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656B1 -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56B1
KR102025656B1 KR1020170120688A KR20170120688A KR102025656B1 KR 102025656 B1 KR102025656 B1 KR 102025656B1 KR 1020170120688 A KR1020170120688 A KR 1020170120688A KR 20170120688 A KR20170120688 A KR 20170120688A KR 102025656 B1 KR102025656 B1 KR 10202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put
unit
collection
initi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131A (ko
Inventor
김용
임장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7012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6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거래 종료 후 카드가 배출되지 않으면 일시 회수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teller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거래 종료 후 카드가 배출되지 않으면 일시 회수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자동 지폐 거래 장치로서 입출금 장치가 실용화되었다.
이와 같은 입출금 장치는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로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기계화 코너에 설치된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카드나 통장 등에 매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화폐(현금, 수표 등)의 인출 또는 인입, 즉 입출금의 거래를 고객 자신이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은행의 영업 종료 후에도 가동할 수 있고, 백화점, 수퍼마켓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무인 운용될 수 있어 앞으로도 그 설치의 증가가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는 거래 결과 배출된 화폐를 고객, 즉 사용자가 수취하지 않고 자리를 비우는 경우, 해당 화폐의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제3 자가 이를 수취하는 금융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가 거래를 종료한 후 배출된 카드를 수취하지 않는 경우 카드가 다른 사람에 의해 수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거래 종료 후 카드가 배출되지 않으면 일시 회수하는 카드 리더기 모듈 및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은,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에 카드가 삽입되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센서부 및 상기 제1 신호 입력 시 상기 카드를 설정된 읽기 위치로 이송하여 상기 카드에 저장된 이전거래정보를 읽어들이고, 거래 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카드에 현재거래정보를 쓰기하고,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하는 카드 리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는, 상기 카드가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된 후, 상기 제1 신호가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설정된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력 모듈, 고객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고객에 의해 카드가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에 삽입되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센서부 및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설정된 읽기 위치로 이송하여 이전거래정보를 읽고, 상기 카드에 입력된 현재거래정보를 쓴 후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하는 카드 리더부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상기 고객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 모듈에 거래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거래화면에서 상기 고객이 선택한 거래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전거래정보에 금융거래결과가 반영된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거래화면에서 상기 고객이 거래종료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카드 리더부로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된 후,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고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카드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설정된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 및 금융 자동화 기기는, 고객이 삽입한 카드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완료한 후 배출된 카드를 고객이 설정된 시간 동안 회수하지 않거나, 또는 고객의 감지 결과에 따라 카드를 일시 회수함으로써, 다른 고객에 의해 카드가 수취되거나, 또는 카드로 금융 거래를 실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 및 금융 자동화 기기는, 카드가 일시 회수되는 경우, 카드 이동 정보 및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카드를 회수하지 않은 고객이 카드 회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S500)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리더기 모듈(100)은 카드 센서부(110), 레일 동작부(120) 및 카드 리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센서부(110)는 카드 입출부(미도시) 내부의 초기 위치에 카드가 삽입되면 제1 신호(s1)를 출력할 수 있다.
카드 센서부(110)는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기 카드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드를 이송하는 이송 레일을 동작시킬 수 있다.
레일 동작부(120)는 상기 이송 레일이 이동되게 회전하는 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카드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읽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130)는 카드 센서부(110)로부터 제1 신호(s1)가 입력되면, 상기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읽기 위치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부(130)는 상기 읽기 위치에 상기 카드가 이송되면, 상기 카드에 저장된 이전거래정보를 읽어들이고, 거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드에 현재거래정보를 쓸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부(130)는 상기 카드에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쓴 후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카드 리더부(130)는 상기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면 카드 센서부(110)로부터 제1 신호(s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부(130)는 제1 신호(s1)가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130)는 제1 신호(s1)가 상기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설정된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130)는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된 후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상기 카드가 재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리더부(130)는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된 후 카드 입출부에 다른 카드가 삽입되어 카드 센서부(11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가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신호(s1, s2)는 서로 동일한 전원 레벨을 갖는 동일한 신호이며, 상기 카드와 상기 다른 카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신호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즉, 카드 센서부(110)는 상기 카드 또는 상기 다른 카드를 감지하는 경우 high 신호, 즉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를 출력하고, 상기 카드 또는 상기 다른 카드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구성도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카드 리더기 모듈(100)는 카드 센서부(110), 레일 동작부(120) 및 카드 리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 동작부(120)는 이송 레일(122) 및 이송 레일(122)을 제1, 2 방향으로 이송되게 회전하는 모터(1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리더기 모듈(100)는 카드 회수 박스(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도 2(a) 내지 도 2(e)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카드 센서부(110)은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L1)를 감지하여 제1 카드(card1)가 감지되면 제1 신호(s1)를 카드 리더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부(130)는 초기 위치(L1)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를 읽기 위치(L2)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24)를 제1 회전 방향(q1)으로 회전시켜 제1 카드(card1)가 초기 위치(L1)에서 읽기 위치(L2)로 이송되게 이송 레일(122)을 제1 방향(d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부(130)는 도 2(a)와 같이 읽기 위치(L2)로 이송된 제1 카드(card1)에 저장된 이전거래정보를 읽어들이고, 거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거래정보를 쓸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부(130)는 읽기 위치(L2)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를 초기 위치(L1)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24)를 제2 회전 방향(q2)로 회전시켜 제1 카드(card1)가 읽기 위치(L2)에서 초기 위치(L1)로 이송되게 이송 레일(122)을 제2 방향(d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고객은 제1 카드(card1)를 수취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카드 센서부(110)는 도 2(b)와 같이 초기 위치(L1)에 제1 카드(card1)가 위치하면, 제1 카드(card1)를 감지하여 제1 신호(s1)를 카드 리더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s1)는 초기 위치(L1)에 제1 카드(card1)가 감지되는 시간동안 지속하여 출력되는 신호이다.
카드 리더부(130)는 제1 신호(s1)가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c)에서 카드 리더부(130)는 제1 신호(s1)가 상기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초기 위치(L1)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회수 대기 위치(L3)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24)를 제1 회전 방향(q1)로 회전시켜 제1 카드(card1)가 초기 위치(L1)에서 회수 대기 위치(L3)로 이송되게 이송 레일(122)을 제1 방향(d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부(130)는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회수 대기 위치(L3)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가 초기 위치(L1)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24)를 제2 회전 방향(q2)로 회전시켜 제1 카드(card1)가 회수 대기 위치(L3)에서 초기 위치(L1)로 재 이송되게 이송 레일(122)을 제2 방향(d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고객은 제1 카드(card1)를 수취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도 2(e)는 도 2(c) 이후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카드 센서부(110)는 제1 카드(card1)가 회수 대기 위치(L3)로 이송된 후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L1)에 제2 카드(card2)를 감지하면 제2 신호(s2)를 카드 리더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카드 리더부(130)는 초기 위치(L1)에 위치한 제2 카드(card1)를 읽기 위치(L2)로 이송함과 동시에, 회수 대기 위치(L3)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가 카드 회수 박스(140)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레일 동작부(120)는 카드 리더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24)를 제1 회전 방향(q1)으로 회전시켜 제2 카드(card2)가 초기 위치(L1)에서 읽기 위치(L2)로 이송하고, 회수 대기 위치(L3)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가 카드 회수 박스(140)로 이송되게 이송 레일(122)을 제1 방향(d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는 회수 대기 위치(L3)에 제1 카드(card1)가 위치하는 경우,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현재 위치를 유지하고, 제2 카드(card2)가 초기 위치(L1)에 위치하면 회수 대기 위치(L3)에 위치한 제1 카드(card1)를 카드 회수 박스(140)로 이송되게 함으로써, 제1 카드(card1)가 다른 고객에 의해 수취 또는 회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배출 명령은 카드 리더기 모듈(100)이 적용되는 장치 또는 기기에서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200)는 입력 모듈(210), 센서 모듈(220), 카드 리더기 모듈(230) 및 제어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10)은 터치 디스플레이부(212) 및 버튼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부(212)는 금융 거래를 위한 거래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거래화면 상에 거래명령 및 거래종료명령에 대응하는 거래선택메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버튼 입력부(214)는 상기 거래명령 및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명령은 입출금 명령, 송금 명령 및 이체 명령 등과 같이 금융 자동화 기기(200)를 통하여 고객이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 모듈(220)은 금융 자동화 기기(200)를 사용하기 위해 고객이 위치하는 설정 영역에서 고객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220)은 고객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카드 리더기 모듈(230)은 카드 센서부(310), 레일 동작부(320) 및 카드 리더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센서부(310)는 카드 입출부(미도시) 내부의 초기 위치에 제1 카드가 삽입되면 제1 신호(s1)를 출력할 수 있다.
카드 센서부(310)는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카드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레일 동작부(320)는 카드 리더부(3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드를 이송하는 이송 레일을 동작시킬 수 있다.
레일 동작부(320)는 상기 이송 레일이 이동되게 회전하는 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읽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카드 센서부(310)로부터 제1 신호(s1)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읽기 위치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읽기 위치에 상기 제1 카드가 이송되면, 상기 제1 카드에 저장된 이전거래정보를 읽어들이고, 거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카드에 현재거래정보를 쓸 수 있다.
이후,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제1 카드에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쓴 후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면 카드 센서부(310)로부터 제1 신호(s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리더부(330)는 제어 모듈(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된 후 제어 모듈(240)로부터 출력된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상기 제1 카드가 재이송되게 레일 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된 후 상기 카드 입출부에 상기 제1 카드와 다른 제2 카드가 삽입되어 카드 센서부(31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리더부(330)는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된 후 제어 모듈(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레일 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신호(s1, s2)는 서로 동일한 전원 레벨을 갖는 동일한 신호이며, 상기 제1 카드와 상기 제2 카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신호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즉, 카드 센서부(310)는 상기 제1 카드 또는 상기 제2 카드를 감지하는 경우 high 신호, 즉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카드 또는 상기 제2 카드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은 센서 모듈(220)에서 상기 고객을 감지하면 입력 모듈(210)에 거래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거래화면에서 상기 고객이 선택한 거래명령에 따라 금융 거래가 시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240)은 카드 리더부(330)에서 읽어들인 상기 이전거래정보에 금융 거래에 대한 금융거래결과가 반영된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40)은 입력 모듈(220)을 통하여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카드 리더부(330)로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카드에 쓰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은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된 후 센서 모듈(220)로부터 상기 고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카드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40)은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부(330)를 제어한 후, 입력 모듈(210)에 카드 이동 정보 및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은 상기 카드 이동 정보 및 상기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한 후, 설정 시간이 결과되면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40)은 상기 카드 이동 정보 및 상기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한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카드 회수 메뉴에 대한 카드 회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모듈(210)에 상기 제1 카드의 소유자 확인을 위한 고객 인증 화면이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40)은 상기 고객 인증 화면에 따라 입력된 고객 인증 정보가 설정된 기준 고객 인증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제어 모듈(240)은 상기 고객 인증 화면에 따라 입력된 고객 인증 정보가 설정된 기준 고객 인증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카드 리더기 모듈(230)은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에 제1 카드가 위치하면 상기 제1 카드를 읽기 위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카드에 저장된 이전거래정보를 제어 모듈(240)로 출력할 수 있다(S41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센서 모듈(220)로부터 고객을 감지하고 상기 이전거래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모듈(210)에 거래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420).
이후,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입력 모듈(210)을 통하여 입력된 거래명령에 따라 금융 거래를 수행하고, 금융거래결과가 반영된 현재거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입력 모듈(210)을 통하여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카드 리더기 모듈(230)로 출력할 수 있다(S44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카드 리더기 모듈(230)은 상기 현재거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카드에 상기 현재거래정보를 쓰기하고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S450).
이후,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카드 리더기 모듈(230)은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1 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카드를 감지한 제1 신호를 지속적으로 제어 모듈(240)로 출력할 수 있다(S46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카드 리더기 모듈(23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카드의 수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7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상기 제1 카드를 수취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 모듈(210)에 대기 화면 또는 거래 화면이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S480).
(S470) 단계 결과,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상기 제1 카드가 미수취한 것으로 판단하면, 센서 모듈(220)로부터 감지한 고객의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90).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상기 고객이 감지된 경우, (S470)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고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카드 일시 회수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S500).
도 5는 도 4에 나타낸 (S500)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제어 모듈(240)은 제1 카드를 일시 회수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서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기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S510).
또한, 제어 모듈(240)은 입력 모듈(210)에 카드 이동 정보 및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S520).
제어 모듈(240)은 카드 리더기 모듈(230)에서 출력된 제1 신호의 유지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30).
제어 모듈(240)은 제1 신호의 유지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기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S540).
또한, (S530) 단계 이후, 제어 모듈(240)은 제1 신호의 유지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입력 모듈(210)을 통하여 카드 회수 명령의 입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550).
제어 모듈(240)은 상기 카드 회수 명령이 미 입력되면 (S530)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카드 회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모듈(210)에 상기 제1 카드의 소유자 확인을 위한 고객 인증 화면이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S560).
제어 모듈(240)은 입력 모듈(210)로부터 상기 고객 인증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고객 인증 정보와 설정된 기준 고객 인증 정보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70).
제어 모듈(240)은 상기 고객 인증 정보와 상기 기준 고객 인증 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게 카드 리더기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580).
또한, (S570) 단계 이후, 제어 모듈(240)은 상기 고객 인증 정보와 상기 기준 고객 인증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회수 대기 박스로 이송되게 카드 매출 명령을 카드 리더기 모듈(230)로 출력할 수 있다(S590).
본 발명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S520) 단계를 수행한 후, 카드 리더기 모듈(230)의 카드 입출부 내부의 초기 위치에 제2 카드가 위치하면, 수행중인 카드 일시 회수 알고리즘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카드에 대한 정상 거래를 위하여, 상기 제2 카드를 읽기 위치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카드 입출부로 삽입된 카드를 초기 위치에서 읽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거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카드가 기준시간 이상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거나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입출부에 삽입한 고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카드를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입출부로 다른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킨 후, 상기 제 1 신호가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시킨 후,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입출부로 다른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와 구분되는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시킨 후, 상기 제 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방법.
  5. 입력 모듈;
    고객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고객에 의해 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는 카드 입출부;
    상기 카드 입출부의 내부인 초기 위치에 상기 카드가 위치되면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센서부; 및
    상기 카드 입출부를 통해 상기 카드가 투입되어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면 금융거래를 수행하도록 상기 카드를 읽기 위치로 이송하고,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하는 카드 리더부;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상기 고객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 모듈에 거래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수취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카드가 미수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상기 고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카드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에는,
    상기 거래화면을 표시하며, 거래명령 및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터치입력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거래명령 및 상기 거래종료명령이 입력되는 버튼 입력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는,
    설정영역에서 상기 고객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드가 상기 초기 위치, 상기 읽기 위치 및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카드가 안착된 이송 레일을 동작시키는 레일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된 후 카드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가 상기 읽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된 후, 상기 제 1 신호가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입력되면 상기 카드가 미수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센서부는 상기 카드 입출부에 다른 카드가 삽입되어 상기 초기 위치에 상기 다른 카드가 위치되면 제 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제 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가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 이송되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모듈에 카드 이동 정보 및 카드 회수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 이동 정보 및 상기 카드 회수 메뉴를 표시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 이동 정보 및 상기 카드 회수 메뉴를 표시한 후 상기 카드 회수 메뉴에 대한 카드 회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 모듈에 상기 카드의 소유자 확인을 위한 고객 인증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고객 인증 화면에 따라 입력된 고객 인증 정보가 설정된 기준 고객 인증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고객 인증 화면에 따라 입력된 고객 인증 정보가 설정된 기준 고객 인증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카드를 상기 회수 대기 위치에서 카드 회수 박스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카드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70120688A 2017-09-19 2017-09-19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88A KR102025656B1 (ko) 2017-09-19 2017-09-19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88A KR102025656B1 (ko) 2017-09-19 2017-09-19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31A KR20190032131A (ko) 2019-03-27
KR102025656B1 true KR102025656B1 (ko) 2019-11-04

Family

ID=6590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688A KR102025656B1 (ko) 2017-09-19 2017-09-19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5123A (zh) * 2022-07-15 2022-10-21 上海动联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os机的增强非接卡读卡稳定性的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527A (ja) * 2002-06-25 2004-01-29 Aruze Corp 遊技媒体供給用カード回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566B1 (ko) * 2005-12-29 2012-08-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카드처리장치
KR20100052708A (ko) * 2008-11-11 2010-05-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1747529B1 (ko) * 2015-09-02 2017-06-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527A (ja) * 2002-06-25 2004-01-29 Aruze Corp 遊技媒体供給用カード回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31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656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087316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2009157595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5088015B2 (ja) 自動取引装置
KR20120012116A (ko) 입금액 수정기능이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JP2003208655A (ja) 自動取引装置
JP5564767B2 (ja) 自動取引装置
JP4769852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1118716A (ja) 自動取引装置
KR20120087765A (ko) 통장 취급 장치 및 통장 취급 방법
JP5100404B2 (ja) 取引処理装置
JP5433241B2 (ja) 自動取引装置
JP5061648B2 (ja) 自動取引装置
JP5494765B2 (ja) 自動取引装置
JP4552608B2 (ja) 自動取引装置
JP3990879B2 (ja) Atm監視システム
JP5082718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20110002249A (ko) 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7152844A (ja) 自動取引装置
JP5417224B2 (ja) 取引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方法
KR10202743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63706A (ko) 승인코드를 이용한 비정상 모드로 구동되는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04716B1 (ko) 금융 기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6031355A (ja) 取り忘れ媒体取り込み通知システム
JP2013152664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