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306B1 - Stb 제작용 지그 - Google Patents
Stb 제작용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306B1 KR102027306B1 KR1020190062862A KR20190062862A KR102027306B1 KR 102027306 B1 KR102027306 B1 KR 102027306B1 KR 1020190062862 A KR1020190062862 A KR 1020190062862A KR 20190062862 A KR20190062862 A KR 20190062862A KR 102027306 B1 KR102027306 B1 KR 102027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ylinder
- frame
- pressing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압수단(200), 제2가압수단(300) 및 제3가압수단(500)에 의해 프레임(10)을 길이, 높이 및 세로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정밀도를 높이고, 조립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STB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STB 제작용 지그는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10)이 안착되는 지지수단(100);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200); 상기 프레임(10)을 높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300);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조절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STB 제작용 지그는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10)이 안착되는 지지수단(100);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200); 상기 프레임(10)을 높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300);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조절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STB 제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공장에서 웨이퍼의 반송중 사용되는 버퍼장치인 STB(Side Track buffer)를 제작하기 위한 STB 제작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실리콘 웨이퍼(이하, 간략히 '웨이퍼'라 함)는 소자에 필요한 재료의 층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조 공정, 예를 들어 박막 형성 공정, 사진 공정, 식각 공정 등 여러 차례의 공정 단계를 거쳐 생산된다.
그리고 웨이퍼가 각각의 공정 단계를 거쳐 운반될 때에는 이와 접촉하는 가스, 화학 약품 및 제반 환경에 따라 웨이퍼의 청정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클린룸의 유지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일부 설비 내부에서는 높은 청정도를 유지하며, 기타 지역에서는 이보다 낮은 청정도가 유지되도록 서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클린룸을 청정하게 운영한다 하여도, 클린룸 내부 환경은 웨이퍼의 표면보다는 덜 청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운반 중인 웨이퍼는 클린룸 내부의 공기에 노출되어 상당 부분 오염이 발생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웨이퍼의 결함을 유발하거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웨이퍼의 청정도 수준을 높게 보증하기 위해서, 그리고 웨이퍼의 운반 상 수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웨이퍼를 수납하고 운반시키기 위한 표준화된 웨이퍼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들 웨이퍼 캐리어의 구체적인 예로서 두 가지 형태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표준 기계 인터페이스(SMIF: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포드이며, 나머지 하나는 전방 개방 통합 포드(FOUP: Front Opening Unified Pod: 이하 '포웁'이라 함)이다.
상기 포웁(Foup)에 저장된 웨이퍼는 반송 중에 STB(에스티비;Side Track Buffer)라는 버퍼장치를 거쳐 각 공정 장비로 이송된다.
상기 STB는 공장의 천장에 상기 STB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에 설치되어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공정간의 이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압수단(200), 제2가압수단(300) 및 제3가압수단(500)에 의해 프레임(10)을 길이, 높이 및 세로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정밀도를 높이고, 조립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STB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STB 제작용 지그는,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10)이 안착되는 지지수단(100);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200); 상기 프레임(10)을 높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300);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조절수단(400); 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 상기 지지수단(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600); 상기 지지수단(100)에 장착되어 안착된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이동시 회전되는 보조가이드수단(700); 상기 지지수단(1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방향으로 팽창되어 있다가 프레임(10)의 안착시 하중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8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100)은, 사각 프로파일을 연결하여 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받침대(110); 상기 메인받침대(11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보조받침대(12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고정지지대(15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된 제1안착홈(161)이 형성된 제1안착대(16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안착홈(161)과 일치되게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2안착홈(171)이 형성된 제2안착대(17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수단(200)은, 상기 메인받침대(110)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가이드(210); 상기 고정가이드(210)의 일단에 상기 제2받침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상기 프레임(10)과 접하는 제1가압체(221)가 구비되는 슬라이드축(220);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축(2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재(2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연결부재(230);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재(240)의 타단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240);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24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에는 제1손잡이부(251)가 형성된 제1작동레버(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수단(3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에 배치된 2개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접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대(31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된 고정브라켓(320);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부에 연동부(331)가 돌출 형성된 제3연결부재(330); 상기 제3연결부재(33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10)를 상기 제1안착대(16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체(340);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 제2손잡이부(351)가 형성된 제2작동레버(350); 일단이 상기 제2작동레버(35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연동부(331)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는 연동축(360); 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 고정 장착되며, 세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3안착홈(411)이 형성된 제3안착대(410); 상기 제3안착홈(4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과 접하는 간격조절구(4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압수단(5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가압지지대(510)와 제2가압지지대(520); 상기 제1가압지지대(510)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실린더(531) 및 제2실린더(532); 상기 제2가압지지대(520)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 상기 제1실린더(531)에 장착되어 상기 제2실린더(53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피스톤(541); 상기 제2실린더(532)에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53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피스톤(542); 상기 제3실린더(533)에 장착되어 상기 제4실린더(534)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3피스톤(543); 상기 제4실린더(534)에 장착되어 상기 제3실린더(533)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4피스톤(544); 상기 제1피스톤(541)과 상기 제4피스톤(544)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550); 상기 제2피스톤(542)과 상기 제3피스톤(543)을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대(550)와 교차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대(560); 상기 제1실린더(531),제2실린더(532),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600)는, 실리콘층(610) 및 상기 실리콘층(6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리콘층(610)을 상기 지지수단(100)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는 접착층(620); 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620)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의 상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볼(710); 상기 제1안착대(16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볼(71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72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8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에 삽입 배치되며,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자바라관;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STB 제작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기 제1가압수단(2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의 조립시 상기 프레임(10)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 및 유지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는 2개의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조립 중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0)들이 유동하여 폭이 틀어지는 것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조립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는 2개의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조립 중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0)들이 유동하여 폭이 틀어지는 것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조립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보호시트(600)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의 손상을 방지하고, 마찰 발생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실리콘층(610)이 상기 접착층(620)에 의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산화 또는 수축 등의 변형으로 인해 표면이 불균일해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정밀하게 표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에 프레임(10)이 안착될 때 상기 프레임(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삽입홈(16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10)이 가로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회전볼(710)이 회전하면서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고,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완충수단(800)은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서서히 압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안착대(160)에 안착될 때 충격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3가압수단(500)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보조가이드수단(7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완충수단(8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3가압수단(500)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보조가이드수단(7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완충수단(8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1가압수단(2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2가압수단(30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제3가압수단(500)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보조가이드수단(7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의 완충수단(800)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는, 지지수단(100), 제1가압수단(200), 제2가압수단(300), 간격조절수단(400), 제3가압수단(500), 보호시트(600), 보조가이드수단(700) 및 완충수단(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100)은, 다수개의 프레임(10)을 조립하는데 있어 상기 프레임(10)들을 조립 형태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인받침대(110), 제1보조받침대(120), 제2보조받침대(130), 제3보조받침대(140), 고정지지대(150), 제1안착대(160) 및 제2안착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받침대(110)는 단면이 사각형인 프로파일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조립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메인받침대(110)는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10)들을 쉽게 조립하기 위한 높이, 즉 허리를 굽히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제작된다.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는 2개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받침대(110)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정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에는 후술할 상기 완충수단(800)이 삽입되는 완충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홈(121)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보조받침대(130)는 가로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며, 일단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우측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우측으로 길게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받침대(11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3보조받침대(140)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를 연결한다.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단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10)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안착대(16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 상부에 각각 고정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안착대(160)의 상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관통된 제1안착홈(16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61)에는 상기 프레임(10)이 삽입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10)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대(160)는, 알루미늄 재질인 상기 프레임(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안착대(160)에는 후술할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이 삽입되는 삽입홈(162)이 개방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62)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안착대(170)는 상기 제2보조받침대(13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이 삽입 배치되는 제2안착홈(17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홈(171)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안착홈(161)과 각각 일치되게 배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안착대(170)는 우측이 개방되어 후술할 상기 제1가압수단(200)이 작동될 때, 상기 프레임(10)과 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안착대(170)는, 알루미늄 재질인 상기 프레임(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가압수단(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장치로, 고정가이드(210), 슬라이드축(220), 제1연결부재(230), 제2연결부재(240) 및 제1작동레버(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가이드(210)는 상기 제2보조받침대(130)의 우측 상단에 고정 장착되며,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축(22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2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작동레버(2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힌지부(2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축(220)은 원통형의 축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홀(211)에 삽입되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드축(220)의 일단에는 상기 프레임(10)과 접촉되는 제1가압체(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3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축(2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재(2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40)는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230)의 타단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작동레버(25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24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에는 제1손잡이부(2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작동레버(250)는 상기 제2연결부재(240)와 함께 상기 제1힌지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가압수단(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동레버(2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연결부재(230)의 타단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축(220)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키며, 이 때 상기 제1가압체(221)는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고정지지대(15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동레버(2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연결부재(230)의 타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축(220)을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가압체(221)는 상기 프레임(10)과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기 제1가압수단(2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의 조립시 상기 프레임(10)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 및 유지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가압수단(3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높이 방향, 즉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 수평지지대(310), 고정브라켓(320), 제3연결부재(330), 제2가압체(340), 제2작동레버(350) 및 연동축(3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세로 방향으로 긴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1개의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접하여 2개의 프레임(10)이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 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33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부에 연동부(3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331)에는 호 형상의 연동(331a)홈이 개방 형성된다.
상기 제2가압체(3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연결부재(33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10)를 상기 제1안착대(160)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2작동레버(35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 제2손잡이부(351)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축(360)은 상기 제2작동레버(35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연동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가압수단(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작동레버(3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연결부재(330)가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가압체(340)가 상기 수평지지대(310)와 분리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작동레버(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연결부재(330)가 일단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가압체(340)가 상기 수평지지대(31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작동레버(350)의 회전시 상기 연동축(360)은 상기 연동홈(33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400)은, 2개의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3안착대(410) 및 간격조절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안착대(410)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제3안착홈(411)이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안착대(410)는 상기 제2보조받침대(13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간격조절구(420)는 상기 제3안착홈(4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구(420)의 폭은 상기 프레임(10)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안착홈(411)에 삽입될 때 상기 프레임(10)의 측부와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수단(400)이 구비됨으로써, 2개의 상기 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정확한 치수로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는 2개의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가압수단(500)은, 제1가압지지대(510), 제2가압지지대(520), 제1실린더(531), 제2실린더(532), 제3실린더(533), 제4실린더(534), 제1피스톤(541), 제2피스톤(542), 제3피스톤(543), 제4피스톤(544), 제1연결대(550), 제2연결대(560) 및 공압펌프(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압지지대(510)와 상기 제2가압지지대(520)는 각각 가로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실린더(531), 제2실린더(532), 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된 저장실이 형성된 공압 실린더이며, 상기 제1실린더(531)와 상기 제2실린더(532)는 상기 제1가압체(221)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실린더(533)와 상기 제4실린더(534)는 상기 제2가압체(340)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541)은 상기 제1실린더(531)에 장착되어 상기 제2실린더(532)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피스톤(542)은 상기 제2실린더(532)에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53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제3피스톤(543)은 상기 제3실린더(533)에 장착되어 상기 제4실린더(534)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제4피스톤(544)은 상기 제4실린더(534)에 장착되어 상기 제3실린더(533)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대(55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피스톤(541)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4피스톤(544)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대(560)는 상기 제1연결대(55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긴 막대 형상이며, 일단이 상기 제3피스톤(543)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4피스톤(544)과 힌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연결대(560)는 상기 제1연결대(550)와 'X'자 형태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중심부가 상기 제1연결대(550)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3가압수단(500)은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531), 제2실린더(532), 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에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이때 공압에 의해 상기 제1피스톤(541), 제2피스톤(542), 제3피스톤(543) 및 제4피스톤(544)이 돌출되며, 상기 제1연결대(550)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대(5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가압지지대(510)와 상기 제2가압지지대(520)가 세로 방향으로 상호 벌어지면서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 사이에는 2개의 상기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조립 중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0)들이 유동하여 폭이 틀어지는 것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조립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보호시트(600)는, 상기 지지수단(1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면에 구비되며, 프레임(10)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와 충돌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시트(600)는 실리콘층(610) 및 상기 실리콘층(6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리콘층(610)을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는 접착층(6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층(620)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층(620)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층(620)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적용되는 만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층(620)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층(620)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층(620)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층(620)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층(620)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층(620) 조성물은 접착층(620)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층(620)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층(620)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층(620)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층(620)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덧버선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층(620)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층(620)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층(620)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층(620)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시트(600)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의 손상을 방지하고, 마찰 발생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실리콘층(610)이 상기 접착층(620)에 의해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산화 또는 수축 등의 변형으로 인해 표면이 불균일해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정밀하게 표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은, 상기 지지수단(1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안착대(16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안착대(16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이동시 회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회전볼(710)과 탄성체(7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안착대(160)에는 상방향으로 상기 삽입홈(162)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62)의 상단 직경은 상기 회전볼(71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볼(710)이 상기 삽입홈(162)에서 이탈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볼(71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볼(710)은 상기 삽입홈(162)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일부가 상기 삽입홈(162)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72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162)에 각각 하나씩 삽입 장착되어 상기 회전볼(71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볼(710)와 상기 탄성체(720) 사이에는 상기 탄성체(720)의 압축 및 팽창시 상하 이동하는 스페이서(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볼(710)은 상기 스페이서(730)와 접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회전볼(71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회전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시키면 상기 회전볼(710)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갖는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에 프레임(10)이 안착될 때 상기 프레임(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삽입홈(16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10)이 가로 방향으로 유동할 때 상기 회전볼(710)이 회전하면서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고,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완충수단(800)은 지지수단(1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방향으로 팽창되어 있다가 프레임(10)의 안착시 하중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수단(800)은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자바라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완충수단(8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기 완충홈(121)에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800)은 공압펌프와 연결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밸브(81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밸브(810)는 상기 완충수단(80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상기 완충수단(8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완충수단(800)은 평상시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완충홈(121)의 상부로 돌출되게 팽창되며, 상기 제1안착대(160)에 상기 프레임(10)이 안착될 때 프레임(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출밸브(810)가 개방되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완충수단(800)은 서서히 하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완충홈(121)에 삽입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800)은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서서히 압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안착대(160)에 안착될 때 충격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는, 상기 제1안착대(160)와 상기 제2안착대(170)의 상부에 각각 프레임(10)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1가압수단(200), 상기 제2가압수단(300) 및 상기 제3가압수단(500)을 작동시켜 상기 프레임(10)을 가로방향, 높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완충수단(800)과 먼저 접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은 일단이 상기 제1안착대(160)의 상기 제1안착홈(161)에 먼저 삽입되고, 이후 타단이 상기 제2안착홈(171)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과 접하여 상기 제1안착대(16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후 상기 제1가압수단(200)은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고정지지대(150)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가압수단(300)은 상기 프레임(1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3가압수단(500)은 상기 프레임(10)을 각각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10)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 결합하고, 이후 상기 제1가압수단(200), 제2가압수단(300) 및 제3가압수단(500)을 해제하고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지지수단(100)에서 분리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 제작용 지그는, 제1가압수단(200), 제2가압수단(300) 및 제3가압수단(500)에 의해 프레임(10)을 길이, 높이 및 세로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정밀도를 높이고, 조립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지지수단, 110 : 메인받침대, 120 : 제1보조받침대, 121 : 완충홈, 130 : 제2보조받침대, 140 : 제3보조받침대, 150 : 고정지지대, 160 : 제1안착대, 161 : 제1안착홈, 162 : 삽입홈, 170 : 제2안착대, 171 : 제2안착홈, 200 : 제1가압수단, 210 : 고정가이드, 211 : 가이드홀, 212 : 제1힌지부, 220 : 슬라이드축, 221 : 제1가압체, 230 : 제1연결부재, 240 : 제2연결부재, 250 : 제1작동레버, 251 : 제1손잡이부, 300 : 제2가압수단, 310 : 수평지지대, 320 : 고정브라켓, 330 : 제3연결부재, 331 : 연동부, 340 : 제2가압체, 350 : 제2작동레버, 351 : 제2손잡이부, 360 : 연동축, 400 : 간격조절수단, 410 : 제3안차대, 411 : 제3안착홈, 420 : 간격조절구, 500 : 제3가압수단, 510 : 제1가압지지대, 520 : 제2가압지지대, 531 : 제1실린더, 532 : 제2실린더, 533 : 제3실린더, 534 : 제4실린더, 541 : 제1피스톤, 542 : 제2피스톤, 543 : 제3피스톤, 544 : 제4피스톤, 550 : 제1연결대, 560 : 제2연결대, 600 : 보호시트, 610 : 실리콘층, 620 : 접착층, 700 : 보조가이드수단, 710 : 회전볼, 720 : 탄성체,730 : 스페이서, 800 : 완충수단, 810 : 배출밸브,
Claims (2)
-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10)이 안착되는 지지수단(100);
상기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200);
상기 프레임(10)을 높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300);
상기 프레임(10)들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조절수단(400);
상기 프레임(10)들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10)을 세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가압수단(500);
상기 지지수단(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600);
상기 지지수단(100)에 장착되어 안착된 상기 프레임(10)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이동시 회전되는 보조가이드수단(700);
상기 지지수단(10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방향으로 팽창되어 있다가 프레임(10)의 안착시 하중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800); 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100)은, 사각 프로파일을 연결하여 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받침대(110); 상기 메인받침대(11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2개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보조받침대(12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고정지지대(15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좌측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가로 방향으로 관통된 제1안착홈(161)이 형성된 제1안착대(16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안착홈(161)과 일치되게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2안착홈(171)이 형성된 제2안착대(17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수단(200)은, 상기 메인받침대(110)의 우측에 고정 장착되며 일단에는 가이드홀(2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힌지부(212)가 돌출 형성된 고정가이드(210); 상기 고정가이드(210)의 일단에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상기 프레임(10)과 접하는 제1가압체(221)가 구비되는 슬라이드축(220);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축(2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연결부재(230);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230)의 타단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240);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24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에는 제1손잡이부(251)가 형성된 제1작동레버(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수단(3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에 배치된 2개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접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대(310);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측부에 고정 장착된 고정브라켓(320);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부에 연동부(331)가 돌출 형성된 제3연결부재(330); 상기 제3연결부재(33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10)를 상기 제1안착대(16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체(340);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 제2손잡이부(351)가 형성된 제2작동레버(350); 일단이 상기 제2작동레버(35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연동부(331)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는 연동축(360); 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4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들 사이에 고정 장착되며, 세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3안착홈(411)이 형성된 제3안착대(410); 상기 제3안착홈(4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과 접하는 간격조절구(4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압수단(5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들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가압지지대(510)와 제2가압지지대(520); 상기 제1가압지지대(510)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실린더(531) 및 제2실린더(532); 상기 제2가압지지대(520)에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 상기 제1실린더(531)에 장착되어 상기 제2실린더(53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피스톤(541); 상기 제2실린더(532)에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53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피스톤(542); 상기 제3실린더(533)에 장착되어 상기 제4실린더(534)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3피스톤(543); 상기 제4실린더(534)에 장착되어 상기 제3실린더(533)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4피스톤(544); 상기 제1피스톤(541)과 상기 제4피스톤(544)을 연결하는 제1연결대(550); 상기 제2피스톤(542)과 상기 제3피스톤(543)을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대(550)와 교차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대(560); 상기 제1실린더(531), 제2실린더(532), 제3실린더(533) 및 제4실린더(534)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시트(600)는, 실리콘층(610) 및 상기 실리콘층(6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리콘층(610)을 상기 지지수단(100)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는 접착층(620); 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620)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가이드수단(700)은, 상기 제1안착대(160)의 상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볼(710); 상기 제1안착대(16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볼(71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72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800)은, 상기 제1보조받침대(120)의 상부에 삽입 배치되며,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자바라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B 제작용 지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862A KR102027306B1 (ko) | 2019-05-29 | 2019-05-29 | Stb 제작용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862A KR102027306B1 (ko) | 2019-05-29 | 2019-05-29 | Stb 제작용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7306B1 true KR102027306B1 (ko) | 2019-10-02 |
Family
ID=6842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2862A KR102027306B1 (ko) | 2019-05-29 | 2019-05-29 | Stb 제작용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730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4620A (ja) * | 1996-12-25 | 1998-07-14 | Genjiyuu Katou | トグルクランプ |
KR19980056758A (ko) * | 1996-12-30 | 1998-09-25 | 박병재 | 레이저 용접을 위한 차체패널 지지작업대 |
KR100303489B1 (ko) | 1999-03-06 | 2001-09-26 | 윤종용 | 모니터 프론트 케이스 검사용 지그 조립체 |
KR20080020172A (ko) * | 2006-08-31 | 2008-03-05 | 대한민국(기술표준원) | 상하방향 가압 지그 |
KR20100011077A (ko) * | 2008-07-24 | 2010-02-0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전기로의 버스 연결장치 |
KR20160076702A (ko) * | 2014-12-23 | 2016-07-01 | 주식회사 신영 | 리필마찰교반점용접 장비 일체형 시편 고정지그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2862A patent/KR102027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4620A (ja) * | 1996-12-25 | 1998-07-14 | Genjiyuu Katou | トグルクランプ |
KR19980056758A (ko) * | 1996-12-30 | 1998-09-25 | 박병재 | 레이저 용접을 위한 차체패널 지지작업대 |
KR100303489B1 (ko) | 1999-03-06 | 2001-09-26 | 윤종용 | 모니터 프론트 케이스 검사용 지그 조립체 |
KR20080020172A (ko) * | 2006-08-31 | 2008-03-05 | 대한민국(기술표준원) | 상하방향 가압 지그 |
KR20100011077A (ko) * | 2008-07-24 | 2010-02-0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전기로의 버스 연결장치 |
KR20160076702A (ko) * | 2014-12-23 | 2016-07-01 | 주식회사 신영 | 리필마찰교반점용접 장비 일체형 시편 고정지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8522B1 (ko) | 저소음 키보드 | |
KR102031259B1 (ko) | 정면기 | |
KR20200037314A (ko) | 폴리우레탄 연마층, 연마층을 포함하는 연마 패드, 연마층의 제조 방법 및 재료 평탄화 방법 | |
EP2847784A1 (en) | Polishing pad with light-stable light-transmitting region | |
KR102032996B1 (ko) | 절단 가공 장치 | |
KR102027306B1 (ko) | Stb 제작용 지그 | |
KR102041416B1 (ko) | 내진 기능이 보강된 배관 행거 | |
JP2019519403A (ja) | 相変化材料を組み込んだ熱硬化性積層造形物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 |
KR102055445B1 (ko) | 고정용 지그 | |
AU2015362775A1 (en) |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 with aqueous polymer dispersion | |
JP2021517191A (ja) | 回復時間が長い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 |
KR102034421B1 (ko) | 연속 가공 시스템 | |
KR102034465B1 (ko) | 도금 장치 | |
EP1990354B1 (en) |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KR102033890B1 (ko) |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 |
KR102037198B1 (ko) |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 | |
JP3563658B2 (ja) | ウレタン系接着剤 | |
KR102008775B1 (ko) | 회로기판 모듈용 지그 | |
KR102022562B1 (ko) | 다기능 작업대 | |
CN105390790A (zh) | 一种新型高精度到位锁定装置 | |
KR102045376B1 (ko) | 가스 검출 장치용 검사 장치 | |
KR102053859B1 (ko) |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 |
KR102102415B1 (ko) |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 |
KR102036070B1 (ko) | 프레스장치 | |
KR101989955B1 (ko) | 배관 플랜지의 씰 페이스 연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