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309B1 -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 Google Patents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309B1
KR102026309B1 KR1020170092023A KR20170092023A KR102026309B1 KR 102026309 B1 KR102026309 B1 KR 102026309B1 KR 1020170092023 A KR1020170092023 A KR 1020170092023A KR 20170092023 A KR20170092023 A KR 20170092023A KR 102026309 B1 KR102026309 B1 KR 102026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deceased
memorial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975A (ko
Inventor
안태봉
Original Assignee
안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봉 filed Critical 안태봉
Priority to KR102017009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3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증착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유골함에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구비하여 유골함내외부가 쾌적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추모객에게 청정한 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유골함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유골함에 발향기를 구비하여 추모객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고인이 생전에 사용하던 향수 또는 고인에 대한 특별한 기억이 있는 향을 사용하여 고인에 대한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추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Remembrance box capable of bone-dust storage and purification}
본 발명은 납골과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에 관한 것이다.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산지와 농경지가 전체 국토의 65%와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군용지 및 공장지를 비롯하여 국가기관 산업시설 등이 많은 면적을 차지해 주거공간이나 공원공간, 유통공간 등의 생활공간이 협소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의 심각성은 집단묘지와 산재한 개인 및 문중묘지가 차지하는 공간비율이 만만치 않은 것에서 더 기인하며, 뿐만 아니라 매장문화는 토질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토질환경 전문가들이 끊임없이 이와 관련한 문제를 제기해 왔다.
특히, 장례문화는 앞으로 매장문화를 지양하고 화장문화가 장려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이러한 유골함은 사용상의 편리함과 보관상의 용이함을 갖춘 것은 물론, 장기간 밀봉 보관시에 풍기는 악취문제와 함께 습도조절 및 방충기능이 근원적으로 해결되어야만 한다.
한편, 지금까지 소개되는 있는 유골함은 외부온도가 급강하할 때 차가운 외부공기와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벽하게 차단방지할 수 없어, 유골분의 변질로 인해 악취와 대기오염 등의 발생으로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였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충격에 약하고 재해발생시 소실의 우려가 높아 유골분을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보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유골의 완전 밀폐구조 제시를 통한 산폐 방지가 필수적인 바, 상기 종래기술들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개량 기술의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특허등록 제10-0931639호를 참고하면, 유골함이 층상구조로 적층되고, 노출면이 함께 작품을 형성하여 인테리어화된 추모타워를 구성하되, 유골함의 외부 일면 또는 다면에는 모타워의 전체 작품 일부를 구성하는 도안이 형성되어 있어 추모타워전체가 종교성향 등의 예술작품이나 조형물,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는 추모타워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어 혐오감 없는 새로운 장례문화의 제공이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장례문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고인에 대한 경건심이나 경애심을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추모함의 외관을 장식 조명하는 등 시각적인 효과를 낼 수는 있었으나, 고인의 생전 모습 혹은 고인에 대한 기억이나 추억을 상기시켜 추모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참배객이 고인을 기림에 있어서 고인에 대한 경건심과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고인을 기리는 과정과 방문 후 돌아가면서 납골당 방문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의 제시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63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11694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유골함에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구비하여 유골함내외부가 쾌적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추모객에게 청정한 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골함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골함에 발향기를 구비하여 추모객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고인이 생전에 사용하던 향수 또는 고인에 대한 특별한 기억이 있는 향을 사용하여 고인에 대한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추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골분을 저장하는 유골함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구비되는 청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한다.
또한, 청정부는,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발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한다.
또한, 유골함 내외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한다.
또한, 유골함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한다.
또한 유골함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골함에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구비하여 유골함내외부가 쾌적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추모객에게 청정한 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함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함에 발향기를 구비하여 추모객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고인이 생전에 사용하던 향수 또는 고인에 대한 특별한 기억이 있는 향을 사용하여 고인에 대한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추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은 골분을 저장하는 유골함(13)을 포함하는 본체부(11); 및 본체부(11)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23)가 구비되는 청정부(21);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는 유골함(13), 외부함(15), 외부커버(17) 및 받침대(19)를 포함한다.
먼저, 유골함(13)은 골분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외부공기로부터 차단되면서 온도와 습도를 알맞게 유지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부함(15)이 더 구비되는 이중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와 함께 장입보존 되도록 하여 유골분에서 발생되는 가스나 악취가 제거될 수 있으며, 자체 정화기능과 함께 쿠션기능을 가지는 활성탄섬유를 유골함(13)과 외부함(15) 사이에 삽입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수분침투를 방지하고 습기가 제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외부커버(17)는 유골함(13)과 달리 외부충격에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이나 은, 니켈, 크롬, 몰리브덴 등과 같은 귀금속으로 외관이 미려하면서 내식성을 갖도록 도금처리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받침대(19)는 상술한 유골함(13)과 외부커버(17)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청정부(21)는 필터(23)와 발향기(25)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23)는 유골함(13)의 내부 혹은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 필터(23)는 먼지집진 기능이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UV램프가 구비되어 살균효과를 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발향기(25)는 본체부(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발향기(25)는 유골함(13)의 외측면 혹은 받침대(19)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추모객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향기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발향기(25)에서 제공되는 향기로는 아로마향, 디퓨저, 탈취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향기(25)에 고인이 생전에 애용하던 향수를 적용하여, 추모객에게 더욱 친근한 분위기와 위안을 제공함으로써, 추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은 온도조절기(31) 및 습도조절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31)는 유골함(13) 내외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습도조절기(33)는 유골함(13)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외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더욱이, 온도조절기(31)와 습도조절기(33)는 추모객 또는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온도조절기(31)와 습도조절기(33)가 외부함(15)의 내부에 마련되었으나, 유골함(13)의 내부 혹은 외부함(15)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은 유골함(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광원(43)과, 광원(43)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모듈(45)을 포함하는 발광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를 광원(43)으로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명 사용이 가능하다.
광원(43)은 유골함(13) 또는 외부함(15)의 외측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커버(17)에 빛이 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커버(17) 또는 유골함(13)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본체부(11)의 내부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전기회로모듈(45)은 상술한 광원(43)이 발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받침대(19)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1)은 감지기(51)와 제어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지기(51)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접촉센서 및 비접촉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감지된 결과 값에 따라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기(53)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기(53)는 감지기(51)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술한 온도조절기(31), 습도조절기(33), 청정부(21), 발광부(41) 등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감지기(51)와 제어기(53)를 적용한 본 발명의 다양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감지기(51)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어기(53)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술한 필터(23), 발향기(25), 온도조절기(31) 및 습도조절기(33) 등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기(51)가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유골함(13) 내외부의 온도차를 일정수준 이상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53)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여 온도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접근센서가 구비되는 감지기(51)가 추모객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접근’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기(53)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여, 발광부(41)의 광원(43)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커버(17)의 일부 또는 전체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서, 빛이 뚫고 나오도록 제공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받침대(19)에 회전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외부커버(17) 또는 유골함(13)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빛을 이용한 추모효과가 극대화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커버(17)에 고인의 이름 및 출생사망연월을 표기한 부분이 홀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서 작동되는 광원(43)에 의해 외부에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의 내부에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추모객들이 고인에게 애도와 추모의 뜻을 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방명록으로 이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인의 생전 모습을 담은 사진 또는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장치를 마련하여, 고인을 추억하고 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추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덧붙여, 고인의 필체를 사용한 간단한 글귀 혹은 추모객에게 전하는 말, 편지 등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추모객들로 하여금 위안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골함(13)에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필터(23)를 구비하여 유골함(13)내외부가 쾌적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추모객에게 청정한 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유골함(13)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유골함(13)에 발향기(25)를 구비하여 추모객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고인이 생전에 사용하던 향수 또는 고인에 대한 특별한 기억이 있는 향을 사용하여 고인에 대한 경애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추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본체부
13 : 유골함
15 : 외부함
17 : 외부커버
19 : 받침대
21 : 청정부
23 : 필터
25 : 발향기
31 : 온도조절기
33 : 습도조절기
41 : 발광부
43 : 광원
45 : 전기회로모듈
51 : 감지기
53 : 제어기

Claims (5)

  1. 골분을 저장하는 유골함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구비되는 청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유골함과 이중구조를 형성하여 외부공기를 차단시키는 외부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유골함의 내부 및 외부를 살균하는 UV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골함 외측에 구비된 외부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유골함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발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 내외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는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KR1020170092023A 2017-07-20 2017-07-20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KR102026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23A KR102026309B1 (ko) 2017-07-20 2017-07-20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23A KR102026309B1 (ko) 2017-07-20 2017-07-20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75A KR20190009975A (ko) 2019-01-30
KR102026309B1 true KR102026309B1 (ko) 2019-09-27

Family

ID=6527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23A KR102026309B1 (ko) 2017-07-20 2017-07-20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06B1 (ko) * 2021-06-02 2022-02-23 유광열 가정용 반려동물 유골 안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886Y1 (ko) * 2006-09-27 2006-12-13 신규식 유골항아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694A (ko) 1997-07-25 1999-02-18 윤종용 냉방 전용 룸 에어컨 실외기의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31639B1 (ko) 2009-06-08 2009-12-14 (주)두손모아 디자인 납골함
KR101143393B1 (ko) * 2010-02-12 2012-05-22 김백호 열원구비 납골단지
KR20160118569A (ko) * 2015-04-02 2016-10-12 홍수영 Led조명부를 구비한 유골함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886Y1 (ko) * 2006-09-27 2006-12-13 신규식 유골항아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75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zczygiel et al. Nineteenth-century medical landscapes: John H. Rauch, Frederick Law Olmsted, and the search for salubrity
KR101818049B1 (ko)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102026309B1 (ko)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JP2009034498A (ja) 機能性骨壷
Kelly Dead bodies that matter: Toward a new ecology of human death in American culture
CN107100416A (zh) 一种环保型塔陵
ES1273325U (es) Urna funeraria con ecosistema vegetal vivo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20170088213A (ko) 납골함
JP3154811U (ja) 真空花笠納骨容器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KR200433886Y1 (ko) 유골항아리
KR20070047497A (ko) 실내용 납골당
JP2001137302A (ja) 骨 壺
McManus The Sustainable Dead: Searching for the Intolerable
KR100556576B1 (ko) 집단 납골 안치단
JP3220609U (ja) 霊廟の部品組
KR200301194Y1 (ko) 한지 내함 유골함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JP3136195U (ja) 芳香・防臭具
KR101611725B1 (ko) 지상용 납골묘
Koh Smith Enlivening Spaces for the Dead: The Relevance of Cemeteries in the 21st Century
JP2016202736A (ja) 棺用葬祭具
JP3378957B2 (ja) 位 牌
CN204609443U (zh) 一种挡土墙挂式墓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