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340B1 -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40B1
KR102024340B1 KR1020180033457A KR20180033457A KR102024340B1 KR 102024340 B1 KR102024340 B1 KR 102024340B1 KR 1020180033457 A KR1020180033457 A KR 1020180033457A KR 20180033457 A KR20180033457 A KR 20180033457A KR 102024340 B1 KR102024340 B1 KR 10202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aces
transition
uni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송우승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8003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건물 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FIRE CONDI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사무실, 창고, 공장 등과 같이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공간 내부에는 화재 원인이 되는 가연성 가스, 전기, 인화물질 등이 존재하여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재에 직면하게 되면 당황하여 이성적인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되고, 제대로 된 대처방법을 숙지하지 못해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평상시에 할 수 있는 화재 시 대피요령 및 대처방법 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화재상황 발생 시 진압 및 소화를 위한 체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화재를 진화하거나 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교육하는 훈련장치가 대부분이며, 오히려 많은 사람들에게 우선 교육이 되어야 할 대피방법에 교육 훈련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나아가, 실제 화재 상황의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 건물의 구조 및 구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화염 및 연기가 이동하는 양상은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건물 내부의 대피방법 역시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상술한 요인들에 따른 화재 전이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며, 위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일반적인 화재 상황만을 가정하여 대피 훈련을 실시하는 바, 실제 다양한 케이스의 화재 발생 시 그에 따른 적절한 대피방법 등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2189호(2012.01.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구조의 공간 중 어느 한 곳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을 피교육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에 따라 위험구역 및 안전구역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건물 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화염의 전이 양상 및 상기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이동 양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간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위험구역 및 상기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안전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건물을 모식화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간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간의 상기 화재 전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호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상황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건물 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에 배치된 센싱부에 의해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이 감지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화염의 전이 양상 및 상기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이동 양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위험구역이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상기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안전구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건물이 모식화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간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간의 상기 화재 전이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간은 상호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의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의 온도가 센싱되고, 상기 센싱부의 촬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가 촬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 및 구조의 공간 중 어느 한 곳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을 피교육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이되는 양상에 따라 위험구역 및 안전구역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건물의 모식화된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건물 중 어느 한 층을 모식화한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하고 각각의 층에 복수의 공간(100)이 형성된 건물(10), 복수의 공간(100)에 배치되어 복수의 공간(100) 중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전이 양상을 감지하는 센싱부(200) 및 센싱부(200)에 의해 감지된 화재의 전이 양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건물(10)은 센싱부(200)에서 감지된 화재 전이 양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재의 전이 양상은 발화점(도 3에 도시됨)에서 발생하여 주변으로 전이되는 화염(도 3에 도시됨)의 양상 및 화염으로 인해 공간(100) 내부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연기(도 3에 도시됨)의 이동 양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재의 전이 양상이란, 실제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화염 및 연기의 이동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0)는 상술한 화염 및 연기의 이동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420)는 건물(10)을 모식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층 간 및 복수의 공간(100) 간의 화재 전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건물(10) 모식화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상술한 화재의 전이 양상을 기초로, 복수의 공간(100)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공간(100)들을 위험구역(110)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반대로,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공간(100)들을 안전구역(120)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연산부(410) 및 데이터 저장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센싱부(200)에서 감지된 화재 전이 양상 정보는 통신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00)의 연산부(4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저장부(430)에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10)의 공간(100) 형태, 공간(100)의 배치, 구조, 크기, 창문의 개수 및 위치 등에 따른 화재의 전이 양상에 대한 실험 데이터(data)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연산부(410)는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430)의 데이터를 통해 현재 건물(10)의 구조 및 크기 등의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전이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연산부(410)는 훈련이 반복되어 화재 전이 양상이 디스플레이부(400)에 나타날 때마다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30)에 저장하는 바, 훈련을 지속할수록 데이터 저장부(430)의 데이터 정보는 풍부해질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화재의 전이 양상을 기초로, 화재가 전이되고 있거나 전이가 예상되는 부분은 위험구역(110)으로 표시될 수 있고,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공간(100)은 안전구역(120)으로 표시될 수 있어, 건물(10)의 공간(100) 형태, 배치, 구조 및 크기 등의 다양한 조건 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의 화재 전이 양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피교육자들은 디스플레이부(400)에 나타난 화재의 전이 양상 및 위험구역(110)과 안전구역(120) 정보를 통해 해당 건물(10)의 특정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 시 그에 따른 최적의 대피방법 등을 모색할 수 있고, 특정 건물(10)에서의 발화 위치에 따라 화염 및 연기가 전이되는 양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바, 유사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은 다양 조건 하에서의 하재 전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바, 상술한 건물(10) 내의 복수의 공간(100)은 상호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싱부(2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센싱부(200) 각각은 복수의 공간(10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센싱부(200) 각각이 복수의 공간(100) 각각에 배치되어 화재의 전이 양상을 감지하는 바, 사각지대 없이 화재의 전이 양상을 파악 가능하고, 구체적인 전이 양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복수개의 센싱부(200) 각각은 상술한 통신부(300)에 연결되어 복수의 공간(100) 각각에서 감지된 화재 정보는 모두 디스플레이부(400)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통신부(300)와 센싱부(200) 간의 연결 및 통신부(300)와 디스플레이부(400)와의 연결은 유선 연결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랜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200)는 복수의 공간(100)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210) 및 복수의 공간(100)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00)는 온도센서(210)를 통해 공간(100)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온도 정보는 통신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00)의 연산부(410)는 상술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시간당 온도 변화 등을 통해 화재의 전이 속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20)를 통해 복수의 공간(100) 내부 영상을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전송함으로써 피교육자들은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부(420)를 통해 해당 공간(100)의 영상 정보를 통하여 복수의 공간(100) 내에서 화염 및 연기가 전이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단순 온도센서(210)만으로는 화염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의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나, 상술한 센싱부(200)는 촬영부(220)를 더 구비함으로써 화재 전이 양상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여 정확도 높은 화재 전이 양상의 파악이 가능하다.
이 때, 상술한 센싱부(200)는 내열성을 가진 외부 커버(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화염에 직접 닿거나 공간(100)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도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공간(100) 내부 상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부(400)와 연결되어 건물(10) 내부의 화재 전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외부 단말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부(420)를 통해 피교육자에게 나타나는 건물(10) 내부의 화재 전이 양상 정보는 외부 단말장치(500)로 전송될 수 있고, 피교육자 및 사용자는 외부 단말장치(500)를 이용하여 건물(10) 내부의 화재 전이 양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외부 단말장치(500)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0)와 유선연결 또는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400)와 유무선으로 연결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고 조작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건물(10)의 모식화된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건물(10) 중 어느 한 층을 모식화한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10)을 모식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층 간 및 복수의 공간(100) 간의 화재 전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부(420)는 측면에서 바라본 건물(10) 내부 모습을 모식화하여 건물(10) 내 복수의 층 간 화재의 발화점(I), 화염(F) 전이 모습 및 연기(S)의 이동 양상 등을 나타낼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층 내에서 건물(10) 내부 구조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모식화하여 화재의 발화점(I), 화염(F) 전이 모습 및 연기(S)의 이동 양상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 및 피교육자들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화염(F) 및 연기(S) 등의 화재 전이 양상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특정 위치의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전이 양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소방 훈련 간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는 연산부(410)의 연산을 통해 화재 전이 양상에 따른 위험구역(110) 및 안전구역(120)을 판단할 수 있는 바, 표시부(420)에는 건물(10)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위험구역(110) 및 안전구역(120), 그리고 건물(10) 내 특정 층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위험구역(110) 및 안전구역(120)을 각각 표시할 수 있어, 화재의 전이 양상 및 그에 따른 부수정보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및 피교육자들은 표시부(420)에 나타난 건물(10) 정보에서, 특정 공간(100)의 위치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해당 공간(100) 내의 촬영부(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방법의 경우, 먼저,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 건물(10) 내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100) 중 적어도 일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면(S10), 복수의 공간(100)에 배치된 센싱부(200)에 의해 화재의 전이 양상이 감지되며(S20), 센싱부(200)에 의해 감지된 화재의 전이 양상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S40).
구체적으로, 센싱부(200)에 의해 감지된 화재 전이 양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400)에 전송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0)의 연산부(410)를 통해 복수의 공간(100)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부분은 위험구역(110)으로 표시되고, 복수의 공간(100) 중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공간(100)은 안전구역(120)으로 표시될 수 있다(S30).
한편, 상술한 화재의 전이 양상은 화염(F)의 전이 양상 및 연기(S)의 이동 양상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400)에는 건물(10)이 모식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층 간 및 복수의 공간(100) 간의 화재 전이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1)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 : 발화점
F : 화염
S : 연기
1 :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10 : 건물
100 : 공간
110 : 위험구역
120 : 안전구역
200 : 센싱부
210 : 온도센서
220 : 촬영부
300 : 통신부
400 : 디스플레이부
410 : 연산부
420 : 표시부
430 : 데이터 저장부
500 : 외부 단말장치

Claims (14)

  1.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건물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층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은 상호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화염의 전이 양상 및 상기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이동 양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를 모식화하여 상기 복수 개의 층 간 상기 화재의 발화점, 전이 양상 및 연기 이동 양상을 나타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층 중 어느 하나의 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공간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모식화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간의 상기 화재의 발화점, 전이 양상 및 연기 이동 양상을 나타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건물의 구조, 상기 복수의 공간의 배치, 구조, 크기, 창문의 개수 및 위치를 포함하는 화재 전이 양상에 대한 실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간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위험구역 및 상기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안전구역을 예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모식화된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 및 모식화된 상기 복수의 공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예측된 상기 위험구역 및 상기 안전구역을 표시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건물에서 나타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배치된,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8. 화재 상황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건물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층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에 배치된 센싱부에 의해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이 감지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외부에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은 상호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화염의 전이 양상 및 상기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이동 양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가 모식화되어 상기 복수 개의 층 간 상기 화재의 발화점, 전이 양상 및 연기 이동 양상이 나타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층 중 어느 하나의 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공간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모식화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 간의 상기 화재의 발화점, 전이 양상 및 연기 이동 양상이 나타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건물의 구조, 상기 복수의 공간의 배치, 구조, 크기, 창문의 개수 및 위치를 포함하는 화재 전이 양상에 대한 실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간 중 현재 위험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이 예상되는 위험구역 및 상기 화재의 전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안전구역을 예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모식화된 상기 건물의 내부 구조 및 모식화된 상기 복수의 공간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예측된 상기 위험구역 및 상기 안전구역이 표시되며,
    상기 건물에서 나타난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 정보는 상기 연산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화재 상황 표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의 전이 양상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감지되는, 화재 상황 표시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의 온도가 센싱되고,
    상기 센싱부의 촬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간 내부가 촬영되는, 화재 상황 표시 방법.
KR1020180033457A 2018-03-22 2018-03-22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57A KR102024340B1 (ko) 2018-03-22 2018-03-22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57A KR102024340B1 (ko) 2018-03-22 2018-03-22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40B1 true KR102024340B1 (ko) 2019-09-23

Family

ID=6806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457A KR102024340B1 (ko) 2018-03-22 2018-03-22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13A (ko) 2019-12-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의 유해가스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2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 시설물 및 그 연기확산 실험 방법
KR102361488B1 (ko) * 2020-09-21 2022-02-11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서라운드 아이피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3288A (ja) * 1996-02-16 1997-08-26 Toshiba Corp 避難誘導援助装置
KR101112189B1 (ko) 2011-04-06 2012-02-24 (주)씨엔씨테크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교육 시스템
KR20140092511A (ko) * 2013-01-10 2014-07-24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3288A (ja) * 1996-02-16 1997-08-26 Toshiba Corp 避難誘導援助装置
KR101112189B1 (ko) 2011-04-06 2012-02-24 (주)씨엔씨테크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교육 시스템
KR20140092511A (ko) * 2013-01-10 2014-07-24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13A (ko) 2019-12-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의 유해가스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2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 시설물 및 그 연기확산 실험 방법
KR102361488B1 (ko) * 2020-09-21 2022-02-11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서라운드 아이피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340B1 (ko) 화재 상황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552B1 (ko)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US20130282280A1 (en) Control module for a route guidance system
US20160187310A1 (en) Image Based Surveillance System
CN109196563A (zh) 预测温度上升事件
US20110265706A1 (en) Wearable Temperature Sensor
KR102124067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8860B1 (ko)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CN206441322U (zh) 一种可燃气体探测系统
US7286050B2 (en) Fire location detection and estimation of fire spread through image processing based analysis of detector activation
JP2017076304A (ja) 火災検知システム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93927A1 (en) Systems for training firefighters and first responders
JP5158632B2 (ja) 火災監視装置、及び火災監視方法
JP7376162B2 (ja) 人工知能連動知能型災難安全管理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方法を遂行するシステム
WO2023017232A1 (en) An intelligent fire &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KR101893850B1 (ko) 원전 주제어실의 화재 상황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환경 조건 학습 방법
US10777065B2 (en) Fire type detection and notification
KR102103786B1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CN216927797U (zh) 应急避灾管理系统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JP2017068294A (ja) 支援システム、支援装置および端末装置
EP3936196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having fire predi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