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47B1 -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747B1
KR101991747B1 KR1020120149826A KR20120149826A KR101991747B1 KR 101991747 B1 KR101991747 B1 KR 101991747B1 KR 1020120149826 A KR1020120149826 A KR 1020120149826A KR 20120149826 A KR20120149826 A KR 20120149826A KR 101991747 B1 KR101991747 B1 KR 10199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eferred
communication module
detected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242A (ko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47B1/ko
Priority to US14/068,481 priority patent/US9485730B2/en
Publication of KR2014008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성, 설치 및 확장의 용이성 등 무선 통신의 장점으로 인해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 위치한 서로 연결된 전자 장치들 사이에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통신을 일컫는 용어로써, 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망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Wi-Fi망을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Wi-Fi 모듈을 활성화하여 AP(Access Point)에 접속한다.
만일, 근거리 무선 통신 망과 접속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접속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무선 통신 망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망과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지 않는 한 접속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지속적으로 검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Wi-Fi망과 접속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접속 가능한 AP를 검색하고 검색된 AP로 접속을 시도한다. 검색된 AP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Wi-Fi모듈을 비활성화하지 않는 한 접속 가능한 AP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접속 가능한 AP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망과 접속이 해제되더라도 접속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검색하고 검색된 근거리 무선 통신 망과 접속을 시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망에 접속하지 못한 경우, 전자 장치는 주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통신 망에 접속한다. 이 과정에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호 기기로 등록하여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로 등록된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주변 기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 기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호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선호 기기는, 전자 장치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기로 결정된 기기를 포함하며, 선호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및 MP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입출력 제어부(140), 터치 스크린(150), 입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1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1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전자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호 기기로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된 AP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연결된 AP를 선호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된 AP와 통신이 해제된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주변 AP를 검색한다. 이때,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주변 AP들 중에서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AP와 통신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주변 AP를 검색하고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반복 확인한다.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Wi-Fi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다른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주변 AP를 검색한다. 이때,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주변 AP들 중에서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Wi-Fi 모듈을 활성화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주변 AP를 검색하고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반복 확인한다.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은 Wi-Fi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표시부(152)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정보를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 제어부(140)는 표시부(152) 및 입력부(16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4)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스크린(150)은 정보의 출력 및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51)와 표시부(152)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부(15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이때, 터치 입력부(151)는 전자 펜 또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70)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통신부(170)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70)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호 기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된 AP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연결된 AP를 선호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된 AP와 통신이 해제된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주변 AP를 검색한다. 이때,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주변 AP들 중에서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AP와 통신이 해제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주변 AP를 검색하고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반복 확인한다.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Wi-Fi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다른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주변 AP를 검색한다. 이때,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주변 AP들 중에서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Wi-Fi 모듈을 활성화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주변 AP를 검색하고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가 존재하는지 반복 확인한다. 선호 기기로 등록된 AP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는 Wi-Fi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표시부(152)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정보를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에서 통신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을 포함하는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연결 제어 프로그램(113)을 포함하는 별도의 연결 제어 처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선호 기기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통신 수행을 위해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 활성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Wi-Fi 모듈을 활성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Wi-Fi 아이콘(707)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 정보와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정보와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후,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비컨(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비컨 메시지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물리주소(MAC address) 및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을 포함한다.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주변 AP 목록(715)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AP의 이름,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를 검출한 후,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표시된 주변 AP 목록(715)에서 "ZIO"(711)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ZIO"(711)가 암호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후, 전자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연결된 기기를 선호 기기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ZIO"(711)와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IO"(711)를 선호 기기로 등록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메뉴(701)를 표시부(152)에 표시한다. "선호 기기 등록"(703)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를 선호 기기로 등록한다. 만일, "취소"(705)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를 선호 기기로 등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선호 기기 등록 메뉴(701)의 표시를 해제한다.
추가적으로, "ZIO"(711)를 선호 기기로 등록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 시킬 것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선호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에서 "예"(723)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 시킨다.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에서 "아니오"(725)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기기와의 연결 과정 중에 선호 기기를 등록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선호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선호 기기를 등록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비컨(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Wi-Fi 아이콘(707)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컨 메시지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물리주소(MAC address) 및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을 포함한다.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주변 AP 목록(715)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AP의 이름,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중인 AP와의 통신이 해제된 경우에도 주변 기기를 검출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를 검출한 후,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선호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선호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된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ZIO"(711)와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ZIO"(711)가 암호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ZIO"(711)의 암호화 키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다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AP 이름(711), 선호 기기 아이콘(713)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에 선호 기기 아이콘(7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절차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means)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제1수단(407),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제2수단(409) 및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제3수단(411)을 포함한다.
제1수단(407)은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비컨(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Wi-Fi 아이콘(707)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컨 메시지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물리주소(MAC address) 및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을 포함한다.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주변 AP 목록(715)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AP의 이름,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중인 AP와의 통신이 해제된 경우에도 주변 기기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제2수단(409)은 선호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제3수단(411)은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호 기기와 연결을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된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ZIO"(711)와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ZIO"(711)가 암호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ZIO"(711)의 암호화 키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다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AP 이름(711), 선호 기기 아이콘(713)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에 선호 기기 아이콘(7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Wi-Fi 모듈을 통해 접속한 AP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표시된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에서 "예"(723)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때, "아니오"(725)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52)에 표시된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의 표시를 해제한다. 추가적으로, 501단계에서 Wi-Fi 모듈을 통해 접속한 AP가 선호 기기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AP 이름(711), 선호 기기 아이콘(713)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에 선호 기기 아이콘(7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한 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기기와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기준 신호 세기보다 낮은 경우, 전자 장치는 기기와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기기로부터 기준 시간 동안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는 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선호 기기로부터 기준 횟수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는 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만일, 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501단계로 진행하여 근거리 통신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기기와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구동한다. 여기서, 타이머는 통신 모듈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이거나 시스템에 의해 기 정의된 값일 수 있다. 또한, 타이머의 값은 시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타이머를 구동한 후, 전자 장치는 509단계에서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AP(Access Point)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비컨(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비컨 메시지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물리주소(MAC address) 및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을 포함한다.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주변 AP 목록(715)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AP의 이름,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를 검출한 후, 전자 장치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한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가 종료됐는지 확인한다.
타이머가 종료된 경우, 전자 장치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한편,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선호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된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ZIO"(711)와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ZIO"(711)가 암호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ZIO"(711)의 암호화 키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다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AP 이름(711), 선호 기기 아이콘(713)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에 선호 기기 아이콘(7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호 기기와 연결 여부에 따라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Wi-Fi 모듈 활성화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 정보와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정보와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구동한다. 여기서, 타이머는 통신 모듈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이거나 시스템에 의해 기 정의된 값일 수 있다. 또한, 타이머의 값은 시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타이머를 구동한 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에서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AP(Access Point)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된 비컨(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비컨 메시지는 AP의 이름(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물리주소(MAC address) 및 AP의 암호화 방식(예, WPA2)을 포함한다.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주변 AP 목록(715)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AP의 이름, AP의 암호화 여부, AP의 암호화 방식 및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표시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를 검출한 후, 전자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한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주변 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가 종료됐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한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연결 가능 기기를 다시 검출하기 위해 타이머가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타이머가 종료된 경우, 전자 장치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출한다.
한편, 주변 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선호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된 주변 AP 목록(715)에서 선호 기기인 "ZIO"(711)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ZIO"(711)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ZIO"(711)와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ZIO"(711)가 암호화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ZIO"(711)의 암호화 키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는 "ZIO"(711)에 연결하기 위한 키(Key)를 다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AP 이름(711), 선호 기기 아이콘(713)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에 선호 기기 아이콘(7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선호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영역에 표시한 Wi-Fi아이콘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후,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에 표시된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에서 "예"(723)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때, "아니오"(725)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호 연결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52)에 표시된 선호 연결 모드 활성화 메뉴(721)의 표시를 해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타이머를 구동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경우, 타이머를 구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구동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통신이 형성된 선호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기기와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
    상기 검출하는 동작의 수행 횟수가 지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동작,
    상기 검출하는 동작이 지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행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
    상기 검출하는 동작의 수행 횟수가 지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
    상기 검출하는 동작이 지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행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기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접속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주변 기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와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이 형성된 선호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기기와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검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동작의 수행 횟수가 지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동작이 지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행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동작의 수행 횟수가 지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동작이 지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행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기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접속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20149826A 2012-12-20 2012-12-20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9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26A KR101991747B1 (ko) 2012-12-20 2012-12-20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068,481 US9485730B2 (en) 2012-12-20 2013-10-31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26A KR101991747B1 (ko) 2012-12-20 2012-12-20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42A KR20140080242A (ko) 2014-06-30
KR101991747B1 true KR101991747B1 (ko) 2019-06-21

Family

ID=5097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826A KR101991747B1 (ko) 2012-12-20 2012-12-20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5730B2 (ko)
KR (1) KR101991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9998B2 (en) * 2016-11-14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an advanced receiver based on cell information,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or a device display status
KR102022265B1 (ko) 2017-05-22 2019-09-18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966B2 (en) * 2004-12-30 2008-1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 track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600405B1 (ko) 2005-03-29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망 자동 연결장치 및 방법
JP5085203B2 (ja) * 2007-06-28 2012-11-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TWI383301B (zh) * 2008-11-19 2013-01-21 Inst Information Industry 網路同步方法與系統
KR101645461B1 (ko) 2010-01-12 2016-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286011B1 (ko) * 2010-03-24 2013-08-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방법, 광통신 시스템, 이용자측 광회선 종단 장치, 국측 광회선 종단 장치 및 제어 장치
KR20110121435A (ko)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WiFi와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674951B1 (ko) 2010-05-07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73276A1 (en) * 2010-05-07 2011-11-10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20010526A (ko) * 2010-07-26 201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WiFi단말기 및 그의 인터넷 접속방법
KR2012007726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팬택 무선랜을 이용한 분실 단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50578A1 (en) * 2011-04-01 2012-10-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cell operation in non-cell_dch states
KR101909025B1 (ko) * 2012-05-17 2018-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7498A1 (en) 2014-06-26
KR20140080242A (ko) 2014-06-30
US9485730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122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851654B (zh) 伪基站识别方法、装置及终端
JP7477589B2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JP596931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クラス制限リストを用いるサービス状態提供装置及び方法
US11224027B2 (en) Cell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KR101642018B1 (ko) 무선기기 리스트의 표시 방법과 장치, 무선기기,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그 브로드캐스팅방법
US20130225086A1 (en) Controlling device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in a restricted area
US20130059579A1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25208A (ko)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90024743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매체
KR102178481B1 (ko)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88484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9260951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CN110351702B (zh) 系统信息区域确定方法、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102328431B1 (ko) 듀얼 심카드 휴대폰의 페이징 충돌 처리 방법, 장치 및 매체
KR101991747B1 (ko) 연결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95713B1 (ko)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복수의 가입자 확인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141576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侧设备
JP2008011040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KR10189935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73457B1 (ko) 전자 장치에서 출력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88672B1 (ko) 응급 서비스 단말기 및 응급 서비스 단말기의 중계기 신호 획득 방법
JP616043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