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191B1 - 터널 차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차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5191B1 KR102025191B1 KR1020170123313A KR20170123313A KR102025191B1 KR 102025191 B1 KR102025191 B1 KR 102025191B1 KR 1020170123313 A KR1020170123313 A KR 1020170123313A KR 20170123313 A KR20170123313 A KR 20170123313A KR 102025191 B1 KR102025191 B1 KR 102025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nnel
- expansion
- toxic gas
- expansion structure
- expand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7 radi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03—Dams, e.g. for ventilation
- E21F17/107—Dams, e.g. for ventilation infla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7/00—Methods or devices for drawing- off gases with or without subsequent use of the gas for any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팽창구조체(first inflatable structure)와, 신선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마련되며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되면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는 제2팽창구조체(second inflatable 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내 발생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고, 신선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널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의 시공 및 운영 중 화재 및 폭발 등에 따른 유독가스가 터널에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터널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으로는 일본과 서쪽으로는 중국이 위치하여 지리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점을 살려 이들 국가 및 주변 국가를 연결하여 세계물류 및 관광 등 경제의 중심지로 발전되기 위하여 해저시설물의 건설이 필요한 시기이며, 현재 유럽, 일본, 중국 등 해외 건설시장에 있어서 해저터널 관련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터널에 관련된 차폐 연구가 거의 없었고, 해저 시설물의 관련된 연구는 더욱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해저터널의 시공 및 운영 중 화재 및 테러(폭발 등)에 따른 유독가스 발생시 터널 내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해저터널의 경우 일반 육상터널에 비하여 고수압 조건 및 지반조사의 한계성 등으로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며, 터널 내부에서 유독가스가 확산되면 화염과 열에 의한 1차 피해보다는 연기(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이 인명 피해의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터널 내 급속히 확산되는 유독가스에 대응하기 위한 차폐 설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유독가스에 대응하기 위한 차폐 설비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유독가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터널 차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널내 발생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고, 터널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을 급속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며, 차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팽창구조체(first inflatable structure)와, 신선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마련되며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되면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는 제2팽창구조체(second inflatable structure)를 포함한다.
이는, 터널의 시공 및 운영 중 화재 및 폭발 등에 따른 유독가스가 터널에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터널의 내부에서 유독가스가 발생되면,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켜 터널의 내부 공간이 차단함과 동시에 터널의 내부 공간에 신선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내 발생된 유독가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2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신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따른 부피 변화에 따라 제2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신선 공기가 터널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 및 제어를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유독가스를 직접 흡입하고, 흡입된 유독가스에 의하여 팽창구조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부에 발생된 유독가스의 처리(격리 또는 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확산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팽창구조체는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풍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팽창구조체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팽창구조체는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팽창체와,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어 제1팽창체에 밀착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부를 차단하는 제2팽창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팽창체를 이용하여 터널을 차폐하는 것에 의하여, 차폐 시간을 보다 단축하고, 차폐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팽창구조체가 단일 팽창체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팽창구조체는 불연재 또는 내화재로 형성된다.
또한, 제1팽창구조체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제1팽창구조체를 터널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팽창구조체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터널의 특성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터널 내 팽창구조체의 설치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는 터널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장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는 터널의 천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팽창구조체를 터널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예를 들어, 터널의 천장)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에서 유독가스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유독가스(예를 들어, 연기)가 급속히 상승하는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터널의 높은 곳에 제1팽창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연기가 먼저 모여지는 터널의 높은 곳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터널 내 발생된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 또는 구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팽창구조체는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되면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신선 공기라 함은, 유독 가스 또는 유해 물질이 포함되지 않으며, 산소 함유량이 높은 깨끗한 공기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팽창구조체는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됨에 따른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가압되면서 터널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팽창구조체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신선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제1팽창구조체에 부착되는 구조체바디와, 공기 배출구를 막도록 구조체바디에 부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의하여 구조체바디가 가압되면, 차단부재에 의한 공기 배출구의 차단이 해제된다.
이때, 구조체바디는, 제1팽창구조체에 차단되는 터널 내의 제1공간에 노출되는 제1구조체바디와, 제1팽창구조체에 차단되는 터널 내의 제2공간에 노출되는 제2구조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팽창구조체가 3개 이상의 구조체바디를 포함하거나, 단 하나의 구조체바디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의하여 구조체바디가 가압되면, 커버부재는 구조체바디에서 분리되거나 찢어지도록 구성되며, 커버부재의 분리 및 찢김에 의해 공기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차단부재는 제1팽창구조체에 의한 터널의 차단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 제1팽창구조체를 배치하고,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서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됨에 따라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 주입된 신선 공기가 제2팽창구조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를 감지하는 유독가스 감지부와, 유독가스 감지부에서 유독가스가 감지되면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er)를 포함한다.
유독가스 감지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터널 내부의 유독가스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독가스 감지부는 이온화식 연기 감지 방식 또는 광전식 연기 감지 방식 등에 의해 유독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는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플레이터는 공기저장부(예를 들어, 공기 탱크)에 저장된 공기를 팽창 가스로 공급하여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일 예로, 인플레이터는 터널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인플레이터는 터널 내에 유독가스가 발생되면,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유독가스로 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플레이터는 터널의 내부에서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가스흡입부와, 흡입부에 흡입된 유독가스를 팽창구조체로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팽창구조체는 터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가스흡입부는 팽창구조체 간의 사이 구간에서 유독가스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가스흡입부는 팽창구조체 간의 사이 구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입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흡입라인은 팽창구조체 간의 사이 구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흡입라인에서는 동시에 유독가스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흡입라인을 통해 팽창구조체 간의 사이 구간에 발생된 유독가스가 동시에 흡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유독가스의 흡입 효율을 높이고, 흡입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비상통로를 형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제1팽창구조체는 개폐부의 둘레에 밀착되게 팽창된다. 이와 같이, 유독가스 발생지점이 제1팽창구조체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더라도, 차단 구간(제1팽창구조체에 의해 차단된 구간)의 내부에 있던 통행자 또는 작업자는 개폐부에 의해 제공되는 비상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비차단 구간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터널 차폐 시스템은, 유독 가스 발생 상황이 완료된 후 제1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유독 가스를 배출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유독가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내 발생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고, 유독가스를 이용하여 터널을 차폐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의 내부에서 유독가스가 발생되면,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켜 터널의 내부 공간이 차단함과 동시에 터널의 내부 공간에 신선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내 발생된 유독가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신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따른 부피 변화에 따라 제2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신선 공기가 터널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 및 제어를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부의 유독가스를 직접 흡입하고, 흡입된 유독가스에 의하여 팽창구조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부에 발생된 유독가스의 처리(격리 또는 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확산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팽창구조체를 이용하여 터널을 차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폐 시간을 보다 단축하고, 차폐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제1팽창구조체와 제2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인플레이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제1팽창구조체와 제2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인플레이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제1팽창구조체와 제2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팽창구조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인플레이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으로서, 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팽창구조체(first inflatable structure)(100)와, 신선 공기(FG)가 주입된 상태로 마련되며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되면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FG)를 공급하는 제2팽창구조체(second inflatable structure)(200)를 포함한다.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10)의 시공 및 운영 중 화재 및 폭발 등에 따른 유독가스(PG) 발생시 터널(10)을 차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널(10)이라 함은, 육상터널, 지하터널 및 해저터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터널(1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팽창구조체(100)는 선택적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풍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팽창구조체(10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팽창구조체(100)는 평상시(터널 내부에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시) 수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유독가스(PG)가 발생되면 인플레이터(300)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며 터널(10)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100)는 플렉시블한 구조로 제공되어 터널(1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게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제1팽창구조체(100)는 가볍고,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압에 의해 충분한 구조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1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팽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의 부피로 설치될 수 있는 재료강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100)는 불연재 또는 내화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팽창구조체(100)의 재질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팽창구조체(100)가 터널(10) 내부를 상호 협조적으로 차폐시키는 복수개의 팽창체(110,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팽창체(110)와,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어 제1팽창체(110)에 밀착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부를 차단하는 제2팽창체(1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팽창체를 이용하여 터널을 차폐하는 것에 의하여, 차폐 시간을 보다 단축하고, 차폐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팽창구조체가 단일 팽창체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팽창체(110) 및 제2팽창체(120)는 터널(10) 내부에 유독가스(PG)가 발생될 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함께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팽창체(110) 및 제2팽창체(120)가 함께 제어된다 함은, 제1팽창체(110) 및 제2팽창체(120)가 동시에 동일한 조건(예를 들어, 팽창 가스 공급 조건)으로 팽창되는 상태, 제1팽창체(110)와 제2팽창체(120)가 시간차를 두고 서로 다른 조건으로 순차적 팽창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팽창구조체(200)는 신선 공기(FG)가 주입된 상태로 제1팽창구조체(100)에 연결되며,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되면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FG)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신선 공기(FG)라 함은, 유독 가스 또는 유해 물질이 포함되지 않으며, 산소 함유량이 높은 깨끗한 공기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팽창구조체(200)는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됨에 따른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가압되면서 터널에 신선 공기(FG)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팽창구조체(200)는, 공기 배출구(212)를 포함하며 신선 공기(FG)가 주입된 상태로 제1팽창구조체(100)에 부착되는 구조체바디(210)와, 공기 배출구(212)를 막도록 구조체바디(210)에 부착되는 차단부재(220)를 포함하며, 제1팽창구조체(100)의 팽창에 의하여 구조체바디(210)가 가압되면, 차단부재(220)에 의한 공기 배출구(212)의 차단이 해제된다.
구조체바디(210)는 내부에 신선 공기(FG)가 주입된 공기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체바디(210)의 형태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구조체바디(210)는 제1팽창구조체(100)와 마찬가지로 불연재 또는 내화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팽창구조체(100)의 재질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조체바디(210)가, 제1팽창구조체(100)에 차단되는 터널 내의 제1공간(도 4의 10a 참조)에 노출되도록 제1팽창구조체(100)의 측부에 연결(예를 들어, 부착)되는 제1구조체바디(210)와, 제1팽창구조체(100)에 차단되는 터널 내의 제2공간(도 4의 10b 참조)에 노출되도록 제1팽창구조체(100)의 다른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2구조체바디(210)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팽창구조체가 3개 이상의 구조체바디를 포함하거나, 단 하나의 구조체바디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단부재(220)는 공기 배출구(212)를 막도록 구조체바디(210)에 부착되며, 차단부재(220)가 공기 배출구(212)를 막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구조체바디(210)의 내부에 주입된 신선 공기(FG)가 주입 상태가 유지된다.
차단부재(220)는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구조체바디(210)에 재봉하여 부착될 수 있으며, 차단부재(220)의 부착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됨에 따라 구조체바디(210)가 제1팽창구조체(100)에 의해 가압되면, 차단부재(220)에 의한 공기 배출구(212)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팽창구조체(100)의 팽창에 의하여 구조체바디(210)가 가압된다 함은, 구조체바디(210)에 눌러주는 힘이 가해지며 구조체바디(2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상태 또는 팽창되는 상태로 정의된다. 제1팽창구조체(100)의 팽창에 의하여 구조체바디(21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 증가하면(또는 구조체바디(210)가 팽창되면), 커버부재는 구조체바디(210)에서 분리되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분리 및 찢김에 의해 공기 배출구(212)가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부재(220)는 구조체바디(210)의 내부 압력이 일정이상 증가하면 구조체바디(210)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차단부재(220)는 제1팽창구조체(100)에 의한 터널의 차단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기 배출구(212)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차단부재(220)에 의한 공기 배출구(212)의 개방 시점은, 제1팽창구조체(100)에 대한 구조체바디(210)의 부착 구조 및 위치를 변경하거나, 차단부재(220) 또는 구조체바디(210)의 재질을 변경하는 것에 조절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 제1팽창구조체를 배치하고,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서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됨에 따라 제2팽창구조체의 내부에 주입된 신선 공기가 제2팽창구조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팽창구조체(100)는 평상시(터널 내부에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시) 수축된 상태(비팽창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바, 제1팽창구조체(100)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제1팽창구조체(100)를 터널(10)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제1팽창구조체(100)의 비팽창 상태를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지지부재(130)로서는 통상의 망(net)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부재로서 통상의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망과 프레임 또는 여타 다른 부재를 조합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전술한 제1팽창구조체(10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터널(10)의 특성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터널(10) 내 제1팽창구조체(100)의 설치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의 천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팽창구조체(100)를 터널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예를 들어, 터널의 천장)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터널 내에서 유독가스(PG)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유독가스(PG제2팽창구조체(200)예를 들어, 연기)가 급속히 상승하는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터널의 높은 곳에 제1팽창구조체(10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연기가 먼저 모여지는 터널의 높은 곳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터널 내 발생된 유독가스(PG)가 다른 공간 또는 구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PG)를 감지하는 유독가스 감지부(302)와, 유독가스 감지부(302)에서 유독가스가 감지되면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er)(300)를 포함한다.
유독가스 감지부(302)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터널(10) 내부의 유독가스(PG)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독가스 감지부(302)는, 방사성 물질을 이용을 하여 유독가스(PG제2팽창구조체(200)예를 들어, 연기)에 의한 이온전류의 변화량을 통해 터널(10) 내부에 발생된 유독가스(PG)를 감지(이온화식 연기 감지 방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독가스 감지부가 유독가스(예를 들어, 연기)에 의한 광량의 변화량을 통해 터널 내부에 발생된 유독가스를 감지(광전식 연기 감지 방식)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유독가스 감지부가 여타 다른 방식으로 유독가스를 감지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 감지부의 구조 및 감지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플레이터(300)는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플레이터(300)는 공기저장부(예를 들어, 공기 탱크)에 저장된 공기를 팽창 가스로 공급하여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다른 일 예로, 인플레이터(300)는 터널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플레이터(300)가 터널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인플레이터(300)는 터널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플레이터(300)는 터널 내에 유독가스(PG)가 발생되면, 유독가스(PG)를 흡입하여 유독가스(PG)로 제1팽창구조체(100)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300)는 터널의 내부에서 유독가스(PG)를 흡입하는 가스흡입부(310)와, 흡입부에 흡입된 유독가스(PG)를 제1팽창구조체(100)로 공급하는 가스공급부(320)를 포함한다.
가스흡입부(310)와 가스공급부(320)는 통상의 공기펌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팽창체(110) 및 제2팽창체(120)에 유독가스(PG)를 공급할 수 있다면, 가스흡입부(310)와 가스공급부(320)가 여타 다른 장비 및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팽창구조체(100)는 터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가스흡입부(310)는 제1팽창구조체(100) 간의 사이 구간에서 유독가스(PG)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가스흡입부(310)는 제1팽창구조체(100) 간의 사이 구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입라인(2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흡입라인(212)은 제1팽창구조체(100) 간의 사이 구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흡입라인(212)에서는 동시에 유독가스(PG)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흡입라인(212)을 통해 제1팽창구조체(100) 간의 사이 구간에 발생된 유독가스(PG)가 동시에 흡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유독가스(PG)의 흡입 효율을 높이고, 흡입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팽창구조체(100)가 유독가스(PG)에 의해서만 팽창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팽창구조체의 팽창 속도를 단축하기 위하여, 팽창구조체에 유독가스와 함께 다른 팽창가스(미리 준비된 가스)가 함께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유독가스 감지부(302)에서 유독가스(PG)가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되기 직전의 상태로 대기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유독가스 감지부(302)에서 유독가스(PG)가 감지되면, 지지부재(130)에 의한 제1팽창구조체(100)의 지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0)의 의한 제1팽창구조체(100)의 지지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팽창구조체(100)는 팽창되기 용이하도록 펼쳐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터널 차폐 시스템은, 유독가스 감지부(302)에서 유독가스(PG)가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신호라 함은 통상의 음향수단에 의한 청각적 경보신호, 및 통상의 경고등에 의한 시각적 경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터널(10) 통행자 및 작업자에게 이상 유독가스(PG) 발생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는 여타 다른 다양한 경보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터널 차폐 시스템은, 터널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비상통로를 형성하는 개폐부(12)를 포함하고, 팽창구조체(100)는 개폐부(12)의 둘레에 밀착되게 팽창된다.
일 예로, 개폐부(12)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선택적으로 비상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1팽창구조체(100)는 개폐부(12)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팽창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가 여타 다른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개폐부의 개폐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유독가스(PG) 발생지점이 제1팽창구조체(100)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더라도, 차단 구간(제1팽창구조체에 의해 차단된 구간)의 내부에 있던 통행자 또는 작업자는 개폐부(12)에 의해 제공되는 비상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비차단 구간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터널 차폐 시스템은, 유독 가스 발생 상황이 완료된 후 제1팽창구조체(100)에 주입된 유독 가스(PG)를 배출하는 후처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부(400)는 통상의 여과 또는 집진 방식 등으로 유독 가스를 처리한 후 배출할 수 있으며, 후처리부(400)에 의한 후처리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후처리부가 유독 가스를 여과(또는 정화)시키지 않고 곧바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처리부를 통해 배출된 유독 가스는 터널 외측 또는 지상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차폐 시스템에 의한 터널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이, 터널(10) 내부에 유독가스(PG)가 발생하면, 유독가스 감지부(302)가 유독가스(PG)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유독가스 감지부(302)에서 유독가스(PG)가 감지되면, 도 6과 같이, 지지부재(130)에 의한 제1팽창구조체(100)의 지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0)의 의한 제1팽창구조체(100)의 지지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팽창구조체(100)는 팽창되기 용이하도록 펼쳐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9와 같이, 유독가스(PG) 발생지점에서 발생된 유독가스(PG)가 인플레이터(300)를 통해 흡입된 후 제1팽창구조체(100)로 공급됨에 따라 제1팽창구조체(100)가 팽창된다.
도 4와 같이, 제1팽창구조체(100)가 일정 이상 팽창(터널을 차단하도록 팽창)됨에 따라 구조체바디(210)가 가압되면, 구조체바디(2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커버부재가 구조체바디(210)에서 분리되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분리 및 찢김에 의해 공기 배출구(212)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공기 배출구(21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구조체바디(210)의 내부에 주입되어 있된 신선 공기(FG)가 터널(10)의 내부 공간에 공급됨으로써,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8과 같이, 제1팽창구조체(100)의 팽창이 완료되면 제1팽창구조체(100)가 터널(1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구조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때, 제1팽창구조체(100)에는 구조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터널 100 : 제1팽창구조체
110 : 제1팽창체 120 : 제2팽창체
130 : 지지부재 200 : 제2팽창구조체
210 : 구조체바디 212 : 공기 배출구
220 : 차단부재 300 : 인플레이터
302 : 유독가스 감지부 310 : 가스흡입부
320 : 가스공급부
110 : 제1팽창체 120 : 제2팽창체
130 : 지지부재 200 : 제2팽창구조체
210 : 구조체바디 212 : 공기 배출구
220 : 차단부재 300 : 인플레이터
302 : 유독가스 감지부 310 : 가스흡입부
320 : 가스공급부
Claims (16)
-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터널 차폐 시스템에 있어서,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팽창구조체(first inflatable structure)와;
신선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되면 상기 터널 내부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제1팽창구조체가 팽창됨에 따른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에 상기 신선 공기를 공급하는 제2팽창구조체(second inflatable 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구조체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며, 신선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부착되는 구조체바디와;
상기 공기 배출구를 막도록 상기 구조체바디에 부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구조체바디가 가압되면, 상기 차단부재에 의한 상기 공기 배출구의 차단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구조체바디가 가압되면,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구조체바디에서 분리되거나 찢어지며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의한 상기 터널의 차단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바디는,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차단되는 상기 터널 내의 제1공간에 노출되는 제1구조체바디와;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차단되는 상기 터널 내의 제2공간에 노출되는 제2구조체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는,
상기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며 상기 터널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팽창체와;
상기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어 상기 제1팽창체에 밀착되며 상기 터널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부를 차단하는 제2팽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를 상기 터널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구조체는 상기 터널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구조체는 상기 터널의 천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와 상기 제2팽창구조체는 불연재 또는 내화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서 유독가스를 감지하는 유독가스 감지부와;
상기 유독가스 감지부에서 상기 유독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유독가스로 상기 제1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터널의 내부에서 상기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가스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흡입된 상기 유독가스를 상기 제1팽창구조체로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주입된 상기 유독 가스를 배출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비상통로를 형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팽창구조체는 상기 개폐부의 둘레에 밀착되게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차폐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313A KR102025191B1 (ko) | 2017-09-25 | 2017-09-25 | 터널 차폐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313A KR102025191B1 (ko) | 2017-09-25 | 2017-09-25 | 터널 차폐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823A KR20190034823A (ko) | 2019-04-03 |
KR102025191B1 true KR102025191B1 (ko) | 2019-09-25 |
Family
ID=6616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3313A KR102025191B1 (ko) | 2017-09-25 | 2017-09-25 | 터널 차폐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51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96815A (zh) * | 2021-01-13 | 2021-05-14 | 北京交通大学 | 一种管道气体处理装置及方法 |
KR102701418B1 (ko) * | 2023-11-30 | 2024-08-30 | 강흥묵 | 부력을 이용한 지하차도용 안전펜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5471A (ja) * | 1998-09-25 | 2002-08-13 | テムズ ウォーター ユーティリティーズ リミテッド | 地下通路閉止装置 |
US20130199423A1 (en) * | 2012-02-08 | 2013-08-08 | Paragon Space Development Corporation | Mine Emergency Refuge Systems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313A patent/KR1020251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5471A (ja) * | 1998-09-25 | 2002-08-13 | テムズ ウォーター ユーティリティーズ リミテッド | 地下通路閉止装置 |
US20130199423A1 (en) * | 2012-02-08 | 2013-08-08 | Paragon Space Development Corporation | Mine Emergency Refuge Syste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823A (ko)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4176B1 (ko) | 터널 차폐 시스템 | |
KR102431474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 |
KR102025191B1 (ko) | 터널 차폐 시스템 | |
KR101144821B1 (ko) |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 |
JP5599511B2 (ja) | 通常状態及び火災状態におけるトンネル換気方法及びシステム | |
WO2014104580A1 (ko) | 피난장치 | |
JP2007529710A (ja) | 衝風緩和装置及び衝風緩和構造 | |
EP3744639A1 (en) | Control method for drone with airbag, and drone with airbag | |
KR101125188B1 (ko) |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 |
KR101659438B1 (ko) | 정전기 제거부스 | |
KR101571090B1 (ko) | 이동식 분진 집진장치 | |
KR102695873B1 (ko) | 터널 화재 연기 차단 시스템 | |
CN106050094A (zh) | 一种排烟门 | |
KR101801739B1 (ko) |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 |
JP4642526B2 (ja) | 防災設備 | |
WO2019146915A1 (ko) | 호흡용 공기취입식 후드 | |
JP3194894U (ja) | 大気圧膨張式衝撃緩和装置 | |
CN110404200B (zh) | 快速隔离救援设备、地下空间救援支护及火灾救援方法 | |
NO20151667A1 (no) | Anordning for opprettelse av rømningsvei i tunneler | |
KR101725900B1 (ko) | 터널에서의 유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 |
WO2015075058A1 (en) | Marine escape systems | |
KR101776457B1 (ko) | 급속 차폐 시스템 | |
US11970852B2 (en) | Optimized inflatable barriers | |
JP2005180744A (ja) | 拘束網展開装置および拘束網展開方法 | |
KR102188299B1 (ko) | 구조물 연결형 공기 정화 도어락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