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588B1 -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 Google Patents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588B1
KR102022588B1 KR1020180055664A KR20180055664A KR102022588B1 KR 102022588 B1 KR102022588 B1 KR 102022588B1 KR 1020180055664 A KR1020180055664 A KR 1020180055664A KR 20180055664 A KR20180055664 A KR 20180055664A KR 102022588 B1 KR102022588 B1 KR 10202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cover part
bag
gap
s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의)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5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93Containers with shape retaining means, e.g.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during emptying o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배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1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1 전면 커버부와,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2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전면 커버부와,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를 구비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Cover for intravenous fluid bag and method for covering intravenous fluid bag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하나의 커버로 수용할 수 있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영양보충을 목적으로 특정 영양소를 포함하는 액체를 공급하거나, 처방된 주사액을 공급해야 할 때, 이러한 공급액을 수액 주머니에 저장한 후 상기 수액 주머니를 환자에게 연결하게 된다. 이로써 환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액으로는, 수분·전해질의 보급용으로 링거액, 생리식염액 등, 영양보급용으로 아미노산액, 포도당액, 과당액, 플라스마네트 등, 혈액의 대용으로 덱스트란, PVP(폴리비닐필로리돈) 등, 산소보급용으로 사람의 적혈구부유액(赤血球浮遊液) 등이 있다.
따라서, 수액 주머니를 환자에 연결하는 경우,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환자뿐 아니라, 탈수증, 소모성 질환, 당뇨병, 간장애 등을 앓는 환자와 어린이, 노약자, 미숙아, 수술 전후의 환자 등에게 적절한 용도의 수액을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수액 주머니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거나, 수액 주머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액 주머니용 커버가 사용된다. 이때 수액 주머니의 용량마다 수액 주머니를 수용하는 커버의 크기가 달라진다.
따라서, 한 명의 환자에 대해 여러 종류의 수액이 주입되어야 할 경우, 각 수액의 주입량에 따라 여러 장의 커버를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고, 수액 주머니의 용량이 바뀔 때마다 바뀐 수액 주머니를 새로운 커버로 커버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하나의 커버로 수용할 수 있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배면 커버부, 상기 배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1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1 전면 커버부,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2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를 구비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전면 커버부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장변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 커버부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극 및 상기 제2 간극 각각은 상기 배면 커버부의 두께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조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조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는 와이어, 스트립(strip), 고무줄 및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장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배면 후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 측에 배치되며, 관통홀을 갖는 관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배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1 전면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극에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전면 커버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극에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에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이 제공된다
제1 간극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상기 제1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간극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상기 제2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극 및 상기 제2 간극 각각은 상기 배면 커버부의 두께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배면 후크부에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조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조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 측에 배치되며 관통홀을 갖는 관통부를 수액 거치대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액 주머니의 용량은 상기 제2 수액 주머니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하나의 커버로 커버링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주머니용 커버의 규격을 단일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에 연결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의 주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수액 주머니용 커버에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커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10)는 배면 커버부(100), 제1 전면 커버부(210) 및 제2 전면 커버부(220)를 구비하고, 제1 전면 커버부(210) 상에는 전면 후크부(300a)가 배치된다.
배면 커버부(100)는 장변(101) 및 단변(102)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그 유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장변(101)은 +x 방향 또는 -x 방향 가장자리를 의미하고, 단변(102)은 +y 방향 또는 -y 방향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배면 커버부(100)는 수액 주머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배면 커버부(100)는 그 위에 수액 주머니가 안착될 수 있는 평평한 일면을 갖는다. 또한, 배면 커버부(100)는 후술하는 전면 커버부들(210, 220)에 비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수액 주머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배면 커버부(100)의 단변(102) 측에는 관통부(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관통부(500)에는 거치대 등의 돌출부에 걸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등에는 관통부(500)가 배면 커버부(100)의 단변(102) 외측으로(+x 방향으로) 돌출되어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관통부(500)는 단순히 배면 커버부(100)의 단변(102) 내측에 위치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배면 커버부(100)에는 전면 커버부들(210, 22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배면 커버부(100) 상에 제1 전면 커버부(210)가 배치되고, 제1 전면 커버부(210)의 일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제2 전면 커버부(220)가 제1 전면 커버부(210)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면 커버부(210) 및 제2 전면 커버부(220)는 수직 길이(+x 방향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면 커버부(210) 및 제2 전면 커버부(220)는 배면 커버부(100)의 장변 방향(-x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전면 커버부(210)가 배면 커버부(100)의 대부분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전부가 제1 전면 커버부(210)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전면 커버부(210)는 제2 전면 커버부(220)보다 훨씬 더 큰 수직 길이(+x 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전면 커버부(210)가 배면 커버부(100)에 결합될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면 커버부(210)와 배면 커버부(100) 사이에는 제1 간극(G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전면 커버부(210)는 배면 커버부(100)의 제1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제1 영역이라 함은 배면 커버부(100)의 중심에서 +x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간극(G1)은 배면 커버부(100)로부터 이격되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개방되되, 배면 커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z 방향으로) 벌어진 공간일 수 있다.
제2 전면 커버부(220)가 배면 커버부(100)에 결합될 시, 제2 전면 커버부(220)와 배면 커버부(100) 사이에는 제2 간극(G2)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전면 커버부(220)는 배면 커버부(100)의 제2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제2 영역이라 함은 배면 커버부(100)의 중심에서 -x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간극(G2)은 배면 커버부(100)로부터 이격되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개방되되, 배면 커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z 방향으로) 벌어진 공간일 수 있다.
제1 전면 커버부(210) 및 제2 전면 커버부(220)는 여러 방향으로 벌릴 수 있도록 유연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는 수액 주머니의 내용물이 유출되더라도 오염되거나 변질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전면 커버부(210) 상에는 전면 후크부(300a)가 배치된다. 전면 후크부(300a)는 수액 주머니를 걸 수 있도록 제1 전면 커버부(210) 상부로(+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후크부(300a)에 걸린 수액 주머니는 제1 전면 커버부(210)와 제2 전면 커버부(220)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극(G2)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면 후크부(300a)는 제2 전면 커버부(220)로부터 +x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면 후크부(300a)가 제2 전면 커버부(220)에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면 후크부(300a)에 수액 주머니를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도 1 등에는 전면 후크부(300a)가 제1 전면 커버부(210)와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중첩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전면 후크부(300a)에 걸리는 수액 주머니의 용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전면 후크부(300a)가 관통부(500)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면 후크부(300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면 커버부(100) 상에는 배면 후크부(300b)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 후크부(300b)는 배면 커버부(200)의 단변(10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의 단변(102)은 배면 커버부(100)의 관통부(500) 측 단변(102)을 의미한다.
배면 후크부(300b) 또한, 수액 주머니를 걸 수 있도록 배면 커버부(100) 상부로(+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배면 후크부(300b)에 걸린 수액 주머니는 배면 커버부(100)와 제1 전면 커버부(210)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극(G1)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전면 후크부(300a), 배면 후크부(300b) 및 관통부(500)는 수액 주머니를 걸거나 거치대 등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구성은 +y 방향 또는 -y 방향에 있어서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배면 커버부(100) 단변(10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면 커버부(210)에는 제1 조임부(400b)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임부(400b)는 제1 간극(G1) 내에 수용된 수액 주머니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조임부(400b)를 이용하여 수액 주머니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임부(400b)는 수액 주머니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수액 주머니용 커버(10)에 연결되는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cuff)와 함께 환자에 대한 수액 주입을 도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전면 커버부(220)에는 제2 조임부(400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임부(400a)는 제2 간극(G2) 내에 수용된 수액 주머니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조임부(400a) 또한 수액 주머니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액 주머니용 커버(10)에 연결되는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와 함께 수액 주머니에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임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조임부(400b) 및 제2 조임부(400a)는 고무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나 와이어, 스트립(strip) 등과 같이 묶을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임부(400b) 및 제2 조임부(400a)는 는 와이어, 고무줄 및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임부(400b)는 제1 전면 커버부(210)의 전면 후크부(300a)에 인접한 가장자리인 제1-2 가장자리(21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임부(400b)는 제1 전면 커버부(2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부착되거나, 제1 전면 커버부(210)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임부(400a)는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전면 후크부(300a)에 인접한 가장자리인 제2-1 가장자리(221)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전면 커버부(220) 외측 또는 내측에 부착되거나, 제2 전면 커버부(220)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2 가장자리(212) 및 제2-1 가장자리(221)는 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2 가장자리(212)의 중앙부가 제1-2 가장자리(212)의 양쪽 단부보다 -x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1 가장자리(221)의 중앙부도 제2-1 가장자리(221)의 양쪽 단부보다 +x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수액 주머니의 전면 후크부(300a)에 인접한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조임부(40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여 수액 주머니의 좀 더 넓은 면적을 가압할 수 있다.
도 1 등에는 제1 전면 커버부(210)의 제1-2 가장자리(212)와, 제1 전면 커버부(210)의 제1-2 가장자리(212)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인 제1-1 가장자리(211)와,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제2-1 가장자리(221)와,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제2-1 가장자리(221)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인 제2-2 가장자리(222)가 모두 곡선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1-2 가장자리(212) 및 제2-1 가장자리(22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들이 직선형인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전면 커버부(220)의 제2-1 가장자리(221)는 배면 커버부(100)의 장변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1 가장자리(221)는 배면 커버부(10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경계선 역할을 하며, 이 경우 제2 간극(G2)에는 제1 간극(G1) 내에 수용되는 수액 주머니의 1/2 용량을 갖는 수액 주머니가 수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수액 주머니용 커버에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커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수액 주머니용 커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버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 또는 축약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커버부(100)와 제1 전면 커버부(210)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극(G1) 내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삽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제1 간극(G1)은 제1 수액 주머니(F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 커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z 방향으로) 벌어지며, 제1 수액 주머니(F1)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는다.
이 단계에서는, 배면 커버부(100) 상에 배치된 배면 후크부(300b)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1 수액 주머니(F1)가 제1 간극(G1)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제1 간극(G1)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삽입하는 단계는, 배면 후크부(300b)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배면 후크부(300b)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배면 후크부(300b)가 +z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경우, 배면 후크부(300b)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연결하는 단계는 배면 후크부(300b)에 제1 수액 주머니(F1)를 거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제1 수액 주머니(F1)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수액 주머니일 수 있으며, 제1 수액 주머니(F1)의 말단에는 제1 연결관(C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관(C1)은 환자로 연결되는 수액관과 수액 주머니를 연결시키는 부분일 수 있고, 제1 연결관(C1) 외에 주사액 주입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면 커버부(100) 등에는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가 연결되어 제1 수액 주머니(F1)를 가압함으로써 환자에게 수액 또는 주사액이 사전설정된 속도 및 양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면 커버부(210)에 구비된 제1 조임부(400b)가 제1 수액 주머니(F1)의 가압 및 지지를 돕게 된다. 즉, 제1 조임부(400b)의 탄성력이나 체결력에 의해 제1 수액 주머니(F1)를 가압하는 한편, 움직이지 않도록 제1 수액 주머니(F1)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조임부(400b)는 고무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나 와이어, 스트립(strip)등과 같이 묶을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액 주머니(F1)를 수용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는 거치대(H)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H)에는 +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에 배면 커버부(100)에 배치된 관통부(500)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H)를 이용하여 일정 장소에서 제1 수액 주머니(F1)의 수액이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환자의 이동 시 거치대(H)를 함께 이동시켜 원하는 장소로 제1 수액 주머니(F1)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에는 제1 수액 주머니(F1) 대신에 제1 수액 주머니(F1)와 용량이 상이한 제2 수액 주머니(F2)를 삽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액 주머니(F2)는 제1 전면 커버부(210)와 제2 전면 커버부(220)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극(G2)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제2 간극(G2)은 제2 수액 주머니(F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 커버부(100)의 두께 방향으로(+z 방향으로) 벌어지며, 제2 수액 주머니(F2)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는다.
이 단계에서, 제1 전면 커버부(210)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300a)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2 수액 주머니(F2)가 제2 간극(G2)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제2 간극(G2)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삽입하는 단계는, 전면 후크부(300a)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전면 후크부(300a)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전면 후크부(300a)가 +z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경우, 전면 후크부(300a)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연결하는 단계는 전면 후크부(300a)에 제2 수액 주머니(F2)를 거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도 5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면 커버부(100) 등에는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가 연결되어 제2 수액 주머니(F2)를 가압함으로써 환자에게 수액 또는 주사액이 사전설정된 속도 및 양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면 커버부(220)에 구비된 제2 조임부(400a)가 제2 수액 주머니(F2)의 가압 및 지지를 돕게 된다. 즉, 제2 조임부(400a)의 탄성력이나 체결력에 의해 제2 수액 주머니(F2)를 가압하는 한편, 움직이지 않도록 제2 수액 주머니(F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제2 조임부(400a)는 제1 조임부(400b)와 마찬가지로 고무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나 와이어, 스트립(strip) 등과 같이 묶을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제2 수액 주머니(F2)는 제1 수액 주머니(F1)보다 용량이 작을 수 있으며, 제1 수액 주머니(F2)의 말단에도 제2 연결관(C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관(C2) 또한 제1 연결관(C1)과 마찬가지로, 환자로 연결되는 수액관과 수액 주머니를 연결시키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연결관(C2) 외에도 주사액 주입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액 주머니(F2)를 수용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는 거치대(H)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H)에는 +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에 배면 커버부(100)에 배치된 관통부(500)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H)를 이용하여 일정 장소에서 제2 수액 주머니(F2)의 수액이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환자의 이동 시 거치대(H)를 함께 이동시켜 원하는 장소로 제2 수액 주머니(F2)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의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이 상이한 수액 주머니들(F1, F2)을 번갈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거치대(H)에 연결하게 되므로, 각 용량에 따라 수액 주머니용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주머니용 커버는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수액 주머니들을 하나의 커버로 커버링할 수 있다. 이로써, 수액 주머니용 커버의 규격을 단일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동식 펌프 또는 커프에 연결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의 주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액 주머니용 커버
100: 배면 커버부
210: 제1 전면 커버부
220: 제2 전면 커버부
300a: 전면 후크부
300b: 배면 후크부
400a: 제2 조임부
400b: 제1 조임부
500: 관통부
G1: 제1 간극
G2: 제2 간극
F1: 제1 수액 주머니
F2: 제2 수액 주머니
H: 거치대

Claims (20)

  1.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배면 커버부;
    상기 배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1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1 전면 커버부;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의 사이에 제2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면 커버부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제1 조임부; 및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제2 조임부;를 더 구비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전면 커버부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장변 방향을 따라 배열된, 수액 주머니용 커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 및 상기 제2 간극 각각은 상기 배면 커버부의 두께 방향으로 벌어진, 수액 주머니용 커버.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부 및 상기 제2 조임부는 와이어, 스트립(strip), 고무줄 및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곡선 형상을 갖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장변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배면 후크부;를 더 구비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 측에 배치되며, 관통홀을 갖는 관통부;를 더 구비하는, 수액 주머니용 커버.
  12.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배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1 전면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극에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 상기 배면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전면 커버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극에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전면 후크부에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커버부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전면 커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제1 조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의 상기 전면 후크부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 커버부에 설치된 제2 조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 간극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상기 제1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2 간극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2 수액 주머니를, 상기 제2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극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 및 상기 제2 간극 각각은 상기 배면 커버부의 두께 방향으로 벌어진,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배면 커버부 상에 배치된 배면 후크부에 상기 제1 수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부의 단변 측에 배치되며 관통홀을 갖는 관통부를 수액 거치대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액 주머니의 용량은 상기 제2 수액 주머니의 용량보다 큰,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KR1020180055664A 2018-05-15 2018-05-15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KR10202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64A KR102022588B1 (ko) 2018-05-15 2018-05-15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64A KR102022588B1 (ko) 2018-05-15 2018-05-15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588B1 true KR102022588B1 (ko) 2019-09-18

Family

ID=6807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664A KR102022588B1 (ko) 2018-05-15 2018-05-15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986U (ja) * 1995-04-14 1995-10-17 晃敬 古矢 点滴薬剤容器ホルダー帽子
JP3113593U (ja) * 2005-05-20 2005-09-15 実 石山 薬入れ袋
JP2015051173A (ja) * 2013-09-07 2015-03-19 凸版印刷株式会社 点滴容器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986U (ja) * 1995-04-14 1995-10-17 晃敬 古矢 点滴薬剤容器ホルダー帽子
JP3113593U (ja) * 2005-05-20 2005-09-15 実 石山 薬入れ袋
JP2015051173A (ja) * 2013-09-07 2015-03-19 凸版印刷株式会社 点滴容器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66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fluid supply system
US9408611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stop bleeding
US7856745B2 (en) Information clip for flexible tubing
RU105822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10282293A1 (en) Medical Device Comprising Adhesive Pad
CN1646184A (zh) 多孔输液装置
CN102438682A (zh) 通用稳定装置
WO2015020882A1 (en)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10835666B2 (en) Clip-holder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set
CN101754743A (zh) 通用无针药袋接入装置
JP2015526255A (ja) 医療用物品固定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90022303A1 (en) Intravenous delivery line organizer
RU107038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022588B1 (ko) 수액 주머니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수액 주머니 커버링 방법
CN205268748U (zh) 医疗器械和用于医疗器械的保护器
JP2009125162A (ja)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容器セット
CN108348730A (zh) 包括在相背的主表面上具有机械紧固件的配对表面的翼片的医用制品固定系统
RU108943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70078401A1 (en) Intravenous tubing protector and support system
CN209757849U (zh) 一种高压造影剂注射装置的耗材包装盒
CN211157743U (zh) 管道固定器
KR102114975B1 (ko) 카테터
CN108348729A (zh) 包括翼片和具有机械紧固件的配对表面的竖直壁的医疗制品固定系统
CN114007668B (zh) 用于输注泵的静音泵送机构
KR101749532B1 (ko) 수액 주입세트 고정용 탄성밴드 및 상기 탄성밴드가 설치된 수액 주입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