019-08-09 2019-08-09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04A KR102028094B1 (ko) 2019-08-09 2019-08-09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094B1 true KR102028094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704A KR102028094B1 (ko) 2019-08-09 2019-08-09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0340A (zh) * 2020-12-07 2021-02-26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乐东供电局 一种配电网变压器补油装置
CN112455939A (zh) * 2020-11-13 2021-03-0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新型储油装置
CN112670056A (zh) * 2020-12-10 2021-04-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有载分接开关补油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878Y1 (ko) * 2003-06-16 2003-08-27 이정두 변압기의 절연유 여과시스템
KR20110005936A (ko) * 2009-07-13 2011-01-20 우성진공기술(주) 오일여과기
KR20120002800A (ko) * 2010-07-01 2012-01-09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520480B1 (ko) *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878Y1 (ko) * 2003-06-16 2003-08-27 이정두 변압기의 절연유 여과시스템
KR20110005936A (ko) * 2009-07-13 2011-01-20 우성진공기술(주) 오일여과기
KR101079223B1 (ko) 2009-07-13 2011-11-03 우성진공기술(주) 오일여과기
KR20120002800A (ko) * 2010-07-01 2012-01-09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217871B1 (ko) 2010-07-01 2013-01-03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520480B1 (ko) *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939A (zh) * 2020-11-13 2021-03-0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新型储油装置
CN112455939B (zh) * 2020-11-13 2022-09-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新型储油装置
CN112420340A (zh) * 2020-12-07 2021-02-26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乐东供电局 一种配电网变压器补油装置
CN112670056A (zh) * 2020-12-10 2021-04-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有载分接开关补油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094B1 (ko)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287144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20130040039A (ko) 컴팩트하고 운용성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CN104174227A (zh) 滤筒清洗机
ES2624233T3 (es) Cajón de vacío para envasar al vacío alimentos.
CN208703225U (zh) 一种新型复合式排气阀
JP3713621B2 (ja) 横軸ポンプ
CN103230712A (zh) 除尘滤袋
KR101772034B1 (ko) 소형 이젝터를 구비한 선박건조용 잔수배출장치
CN206587906U (zh) 一种高效石油过滤装置
KR101287116B1 (ko) 필터의 역세척 효율을 높이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2251456B1 (ko) 정화 장치
CN205956775U (zh) 一种真空自动排液系统
CN208443524U (zh) 一种玻璃瓶质量的真空检测装置
CN210344955U (zh) 一种机油加注回收装置
CN107339493A (zh) 一种电控气动壁挂炉旁通阀
KR20150028413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집진기용 에어펄스 밸브의 오류감지시스템
CN209430368U (zh) 润滑油储存装置及压缩机
CN206982429U (zh) 玻璃研磨机的真空吸附设备
CN218297507U (zh) 一种气体式泵密封性能检测装置
CN220113869U (zh) 一种中央集中控制真空系统
KR100856875B1 (ko) 압축공기 작동식 진공청소기용 오물 배출장치
KR200223973Y1 (ko) 관연결구의 구조
CN206549355U (zh) 智能水滤式滤筒除尘器
CN211374214U (zh) 一种化学污染检测用污染物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