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308B1 - 의료 수액백용 포트 - Google Patents

의료 수액백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08B1
KR102024308B1 KR1020180046852A KR20180046852A KR102024308B1 KR 102024308 B1 KR102024308 B1 KR 102024308B1 KR 1020180046852 A KR1020180046852 A KR 1020180046852A KR 20180046852 A KR20180046852 A KR 20180046852A KR 102024308 B1 KR102024308 B1 KR 10202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outer cap
sap bag
medica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김기표
Original Assignee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캡 내측에 고무전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외캡과 고무전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 조립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몸체 및 외캡으로부터 고무전의 이탈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 수액백용 포트{Port for medical solution bag}
본 발명은 고무전의 이탈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생리식염액, 포도당 등의 의료용 수액은 일정한 형태의 수액용기에 보관된다. 이때, 수액용기는 병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병 형태로 형성되는 수액용기, 즉 수액병은 유리로 형성되는바, 재질의 특성상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므로 취급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3572호(공개일 : 2009. 10. 01.)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 형태로 형성된 수액용기, 즉 의료 수액백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의료 수액백은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연 재질로 형성되므로 재질의 특성상 파손의 우려가 적어 취급이 용이하다.
한편, 의료 수액백에서 수액이 수용되는 본체의 내외부 경계면에는 포트가 마련되는바, 포트에 주사바늘을 삽입함으로써 본체 내에 수용된 수액의 투여가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의료 수액백용 포트는, 관 형태의 몸체(1); 상기 몸체(1)의 일 단부(1a)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전(3); 및 상기 고무전(3)과 상기 몸체(1)의 일 단부(1a)를 감싸는 외캡(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외캡(5) 중앙을 통해 삽입되는 주사바늘은 고무전(3)을 관통하여 몸체(1) 내부로 이르게 되므로 주사바늘을 통해 의료 수액백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투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의료 수액백용 포트에서 고무전(3)은 외캡(5)과 독립된 상태로 몸체(1)에 결합되므로 조립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몸체(1) 및 외캡(5)으로부터 고무전(3)의 이탈 및 밀림이 발생하였던바, 이에 의해 조립 작업이 지연되거나 수액 투여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캡 내측에 고무전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외캡과 고무전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 조립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몸체 및 외캡으로부터 고무전의 이탈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수액백용 포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는, 일 단부에 다른 단부의 내,외경에 비해 더 큰 내,외경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된 관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헤드부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전; 상기 고무전 및 상기 몸체의 상기 일 단부를 감싸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캡은 상판의 하면에 환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전은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환턱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캡 내측에 고무전이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는, 외캡 내측에 고무전이 끼움 결합되는바, 몸체 내에 고무전을 삽입시킬 때 외캡과 상기 몸체 또한 동시에 결합되므로 제품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 과정 및 제품 내 주사바늘의 투침이나 제거 과정에서 몸체 및 외캡으로부터 고무전의 이탈 또는 밀림이 방지되므로 상기 고무전의 이탈 또는 밀림으로 인한 조립 작업 지연 및 수액 투여 곤란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에서 외캡과 고무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에서 고무전과 몸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가 의료 수액백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의료 수액백용 포트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는 몸체(10), 고무전(20) 및 외캡(3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관 형태이되, 일 단부에 다른 단부의 내경에 비해 더 큰 내,외경을 갖는 헤드부(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헤드부(11)의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1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1)의 돌기(11a)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고무전(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과 물림에 따라 몸체(10)와 고무전(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10)는 헤드부(11)의 외주면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돌출턱(1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1)의 돌출턱(11b)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외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3)과 물림에 따라 몸체(10)와 외캡(3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고무전(20)은 몸체(10)의 헤드부(11)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무전(20)은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단턱(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무전(20)의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전(20)의 단턱(21) 상부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외캡(30)의 환턱(31)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캡(30)과 고무전(20)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고무전(20)은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전(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외캡(30)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32)와 물림에 따라 고무전(20)과 외캡(3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고, 상기 고무전(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이 몸체(10)의 헤드부(11)에 형성되는 돌기(11a)와 물림에 따라 몸체(10)와 고무전(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외캡(30)은 고무전(20) 및 몸체(10)의 일 단부를 감싼다.
이와 같은 상기 외캡(30)은 상판의 저면에 환턱(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캡(30)의 환턱(31) 내측으로 고무전(20)의 단턱(21) 상부가 삽입됨에 따라 외캡(30)과 고무전(20)이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환턱(31)의 높이가 1.0mm 미만인 경우, 환턱(31) 내측으로의 고무전(20)의 삽입이 불안정하여 외캡(30)과 고무전(20)의 결합 상태가 취약할 수 있고, 상기 환턱(31)의 높이가 5.0mm를 초과하는 경우, 환턱(31) 내측으로 고무전(20)의 삽입이 번거로울 수 있는바, 상기 외캡(30)의 환턱(31)은 그 높이가 1.0 ~ 5.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턱(31)이 하부로 향하며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으로 이어지는 경우, 환턱(31) 내측에 삽입되는 고무전(20)이 쉽게 이탈할 수 있고, 환턱(31)이 하부로 향하며 내측으로 20°를 초과하여 경사지는 경우, 환턱(31) 내측으로 고무전(20) 삽입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는바, 외캡(30)의 환턱(31)은 하부로 향하며 내면이 내측으로 1 ~ 20°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외캡(30)의 환턱(31)은 하단의 외측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의 헤드부(11) 내측으로 외캡(30) 삽입 초기시 상기 라운드부(31a)로 인하여 외캡(30)의 환턱(31) 외주면과 몸체(10)의 헤드부(11) 내주면 사이가 이격되므로 몸체(10)의 헤드부(11) 내측으로 외캡(30)의 삽입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외캡(30)은 상판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돌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캡(30)의 돌기(32)가 고무전(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과 물림에 따라 외캡(30)과 고무전(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외캡(30)은 내주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걸림홈(3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캡(30)의 걸림홈(33)에 몸체(10)의 헤드부(11)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턱(11b)이 물림에 따라 외캡(30)과 몸체(1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1)는 고무전(20)의 결합부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무전(20)의 상부 외둘레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외캡(30)의 환턱(3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홈(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전(20)의 상부가 외캡(30)의 환턱(31)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함몰홈(23) 내측으로 외캡(30)의 환턱(31)이 삽입됨에 따라 됨에 외캡(30)과 고무전(20)이 더욱 안정적으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양태 및 다른 양태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 A-1)는 외캡(30)을 감싸는 변조방지캡(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조방지캡(40)에 의해 몸체(10), 고무전(20) 및 외캡(30)의 변조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조방지캡(40)의 상판은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사바늘 투입시 상기 외캡(30)에 결합된 변조방지캡(40)을 제거하지 않고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변조방지캡(40)의 상판을 통해 곧바로 주사바늘을 투입함에 따라 변조방지캡(40) 제거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 A-1)의 조립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전(20)은 몸체(10)의 헤드부(11) 내측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비교적 소형이고, 고무전(20)은 몸체(10)에 비해서도 더욱 소형인바, 고무전(20)의 파지 등이 쉽지 않으므로 조립 과정에서 몸체(10)로부터 고무전(20)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전(20)은 조립 이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30) 내측에 사전 끼움 결합되는바, 조립 과정에서 몸체(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무전(20)은,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21) 상부가 외캡(30)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환턱(31)에 삽입되어 외캡(3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거나, 고무전(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함몰홈(23) 내에 왜캡(30)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환턱(31)이 삽입되어 외캡(3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바, 상기 고무전(20) 조립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전(20)에 비해 크기가 큰 외캡(30)을 파지한 상태로 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파지 곤란 등이 해소되어 몸체(10)로부터 고무전(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전(20)이 몸체(10)에 조립 이전 외캡(30) 내측에 사전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몸체(10)에 고무전(20)을 삽입함과 동시에 몸체(10) 일단이 외캡(30)에 의해 감싸지므로 외캡(30) 조립 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외캡(30) 조립 작업의 별도 진행으로 인한 시간 소요가 방지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 A-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수액백(100)에 적용되며, 수액 투여시 주사바늘은 상기 고무전(20)을 관통하여 몸체(10) 내측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주사바늘은 고무전(20)을 가압하게 되므로 고무전(20)이 밀릴 수 있어 주사바늘 투입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무전(20)은 외캡(30) 내측에 끼움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 각각의 내측으로 몸체(10)의 헤드부(11)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11a) 및 외캡(30)의 상판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32)가 삽입되는바, 상기 결합홈(22)과 돌기(11a, 32)의 물림에 의해 외캡(30)과 고무전(20)의 결합 상태 및 몸체(10)와 고무전(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어 주사바늘 삽입시에 고무전(20)의 밀림이 방지되므로 주사바늘 투입이 원활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수액백용 포트(A, A-1)는, 상기 외캡(30) 내측에 고무전(20)이 끼움 결합되는바, 몸체(10) 내에 고무전(20)을 삽입시킬 때 외캡(30)과 몸체(10) 또한 동시에 결합되므로 제품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 과정 및 차후 제품 사용 과정에서 몸체(10) 및 외캡(30)으로부터 고무전(20)의 이탈 또는 밀림이 방지되므로 고무전(20)의 이탈 또는 밀림으로 인한 조립 작업 지연 및 수액 투여 곤란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헤드부
11a : 돌기 11b : 돌출턱
20 : 고무전 21 : 단턱
22 : 결합홈 23 : 함몰홈
30 : 외캡 31 : 환턱
31a : 라운드부 32 : 돌기
33 : 걸림홈 40 : 변조방지캡
100 : 의료 수액백 A, A-1 : 의료 수액백용 포트

Claims (12)

  1. 일 단부에 다른 단부의 내,외경에 비해 더 큰 내,외경을 갖는 헤드부(11)가 형성된 관 형태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기 헤드부(11)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전(20);
    상기 고무전(20) 및 상기 몸체(10)의 상기 일 단부를 감싸는 외캡(30);을 포함하고,
    상기 외캡(30)은 상판의 하면에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내면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환턱(31)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전(20)은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환턱(3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캡(30) 내측에 고무전(20)이 끼움 결합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단턱(21) 또는 함몰홈(23)으로 형성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헤드부(11)의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11a)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헤드부(11)의 외주면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돌출턱(11b)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전(20)은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의 상기 환턱(31)은 그 높이가 1.0 ~ 5.0mm로 형성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의 환턱(31)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내면이 내측을 향해 1 ~ 20°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의 환턱(31)은 하단의 외측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1a)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은 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32)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은 내주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걸림홈(33)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을 감싸는 변조방지캡(40)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방지캡(40)은 상판이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의료 수액백용 포트.
KR1020180046852A 2018-04-23 2018-04-23 의료 수액백용 포트 KR10202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52A KR102024308B1 (ko) 2018-04-23 2018-04-23 의료 수액백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52A KR102024308B1 (ko) 2018-04-23 2018-04-23 의료 수액백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08B1 true KR102024308B1 (ko) 2019-09-23

Family

ID=6806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52A KR102024308B1 (ko) 2018-04-23 2018-04-23 의료 수액백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30A (ko) * 2020-02-10 2021-08-1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수액 백용 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656A (ja) * 1999-06-08 2000-12-12 Daikyo Seiko Ltd 医薬医療用ゴム製品
JP2002000702A (ja) * 2000-06-20 2002-01-08 Ajinomoto Faruma Kk 医療用液体を封入する樹脂製容器及びポート部材
WO2004103453A1 (ja) * 2003-05-22 2004-12-0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封止体とそれを備えるキャップおよび医療用容器
KR20090121902A (ko) * 2008-05-23 2009-11-26 용 기 강 수액팩용 밀봉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656A (ja) * 1999-06-08 2000-12-12 Daikyo Seiko Ltd 医薬医療用ゴム製品
JP2002000702A (ja) * 2000-06-20 2002-01-08 Ajinomoto Faruma Kk 医療用液体を封入する樹脂製容器及びポート部材
WO2004103453A1 (ja) * 2003-05-22 2004-12-0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封止体とそれを備えるキャップおよび医療用容器
KR20090121902A (ko) * 2008-05-23 2009-11-26 용 기 강 수액팩용 밀봉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30A (ko) * 2020-02-10 2021-08-1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수액 백용 포트
KR102403142B1 (ko) 2020-02-10 2022-06-02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수액 백용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610B2 (en) Single-use syringe
KR101758957B1 (ko) 어댑터 및 약물 전달 장치
EP1323446B1 (en) Syringe-type container for liquid medicine
US6193688B1 (en) Tamper evident protector cap for pre-filled syringe barrels
US4568346A (en) Hypodermic syringe having a telescopic assembly between cartridge and medicament holder
EP2361076B1 (en) Vial access spike assembly
JP4300285B2 (ja) 液体とりわけ医薬液の一回分用量のための注入装置
US4484916A (en)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port construction
US20060079848A1 (en) Non-skin penetrating reconstituting syringe
US20050033260A1 (en) Transfer needle
US20130018325A1 (en) Flange extender for use with a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JP2008513063A (ja) 針突刺し損傷を防止する使い捨て安全注射器及びその再使用
JPWO2009051124A1 (ja) ガスケット及びその利用
KR101639328B1 (ko) 약병 교체 방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접속구 및 이 접속구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2024308B1 (ko) 의료 수액백용 포트
KR102307797B1 (ko) 약병접속소켓
JP6913156B2 (ja) メス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キット
US20040260248A1 (en) Medicinal syringe with piston stopper withdrawal and rotation-limiting means
KR100679701B1 (ko) 약액 일체형 주사기
KR200414135Y1 (ko) 절단링을 갖는 수액백용 포트
JPH10295780A (ja) バイアル及びアンプルからの流体にアクセスする流体移送装置及びその装置を使用して流体を移送する方法
JP2002011097A (ja) 液体導入針
JPH0767961A (ja) 注射器
KR100437553B1 (ko) 안전 주사기
KR200380851Y1 (ko) 약액 일체형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