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282B1 -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282B1
KR102026282B1 KR1020170107365A KR20170107365A KR102026282B1 KR 102026282 B1 KR102026282 B1 KR 102026282B1 KR 1020170107365 A KR1020170107365 A KR 1020170107365A KR 20170107365 A KR20170107365 A KR 20170107365A KR 102026282 B1 KR102026282 B1 KR 10202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pair
variable
variable body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21A (ko
Inventor
박영식
박인재
Original Assignee
박영식
박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박인재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7010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2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의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 또는 비계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탈착되면서 작업자의 고소 작업 공간을 제공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 구조를 통해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운반 및 보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딤부재;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를 축 결합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디딤부재를 폴딩시키는 힌지축;상기 각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방에서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는, 서로를 향해 어긋나게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디딤부재는, 타단부가 개구된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를 형성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를 출입하면서 디딤부재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결합수단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는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와 통하는 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에는 고정체의 구속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공을 통해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에서 가변체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구속볼트가 제공되되, 상기 구속볼트의 헤드부는 구속공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가변체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된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는 가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발판{A working plate}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의 고소작업을 위한 승강장비 또는 비계에 탈착되면서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고속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에서의 고소작업은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며, 예를들어 건물의 외벽작업, 천장작업, 교량점검 및 유지보수작업 등이 있다.
이러한 고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높은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승강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복수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제작한 비계와, 신축붐이 설치된 고소차량과, 유압동력을 이용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이하, '테이블 리프터'라 함)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유압장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건물, 공장 등의 공사장에서 천장의 배관작업, 덕트 작업, 배관 및 덕트의 보온작업, 용접작업 등 고소 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계장치이다.
또한, 테이블 리프터는 하부에 바퀴를 달아 좌우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자신이 위치하는 플랫폼을 직접 승강시키면서 필요한 작업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천장의 각종 배관, 덕트 등의 시설작업, 그 수리 작업과 같이 공사장 내부의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리프터는 작업 위치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위치되는 플랫폼이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어 많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테이블 리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대(10) 하부의 유압구동부(20)에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면, 실린더(30)가 상부로 확장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아암(40)이 상승하면서 플랫폼(50)을 상승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 높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압구동부(20)를 제어하면서 플랫폼(50)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 높이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테이블 리프터를 이용한 고소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고소 주변의 구조물, 예컨대 배선, 덕트 등으로 인해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50)이 상기 구조물에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상방의 고소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플랫폼(50)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바, 별도의 발판을 플랫폼(50)에 거치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50)에는 상기한 간섭 구조물에 대비하여, 별도의 발판(60)을 적재하여 다니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50)의 중간프레임 또는 상부프레임(51)에 발판(60)을 단순 안착시킨 후, 그 위를 작업자가 딛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부프레임(51)으로부터 발판(60)이 이탈되거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쳐 작업자의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상기 발판(60)은 공사 현장에서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발판(60)들을 임시로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판(60)을 테이블 리프터에 적용시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일체의 긴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발판(60)을 플랫폼(50) 내부에 싣고 이동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50) 내부 작업공간이 협소해질 뿐만아니라, 상기 발판(60)을 세워 놓을 경우 플랫폼(50) 상방으로 발판(60)이 돌출되므로 주변 작업자들에게 찰과상 등의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00175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현장의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운반 및 보관의 효율성을 높인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딤부재;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를 축 결합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디딤부재를 폴딩시키는 힌지축;상기 각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방에서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는, 서로를 향해 어긋나게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디딤부재는, 타단부가 개구된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를 형성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를 출입하면서 디딤부재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결합수단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는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와 통하는 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에는 고정체의 구속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공을 통해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에서 가변체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구속볼트가 제공되되, 상기 구속볼트의 헤드부는 구속공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가변체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된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는 가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비계의 프레임 또는 테이블 리프터의 핸드레일에 탈착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결합수단이 제공됨으로써, 비계 또는 테이블 리프터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고소 작업에 대한 작업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한 쌍의 디딤부재로 제공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디딤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크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반 및 보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에 배치하더라도 작업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디딤부재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테이블 리프터의 플랫폼을 구성하는 핸드레일 간에 거리 또는 비계를 구성하는 프레임 간에 거리에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 리프터 및 비계의 프레임 간 거리에 관계없이 발판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시저형 테이블 리프터에 안착 및 적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이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에 대하여 설명하도도록 한다.
작업용 발판은 공사현장의 비계 또는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디딤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작업용 발판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공사현장의 구조물에 탈착되어, 고소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작업용 발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부재(100)와, 힌지축(200)과, 결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딤부재(100)는 작업자의 디딤공간을 제공하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
디딤부재(100)는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며, 상호 간에 폴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 것이다.
상기 디딤부재(10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섬유강화플라스틱(FRP)소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100)는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 리프터 및 비계 등과 같이 공사현장에 마련된 장비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디딤부재(100)는 고정체(110)와 가변체(1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각 고정체(110)의 일단부는 서로 축 결합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고정체(110)는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111)를 형성하며, 각 고정체(110)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홈부(111)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홈부(111)의 양 내측면에는 가이드돌부(112)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돌부(112)는 후술하는 가변체(120)와 고정체(110) 간에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 고정체(110)의 일단부에는 서로를 향해 어긋난 상태로 연장된 연장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113)은 작업자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연장편(113)의 연장 길이는 힌지축(200)을 덮어씌우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편(113)은 힌지축(20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엇갈리게 힌지축(200)을 덮어씌우도록 형성됨으로써, 디딤부재(100)에 전달되는 작업자의 하중을 힌지축(200)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디딤부재(1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와 함께 디딤부재(100)를 구성하며,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1)에 결합이 된다.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디딤부재(100)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이때, 가변체(120)의 양측면에는 고정체(110)의 가이드돌부(112)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정체(110)상에서의 가변체(120) 이동시 가이드돌부(112)에 가이드홈부(121)가 가이드됨으로써 가변체(120)의 슬라이딩 작용이 유연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변체(120)의 일단면에는 작업자가 고정체(110)로부터 가변체(120)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홈(1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합수단(300)은 공사현장의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디딤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수단(300)은 가변체(120)의 단부에 형성이 된다.
결합수단(300)은 테이블 리프터와 같은 승강장비의 핸드레일 또는 비계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핸드레일 또는 프레임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탈착의 용이성과 더불어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발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탈착의 편의성을 떨어뜨려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어려울 것이다.
즉, 결합수단(300)은 발판을 승강장비 또는 구조물에 상,하 방향으로 구속시키기 보다는 가변체(1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강장비의 핸드레일 또는 비계의 프레임을 덮어씌울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결합수단(300)은 가변체(120)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된 결합홈부(31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부(310)는 가변체(120)의 단부로부터 가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311)을 통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311)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판스프링(312)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드레일 또는 프레임의 두께와 결합홈부(310)간 너비차를 보상하기 위함으로써, 판스프링(312)은 구속수단이라기 보다는 핸드레일과 프레임상에서 결합홈부(310)의 너비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라할 것이다.
물론, 판스프링(312)이 반드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용 발판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용 발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사현장의 고소 작업을 위한 승강장비 또는 비계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승강장비인 테이블 리프터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테이블 리프터의 유압구동부(20)를 작동하여 플랫폼(50)을 상승시킨다.
작업자는 플랫폼(50) 내부에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플랫폼(50) 상승시 상방에 간섭 구조물이 배치된 경우, 상승 작용을 정지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플랫폼(50) 내부에 폴딩되어 있던 작업용 발판을 펼쳐 테이블 리프터를 구성하는 핸드레일(H)에 결합시켜 고소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로부터 가변체(120)를 슬라이딩하면서 플랫폼(50) 너비에 디딤부재(100) 전체 길이를 대응시킨 후, 결합수단(300)의 결합홈부(310)를 플랫폼(50)의 중간 핸드레일(H)에 덮어씌워 결합시킨다.
이때, 작업 위치에 따라, 작업용 발판은 상부 핸드레일(H)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결합홈부(310)의 격벽(311)에 마련된 판스프링(312)은 핸드레일(H)의 양측면에 의해 수축되면서 탄성지지되므로 결합홈부(310)와 핸드레일(H) 간에 간격은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테이블 리프터에 결합된 작업용 발판의 디딤부재(100)를 딛고 올라서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테이블 리프터에 작업용 발판이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어, 고소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소 작업이 완료되면, 핸드레일(H)로부터 작업용 발판의 결합수단(300)을 분리한 후, 작업용 발판의 힌지축(200)을 중심으로 디딤부재(100)를 폴딩시킨다.
이후, 작업용 발판을 별도의 정해진 장소에 보관하거나, 플랫폼(50) 내부에 싣고 다니면서 고소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펼쳐 사용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결합수단(300)이 핸드레일(H)을 덮어씌우고 작업자가 디딤부재(100)를 딛고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핸드레일(H)로부터 작업용 발판이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지만, 고정체(110)와 가변체(120) 간에 유격 발생으로 인해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정체(11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홈부(111)와 통하는 구속공(114)이 형성된다.
이때, 구속공(114)은 고정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변체(120)에는 상기 구속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123)이 형성된다.
나사공(123)은 후술하는 구속볼트의 나사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구속볼트(400)는 고정체(110) 상에서 가변체(120)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속공(114)을 통해 나사공(123)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구속볼트(400)의 헤드부(410)는 상기 구속공(114)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구속볼트(400)의 나사 결합시 상기 헤드부(410)가 고정체(110)의 상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구속볼트(400)의 헤드부(410)는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변체(120)는 고정체(110)의 슬라이딩홈부(11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디딤부재(100)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구속볼트(400)는 구속공(114)을 통해 가변체(120)의 나사공(123)에 나사 결합되어 헤드부(410)로 하여금 고정체(110)의 상면을 압착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변체(120)는 고정체(1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구속되기도 하지만, 구속볼트(400) 헤드부(410)의 압착으로 인해 고정체(110) 상에서 가변체(120)의 상,하 방향 유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디딤부재(100)를 딛고 작업하는 중에, 고정체(110)와 가변체(120) 간에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유격 발생으로 인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공사현장의 승강장비 또는 비계 등에 탈착되면서 작업자의 고소 작업공간을 제공하되, 길이 가변 및 폴딩구조를 갖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용 발판 설치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며, 운반 및 효율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디딤부재 110 : 고정체
111 : 슬라이딩홈부 112 : 가이드돌부
113 : 연장편 H : 핸드레일
114 : 구속공 120 : 가변체
121 : 가이드홈부 122 : 손잡이홈
123 : 나사공 H : 핸드레일
200 : 힌지축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홈부 311 : 격벽
312 : 판스프링 400 : 구속볼트
410 : 헤드부

Claims (4)

  1.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디딤부재;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를 축 결합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디딤부재를 폴딩시키는 힌지축;
    상기 각 디딤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구조물 또는 승강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방에서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디딤부재 일단부는,
    서로를 향해 어긋나게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디딤부재는,
    타단부가 개구된 중공(中空)의 슬라이딩홈부를 형성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를 출입하면서 디딤부재 전체의 길이를 가변시키며, 결합수단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는 고정체의 슬라이딩홈부와 통하는 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체에는 고정체의 구속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공을 통해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체에서 가변체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구속볼트가 제공되되, 상기 구속볼트의 헤드부는 구속공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가변체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개구된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부는 가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07365A 2017-08-24 2017-08-24 작업용 발판 KR10202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ko) 2017-08-24 2017-08-24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ko) 2017-08-24 2017-08-24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21A KR20190021921A (ko) 2019-03-06
KR102026282B1 true KR102026282B1 (ko) 2019-09-30

Family

ID=6576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65A KR102026282B1 (ko) 2017-08-24 2017-08-24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2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97U (ja) * 1992-10-14 1994-05-13 ホリー株式会社 左官用足場の脚部調整機構
JPH0682282U (ja) * 1993-05-11 1994-11-25 大成建設株式会社 足場板
US5567311A (en) 1994-11-14 1996-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with electrical components isolated from leaked water
JPH10121713A (ja) * 1996-10-24 1998-05-12 Taisei Corp 荷取りステージ及びその取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21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EP3587333B1 (en) Elevator car with a movable working platform
EP3530603B1 (en) Elevator car comprising a working platform and method of moving a working platform
KR100989822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105536A (ko)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US20160304329A1 (en) Lifting device
EP1509473B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EP3560887A1 (en) Work platform with extension deck and work step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CA2834094C (en) Self-contained, portable and self-supporting scaffolding kit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US20050230194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JP6066700B2 (ja) 高所作業台
KR102026282B1 (ko) 작업용 발판
KR20200086897A (ko) Ic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안전발판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20150142909A (ko) 작업용 승강기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H1067493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装置
CN113651243B (zh) 集装箱起重机清洗装置和集装箱起重机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JP3105716U (ja) テーブルリフト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US20220371868A1 (en) Vehicle apparatus with an elevatable platform used for building 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