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18B1 -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 Google Patents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18B1
KR102027818B1 KR1020190051242A KR20190051242A KR102027818B1 KR 102027818 B1 KR102027818 B1 KR 102027818B1 KR 1020190051242 A KR1020190051242 A KR 1020190051242A KR 20190051242 A KR20190051242 A KR 20190051242A KR 102027818 B1 KR102027818 B1 KR 10202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igh performance
admixture
hydrogen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철용
박광영
주영길
김대진
박관민
권종구
이민재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Priority to KR102019005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20Sulfonated aromatic compounds
    • C04B24/22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14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8Esters containing sulfur
    • C08F220/382Esters containing sulfur and containing oxygen, e.g. 2-sulfo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핑 시 발생되는 재료분리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동성이 향상된 일액형 고성능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구조 단위와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를 제공하여,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high performance admixture improved in material separation resistan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핑 시 발생되는 재료분리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동성이 향상된 일액형 고성능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하여 펌프압송 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펌프 관 내부에서의 재료분리 현상을 논할 수 있다. 재료분리 현상은 콘크리트 타설 시, 골재와 몰탈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하며, 콘크리트의 사용재료의 균질성이 소실되는 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콘크리트 펌핑 시, 관 내부에서는 일정 수준의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 때 굵은 골재의 입형, 관 내부의 굴곡, 잔골재와의 치수차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윤활 모르타르 층이 콘크리트 혼합물과 분리되며 최종적으로 관 내부가 골재 덩어리로 막히는 폐색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콘크리트 배합의 미립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배합 조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기술적, 경제적 문제 또는 까다로운 응용 분야에서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증점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응집성을 높여 재료 분리 현상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0-1862168호에서는 유동성이 높고 재료분리가 억제되며, 거푸집 내 밀실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고성능 감수제에 분말형 증점제, 소다 라임 글라스 등을 혼입한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이 경우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재료들의 혼입 문제와 같은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증점제의 경우에는 액상으로 제조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분말로 첨가 시 기존 혼화제와는 별도로 저장 및 투입 장치를 운영해야 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특허는 콘크리트 분산제로 사용하는 PCE(PolyCarboxylate Ether)계 분자에 방향족 신규 모노머를 도입함으로써 시멘트 입자의 분산력과 재료분리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고성능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재료분리 저감 성능을 가지면서 고유동성을 내기 위하여 여러 재료를 혼입하여 제조하던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비하여 효과적인 재료분리 저항성 및 유동성을 제공하는 일액형 혼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성을 극대화한 콘크리트 펌핑용 고성능 혼화제를 제공하여,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이 경우,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은 5:95 내지 95:5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 내지 500,000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혼화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유기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일액형 타입(Mono-fluid type )인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a)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과 방향족 모노머, 연쇄 이동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20 내지 100℃의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b)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1 내지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c)상기 수득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및 (d)상기 냉각 이후 pH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및 방향족 모노머의 중량비는 5: 95 내지 95:5이 제공되고,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및 방향족 모노머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용매는 10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연쇄 이동제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연쇄이동제는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2-메르캅토에탄올 및 a-메틸스티렌다이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개시제는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비스-(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및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c)단계에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은 5,000 내지 500,00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d)단계에서 pH 조절제는 1가 금속염기, 2가 금속염기, 아민계 화합물 및 암모니아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화제의 경우,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콘크리트의 설계강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바,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점성을 조절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펌프 압송 시, 배관 내 콘크리트의 점성 및 윤활층의 점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펌핑 장비의 압송부하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콘크리트 타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가능한 구현 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구성에 관하여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층 또는 부재가 다른 층 또는 부재와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층 또는 부재가 다른 층 또는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층 또는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층 또는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중량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을 의미한다.
[치환기의 일반적인 정의]
본 명세서 중 C1-C20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1가(monovalent) 그룹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예에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부틸기, 펜틸기, iso-아밀기, 헥실기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중 C1-C20알콕시기는, -OA101(여기서, A101은 상기 C1-C20알킬기임)의 화학식을 갖는 1가 그룹을 의미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에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등이 포함된다.
[고성능 혼화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PCE계)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1 내지 R16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Y는 C1-C20알킬기, C1-C20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되고,
a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b는 4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2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은 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7 및 R18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M은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d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폴리카르복실산 공중합체는 혼화제의 기본 베이스가 되는 것으로 폴리머 내측에 측쇄인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포함하여 입체 장애를 유발하면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은 5:95 내지 95:5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이 제공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분자구조를 포함하는 PCE계 화합물에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한 혼화제를 제공하여, 시멘트 입자의 분산과 재료분리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고성능 혼화제를 제공한다.
즉, 기존의 콘크리트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하여, 증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상으로 제조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분말로 첨가 시 기존 혼화제와는 별도로 저장 및 투입 장치를 운영해야 하는 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증점제를 투입하지 않더라도, 상기 화학식 2의 방향성 모노머를 도입하여, 응집성을 향상 시켜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계강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점성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펌프 압송 시 배관 내 콘크리트의 점성 및 윤활층의 점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펌핑 장비의 압송부하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콘크리트 타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구조 단위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이 50:50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5와 같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5>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3
이에, R11 내지 R18, a 내지 d, X, Y, M 및 n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R21 내지 R26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Y는 C1-C20알킬기, C1-C20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되고,
e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f는 4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g는 0 내지 2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은 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R27 및 R28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M은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h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이 50:50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6와 같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6>
Figure 112019044981314-pat00006
이에, R11 내지 R18, a 내지 d, X, Y, M 및 n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은 5:95 내지 95:5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이 제공된다.
즉, 상기 전술한 화학식 1과 2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과 동일하게 화학식 3과 4를 갖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분자구조를 포함하는 PCE계 혼화제에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여, 시멘트 입자의 분산과 재료분리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고성능 혼화제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은 화학식 1과 2를 갖는 경우와 화학식 3과 4를 갖는 경우를 모두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 내지 500,000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300,000이 제공된다. 상기 범위에서, 30,000 미만인
경우 분산 성능이 저하되고, 300,000 초과인 경우 공중합 반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혼화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가 포함된다. 이 범위에서, 응집성 향상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화학식 1 및 3의 X 및 화학식 2 및 4의 M이 1 내지 3가 양이온인 경우, Li+, Na+, K+ 및 Ca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콘크리트의 분산력 향상시켜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유기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유기계 화합물은 우레아,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일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성분의 보습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일액형 타입이 제공된다.
[고성능 혼화제 제조방법]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a)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연쇄 이동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20 내지 100℃의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b)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1 내지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및
(d)상기 냉각 이후 pH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연쇄 이동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20 내지 100℃의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반응기의 온도는 70 내지 90℃이 제공될 수 있으며, 교반의 경우, 공지된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교반 장치는 기계적 교반기, 이중나선 교반기, 혼합기, 고속 유화기 등이 공지된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및 방향족 모노머의 중량비는 5: 95 내지 95:5이 제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분자구조에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는 혼화제를 제공하여, 시멘트 입자의 분산시키면서 재료분리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고성능 혼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및 방향족 모노머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용매는 100 내지 2,000 중량부, 상기 연쇄 이동제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화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증류수;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 시클로헥산, n-헥산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화합물; 등이 열거되지만, 원료단량체 및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용해성 때문에, 증류수 및 탄소수 1∼4의 저급 알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탈용제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연쇄이동제는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2-메르캅토에탄올 및 a-메틸스티렌다이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0.01 미만인 경우, 중합 또는 공중합 반응을 높이는데 효율이 떨어지고, 5을 초과인 경우, 연쇄이동제를 투입함으로써, 얻는 효과의 상승작용이 낮아지므로 경제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단계의 다음으로, (b)상기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1 내지 10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개시제는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비스-(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및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개시제를 0.01 내지 1 중량부로 투입하여 1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의 생성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10시간 초과인 경우 너무 시간이 길어져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의 다음으로, (c)상기 수득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 내지 500,000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의 다음으로, (d)상기 냉각 이후 pH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 경우, pH 조절제는 1가 금속염기, 2가 금속염기, 아민계 화합물 및 암모니아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H 조절제에 의하여 pH는 3 내지 8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를 4 내지 6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반응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대신하여, 전술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를 대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1)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42 중량부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6.2 중량부, 연쇄이동제로 2-메르캅토에탄올 1.5 중량부 및 용매인 증류수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여, 90℃에서 교반한다. 여기에 중합 개시제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3중량부를 투입하여 6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조한다.
(2) 혼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60℃에서 냉각하고 1가 금속염기인 가성소다를 투입하여, 최종 pH를 4.5 내지 5.0가 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혼화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화합물 42 중량부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6.2 중량부, 연쇄이동제로 2-메르캅토에탄올 1.5 중량부 및 용매인 증류수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여, 90℃에서 교반한다. 여기에 중합 개시제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3중량부를 투입하여 6시간 반응시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조한다.
(2) 혼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60℃에서 냉각하고 1가 금속염기인 가성소다를 투입하여, 최종 pH를 4.5 내지 5.0가 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혼화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1 및 2에서 제공되는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기존에 상용중인 PCE(PolyCarboxylate Ether)계 혼화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1 및 2에서 제공되는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기존에 상용중인 PCE(PolyCarboxylate Ether)에 증점제를 포함하는 상용중인 혼화제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혼화제를 포함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W/B
(%)
S/a
(%)
단위용적질량(kg/m3)
AD
(B×%)
W 바인더(Binder) S1 S2 G20
OPC F/A GGBS
비교예 1 30.9 47 163 421 53 53 477 321 904 1.55
비교예 2 1.60
실시예 1 1.60
실시예 2 1.60
W/B: 물/바인더
S/a: 세척사+쇄사/ 직경 20mm 굵은 골재
W: 배합수
OPC: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F/A: 플라이애쉬 (Fly ash)
GGBS: 고로슬래그 분말
S1: 세척사 (washed sand)
S2: 쇄사 (crushed sand)
G20: 직경 20mm 굵은 골재
AD: 바인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성능 감수제 사용량
평가예 1: 콘크리트 물성결과
상기 표1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혼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물성을 테스트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실험 진행 배합은 설계강도 5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 조건이며, 목표 슬럼프는 650±50mm로 설정하였다. 슬럼프 플로우는 KS F 2594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플로우의 퍼짐 형상을 보고 일차적으로 재료분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플로우 수치가 500mm에 도달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T50의 경우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평가하였다. V-lot 유하시험은 KSCE 2003-03의 "깔대기를 사용한 유하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콘크리트의 통과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온도 Air Flow T50 V-lot
유하시간(초)
28일 압축강도(MPa)
비교예 1 20±1℃ 2.2 700 5.8 37 58.7
비교예 2 3.5 670 6.0 31 58.8
실시예 1 2.8 650 5.3 24 59.0
실시예 2 2.8 650 5.1 22 59.1
표 2를 참조하여, 실시예 1과 2의 두 경우 모두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슬럼프 플로우, 플로우 측정시 500mm 도달시간, V-Lot 유하시간, 28일 압축강도의 측정 결과 동일 유동성 조건 대비 재료분리 현상이 감소하며, 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평가예 2: 콘크리트의 점도 및 항복응력 측정결과
보다 정확한 재료분리 저항성을 평가하고자 콘크리트의 항복응력과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인 레올로지 시험기구를 사용하였다.
윤활층의 항복응력 및 점도의 경우, Tribometer에 의하여 측정되었고, 콘크리트의 항복응력 및 점도의 경우, Rheometer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측정 기구의 경우 논문(Kwon, S. H, et al, "Prediction of concrete pumping: Part I - Development of New Tribometer for Analysis of Lubricating Layer," ACI Materials Journal, Vol. 110, No. 6, 2013, pp. 647-656)에 의해 개발된 장치로 실제 펌핑 중 콘크리트가 채워진 배관과 유사한 상황을 모사한 장비이며, 이에 대한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구분 윤활층
(Tribometer)
콘크리트
(Rheometer)
항복응력 점도 항복응력 점도
(Pa) (Pa·s) (Pa) (Pa·s)
비교예 1 0.1 4.18 0.01 147.3
비교예 2 0.1 4.57 0.01 156.7
실시예 1 0.1 3.91 0.01 131.8
실시예 2 0.1 3.75 0.01 123.7
표 3을 참조하여, 실시예 1과 2의 결과 모두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콘크리트 및 윤활층의 점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재료분리 저항성 및 유동성을 가지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콘크리트 레올로지의 수치적인 측정을 통하여 실제 펌핑 시 재료분리 저항성의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성 모노머를 투입하는 혼화제가 펌프 압송 시 배관 내 콘크리트의 점성 및 윤활층의 점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펌핑 장비의 압송부하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콘크리트 타설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 비율은 40:60 내지 95:5인 고성능 혼화제.
    <화학식 1>
    Figure 112019071392264-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1 내지 R16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Y는 C1-C20알킬기, C1-C20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되고,
    a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b는 4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2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은 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71392264-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17 및 R18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M은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d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5,000 내지 500,000인 고성능 혼화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혼화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X 및 화학식 2의 M이 1 내지 3가 양이온인 경우, Li+, Na+, K+ 및 Ca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유기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일액형 타입(Mono-fluid type )인 고성능 혼화제.
  8.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구조 단위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에서, 구조 3단위와 구조 4단위의 비율은 40:60 내지 95:5인 고성능 혼화제.
    <화학식 3>
    Figure 112019071392264-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21 내지 R26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Y는 C1-C20알킬기, C1-C20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C1-C20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되고,
    e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f는 4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g는 0 내지 2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은 0 내지 10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71392264-pat00010

    상기 화학식 4에서,
    R27 및 R28은 서로 독립적인 수소 및 C1-C20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M은 수소 또는 1 내지 3가 양이온에서 선택되고,
    h는 15 내지 5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혼화제의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X 및 화학식 4의 M이 1 내지 3가 양이온인 경우, Li+, Na+, K+ 및 Ca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성능 혼화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혼화제는 일액형 타입(Mono-fluid type )인 고성능 혼화제.
KR1020190051242A 2019-05-02 2019-05-02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KR10202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42A KR102027818B1 (ko) 2019-05-02 2019-05-02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42A KR102027818B1 (ko) 2019-05-02 2019-05-02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18B1 true KR102027818B1 (ko) 2019-10-02

Family

ID=6842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42A KR102027818B1 (ko) 2019-05-02 2019-05-02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64B1 (ko) * 2021-01-07 2021-06-07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재료분리 저항성 및 유지력이 향상된 일액형 고성능 혼화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5650A (ja) * 2013-03-26 2016-05-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5650A (ja) * 2013-03-26 2016-05-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niel Wilinski et al., Plymeric superplasticizers based on plycarboxylates for ready-mixed concrete: currunt state of art, Polimery, 20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64B1 (ko) * 2021-01-07 2021-06-07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재료분리 저항성 및 유지력이 향상된 일액형 고성능 혼화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6866B2 (en) Polycarboxylate ethers with branched side chains
US8058377B1 (en) Phosphate-containing polycarboxylate polymer dispersants
CN107337749B (zh) 一种耐高温膦酸基混凝土缓凝剂及其制备方法
JP6407171B2 (ja) 分岐側鎖を有するポリカルボキシレートエーテル
CN103804608A (zh) 用于水硬性体系的改善的分散剂
JP2012511064A (ja) 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CN110746553A (zh) 一种低收缩、降粘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264620B (zh) 一种膦酸基嵌段聚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027818B1 (ko) 재료분리 저항성이 향상된 고성능 혼화제
CN114044856A (zh) 一种阻泥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1961148A (zh) 一种反应引气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6903799A (zh) 一种高温缓释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572122B1 (ko)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JP2020138899A (ja) ジオポリマー用減粘剤及びジオポリマー硬化体
KR101222920B1 (ko) 초속경 개질 콘크리트 제조용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CN109535347B (zh) 一种嵌段保水型混凝土外加剂的制备方法
JP2019085280A (ja) 高炉スラグ含有セメントスラリー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ソイルセメントスラリーの調製方法
CN114133492A (zh) 聚羧酸混凝土减水剂的制备方法
KR102260864B1 (ko) 재료분리 저항성 및 유지력이 향상된 일액형 고성능 혼화제
US20050054796A1 (en) Concrete admixture additive
CN110054737A (zh) 一种聚羧酸高性能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3480729B (zh) 一种用于降低高固含浆体黏度的聚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48255B1 (ko) 시멘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화제
CN111377636B (zh) 一种加速混凝土凝结的纳米悬浮液外加剂
KR20240056852A (ko) 서로 다른 매크로 모노머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계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