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86B1 -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86B1
KR101497686B1 KR1020130095479A KR20130095479A KR101497686B1 KR 101497686 B1 KR101497686 B1 KR 101497686B1 KR 1020130095479 A KR1020130095479 A KR 1020130095479A KR 20130095479 A KR20130095479 A KR 20130095479A KR 101497686 B1 KR101497686 B1 KR 10149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anchoring
water
waterless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087A (ko
Inventor
구자효
구자민
Original Assignee
빅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빅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12Docks adapted for special vessels, e.g. submar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인명구조나 탐사용도로 제작된 수상 무인로봇을 수상의 일지점에 정박시키고, 정박된 상태의 로봇에 자가 충전시켜 상시 운항 대기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for unmanned robot having unmanned anchoring function}
본 발명은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인명구조나 탐사용도로 제작된 수상 무인로봇을 수상의 일 지점에 정박시키고, 정박된 상태의 수상 무인로봇에 자가 충전시켜 상시 운항 대기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강, 저수지 등에서 물놀이 기타 레저활동 중에 돌발적인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수난자를 구조하기 위해 직접 물속에 뛰어들거나 주위에서 물에 뜨는 물건을 던져주어 상기 수난자를 구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수난자가 육지와 근접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고 물놀이 사고 중에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는 수상 사고는 수난자를 구하기 위해 보트 등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보트를 이용하여 수난자를 구조하는 방법은 보트를 타고 수난자의 위치로 이동한 후 튜브 등을 수난자에 던지면 수난자가 튜브를 잡고 보트에 근접한 위치에 오게 되면, 구조대원이 수난자를 배 위로 끓어 올려서 구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형태는 관제소나 물 밖에 위치한 구조대원이 수상 감시영역을 반복적으로 관찰하여야 하는데, 구조대원이 자칫 수상 감시영역의 감시를 놓치거나 소홀히 하였을 경우에 인명 피해 등 큰 수상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난사고 발생지점이 수변에서 먼 경우 구조대원이 수난사고 발생지점에 도달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수난자의 구조가 지연됨에 따른 2차적인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난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수상 무인로봇을 신속히 투입시켜, 수난자가 수상 무인로봇을 잡고 임시적으로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수상 무인로봇을 통해 물 밖으로 견인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인명 구조용 수상 무인로봇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2-0097124호를 통해 수난사고가 예상되는 근접된 지점에 수면에 부양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해 수면의 각 지점에 수상 무인로봇이 정박하도록 한 수상 무인로봇을 이용한 인명 구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해 수상 무인로봇이 정박하도록 구성하면, 수상 무인로봇이 보다 신속히 수난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기동성이 확보되고, 파고 등에 의한 수상 무인로봇의 전복이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되는 한편, 수상 무인로봇이 정박하는 동안 수상 무인로봇의 구동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수상 무인로봇은 보다 향상된 운항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수상 무인로봇은 외부에 위치된 콘트롤러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므로, 비 숙련된 관리자가 수상 무인로봇을 수상에 위치된 베이스 스테이션에 진입시켜 정박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내에 진입된 수상 무인로봇을 충전모듈에 정 위치시켜 충전하는 것 또한 어려운 관계로,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해 수상 무인로봇을 수상의 일지점에 정박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인명구조나 탐사용도로 제작된 로봇을 수상의 일지점에 정박시키고, 정박된 상태의 로봇에 자가 충전시켜 상시 운항 대기상태를 형성하도록 한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은,
내부에 정박공간이 형성되고, 측부에 정박공간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출입로가 형성되어 수상에 반 잠수상태로 부양되는 부양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상에 반 잠수상태로 부양된 상태로 운항하는 수상 무인로봇이, 진출입로를 따라 부양 함체의 정박공간 내로 진입하여 부양 함체의 정박공간 내에 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양함체 내에는 정박공간의 양편에 안내레일이 이격되게 배치한 정박대가 형성되어, 진출입로를 따라 정박공간 내로 진입되는 수상 무인로봇은 정박대를 구성하는 안내레일에 양측을 각각 지지시켜 정박공간의 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박대의 각 안내레일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며 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지되어 안내레일의 일지점에 상향 돌출된 탄지편이 배치되고,
상기 이격된 안내레일 사이로 진입하여 정박대에 정박하는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에는 탄지편과 대응되는 견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정박공간에는 정박대를 승강시켜 위상을 조절하는 승강부재가 마련되어서,
상기 수상 무인로봇이 안내레일을 따라 정박대로 진입하는 과정에,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된 탄지편은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에 형성된 견착홈에 탄력적으로 진입되어 정박대로 진입된 선체를 탄력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상기 탄지편에 의해 위치 고정된 수상 무인로봇은 탄지편에 의한 구속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추진력을 생성하면 정박대에서 진출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탄지편을 통해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킨 정박대는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수상 무인로봇은, 탄지편을 통한 탄력적인 위치 고정과 승강부재에 의한 상승에 의해 정박공간 내에 수면과 이격된 상태로 정위치에 정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부양함체에는 수상 무인로봇이 정박하는 정박공간 내로 충전전류를 1차 유도코일을 통해 유도시키는 무선 충전모듈이 형성되어, 수상 무인로봇은 무선 충전회로의 2 유도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모듈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인가받아 내장 배터리에 축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상의 각 지점에 배치된 본 발명에 의해 수상 무인로봇은 비 운항시 정박공간 내에 안정되게 정박할 수 있어서, 파고나 바람에 의한 손상이 예방되고 또 위치 교정을 위한 지속적인 운항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베이스 스테이션을 구현함에 있어, 정박공간 내에 안내레일이 형성된 정박대를 배치하고 상기 정박대에 탄지편을 형성하여, 정박공간 내로 진입된 수상 무인로봇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수상 무인로봇은 정박공간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또 정위치 고정에 의해 무선 충전모듈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안정되게 인가받아 신속한 내장 배터리의 축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수상 무인로봇이 운항하는 수상의 각 지점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및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 정박대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정박되는 수상 무인로봇을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한 수상 무인로봇의 정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수상 무인로봇이 운항하는 수상의 각 지점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및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있어, 정박대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정박되는 수상 무인로봇을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한 수상 무인로봇의 정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수욕장이나 호수 등의 수면의 각 지점에 배치되어, 수상을 운행하면서 인명을 구조하거나 탐사하는 수상 무인로봇(100)을 임시 정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은, 수상의 일 지점에 부양된 상태로 위치되는 부양 함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부양 함체(10)는 통상 우수한 내구성과 내식성을 겸비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 중공의 부양 구조체로 이루어져 수면에 반 잠수 상태로 부양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부양 함체(1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에 부상되는 상부는 직경이 좁고 수중에 입수되는 하부의 직경이 넓은 유선몸체로 이루어져,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에 입수된 부양 함체(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수류공(13)들이 형성되어 수류공(13)을 통해 수중에 생성된 수류가 안정되게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양함체(10)는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된 유선몸체와 수류공(13)을 통해 파도나 수류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서, 수류나 파도에 의한 과도한 저항 없이 수면에 안정된 부양상태를 한다.
그리고, 상기 부양함체(10)에는 도 3a와 같이 와이어(52)를 와이딩 및 언 와이딩하는 권취부(51)와, 상기 와이어(52)에 고정되어 승강하는 닻(53)을 포함하여 구성된 정박모듈(50)이 형성되어, 부양함체(10)는 정박모듈(50)에 형성된 닻(53)을 수중 바닥에 고정시켜서 수상의 일지점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권취부(51)가 와이어(52)를 언 와인딩하면 닻(53)은 하강하여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서, 부양함체(10)는 정박모듈(50)에 형성된 닻(53)을 수중 바닥에 고정시켜서 수상의 일지점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상의 일지점에 위치되는 부양함체(10)의 내부에는 정박공간(11)이 형성되며, 측부에는 정박공간(11)과 연통하는 진출입로(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양함체(10)에 하나의 진출입로(12)를 형성하여 수상 무인로봇(100)이 단일 경로를 통해 진출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양함체(10)의 측벽에 복수의 진출입로(12)를 형성하여, 수상 무인로봇(100)이 다양한 진행 경로로 부양함체(10)의 정박공간(11)에 진출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양함체(10)에 형성된 진출입로(12)는 외측에서 정박공간(11)이 형성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상 무인로봇(100)은 점차 폭이 좁아지는 진출입로(12)를 따라 정박공간(11) 내로 안정되게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1)에 정박하는 수상 무인로봇(100)은, 통상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체(110)에 내장 배터리(120)와; 내장 배터리(120)에 축전된 전류를 통해 추력을 생성하는 추력부(130)와; 무선 콘트롤러(150)에서 무선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추력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무선 콘트롤러(150)로부터 무선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선체(110)가 고속으로 운항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상에 부양된 상태로 운항하면서 수난구조나 수상생태 등을 탐사하는 수상 무인로봇(100)은, 비 운항시 수상의 각 지점에 배치된 베이스 스테이션(1)의 정박공간(11) 내에 정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상 무인로봇(100)은 파도나 수류에 의한 손상이 예방되고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고, 특히 파도나 수류 등에 의한 위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운항이 불필요하므로 내장 배터리(120)의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베이스 스테이션(1)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정박공간(11) 내에 양편에 안내레일(21)이 이격되게 배치된 형태의 정박대(20)를 배치하여, 정박대(20)에 의해 수상 무인로봇(100)이 정 위치에 정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출입로(12)를 따라 정박공간(11) 내로 진입되는 수상 무인로봇(100)은 정박대(20)에 형성된 안내레일(21)에 의한 각각 지지된 상태로 정박공간(11)의 정 위치에 정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박대에 의해 정박공간 내에 정 위치된 수상 무인로봇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정박대에 수상 무인로봇이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수상 무인로봇(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정박대(20)의 안내레일(21)에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된 탄지편(22)을 각각 부가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탄지편(22)은 경사면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고,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되어 가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면 안내레일(21) 상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내레일(21)이 이격되게 배치된 정박대(20) 사이로 이동하여 정박하는 수상 무인로봇(100)의 선체(110)에는 탄지편(22)과 대응되는 형상의 견착홈(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박대(20)를 따라 정박공간(11) 내로 진입되는 과정에 수상 무인로봇(100)의 견착홈(11)에는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된 탄지편(22)이 진입된다.
그리하여, 외부에 위치한 관리자가 무선 콘트롤러(150)를 통해 수상 무인로봇(100)을 운항시켜 수상 일지점에 위치된 베이스 스테이션(1)의 진출입로(12)를 따라 정박공간(11) 내로 진입시키면, 수상 무인로봇(100)은 정박대(20)에 형성된 안내레일(21)을 따라 정박공간(11)의 정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과정에, 도 7c와 같이 안내레일(21)에 형성된 탄지편(22)은 수상 무인로봇(100)의 견착홈(111)에 탄력적으로 진입되어, 정박대(20)에 위치된 선체(110)를 정박대(20)에 탄력적으로 위치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상 무인로봇(100)이 탄지편(22)에 의해 정박공간(20) 내에 정 위치된 상태에서 탄력적인 구속이 이루어지면, 이를 수용한 베이스 스테이션(1)의 부양함체(10)가 다소 요동하더라도 수상 무인로봇(100)이 요동하여 정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상 무인로봇(100)을 안착시킨 정박대(20)는 전동 실린더 등의 승강부재(24)에 의해 정박공간(11) 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서, 정박대(20)에 수상 무인로봇(100)이 정박되면 정박대(20)는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부재(24)에 의해 상승하여 수면에 부상된 수상 무인로봇(100)을 상승시켜 수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수상 무인로봇(100)은 정박공간(11) 내에 유입된 물과 이격된 상태로 정박되므로, 정박공간(11) 내로 유입되는 수류에 의한 저항 없이 부상된 상태로 정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박대(20)가 하강한 다음, 수상 무인로봇(100)이 탄지편(22)에 의한 구속력보다 높은 추진력을 생성하면 탄지편(22)에 의한 선체(110)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진출입로(22)를 통한 수상 무인로봇(100)의 진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에 마련되는 무선 충전모듈(30)은, 주 배터리(40)에 축전된 전류를 정박공간(11) 내에 정박된 수상 무인로봇(100)의 내장 배터리(120)에 축전하는 것이다.
상기 주 배터리(40)는 부양함체(100)의 외벽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41)을 포함하는 자가 발전구조를 통해 상시에 충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양함체(10)에, 주 배터리(40)에 축전된 충전전류를 1차 유도코일(31)을 통해 정박공간(11) 내로 유도하는 무선 충전모듈(30)을 형성하여, 2차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회로(121)를 마련하여 정박공간(11) 내에 정박된 수상 무인로봇의 무선 충전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모듈을 정박대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정박대(20)에 수상 무인로봇(100)이 정박되면, 도 8b와 같이 정박대(20)에 배치된 무선 충전모듈(30)은 주 배터리(40)에 축전된 충전전류를 정박공간(11) 내에 유도시키게 되고, 수상 무인로봇(100)은 무선 충전회로(121)의 2차 유도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모듈(30)에서 유도된 전류를 내장 배터리(120)에 축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1)은 수상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수상 무인로봇(100)을 정박공간(11) 내에 정 위치에 고정하면서 무선 충전모듈(30)을 통해 수상 무인로봇(100)의 내장 배터리(120)를 충전하므로, 수상 무인로봇(100)은 수상 밖으로 이동하여 정박하지 아니하고 항시 수상 일지점에 정박하므로 수난지점 등에 신속한 초동 출동이 가능하고, 또 수상 일지점에 정박하는 동안 상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인 운항이 가능하다.
1.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10. 부양함체 11. 정박공간
12. 진출입로 13. 수류공
20. 정박대 21. 안내 레일
22. 탄지편 23. 스프링
24. 승강부재
30. 무선 충전모듈 40. 주 배터리
41. 태양광 패널 50. 정박모듈
51. 권취부 52. 와이어
53. 닻
100. 수상 무인로봇 110. 선체
111. 견착홈 120. 내장 배터리
121. 무선 충전회로 130. 추력부
140. 제어부 150. 무선 콘트롤러

Claims (4)

  1. 내부에 정박공간이 형성되고, 측부에 정박공간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출입로가 형성되어 수상에 반 잠수상태로 부양되는 부양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상에 반 잠수상태로 부양된 상태로 운항하는 수상 무인로봇이, 진출입로를 따라 부양 함체의 정박공간 내로 진입하여 부양 함체의 정박공간 내에 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양함체 내에는 정박공간의 양편에 안내레일이 이격되게 배치한 정박대가 형성되어, 진출입로를 따라 정박공간 내로 진입되는 수상 무인로봇은 정박대를 구성하는 안내레일에 양측을 각각 지지시켜 정박공간의 정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박대의 각 안내레일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며 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지되어 안내레일의 일지점에 상향 돌출된 탄지편이 배치되고,
    상기 이격된 안내레일 사이로 진입하여 정박대에 정박하는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에는 탄지편과 대응되는 견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정박공간에는 정박대를 승강시켜 위상을 조절하는 승강부재가 마련되어서,
    상기 수상 무인로봇이 안내레일을 따라 정박대로 진입하는 과정에,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된 탄지편은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에 형성된 견착홈에 탄력적으로 진입되어 정박대로 진입된 선체를 탄력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상기 탄지편에 의해 위치 고정된 수상 무인로봇은 탄지편에 의한 구속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추진력을 생성하면 정박대에서 진출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탄지편을 통해 수상 무인로봇의 선체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킨 정박대는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수상 무인로봇은, 탄지편을 통한 탄력적인 위치 고정과 승강부재에 의한 상승에 의해 정박공간 내에 수면과 이격된 상태로 정위치에 정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함체에는 수상 무인로봇이 정박하는 정박공간 내로 충전전류를 1차 유도코일을 통해 유도시키는 무선 충전모듈이 형성되어,
    상기 수상 무인로봇은, 탄지편에 의해 안내레일에 선체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수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정위치에 정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회로의 2 유도코일을 통해 무선 충전모듈의 1차 유도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인가받아 내장 배터리에 축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KR1020130095479A 2013-08-12 2013-08-12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KR10149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79A KR101497686B1 (ko) 2013-08-12 2013-08-12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79A KR101497686B1 (ko) 2013-08-12 2013-08-12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87A KR20150019087A (ko) 2015-02-25
KR101497686B1 true KR101497686B1 (ko) 2015-03-03

Family

ID=5257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479A KR101497686B1 (ko) 2013-08-12 2013-08-12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262A (zh) * 2018-06-16 2018-10-12 广州市旋通节能科技有限公司 电船水面换电充电站
KR102182073B1 (ko) * 2018-12-07 2020-11-24 재단법인 전라남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선박형 해상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
CN112045657A (zh) * 2020-09-25 2020-12-08 中国计量大学 一种用于湿地泥样采集的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090A (ja) * 2001-07-10 2003-01-2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律型無人航走体を用いた海底探査方式及びその装置
JP3541197B1 (ja) * 2003-04-28 2004-07-07 文嗣 松葉 津波又は洪水に対する防災用として地上設置される浮遊型シェルタ
KR20130001841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용 단차 승월장치 및 이동 로봇 승월 시스템과 이동 로봇의 단차 승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090A (ja) * 2001-07-10 2003-01-2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律型無人航走体を用いた海底探査方式及びその装置
JP3541197B1 (ja) * 2003-04-28 2004-07-07 文嗣 松葉 津波又は洪水に対する防災用として地上設置される浮遊型シェルタ
KR20130001841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용 단차 승월장치 및 이동 로봇 승월 시스템과 이동 로봇의 단차 승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87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77401B (zh) 一种水中交通隧道
AU20082299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AUVs)
US3708991A (en) Submarine home
CN104066979A (zh) 浮体式风力发电装置
KR20120014189A (ko) 수중 운동체의 진수 장치 및 방법
CN105059489B (zh) 一种恒稳式海上核电平台
ES2896337T3 (es) Paquete de batería para la subsuperficie marina
KR101950805B1 (ko) 부유식 해상시설물
KR101497686B1 (ko)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CN108298026B (zh) 艇回收装置
KR20150072830A (ko) 무인 수상로봇용 수상 정박 베이스
FI62650B (fi) Foerankringsbar flytande plattform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KR20220050793A (ko) 보트 진수 및 복구 플랫폼 및 진수 및 복구의 관련된 방법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ES2311371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on p 200502260, por "marina sobre-elevada".
KR20150019819A (ko)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US93819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objects in aquatic environments; platforms for aquatic launch and retrieval
WO2004011328A1 (es) Unidad movil para el transporte y engorde de peces en alta mar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200239303Y1 (ko) 유인항로표지장치
KR102086155B1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US6539887B1 (en) Bus to boat passenger transfer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