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265B1 -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265B1
KR102022265B1 KR1020170062724A KR20170062724A KR102022265B1 KR 102022265 B1 KR102022265 B1 KR 102022265B1 KR 1020170062724 A KR1020170062724 A KR 1020170062724A KR 20170062724 A KR20170062724 A KR 20170062724A KR 102022265 B1 KR102022265 B1 KR 10202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iot device
low power
mode
pow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688A (ko
Inventor
정상학
이상준
장동우
Original Assignee
(주)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주)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2017006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265B1/ko
Priority to CN201810288230.0A priority patent/CN108934001B/zh
Priority to TW107117282A priority patent/TW201902159A/zh
Priority to US15/985,728 priority patent/US10873908B2/en
Publication of KR2018012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05Routing actions in the presence of nodes in sleep or doz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 없이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단말과 무선통신을 하는 IoT 기기 및 그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IoT with Low Power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특히, 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별도의 게이트웨이의 이용 없이 직접 중계기와 원활히 무선 통신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IoT 시스템(100)은 중계기(110), IoT 기기(120, 122, 124), 게이트웨이(130) 및 단말(140)을 포함한다.
중계기(110)는 IoT 기기(120, 122, 124)와 단말(140)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시켜, IoT 기기(120, 122, 124)와 단말(140) 간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중계기(110)는 IoT 기기(120, 122, 124)와 단말(140)을 접속시켜, IoT 기기(120, 122, 124)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140)이 특정 동작을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IoT 기기(120, 122, 124)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기(110)는 무선 네트워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가 Wi-fi인 경우, AP(Access Point)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IoT 기기(120, 122, 124)와 단말(140)을 접속시켜 IoT 기기(120, 122, 124)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는 Wi-fi인 것으로, 중계기(110)는 AP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oT 기기(120, 122, 124)는 중계기(110)를 이용하여 단말(140)로 자신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단말(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IoT 기기가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경우, IoT 기기는 현재 자신이 잠금 상태인지 열려있는 상태인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중계기(110)를 거쳐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140)로부터 잠금 제어신호나 열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을 잠그거나 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IoT 기기(120, 122, 124)는 스마트 가전과 같이 상용전원을 이용하거나, 자동차와 같이 대형 배터리를 탑재한 기기가 아닌 소형 배터리를 탑재한 IoT 기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IoT 기기(120, 122, 124)는 전력 소모에 민감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게이트웨이(130)는 중계기(110)와 IoT 기기(120, 122, 124)의 접속을 중계한다. 중계기(110)가 Wi-fi의 AP인 경우에, 중계기(110)와의 접속을 위한 연결 과정 및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상에서 IoT 기기(120, 122, 124)에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게이트웨이(130)는 중계기(110)와는 Wi-fi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지그비(Zigbee)나 지 웨이브(Z-Wave) 등 전력 소모가 낮은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여 IoT 기기(120, 122, 124)와 통신한다. 또는, 게이트웨이가(130) 별도로 통신 규격의 변환없이 중계기(110) 및 IoT 기기(120, 122, 124) 모두와 Wi-fi를 이용하여 통신한다고 하더라도, IoT 기기(120, 122, 124)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130)는 탐색, 인증, 연결 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전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중계기(110)와 진행한다. Wi-fi를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의 송수신만을 IoT 기기(120, 122, 124)와 진행함으로써, 게이트웨이(130)는 IoT 기기(120, 122, 124)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킨다.
단말(140)은 중계기(110)를 이용하여 IoT 기기(120, 122, 124)와 접속하며, IoT 기기(120, 122, 124)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거나, IoT 기기(120, 122, 124)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처럼, 종래의 IoT 시스템(100)은 중계기(110) 외에도 IoT 기기(120, 122, 124)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자 반드시 게이트웨이(130)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본 실시예는, 게이트웨이 없이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단말과 무선통신을 하는 IoT 기기 및 그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중계기와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하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IoT 기기 및 그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중계기와 연결되어 단말과 무선통신을 하는 저전력 IoT 기기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콘을 방사하는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단말로부터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신호와 상기 중계기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IoT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콘 또는 상기 중계기의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신호 또는 상기 중계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중계기와 연결되어 단말과 무선통신을 하며, 배터리를 이용하는 저전력 IoT 기기가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하는 방사과정과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단말로부터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로부터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단말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과정 및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신호와 상기 중계기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여 상기 IoT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과정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중계기와 연결된 저전력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방사하는 비콘을 수신하거나,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비콘을 방사하는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모드 변경신호 및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모드 변경 시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중계기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중계기와 연결된 저전력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저전력 IoT 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방사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비콘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비콘을 방사하는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과정과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모드 변경 시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모드 변경신호와 상기 중계기의 정보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IoT 기기가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단말과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IoT 기기가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단말과 무선통신을 하면서도,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이 차단된 후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이 차단된 후 재접속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200)은 중계기(210), IoT 기기(220, 222, 224), 및 단말(230)을 포함한다.
중계기(210)는 IoT 기기(220, 222, 224)와 단말(230)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시켜, IoT 기기(220, 222, 224)와 단말(230) 간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중계기(210)는 자신에 접속(Access)을 시도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해 자신과 연결(Connectivity)된 IoT 기기(220, 222, 224)와 단말(230) 간에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중계기(110)는 IoT 기기(220, 222, 224)와 단말(230)을 접속시켜, IoT 기기(220, 222, 224)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단말(2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230)이 특정 동작을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기(110)는 통신 과정상에서 많은 전력 소모가 필요한 무선 통신 상의 중계기일 수 있다. IoT 기기(220, 222, 224)나 단말(23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해 접속을 시도하거나, 중계기와의 연결을 유지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을 위한 채널 탐색 과정, 채널 선택 후 인증 과정, 해당 채널로 연결하는 과정 등 다양한 과정이 1회 이상 진행되며 IoT 기기(220, 222, 224)나 단말(230) 내 많은 전력 소모가 일어날 수 있다. 즉, 중계기(110)는 애초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또는 지웨이브(Z-Wave)와 같은 무선 통신 상의 중계기가 아닌, 통신 과정상에서 많은 전력 소모가 필요한 무선 통신 상의 중계기를 의미한다. 중계기(110)는 무선 통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가 Wi-fi인 경우, AP(Access Point)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IoT 기기(220, 222, 224)와 단말(230)을 접속시켜 IoT 기기(220, 222, 224)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는 Wi-fi인 것으로, 중계기(110)는 AP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조건 하에서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처음 전원을 인가받아 최초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다가 리셋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한다. 다만, 장기간 동안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 소모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중계기 모드로 동작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비콘을 방사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단말(230)로 알리고,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의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고, 수신한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로 접속을 시도한다.
중계기와 접속하여 연결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110)를 이용하여 단말(230)로 자신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단말(2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IoT 기기가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경우, IoT 기기는 현재 자신이 잠금 상태인지 열려있는 상태인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중계기(110)를 거쳐 단말(230)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230)로부터 잠금 제어신호나 열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을 잠그거나 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IoT 기기(220, 222, 224)는 스마트 가전과 같이 상용전원을 이용하거나, 자동차와 같이 대형 배터리를 탑재한 기기가 아닌 소형 배터리를 탑재한 IoT 기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110)에 접속하거나 접속하여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은 많은 전력소모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소형 배터리를 탑재한 IoT 기기(220, 222, 224)는 전력 소모에 민감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110)에 접속하거나 접속하여 연결을 유지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230)은 중계기(210)를 이용하여 IoT 기기(220, 222, 224)와 접속하며, IoT 기기(220, 222, 224)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거나, IoT 기기(220, 222, 224)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비콘을 IoT 기기(220, 222, 224)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말(230)은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 정보를 해당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한다. IoT 기기(220, 222, 224)가 비콘을 방사하는 경우,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의 역할을 하고, 단말(230)은 스테이션(Station)의 역할을 한다. 비콘을 IoT 기기(220, 222, 224)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말(230)은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신호를 전송한다. 단말 모드는 IoT 기기(220, 222, 224)가 스테이션으로서 특정 중계기와 접속을 시도하여 해당 중계기와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이와 동시에, 단말(230)은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 모드로 동작할 경우, 단말(230)이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에 관한 중계기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단말(230)은 수신한 중계기 정보를 모드 변경신호와 함께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220, 222, 224)는 무선 통신부(310), 전원부(320), 입력부(330), 제어부(340), 메모리부(350) 및 작동부(36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비콘을 외부로 방사하거나,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일정 조건 하에서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며,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310)는 외부로 비콘을 방사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비콘을 수신한 단말(23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무선 통신부(310)는 이를 수신한다. 여기서, 중계기 정보란 중계기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해당 중계기에 설정된 고유 비밀번호, 중계기의 MAC 주소 등 각각의 중계기를 식별하고, 특정 중계기로서 접속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에 접속을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310)가 모드 변경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로 접속을 시도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접속하고자 하는 채널을 탐색하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 채널 선택 후 인증하기 위한 신호 또는 해당 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 등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에 접속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동작 제어신호 및 판단결과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실제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와 접속이 완료되어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 또는 접속이 완료되어 IoT 기기(220, 222, 2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310)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IoT 기기(220, 222, 224)가 동작하는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IoT 기기(220, 222, 224)와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다가 연결이 차단된 경우, 무선 통신부(31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일 수 있다.
전원부(320)는 IoT 기기(220, 222, 224) 내 모든 구성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320)는 상용 전원이나 대용량 배터리가 아닌, 탈착 가능한 소형 배터리를 의미한다.
입력부(330)는 리셋 신호 또는 웨이크업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부(330)는 리셋 신호를 입력받을 부분과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받을 부분을 분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220, 222, 224)가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경우, 리셋 신호를 입력받을 부분은 전원부의 주변부에 아주 작게 구현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받을 부분은 통상의 숫자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입력부(330)는 리셋 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받을 부분을 분리하여, 각각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부(34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기 설정된 조건은 전원부(320)로부터 최초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가 재 장착되어 전력이 재공급되는 경우, 입력부(330)가 외부로부터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4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310)는 비콘을 방사한다.
다만, 제어부(340)가 지속적으로 비콘을 방사하도록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는 경우, 전원부의 과도한 전력 소모가 방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340)는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하며, 기 설정된 시간 내 무선 통신부(310)가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 정보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 내 무선 통신부(310)가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 정보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제1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IoT 기기(220, 222, 224) 주변에 단말(230)이 없을 경우도 존재하며, IoT 기기(220, 222, 224)가 접속할 중계기(210)가 IoT 기기(220, 222, 224)의 주변에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가 지속적으로 비콘을 방사하게 되면, 전력의 소모만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40)는 제1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제1 딥 슬립 모드는 입력부(330)에만 전원을 제공하며, 제어부(340)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구성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입력부(330)에 리셋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전원부(320)에 배터리가 재 장착되는 경우에만 해제된다. 통상의 일반적인 저전력 IoT 기기의 슬립 모드와는 달리, 슬립 모드로 진입 시 일정 주기마다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리셋 신호의 입력 또는 배터리의 재장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웨이크업 되지 않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시간 내 무선 통신부(310)가 모드 변경신호와 중계기 정보를 단말(23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어부(340)는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며, 수신한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더 이상 무선 통신부(310)가 비콘을 방사하는 것을 막고, 수신한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 제어부(340)는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부(310)가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에 접속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중계기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중계기(210)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340)는 중계기로의 접속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중계기(21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스캔(Scan)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제어부(340)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와의 접속하기 위한 스캐닝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시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분 동안 2분마다 한번 씩 시도를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계기(21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제1 딥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무선 통신부(310)가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부(3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IoT 기기(220, 222, 224)와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다가 연결이 차단된 경우, 제어부(340)는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를 탐색하도록 제어한다. IoT 기기(220, 222, 224)와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다가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라든지, 중계기가 다른 것으로 변경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탐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무선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340)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탐색한다. 이때, 중계기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다시 중계기와 연결한다. 반대로, 탐색 결과 중계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40)는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제2 딥 슬립 모드는 입력부(330) 및 메모리부(350)에만 전원을 제공하며, 제어부(340)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구성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입력부(330)에 웨이크업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딥 슬립 모드는 해제된다. 제2 딥 슬립 모드가 제1 딥 슬립 모드와 다른 점은, 해제 시 리셋 신호가 아닌 웨이크업 신호로 해제된다. 또한, 메모리부(350)에도 전원이 제공되어 메모리부(350)에 기 저장된 다른 기기의 통신부와의 연결정보 및 인증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350)는 초기화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과정 없이 바로 중계기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 후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기 연결되었던 중계기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딥 슬립 모드는 메모리부(350)에도 전원이 제공되기 때문에, 기 연결되었던 중계기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바로 해당 중계기와 연결된다. 그러나 제어부(340)가 중계기(210)가 존재하는지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탐색하였음에도, 중계기(210)와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면, 중계기가 변경된 경우이므로 제어부(340)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40)는 제1 딥 슬립 모드 또는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IoT 기기(220, 222, 224)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탐색 등을 줄여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메모리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중계기와 접속이 완료되어 연결된 경우, 해당 중계기와의 연결을 지속할 수 있도록 연결정보 또는 인증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IoT 기기(220, 222, 224)가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연결되었던 중계기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360)는 IoT 기기(220, 222, 224)의 종류에 따라 해당 IoT 기기의 목적에 따라 작동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IoT 기기가 도어락인 경우, 작동부(360)는 자물쇠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작동부(360)는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30)은 무선 통신부(410), 입력부(420), 제어부(430) 및 메모리부(44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410)는 IoT 기기(220, 222, 224)로부터 비콘을 수신한다.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410)는 방사되는 비콘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410)는 비콘을 방사한 IoT 기기(220, 222, 224)로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410)는 동작 제어신호 및 판단 결과를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IoT 기기(220, 222, 224)가 모드를 변경하여 단말 모드로 동작하며, 접속할 중계기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420)는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중계기와 연결된 IoT 기기(220, 222, 2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다. 이와 함께, 입력부(420)는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IoT 기기(220, 222, 224)가 동작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판단 결과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비콘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IoT 기기(220, 222, 224)의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IoT 기기(220, 222, 224)가 모드를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410)가 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입력부(420)가 입력받은, IoT 기기(220, 222, 224)가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의 정보를 모드 변경신호와 함께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동작 제어신호를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말(230)의 사용자는 IoT 기기(220, 222, 224)가 제어한 대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IoT 기기(220, 222, 224)가 중계기(210)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후, 단말(230)의 사용자는 판단 결과를 입력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판단 결과를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440)는 중계기와의 연결을 지속할 수 있도록 연결정보 또는 인증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한다(S510).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며, 이에 따라 외부로 비콘을 방사한다.
단말(230)은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전송한다(S520). 비콘을 IoT 기기(220, 222, 224)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IoT 기기(220, 222, 224)의 동작 모드를 단말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모드 변경신호와 단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의 정보를 IoT 기기(220, 222, 224)로 전송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3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3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여 비콘을 방사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단말(23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30)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단말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수신한 중계기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S540).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3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단말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함에 있어, 수신한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50).
중계기와 연결되지 않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560).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지속적으로 비콘을 방사하는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지기 때문에,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중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즉시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스캔(Scan)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제어부(340)는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와의 접속하기 위한 스캐닝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시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계기(21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 후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다(S570).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 후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기 때문에 S510 과정으로 돌아가 중계기 모드로 동작한다.
중계기와 연결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기기 등록 및 접속을 완료한다(S58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이 차단된 후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중계기(210)와 IoT 기기(220, 222, 224)가 연결 중 연결의 차단이 발생한다(S610). 연결의 차단은 중계기(210)의 전원이 꺼지거나, 연결중인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로 교체되었을 수 있다.
연결의 차단이 발생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중계기(210)를 탐색한다(S620).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탐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탐색할 수 있다.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연결된 중계기(210)가 탐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30).
중계기(210)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650). 중계기(210)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제2 딥 슬립 모드는 제1 딥 슬립 모드와는 달리,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해제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350)에도 전원이 제공되어 중계기(210)가 탐색되는 즉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IoT 기기(220, 222, 224)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660), 기 연결되었던 중계기(210)와 접속을 시도한다(S67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80).
중계기와 접속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695).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 후 해제되었음에도 중계기와 접속되지 않은 경우라면, 기 연결된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로 교체된 상황에 해당한다. 따라서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S560)한다.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210)가 탐색되었거나,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210)가 접속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연결을 유지한다(S640, S69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 모드로 동작한다(S710).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1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1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한 경우,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단말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수신한 중계기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와의 접속을 시도한다(S73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210)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40).
중계기(210)와 연결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완료한다(S750).
기 설정된 시간 내 단말(210)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중계기(21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760).
IoT 기기(220, 222, 224)는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다(S770).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다시 S710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가 중계기와의 접속이 차단된 후 재접속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IoT 기기(220, 222, 224)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중계기를 탐색한다(S81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가 탐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20).
중계기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830).
웨이크업 모드를 수신하는 경우(S84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재시도한다(S850).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의 접속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60).
중계기가 탐색되었거나 중계기와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중계기와의 접속을 유지한다(S870).
중계기와의 접속이 실패한 경우, IoT 기기(220, 222, 224)는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S880).
도 7 및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 및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종래 IoT 시스템 110: 중계기
120, 122, 124: IoT 기기 130: 게이트웨이
140: 단말 200: IoT 시스템
210: 중계기 220, 222, 224: IoT 기기
230: 단말 310, 410: 무선 통신부
320: 전원부 330, 420: 입력부
340, 430: 제어부 350, 440: 메모리부
360: 작동부

Claims (20)

  1.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면서 비콘을 방사하다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게이트웨이를 미경유한 상태로 직접 접속을 시도하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신호 및 상기 중계기 정보가 미수신되거나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미접속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제1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IoT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접속한 상태에서 연결 차단이 발생한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가 미탐색된 경우, 상기 단말 모드에서 제2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력 IoT 기기; 및
    상기 비콘을 수신하다가,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상기 단말 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신호와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모드 변경 시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 정보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 구비된 전원부로부터 최초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이거나,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가 재장착되는 경우이거나, 상기 입력부로부터 외부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접속이 실패한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접속이 실패한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스캔(Scan)하여 접속을 재시도하며,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가 미스캔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상기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면서 상기 입력부에만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외부 리셋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 구비된 전원부의 배터리가 재장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딥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7. 저전력 IoT 기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모드로 동작하면서 비콘을 방사하는 과정;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비콘을 수신하다가,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변경하도록 모드 변경신호와 상기 저전력 IoT 기기의 모드 변경 시 접속을 시도할 중계기 정보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로부터 모드 변경신호 및 중계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단말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게이트웨이를 미경유한 상태로 직접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신호 및 상기 중계기 정보가 미수신되거나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미접속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 모드에서 제1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저전력 IoT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서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접속한 상태에서 연결 차단이 발생한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연결되어 있던 중계기가 미탐색된 경우, 상기 단말 모드에서 제2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저전력 IoT 기기 내 기 설정된 구성 외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배터리로부터 최초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배터리가 재장착되거나, 상기 저전력 IoT 기기에 구비된 입력부로부터 외부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로 접속이 실패한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스캔(Scan)하여 접속을 재시도하며, 상기 중계기 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가 미스캔되는 경우, 상기 제2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는 상기 제1 딥 슬립 모드로 동작하면서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에만 전원을 제공하다가, 외부 리셋 신호를 입력받거나 배터리가 재 장착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딥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중계기 정보를 입력받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입력받는 입력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기와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시스템.
  17. 삭제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상기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전력 IoT 기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중계기와 상기 저전력 IoT 기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 판단 결과를 상기 저전력 IoT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IoT 기기의 절전 방법.
KR1020170062724A 2017-05-22 2017-05-22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02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724A KR102022265B1 (ko) 2017-05-22 2017-05-22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201810288230.0A CN108934001B (zh) 2017-05-22 2018-04-03 具有低功耗模式的IoT设备及其操作方法
TW107117282A TW201902159A (zh) 2017-05-22 2018-05-21 具有低功耗模式的IoT設備及其操作方法
US15/985,728 US10873908B2 (en) 2017-05-22 2018-05-22 IoT device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724A KR102022265B1 (ko) 2017-05-22 2017-05-22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88A KR20180127688A (ko) 2018-11-30
KR102022265B1 true KR102022265B1 (ko) 2019-09-18

Family

ID=6427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724A KR102022265B1 (ko) 2017-05-22 2017-05-22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73908B2 (ko)
KR (1) KR102022265B1 (ko)
CN (1) CN108934001B (ko)
TW (1) TW2019021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1666A1 (en) 2018-12-18 2020-06-24 Neopost Technologies Parcel locker system with autonomous clusters of compartments
US20200272221A1 (en) * 2019-02-26 2020-08-27 Apple Inc. Multi-Interface Transponder Device - Power Management
FR3103656B1 (fr) * 2019-11-26 2021-10-29 Sagemcom Broadband Sas Equipement nomade pouvant remplir la fonction de répéteur ou d’extendeur
CN111065141A (zh) * 2019-12-30 2020-04-24 海信集团有限公司 智能家电设备的无线网络连接方法、智能家电设备及系统
CN111565063B (zh) * 2020-04-29 2021-06-15 广州技象科技有限公司 一种窄带物联网系统
US11533229B2 (en) * 2020-05-21 2022-12-2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Iot devices using manufacturer usage description files
KR102418389B1 (ko) * 2020-06-03 2022-07-08 (주)쿠첸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18441A (ko) * 2022-02-04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690A (ja) * 2009-03-05 2010-09-16 Sharp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装置並びに情報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61B1 (ko) * 2005-10-07 2012-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모듈 전원제어 방법
US8427977B2 (en) 2009-06-23 2013-04-23 CSC Holdings, LLC Wireless network polling and data warehousing
KR20110121435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WiFi와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N102612124A (zh) * 2012-03-15 2012-07-25 成都秦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物联网通信方法
KR101991747B1 (ko) 2012-12-20 2019-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4147048A (ja) * 2013-01-30 2014-08-14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565633B2 (en) 2014-07-03 2017-02-07 Alcatel Lucent Opportunistic information forwarding using wireless terminals in the internet-of-things
US10756964B2 (en) 2015-05-29 2020-08-25 Espressif Systems (Shanghai) Co., Ltd. Internet of things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low-power-consumption proxy device
CN105323824B (zh) * 2015-11-16 2019-12-27 北京京东世纪贸易有限公司 辅助wifi设备入网的电子设备、wifi设备及方法
US10609581B2 (en) * 2016-06-03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of wireless communication
CN106255176A (zh) * 2016-08-04 2016-12-21 深圳键桥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将智能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
CN107872838B (zh) * 2016-09-27 202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指示方法及接入点ap
US10536211B2 (en) * 2016-10-14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device relay service for reliable internet of things
US10469286B2 (en) * 2017-03-06 2019-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client devices using a virtual anchor mana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690A (ja) * 2009-03-05 2010-09-16 Sharp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装置並びに情報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2159A (zh) 2019-01-01
US10873908B2 (en) 2020-12-22
US20180338285A1 (en) 2018-11-22
KR20180127688A (ko) 2018-11-30
CN108934001A (zh) 2018-12-04
CN108934001B (zh)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65B1 (ko)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576110B2 (en) Bluetooth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20170091025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20001530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US20180249313A1 (en) Smar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nfc-based network connection method
US100515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31491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702150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TWI459834B (zh) 通訊裝置
US861131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communication method
US9210594B2 (en) Terminal for entering coverage of small base station, small base statio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US20130076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issioning devices
KR101907487B1 (ko) 휴대단말기의 ap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801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 by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102162958B1 (ko) 무선 랜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065092B1 (ko)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소형 기지국
KR20110041768A (ko) 소형 기지국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891763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ducting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partner
US2009017544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20200072310A (ko)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5260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WiFi scan optimization
JP2007274208A (ja) 電源制御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制御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20190097830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connection to access point, and home device in which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connection to access point is implemented
US20140146800A1 (en)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network,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388149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