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50B1 -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50B1
KR102024650B1 KR1020190034287A KR20190034287A KR102024650B1 KR 102024650 B1 KR102024650 B1 KR 102024650B1 KR 1020190034287 A KR1020190034287 A KR 1020190034287A KR 20190034287 A KR20190034287 A KR 20190034287A KR 102024650 B1 KR102024650 B1 KR 10202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main body
contact
steering wheel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to KR102019003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혼 접점에 대응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를 내부에 스티어링 휠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 아마추어의 내부 혼접점부를 스틸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전기적 신호 전달을 수행하여 혼기능을 위한 별도의 구조 설치 없이 기존의 사용하는 혼접점을 그대로 사용하여 구조가 단순화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혼 접점에 대응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를 내부에 스티어링 휠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 아마추어의 내부 혼접점부를 스틸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전기적 신호 전달을 수행하여 혼기능을 위한 별도의 구조 설치 없이 기존의 사용하는 혼접점을 그대로 사용하여 구조가 단순화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차량 운전자가 주행 중에 보행자와 다른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기 위하여 경보장치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중앙부에 위치한 혼커버를 누르면 DAB(Driver Air Bag) 커버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차량에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현재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는 마그네슘 재질의 아마추어 코어를 사용하여 별도의 접지 구조없이 DAB를 누름으로써 DAB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혼 플레이트가 아마추어 코어에 인서트된 혼접점과 닿아 클락션 작동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DAB커버는 코일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스티어링휠의 아마추어코어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혼커버를 눌러서 DAB커버를 일정한 거리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마추어코어와 DAB커버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혼커버를 누르면 DAB커버가 이동하게 되고, 운전자가 혼커버를 놓으면 DAB 커버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초기 상태로 리턴되는 것이다.
최근 들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을 위하여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의 개발이 왕성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율 주행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종래의 일반 차량의 스티어링 휠 구조와 비교하여 그립부 및 허브 등에 있어 대폭 변경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혼기능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대폭 상승하고, 종래의 사출 아마추어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혼 접점에 대응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를 내부에 스티어링 휠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 아마추어의 내부 혼접점부를 스틸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전기적 신호 전달을 수행하여 혼기능을 위한 별도의 구조 설치 없이 기존의 사용하는 혼접점을 그대로 사용하여 구조가 단순화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립부의 단부 또는 본체의 상면에 터치 센서 형태의 경적 버튼부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시 접촉상태인 (+)혼 접점과 (-)혼 접점을 전기적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은, 사각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혼 접점이 형성되는 혼 동작부;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며 경적 동작시에 상기 (+)혼 접점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차량의 운행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탈착되는 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혼 동작부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배치되는 혼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 동작부는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지 않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의 전기적 배선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전기적 배선 라인의 연결부인 상기 (+)혼 접점은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일측의 상기 (-)혼 접점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 라인 형태의 혼 동작부의 연결부인 상기 (+)혼 접점은 상기 인서트 사출부 일측의 상기 (-)혼 접점에 볼트 결합되어 항시 접촉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결합 영역인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압입 체결, 볼트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 사이드 측부에는 상하로 이격하여 각각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림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슬라이딩 홀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슬라이딩 바; 및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수직된 방향으로 일체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바 형태의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의 일측 및 상기 바 형태의 그립부의 단부에는 경적 버튼부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적 버튼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시 접촉상태인 (+)혼 접점과 (-)혼 접점을 전기적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측으로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혼 접점에 대응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를 내부에 스티어링 휠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출 아마추어의 내부 혼접점부를 스틸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전기적 신호 전달을 수행하여 혼기능을 위한 별도의 구조 설치 없이 기존의 사용하는 혼접점을 그대로 사용하여 구조가 단순화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부의 단부 또는 본체의 상면에 터치 센서 형태의 경적 버튼부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시 접촉상태인 (+)혼 접점과 (-)혼 접점을 전기적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서 본체 커버 및 에어백을 제외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혼 플레이트가 형성된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혼 동작부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에서 본체 커버 및 에어백을 제외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혼 플레이트가 형성된 개략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100)은 내부에 에어백 모듈(미도시)이 수용되는 본체(110);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배치되며 (+)혼 접점(131)이 형성되는 혼 동작부로서의 혼 플레이트(130);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혼 접점(131)에 대응되는 (-)혼 접점(151)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차량의 운행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본체(11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탈착되는 림(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대략 직사각통(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어 수용되며,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측으로는 디스플레이부(111)가 형성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터치 입력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제어부(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 및 운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유 주행 모드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양 사이드 측부에는 상하로 이격하여 각각 두 개의 슬라이딩 홀(1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림(120)의 슬라이딩 바(124)가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본체의 상면의 일측에는 경적 버튼부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혼 플레이트(130)는 에어백 모듈의 하부에 장착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다수 개(4 개)의 (+)혼 접점(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 접점(131)은 후술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의 (-)혼 접점(151)이 대응되어 접촉시 경적을 울리게 된다. 즉, 후술하는 림의 단부에 형성된 터치 센서의 경적 버튼부(250)를 누르거나 본체 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경적 버튼부(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혼 접점(131)과 (-)혼 접점(151)이 접촉하게 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주위나 경계를 하도록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는 대략 "T" 자 형상으로 하부에는 축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칼럼(미도시)이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4 개의 (+)혼 접점(131)에 대응되는 4 개의 (-)혼 접점(1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는 본 발명의 자율 주행에 적용되는 스티어링 휠(1)의 구조 변화에 따라 별도의 혼 기능을 갖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나, 종래와 같은 원형의 휠을 갖는 스티어링 휠의 아마추워 코어부의 하측 일부 구조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되, (-)혼 접점(151)을 갖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결합 영역인 관통부(도면 번호 미부여)에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결합 형태는 압입 체결 방식 또는 볼트나 나사 체결 방식 등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체결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사용시에는 운전자가 본체의 경적 버튼부 등을 동작하게 되면, 에어백 모듈이 하강되어 그 하측에 장착되는 혼 플레이트(130)도 함께 하강되어 에어백 모듈의 하부에 장착되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다수 개(4 개)의 (+)혼 접점(131)이 4개의 (-)혼 접점(151)에 대응되어 접촉하게 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적을 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림(120)은 수동주행모드 하에서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차량의 운행 방향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1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림(120)은 종래와 같이 원형의 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고, 운전자의 양손이 개별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상기 림(120)은 상기 본체(11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된 상태에서는 차량을 운행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림(120)은 상기 본체(110)의 양 사이드 측부에 상하로 각각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의 두 개의 슬라이딩 홀(112)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슬라이딩 바(124); 및 두 개의 슬라이딩 바(124)의 단부에서 수직된 방향으로 일체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바 형태의 그립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슬라이딩 바(124)는 상기 본체(110)의 양 사이드 측부에 하나의 슬라이딩 홀을 통해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슬라이딩 판의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바 형태의 그립부(122)는 그 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될 수 있으며, 그 단면에 터치 센서 형태의 경적 버튼부(250)가 추가로 설치되어 동작시에 에어백 모듈이 하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4 개의 (+)혼 접점(131)이 4개의 (-)혼 접점(151)에 대응되어 접촉하게 되어 경적을 울리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림(120)의 좌우 한 쌍으로 된 두 개의 슬라이딩 바(124)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현재 자율 주행 모드인지 또는 수동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자율 주행 모드인 경우, 전자적 제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124)를 상기 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수동 주행 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슬라이딩 바(124)를 상기 본체(110)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자율 주행 모드 하에서는 운전자가 림(120)의 그립부(122)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바(124)가 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림(120)이 본체(110) 방향과 가까워지도록 이동되고, 수동 주행 모드 하에서는 운전자가 림(10)의 그립부(122)를 잡고 운전을 해야 하므로,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어 그립부(122)가 본체(110)와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혼 동작부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본체(110)의 내부에 에어백 모듈(미도시)이 수용되지 않으며, 상술한 첫번 째 실시예의 (+)혼 접점(131)이 형성되는 혼 동작부로서의 혼 플레이트(130) 대신에 혼 동작부로서 배선 라인 혼 동작부(140)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도 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의 혼 동작부로서의 배선 라인 혼 동작부(140)는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지 않은 본체(110)의 내부에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의 전기적 배선 라인(142)이 구비되고 상기 전기적 배선 라인(142)의 양쪽 일단부는 센서 형태의 경적 버튼부(250)가 구비된 림(120)의 슬라이딩 바(124)에 연결되고, 타단의 접점 연결부(144)의 단부는 (+)혼 접점으로서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150) 일측에 형성된 (-)혼 접점(152)(첫 번째 실시예의 (-)혼 접점(151)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림의 단부에 형성된 터치 센서의 경적 버튼부(250)를 누르면 (+)혼 접점(131)과 (-)혼 접점(152)이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주위나 경계를 하도록 외부로 경적음을 출력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적 버튼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고, (+)혼 접점(131)과 (-)혼 접점(152)이 상시 접촉한 상태이지만 전기적 오프(off)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on) 상태가 되어 경적음이 출력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선 라인 형태의 혼 동작부(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혼 접점은 상기 인서트 사출부(150) 일측의 (-)혼 접점(152)이 볼트 결합되어 항시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0: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110: 본체
111: 디스플레이 112: 슬라이딩 홀
120: 림
122: 그립부 124: 슬라이딩 바
130: 혼 플레이트
131: (+)혼 접점
140: 배선 라인 혼 동작부
142: 전기적 배선 라인 144: 접점 연결부
150: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151, 152: (-)혼 접점
250: 경적 버튼부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혼 접점이 형성되는 혼 동작부;
    하부에 스티어링 칼럼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 중앙에 결합되어 경적 동작시에 상기 (+)혼 접점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차량의 운행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탈착되는 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혼 동작부는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지 않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의 전기적 배선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전기적 배선 라인의 연결부인 상기 (+)혼 접점은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일측의 상기 (-)혼 접점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양 사이드 측부에는 상하로 이격하여 각각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며,
    상기 림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슬라이딩 홀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슬라이딩 바; 및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 바의 단부에서 수직된 방향으로 일체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바 형태의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상면의 일측 및 상기 바 형태의 그립부의 단부에는 경적 버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라인 형태의 혼 동작부의 연결부인 상기 (+)혼 접점은 상기 인서트 사출부 일측의 상기 (-)혼 접점에 볼트 결합되어 항시 접촉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 결합 영역인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틸 플레이트 인서트 사출부가 상기 관통부에 압입 체결, 볼트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버튼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시 접촉상태인 (+)혼 접점과 (-)혼 접점을 전기적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측으로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KR1020190034287A 2019-03-26 2019-03-26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KR102024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87A KR102024650B1 (ko) 2019-03-26 2019-03-26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87A KR102024650B1 (ko) 2019-03-26 2019-03-26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50B1 true KR102024650B1 (ko) 2019-09-24

Family

ID=6806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87A KR102024650B1 (ko) 2019-03-26 2019-03-26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860A (ko) * 2010-10-04 2012-04-13 (주)엘지하우시스 운전대모듈과 에어백모듈의 뒤틀림방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860A (ko) * 2010-10-04 2012-04-13 (주)엘지하우시스 운전대모듈과 에어백모듈의 뒤틀림방지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49B1 (ko) 전도성 플라스틱을 활용한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CN110058697B (zh) 具有集成的多感觉反馈的基于力的触摸界面
US20180373343A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EP1582957A3 (en) Robotic appliance with on-board joystick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KR101363189B1 (ko) 차량 변속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4650B1 (ko) 전기적 경적 신호 전달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용 스티어링 휠
US20060167594A1 (en) Vehicle reverse warning and distance measurement system
JP2004210251A (ja) Mt車シフトポジション検出装置
US8091438B1 (en) Torsion tool
KR101083161B1 (ko) 차량 버튼 시동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5626A (ko) 멀티 펑션 조이스틱 스위치 유니트
JP2006182084A (ja) 車両
CN117864235A (zh) 一种具有旋钮控制功能的农机自动驾驶方向盘及工作方法
JP3467790B2 (ja) 車両用リモコンスイッチ装置
JP733865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032201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US20230264780A1 (en) User interface assembly of vehicle, drive system of vehicle, and electric assisted bicycle
CN215752626U (zh) 转角显示组件以及具有其的车辆
US20220363360A1 (en) Operation apparatus for ship propulsion machine
JPH06294461A (ja) ギヤ位置検出装置
CN207157067U (zh) 一种车载人机互动显示屏模块化系统
KR20120074821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H0858501A (ja) 無人走行機
JP2008054216A (ja) Gps付き車載器
KR200326525Y1 (ko) 자동차용 가속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