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457B1 - 급속 차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속 차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457B1
KR101776457B1 KR1020160009200A KR20160009200A KR101776457B1 KR 101776457 B1 KR101776457 B1 KR 101776457B1 KR 1020160009200 A KR1020160009200 A KR 1020160009200A KR 20160009200 A KR20160009200 A KR 20160009200A KR 101776457 B1 KR101776457 B1 KR 10177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floating member
sensing unit
shield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155A (ko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4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급속 차폐 시스템은, 상기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폐부와, 상기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는 플로팅부재와,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상기 차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터널내 유입되는 용수 및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터널을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속 차폐 시스템{RAPID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급속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의 시공 및 운영 중 누수, 침수 및 폭발 등에 따른 돌발 용수가 터널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급속 차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으로는 일본과 서쪽으로는 중국이 위치하여 지리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점을 살려 이들 국가 및 주변 국가를 연결하여 세계물류 및 관광 등 경제의 중심지로 발전되기 위하여 해저시설물의 건설이 필요한 시기이며, 현재 유럽, 일본, 중국 등 해외 건설시장에 있어서 해저터널 관련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터널에 관련된 방수 연구가 거의 없었고, 해저 시설물의 관련된 연구는 더욱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해저시설물의 건설에 있어서 해저터널의 시공 및 운영 중 누수, 침수 및 테러(폭발 등)에 따른 돌발 용수 발생시 터널 내 유입수에 대한 제어용 고성능 차폐설비시스템과 이와 관련된 터널 내 수리거동 예측 기술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위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시공 전반에 걸쳐 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까지 위험할 수 있다.
특히, 해저터널의 경우 일반 육상터널에 비하여 고수압 조건 및 지반조사의 한계성 등으로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며, 해저터널은 시공 또는 운영 중 누수, 침수 특히, 테러(폭발 등)에 따른 돌발용수(突發湧水) 발생시 터널 내 급속히 유입되는 다량의 해수에 대응하기 위한 차폐 설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용수 및 이상 유입수에 대응하기 위한 차폐 설비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용수 및 이상 유입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급속 차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널내 유입되는 용수 및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터널을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는 급속 차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을 급속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며, 차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급속 차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속 차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급속 차폐 시스템은, 상기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폐부와, 상기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는 플로팅부재와,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상기 차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터널내 유입되는 용수 및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터널을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널이라 함은, 육상터널, 지하터널 및 해저터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터널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로팅부재가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된다 함은, 터널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플로팅부재의 부양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차폐부는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차폐부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차폐부는 터널 내부에서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구조체(inflatable structure), 및 상기 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구조체로서는 선택적으로 수축 및 평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팽창구조체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차폐부는 터널 내부의 일부를 차폐시키는 제1팽창구조체, 및 터널 내부의 다른 일부를 차폐시키는 제2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폐부가 단일 팽창구조체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팽창구조체는 평상시(터널 내부에 유입수가 발생하지 않을 시) 수축된 상태(비팽창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바, 팽창구조체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팽창구조체를 터널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팽창구조체의 비팽창 상태를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로팅부재는 부양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플로팅부재의 재질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로팅부재의 부양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터널의 내부에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가이드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플로팅부재는 회전가이드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터널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부양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널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직선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플로팅부재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직선가이드부재를 따라 직선 이동하며 부양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터널의 내부에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감지부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감지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이동하며, 타단에는 플로팅부재가 연결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는 회전가이드부재의 접촉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의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는 기설정된 부양 높이(float level)에서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여기서, 감지부가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한다 함은, 미리 설정된 부양 높이까지 플로팅부재가 부양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기설정된 부양 높이는 터널의 종류, 특성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플로팅부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플로팅부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로서는 플로팅부재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부재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여타 다른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터널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를 터널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널 내부에는 유입수를 터널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통상의 배수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신호라 함은 통상의 음향수단에 의한 청각적 경보신호, 및 통상의 경고등에 의한 시각적 경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터널 통행자 및 작업자에게 이상 유입수 발생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는 여타 다른 다양한 경보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시공 및 운영시 갑작스런 용수 및 이상 유입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내 유입되는 용수 및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터널을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터널내 돌발용수와 같은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대규모 인적, 물적 피해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가 필요한 수위가 감지되면 팽창구조체가 곧바로 자동 팽창될 수 있게 함으로써, 터널을 급속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며, 차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팽창구조체를 이용하여 터널을 차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폐 시간을 보다 단축하고, 차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의 침수를 차단하고 터널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으로서, 차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으로서, 플로팅부재를 이용한 차폐부의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으로서, 차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으로서, 플로팅부재를 이용한 차폐부의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은 차폐부(200), 플로팅부재(310), 감지부(32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200)는 터널(10)의 시공 및 운영 중 누수, 침수 및 폭발 등에 따른 돌발 용수 발생시 터널(10) 내 유입수를 차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널(10)이라 함은, 육상터널, 지하터널 및 해저터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터널(1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폐부(200)는 터널(10)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차폐부(200)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차폐부(200)는 터널(10) 내부를 상호 협조적으로 차폐시키는 제1차폐부(210) 및 제2차폐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차폐부(210) 및 제2차폐부(220)는 각각 터널(10) 내부에서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구조체(inflatable structure), 및 상기 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변 외력이 해제될 시 팽창구조체가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팽창구조체는 평상시(터널 내부에 유입수가 발생하지 않을 시) 수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유입수가 발생되면 가스공급부로부터 팽창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며 터널(10)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팽창구조체로서는 선택적으로 수축 및 평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팽창구조체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구조체는 플렉시블한 구조로 제공되어 터널(1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게 팽창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구조체는 가볍고,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압에 의해 충분한 구조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구조체는 터널(1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팽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의 부피로 설치될 수 있는 재료강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팽창구조체는 통상의 패브릭(fabric)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팽창구조체의 재질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폐부(200)가 터널(10) 내부를 상호 협조적으로 차폐시키는 복수개의 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차폐부(200)는 상기 터널(10) 내부의 일부를 차폐시키는 제1팽창구조체(212), 및 상기 터널(10) 내부의 다른 일부를 차폐시키는 제2팽창구조체(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폐부가 단일 팽창구조체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팽창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팽창구조체(212) 및 제2팽창구조체(222)는 터널(10) 내부에 유입수가 발생될 시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함께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212) 및 제2팽창구조체(222)가 함께 제어된다 함은, 제1팽창구조체(212) 및 제2팽창구조체(222)가 동시에 동일한 조건(예를 들어, 팽창 가스 공급 조건)으로 팽창되는 상태, 및 제1팽창구조체(212) 및 제2팽창구조체(222)가 시간차를 두고 서로 다른 조건으로 순차적 팽창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는 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예를 들어, 공기)를 공급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공급부가 제1팽창구조체(212)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가스공급부(214), 및 제2팽창구조체(222)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가스공급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가스공급부(214) 및 제2가스공급부(224)는 통상의 공기펌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팽창구조체(212) 및 제2팽창구조체(222)에 팽창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면, 제1가스공급부(214) 및 제2가스공급부(224)가 여타 다른 장비 및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구조체는 평상시(터널 내부에 유입수가 발생하지 않을 시) 수축된 상태(비팽창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바, 상기 팽창구조체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팽창구조체를 터널(10)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216,2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16,226)는 팽창구조체의 비팽창 상태를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216,226)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재(216,226)로서는 통상의 망(net)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부재로서 통상의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망과 프레임 또는 여타 다른 부재를 조합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전술한 팽창구조체의 설치 위치 및 갯수는 터널(10)의 특성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터널(10) 내 팽창구조체의 설치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팽창구조체는 리스크 시나리오상 요구되는 지점(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전후방), 터널(10) 단면이 작은 지점, 해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할 수 있는 지점, 지반조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지점,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점, 구난역과 근접한 지역, 터널(10)구조물의 구조적 강성이 큰 지점(예를 들어, 횡갱 위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위치 외에도 차폐 시설이 필요한 위치라면 여타 다른 위치에 팽창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도록 제공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플로팅부재(310)가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된다 함은, 터널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플로팅부재(310)의 부양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유입수 상에 부양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플로팅부재(310)의 재질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내부에 부력챔버(예를 들어, 공기챔버)가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의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플로팅부재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로팅부재(310)가 내부에 부력챔버가 구비된 구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플로팅부재(310)의 부양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널의 내부에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가이드부재(33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회전가이드부재(330)의 타단에 연결되어, 터널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회전가이드부재(33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부양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0)는 기설정된 부양 높이(float level)에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320)가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한다 함은, 미리 설정된 부양 높이까지 플로팅부재(310)가 부양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 높이가 커질수록 터널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기설정된 부양 높이는 터널의 종류, 특성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지부(3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플로팅부재(310)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320)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플로팅부재(310)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부(320)로서는 플로팅부재(310)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부재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여타 다른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터널(10) 시공 및 운영시 터널(10)내 유입되는 용수 및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플로팅부재(310)가 기설정된 부양 높이까지 부양되어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를 감지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차폐부(200)가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참고로, 차폐부(200)의 작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상기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를 감지하면, 먼저, 지지부재(216,226)에 의한 팽창구조체(212,222)의 지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216,226)의 의한 팽창구조체(212,222)의 지지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팽창구조체는 팽창되기 용이하도록 펼쳐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도 5와 같이, 팽창구조체(212,222)가 최대한 빠르게 급속 팽창될 수 있도록 제어부(400)는 가스공급부가 최대의 출력으로 팽창 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팽창구조체(212,222)의 팽창이 완료되면 팽창구조체(212,222)가 터널(1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구조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400)는 팽창구조체(212,222)가 구조형태를 유지 가능한 내압을 유지하도록 가스공급부(214,22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면, 터널(10)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를 터널(10)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널(10) 내부에는 유입수를 터널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통상의 배수부(50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신호라 함은 통상의 음향수단에 의한 청각적 경보신호, 및 통상의 경고등에 의한 시각적 경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터널(10) 통행자 및 작업자에게 이상 유입수 발생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는 여타 다른 다양한 경보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은, 상기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폐부(200), 상기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는 플로팅부재(310'),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는 감지부(320'), 및 상기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면 차폐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며 부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널(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터널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가이드부재(33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직선가이드부재(330')를 따라 직선 이동하며 부양될 수 있다.
상기 직선가이드부재(330')를 따른 플로팅부재(310')의 직선 이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플로팅부재(310')는 대략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가이드부재(330')의 외주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선가이드부재 및 플로팅부재 간의 상호 대향면에 직선 이동 가능한 돌기 및 홈으로 조합된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직선가이드부재(330')의 상단에는 감지부(3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플로팅부재(310')가 기설정된 부양 높이로 부양되어 감지부(320')에 접촉되면, 차폐부(200)가 자동적으로 작동(터널 차폐 작동)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부가 직접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차폐 시스템은, 상기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폐부(200), 상기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는 플로팅부재(310"),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는 감지부(320"), 및 상기 감지부(320")가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하면 차폐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감지부(320")는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재(330")를 감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30")는 터널(10)의 내부에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감지부(320")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감지부(320")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회전가이드부재(330")의 타단에는 플로팅부재(310")가 연결된다. 상기 감지부(320")는 회전가이드부재(330")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의 플로팅부재(310")의 부양을 감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지부에 대한 회전가이드부재의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부재에 가이드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가이드돌기를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차폐부 210 : 제1차폐부
212 : 제1팽창구조체 214 : 제1가스공급부
220 : 제2차폐부 222 : 제2팽창구조체
224 : 제2가스공급부 310 : 플로팅부재
320 : 감지부 330 : 회전가이드부재
400 : 제어부 500 : 배수부
600 : 경보발생부

Claims (11)

  1. 터널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급속 차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차폐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며 상기 터널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1팽창구조체와, 상기 터널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여 풍선 형태로 팽창되어 상기 제1팽창구조체에 밀착되며 상기 터널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부를 차단하는 제2팽창구조체를 포함하는 차폐부와;
    상기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양되는 플로팅부재와;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상기 제1팽창구조체와 제2팽창구조체를 동시에 팽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부재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직선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부재는 상기 유입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직선가이드부재를 따라 직선 이동하며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감지부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로 이동하며, 타단에는 상기 플로팅부재가 연결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기설정된 부양 높이에서의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로팅부재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팽창구조체와 상기 제2팽창구조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와 상기 제2팽창구조체의 비팽창(non-expansion) 상태에서 상기 제1팽창구조체와 상기 제2팽창구조체를 상기 터널 내벽면에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상기 터널 내부에 유입된 유입수를 상기 터널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로팅부재의 부양을 감지하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차폐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09200A 2016-01-26 2016-01-26 급속 차폐 시스템 KR10177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200A KR101776457B1 (ko) 2016-01-26 2016-01-26 급속 차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200A KR101776457B1 (ko) 2016-01-26 2016-01-26 급속 차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55A KR20170089155A (ko) 2017-08-03
KR101776457B1 true KR101776457B1 (ko) 2017-09-07

Family

ID=5965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200A KR101776457B1 (ko) 2016-01-26 2016-01-26 급속 차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913A (zh) * 2019-07-23 2019-10-2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法隧道非预埋式结构健康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2980B (zh) * 2020-02-29 2024-04-19 西南石油大学 用于调控泥岩地层盾构上浮的模拟系统及实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609B1 (ko) * 2009-06-16 2010-02-05 (주)빅하우스 자동 필터링 및 청소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437053B1 (ko) * 2014-07-24 2014-09-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셔터를 구비한 수중터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609B1 (ko) * 2009-06-16 2010-02-05 (주)빅하우스 자동 필터링 및 청소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437053B1 (ko) * 2014-07-24 2014-09-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셔터를 구비한 수중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913A (zh) * 2019-07-23 2019-10-2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法隧道非预埋式结构健康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55A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456B1 (ko) 급속 차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630917B2 (ja) 建物用浮力付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US8398334B1 (en) Self-positioning subsea oil spill containment system
KR101776457B1 (ko) 급속 차폐 시스템
KR10147438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시스템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7390293A (zh) 一种用于浅水岛礁区的海洋探测系统和控制方法
KR20180046013A (ko) 선박 안전 에어백 시스템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JP6258015B2 (ja) 車両防水カバー
NO831778L (no) Noedoppdriftssystem for et delvis nedsenkbart fartoey.
KR20170104773A (ko) 교각기둥 보호장치
JP3958170B2 (ja) 堤体及び構造物の保護設備
CN103608257B (zh) 用于救生设备的气胀式设备
JP6327451B2 (ja) 浮上式フェンス
KR101542236B1 (ko) 부력을 이용하는 월류방지장치 및 운영방법
US3919850A (en) Structure and method of positioning for use in water covered areas
KR101497686B1 (ko)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KR101745281B1 (ko) 터널 차폐 시스템
KR20160081484A (ko) 기울림방지부력수단을 갖는 오일펜스
JP6548182B1 (ja) 車両用水没防止構造体
JP2007120012A (ja) 浸水防止用人工地盤
KR101745282B1 (ko) 터널 차폐 시스템
KR102047643B1 (ko) 능동 부양형 전복 방지 복원백
JP3182310U (ja) 津波避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